KR101805145B1 - 이중 뚜껑을 구비한 냄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이중 뚜껑을 구비한 냄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5145B1
KR101805145B1 KR1020160097443A KR20160097443A KR101805145B1 KR 101805145 B1 KR101805145 B1 KR 101805145B1 KR 1020160097443 A KR1020160097443 A KR 1020160097443A KR 20160097443 A KR20160097443 A KR 20160097443A KR 101805145 B1 KR101805145 B1 KR 101805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locking
main body
insertion hole
out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예림
Original Assignee
하예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예림 filed Critical 하예림
Priority to KR1020160097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51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5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5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15Locking devices where vessel and lid have adapted shapes to provide for the lock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08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for draining liquids from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냄비를 이용하여 조리하는 경우, 뚜껑의 들뜸 현상을 방지하는 냄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개구부를 덮는 뚜껑을 내뚜껑과 외뚜껑의 이중구조로 구성함으로서,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내뚜껑이 들리는 것을, 상기 외뚜껑에 의해 내뚜껑 상부방향으로 가압력이 발생하여 방지할 수 있어 조리시간을 단축시키고, 특히 밥을 하는 경우에는 설익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중 뚜껑을 구비한 냄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 뚜껑을 구비한 냄비 어셈블리{POT ASSEMBLY}
본 발명은 냄비를 이용하여 조리하는 경우, 뚜껑의 들뜸 현상을 방지하는 냄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개구부를 덮는 뚜껑을 내뚜껑과 외뚜껑의 0이중구조로 구성함으로서, 음식물을 조리할 때 발생되는 압력에 의해 내뚜껑이 들리는 것을, 상기 외뚜껑에 의해 내뚜껑 상부방향으로 가압력이 발생하여 방지할 수 있어 조리시간을 단축시키고, 특히 밥을 하는 경우에는 설익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중 뚜껑을 구비한 냄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열에 의하여 조리할 경우에 사용되는 냄비는 중앙에서 테두리측으로 하향만곡되게 형성되어 가열시 발생 되는 열기와 열기에 함유되어진 수분이 대류현상에 의하여 순환되면서 균일한 온도로 가열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냄비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에는 내부의 열기 또는 압력에 의해 뚜껑이 들썩거리게 되고, 이에 따라 음식물의 조리시간이 길어지거나, 수분이 쉽게 빠져나가게 된다. 특히 냄비를 이용하여 밥을 할 경우에는 밥이 설익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열기에 함유된 수분은 뚜껑과 냄비본체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증가가 응축되면서 물방울이 맺히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물방울은 상승기류와 함께 뚜껑의 중앙에서 외측테두리로 흐르게 되는데 이때 증기에 함유된 양념이 동시에 응축되면서 외측테두리로 흐르게 되면서 외측테두리가 밀착되는 냄비본체의 상단테두리로 누출되어지면서 주변을 지저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현상으로 인하여 맛을 내기 위하여 정확하게 투입된 양념이 빠져나가게 되면서 원하는 맛을 낼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나아가 이러한 현상에 의하여 뚜껑의 천정에 맺혀진 물방울이 낙하되지 않은 상태에서 뚜껑을 열면 이러한 물방울이 바닥에 떨어져 주변이 더러워 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이중 뚜껑이 구비된 냄비 어셈블리에 있어서,
개구부를 형성하는 조리부와 상기 개구부 테두리에 제1 및 제2 안착부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제1 안착부와 제2 안착부에 각각 안착되는 내뚜껑 및 외뚜껑을 구비함으로서, 조리부 내부 압력에 의하여 내뚜껑이 들썩거리는 것을 외뚜껑이 형성하는 압력에 의해 방지할 수 있는 이중 뚜껑을 구비한 냄비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외뚜껑의 내측면에 증기를 응결시키는 응결수단을 구비하여, 외뚜껑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열에 의해 발생되는 수증기가 다시 응결되어 떨어짐으로서 뚜껑 내측에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양념의 손실은 물론 뚜껑을 열었을 경우에 이러한 맺힌 것이 없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이중 뚜껑을 구비한 냄비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외뚜껑은 상기 내뚜껑과 이격되는 압력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조리부 내의 압력과 압력부의 압력 차이를 최소화 하여 내뚜껑이 들썩거리는 것을 방지하는 이중 뚜껑을 구비한 냄비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뚜껑을 구비한 냄비 어셈블리는
상부가 개방된 개구부를 형성하는 조리부와, 상기 개구부 테두리에 제1 및 제2 안착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으며, 내측면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의 제1 안착부에 안착되는 내뚜껑;
상기 내뚜껑을 덮으며,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제2 안착부에 안착되는 외뚜껑;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뚜껑을 구비한 냄비 어셈블리는
