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219B1 - 내열 세라믹 냄비 - Google Patents

내열 세라믹 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219B1
KR101536219B1 KR1020150025960A KR20150025960A KR101536219B1 KR 101536219 B1 KR101536219 B1 KR 101536219B1 KR 1020150025960 A KR1020150025960 A KR 1020150025960A KR 20150025960 A KR20150025960 A KR 20150025960A KR 101536219 B1 KR101536219 B1 KR 101536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passage
main body
opening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5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동웅
Original Assignee
(주)아이지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지코리아 filed Critical (주)아이지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025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2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열 세라믹 냄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를 개폐하는 뚜껑에 응결유도수단을 구비하여 조리시 열원에 의하여 내용물이 가열되면서 내용물에 함유된 수분이나 양념 등이 증발되면서 대류현상에 의해 뚜껑의 천정으로 순환할 경우에 온도의 차이에 의하여 발생되는 응축현상에 의하여 맺혀지는 물방울이 즉시 낙하토록 하여 양념의 손실은 물론 뚜껑을 열었을 경우에 이러한 맺힌 것이 없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내열 세라믹 냄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열 세라믹 냄비{CERAMICS POT}
본 발명은 내열 세라믹 냄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를 개폐하는 뚜껑에 응결유도수단을 구비하여 조리시 열원에 의하여 내용물이 가열되면서 내용물에 함유된 수분이나 양념 등이 증발되면서 대류현상에 의해 뚜껑의 천정으로 순환할 경우에 온도의 차이에 의하여 발생되는 응축현상에 의하여 맺혀지는 물방울이 즉시 낙하토록 하여 양념의 손실은 물론 뚜껑을 열었을 경우에 이러한 맺힌 것이 없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내열 세라믹 냄비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열에 의하여 조리할 경우에 사용되는 냄비는 중앙에서 테두리측으로 하향만곡되게 형성되어 가열시 발생 되는 열기와 열기에 함유되어진 수분이 대류현상에 의하여 순환되면서 균일한 온도로 가열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때 열기에 함유된 수분은 뚜껑과 냄비본체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증가가 응축되면서 물방울이 맺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물방울은 상승기류와 함께 뚜껑의 중앙에서 외측테두리로 흐르게 되는데 이때 증기에 함유된 양념이 동시에 응축되면서 외측테두리로 흐르게 되면서 외측테두리가 밀착되는 냄비본체의 상단테두리로 누출되어지면서 주변을 지저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현상으로 인하여 맛을 내기 위하여 정확하게 투입된 양념이 빠져나가게 되면서 원하는 맛을 낼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나아가 이러한 현상에 의하여 뚜껑의 천정에 맺혀진 물방울이 낙하되지 않은 상태에서 뚜껑을 열면 이러한 물방울이 바닥에 떨어져 주변이 더러워 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내열 세라믹 냄비에 있어서,
개구부가 형성되어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부가 구비된 본체에, 상기 개구부를 덮는 뚜껑을 구비하되, 상기 뚜껑에 응결유도수단을 구비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면서 발생하는 증기가 응결되어 다시 음식물로 떨어지게 하는 내열 세라믹 냄비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응결유도수단을 복수개의 원형으로 이루어진 돌기 또는 반구형의 돌출부재로 형성하여 보관부에 고르게 응결된 물방울이 떨어지게 하는 내열 세라믹 냄비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보조받침수단을 더 구비하여, 평소에는 레인지와 본체 사이에 구비하여, 냄비로 열을 전달함과 동시에 조리를 하지 않는 경우에 냄비 받침으로서의 사용이 가능하며, 찜 등의 조리를 하는 경우에는 상기 개구부에 위치하여 찜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내열 세라믹 냄비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열 세라믹 냄비는
상부가 개방된 개구부를 형성하는 조리부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으며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만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측면과, 상기 내측면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 테두리에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뚜껑; 및
상기 뚜껑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증기를 응결시키는 응결유도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응결유도수단은 상기 내측면에서 하향 돌출된 돌출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내측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개의 원형의 돌출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열 세라믹 냄비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덮는 세라믹 뚜껑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뚜껑의 내측면에는 응력유도수단을 구비하여