조리부를 갖는 본체에, 상기 본체를 덮는 뚜껑을 내뚜껑과, 상기 내뚜껑을 덮는 외뚜껑으로 구비함으로서, 이들 사이에 압력부가 형성되어 내뚜껑이 조리부내의 압력에 의해 들썩거리는 것을 이 압력부에 형성되는 압력에 의해 막아줌으로서 조리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열성능이 향상되며, 특히 밥을 할 경우에도 압력을 유지할 수 있어 보다 손쉽게 조리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나아가 외뚜껑만 사용하는 경우, 가열에 의해 발생되는 수증기가 다시 응결되어 떨어짐으로서 뚜껑 내측에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양념의 손실은 물론 뚜껑을 열었을 경우에 이러한 맺힌 것이 없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이러한 응결유도수단이 뚜껑의 내측면에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원형 돌출부재 또는 반구형 돌출부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뚜껑 내측면에 맺혀진 물방울이 상기 본체에 고르게 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뚜껑을 구비한 냄비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뚜껑을 구비한 냄비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뚜껑을 구비한 냄비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뚜껑을 구비한 냄비 어셈블리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뚜껑을 구비한 냄비 어셈블리(A)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내뚜껑(20) 및 외뚜껑(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본체(10)는 상부에 개구부(11)가 형성될 수 있는 조리부(12)가 구비되어 잇으며, 상기 본체(10)의 외측에는 손잡이부(P1)가 구비되게 된다.
이 때 상기 본체(10)는 세라믹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손잡이부(P1)는 상기 본체(10)와 함께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져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사용자가 열에 의한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열 전도성이 적은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10)에 결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1)에는 상기 내뚜껑(20) 및 외뚜껑(30)이 각각 안착될 수 있는 제1 및 제2 안착부(15)가 형성되어 잇다.
먼저 세라믹 소재는 비금속 또는 무기질 재료를 높은 온도에서 가공, 성형하여 만든 제품. 대개 도자기류를 말하며, 종류에는 천연의 원료를 그대로 사용한 코스 세라믹(Coarse Ceramics), 정제하여 가공한 파인 세라믹(Fine Ceramics)이 있다. 또 천연 원료를 주로 이용한 이전의 세라믹을 전통 세라믹(Traditional Ceramics), 점토를 이용하지 않은 것을 비점토 세라믹(Non-clay Ceramics), 점토나 산화물을 함유하지 않는 파인 세라믹을 비산화물 세라믹(Non-oxide Ceramics)이라 한다.
또한 이러한 세라믹 재질은 열전도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조리를 하는 경우에, 시간을 단축시키고 고온의 열을 전달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조리를 가능하게 한다.
다시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1)를 덮는 내뚜껑(20) 및 외뚜껑(30)이 각각 구비되어 있는바, 이들을 안착시키기 위하여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1) 테두리에는 제1 안착부(14)와 제2 안착부(15)가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 안착부(14)와 제2 안착부(15)는 상기 개구부(11) 테두리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이들 사이에는 단턱부(16)가 형성되어 서로간의 단차가 발생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안착부(14)가 내측에 이 제1 안착부(14) 외측에 제2 안착부(15)가 형성되어 내뚜껑(20)은 제1 안착부(14)에, 외뚜껑(30)은 제2 안착부(15)에 안착되게 된다.
먼저 내뚜껑(20)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내뚜껑(20)은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1)를 덮으며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만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 단부가 상기 제1 안착부(14)에 안착되어 본체(10)의 개구부(11)를 덮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내뚜껑(20)은 상기 본체(10)와 동일하게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내뚜껑(20)의 중앙에는 상기 내뚜껑(20)을 사용자가 손쉽게 들 수 있도록 제1 뚜껑꼭지부(21)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뚜껑꼭지부(21)는 상기 내뚜껑(20)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나, 사용자의 핸들링을 보다 손쉽게 할 수 있도록 열전도성이 작은 재질로 별도로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이러한 내뚜껑(20)은 상기 개구부(11)를 개페하는 것으로서, 음식을 조리하는 경우 조리부(12) 내의 압력에 의해 상기 내뚜껑(20)이 들썩거리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리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내뚜껑(20)을 덮을 수 있는 외뚜껑(30)을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외뚜껑(30)은 상기 내뚜껑(20)과 마찬가지로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1)를 덮으며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만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이 단부가 상기 제2 안착부(15)에 안착되어 본체(10)의 개구부(11)를 덮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외뚜껑(30) 또한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중앙에는 제2 뚜껑꼭지부(31)가 돌출되어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해석해서는 안된다.
또한 이렇게 내뚜껑(20)과 외뚜껑(30)을 통하여 개구부(11)를 덮는 경우에, 상기 외뚜껑(30)은 내뚜껑(20)과 이격된 압력부(33)를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압력부(33)에 의하여 조리부(12)내의 압력에 따라 상기 내뚜껑(20)이 들썩거리는 것을 방지하여 조리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외뚜껑(30)은 단일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 상기 외뚜껑(30)의 내측면에 응결수단(40)을 구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응결수단(40)에 의해 조리시 가열에 의해 발생되는 수증기가 상기 외뚜껑(30)의 내측면에 부딪혀 온도차이로 인하여 생기는 물방울들을 낙하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응결수단(40)은 상기 외뚜껑(30)의 내측면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돌출부재(41)로 이루어지게 되어 물방울이 외뚜껑(30)의 내측면을 따라 위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돌출부재(41)에 의해 다시 밑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먼저 이러한 응결수단(40)은 돌출부재(41)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외뚜껑(30)의 내측면에 복수개로 구비되되, 상기 외뚜껑(30)의 내측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는 복수개의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응결수단(40)은 외뚜겅의 내측면에서 하향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돌출부재(41)로서, 상기 돌출부재(41)는 상기 외뚜껑(30)의 내측면의 중심을 중점으로 하여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러한 돌출부재(41)는 복수개가 구비되며, 각각의 돌출부재(41)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외뚜껑(30)의 내측면 중심을 기준으로 동심원의 형상을 이룬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뚜껑이 구비된 냄비 어셈블리(A)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뚜껑이 구비된 냄비 어셈블리(A)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가열된 본체(10)를 식탁 등에 그냥 올려놓으면 식탁 등이 망가질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이에 따라 별도의 받침대를 사용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받침유닛(R)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받침유닛(R)은 일반적으로 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나아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냄비 어셈블리(A)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을 사용함에 있어, 외뚜껑(30)과 내뚜껑(20)을 닫을 때 보다 확실한 밀폐력, 즉 외뚜껑(30)과 내뚜껑(20)의 들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록킹유닛(L)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록킹유닛(L)을 구비하기 위해서는 가공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본체(10), 내뚜껑(20), 외뚜껑(30)을 세라믹이 아닌 스테인레스 등의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다시 상기 록킹유닛(L)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록킹유닛(L)은 외뚜껑(30)을 닫으면 자연스럽게 내뚜껑(20)이 잠기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서, 상기 외뚜껑(30)에 구비되는 제1 록킹공(L1)과, 상기 내뚜껑에 구비되는 제2 록킹공(L2), 상기 제1 록킹공(L1)에 구비되되, 상기 본체(10) 구비되는 삽입공(L3)에 내삽되는 록킹돌기(L5) 및 상기 삽입공(L3)에 구비되어, 상기 록킹돌기(L5)가 상기 삽입공(L3)에 내삽되면 상기 록킹돌기(L5)에 의해 밀리면 상기 제2 록킹공에 걸려 내뚜껑(20)을 고정시키는 록킹부재(L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상기 본체(10)의 테두리에는 삽입공(L3)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공(L3)은 상기 제1 안착부(14)와, 상기 제2 안착부(15)의 측부와 연통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외뚜껑(30)에는 록킹공(L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록킹공(L1)에는 록킹돌기(L5)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록킹돌기(L5)는 상기 제1 록킹공(L1)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 단부에는 제1 탄성체(S1)가 구비되어 록킹돌기(L5)에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외뚜껑(30)을 제2 안착부(15)안착시키면, 상기 록킹돌기(L5)가 상기 제1 록킹공(L1)에 체결되고, 후단의 제1 탄성체(S1)에 의하여 일정한 힘을 가하지 않으면, 상기 록킹돌기(L5)가 제1 록킹공(L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록킹돌기(L5)의 단부는 곡선형으로 이루어져 탈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뚜껑(20)에는 제2 록킹공(L2)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제2 록킹공(L2)은 홈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제1 안착부(14)에 구비되는 삽입공(L3) 부분과 연통되는 연통홈(L21)과, 상기 연통홈(L21)에 절곡되어 연통되는 걸림홈(L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삽입공(L3)에는 록킹부재(L4)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록킹부재(L4)는 밀림부(L41)와 상기 밀림부(L41)에 절곡형성되는 연장부(L42) 및 상기 연장부(L42)에 절곡형성되는 수직부(L43)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부(L43)의 단부에는 한번 더 절곡된 걸림부가 구비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밀림부(L41)의 단부는 상기 제2 안착부(15)의 측부에 연통되는 공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상기 록킹돌기(L5)가 상기 삽입공(L3)에 삽입되면, 록킹돌기(L5)가 상기 밀림부를 밀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직부(L43)는 상기 제1 안착부(14)를 관통하여 상기 내뚜껑(20)의 제2 록킹공(L2)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밀림부(L5)가 밀리면 자연스럽게 상기 수직부(L43)가 함께 밀려 상기 수직부(L43)에 구비되는 걸림부가 상기 제2 록킹공(L2)의 걸림홈(L22)에 내삽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내뚜껑(20)을 닫고, 외뚜껑(30)을 닫으면, 상기 록킹부재(L4)가 이동하여 내뚜껑(20)을 본체에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외뚜껑(30)을 분리하게 되면 상기 록킹부재(L5)가 원위치 되도록 하여 내뚜껑(20)을 분리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야 하는 바, 상기 삽입공(L3)에는 상기 록킹부재(L4)의 밀림부(L41)를 밀리는 반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2 탄성체(S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상기 제2 탄성체(S2)의 탄성력은 상기 제1 탄성체(S1)의 탄성력보다는 약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제1 탄성체(S1)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돌기(L5)가 밀림부(L41)를 밀어 상기 제2 탄성체(S2)가 응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이중 뚜껑을 구비한 냄비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이중 뚜껑이 구비된 냄비 어셈블리
P1 : 손잡이부 P2 : 보조손잡이부
10 : 본체 11 : 개구부
12 : 조리부 14 : 제1 안착부
15 : 제2 안착부 16 : 단턱부
20 : 내뚜껑 21 : 제1 뚜껑꼭지부
30 : 외뚜껑 31 : 제2 뚜껑꼭지부
33 : 압력부 40 : 응결수단
41 : 돌출부재

Claims (4)

  1. 상부가 개방된 개구부(11)를 형성하는 조리부(12)와, 상기 개구부(11) 테두리에 제1 및 제2 안착부(14)(15)가 구비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1)를 덮으며, 내측면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11)의 제1 안착부(14)에 안착되는 내뚜껑(20);
    상기 내뚜껑(20)을 덮으며,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1)에 형성되는 제2 안착부(15)에 안착되는 외뚜껑(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받침유닛(R)이 더 구비되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외뚜껑(30)에 구비되는 제1 록킹공(L1)과, 상기 내뚜껑(20)에 구비되는 제2 록킹공(L2), 상기 제1 록킹공(L1)에 구비되되,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삽입공(L3)에 내삽되는 록킹돌기(L5) 및 상기 삽입공(L3)에 구비되어, 상기 록킹돌기(L5)가 상기 삽입공(L3)에 내삽되어 상기 록킹돌기(L5)에 의해 밀리면 일단부가 상기 제2 록킹공(L2)에 걸려 내뚜껑(20)을 본체(10)에 고정시키는 록킹부재(L4)를 포함하는 록킹유닛(L)이 더 구비되되,
    상기 삽입공(L3)은 제1 안착부(14)와 상기 제2 안착부(15)의 측부와 연통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록킹돌기(L5)의 단부는 곡선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록킹돌기(L5)는 상기 제1 록킹공(L1) 외측으로 돌출되되 단부에 제1 탄성체(S1)를 구성하여 록킹돌기(L5)에 탄성력을 부여하며,
    상기 제2 록킹공(L2)는 홈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안착부(14)에 구비되는 삽입공(L3)과 연통되는 연통홈(L21)과, 상기 연통홈(L21)에 절곡되어 연통되는 걸림홈(L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록킹부재(L4)는 밀림부(L41)와 상기 밀림부(L41)에 절곡형성되는 연장부(L42) 및 상기 연장부(L42)에 절곡형상되는 수직부(L43)와, 상기 수직부(L43) 단부에 형성된 걸림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림부(L41)의 단부는 상기 제2 안착부(15)의 측부에 연통되는 삽입공(L3)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상기 록킹돌기(L5)가 상기 삽입공(L3)에 삽입되면, 상기 록킹돌기(L5)가 상기 밀림부(L41)를 밀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수직부(L43)는 상기 제1 안착부(14)를 관통하여 상기 내뚜껑(20)의 제2 록킹공(L2)에 위치하여, 상기 밀림부(L41)가 밀리면 자연스럽게 상기 수직부(L43)가 함께 밀려 상기 수직부(L43)에 구비되는 걸림부가 상기 제2 록킹공(L2)의 걸림홈(L22)에 내삽되며,
    상기 삽입공(L3)에는 상기 록킹부재(L4)의 밀림부(L41)를 밀리는 반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제2 탄성체(S2)가 구비되되, 상기 제2 탄성체(S2)의 탄성력은 상기 제1 탄성체(S1)의 탄성력보다는 약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제1 탄성체(S1)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돌기(L5)가 밀림부(L41)를 밀어 상기 제2 탄성체(S2)가 응축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상기 외뚜껑(30)을 닫으면 내뚜껑(20)이 본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뚜껑을 구비한 냄비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뚜껑(30)의 내측면에는 증기를 응결시키는 응결수단(40)이 더 구비되되,
    상기 응결수단(40)은 상기 외뚜껑(30)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돌출부재(41)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부재(41)는 외뚜껑(30)의 내측면에 하향 돌출된 형상으로, 외뚜껑(30)의 내측면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는 복수개의 동심원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뚜껑(30)은 상기 내뚜껑(20)과 이격되는 압력부(33)를 형성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뚜껑을 구비한 냄비 어셈블리.
  3. 삭제
  4. 삭제
KR1020160097443A 2016-07-29 2016-07-29 이중 뚜껑을 구비한 냄비 어셈블리 KR101805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443A KR101805145B1 (ko) 2016-07-29 2016-07-29 이중 뚜껑을 구비한 냄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443A KR101805145B1 (ko) 2016-07-29 2016-07-29 이중 뚜껑을 구비한 냄비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5145B1 true KR101805145B1 (ko) 2017-12-06

Family

ID=60922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443A KR101805145B1 (ko) 2016-07-29 2016-07-29 이중 뚜껑을 구비한 냄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51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910B1 (ko) 2018-11-01 2020-01-21 임기호 이중구조의 조리용기
KR20230077460A (ko) 2021-11-25 2023-06-01 이수민 부분 개폐가 가능한 요리도구용 뚜껑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680Y1 (ko) * 2009-09-18 2011-09-21 주식회사 피엔풍년 압력밥솥 안전장치
KR101536219B1 (ko) * 2015-02-24 2015-07-14 (주)아이지코리아 내열 세라믹 냄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5680Y1 (ko) * 2009-09-18 2011-09-21 주식회사 피엔풍년 압력밥솥 안전장치
KR101536219B1 (ko) * 2015-02-24 2015-07-14 (주)아이지코리아 내열 세라믹 냄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910B1 (ko) 2018-11-01 2020-01-21 임기호 이중구조의 조리용기
KR20230077460A (ko) 2021-11-25 2023-06-01 이수민 부분 개폐가 가능한 요리도구용 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52315B (zh) 具有附接到锅体上的握持部的压力炊具
AU2014319872B2 (en) Pressure cooker
EP1240860B1 (en) Cooking vessel
KR200469270Y1 (ko) 조리용 타진냄비
JP2015503366A (ja) 調理鍋、調理システム及び調理方法
KR101805145B1 (ko) 이중 뚜껑을 구비한 냄비 어셈블리
KR20110131191A (ko) 조리 음식용 용기를 위한 개선된 천공 뚜껑
KR100895106B1 (ko) 넘침 방지용 냄비뚜껑손잡이
KR101536219B1 (ko) 내열 세라믹 냄비
KR100834805B1 (ko) 가마솥
KR100753622B1 (ko) 이중 항아리 가마솥
JP2008126084A (ja) 陶磁器内釜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50985B1 (ko) 항아리 가마솥
KR200393644Y1 (ko) 찜 및 직화구이 겸용냄비
KR20190064952A (ko) 조리용 용기
KR20080006168U (ko) 전자렌지용 조리용기
CN205031011U (zh) 新型电饭煲
KR101728660B1 (ko) 전자렌지용 취사 용기
CN209269422U (zh) 烹饪器具
CN103239145A (zh) 盖把手
KR100763338B1 (ko) 스팀배출 조절가능 조리용기
KR100448192B1 (ko) 조리용기
KR200179561Y1 (ko) 이중 구이판
US7564010B2 (en) Jar type cauldron
CN207741149U (zh) 一种带电磁加热的微波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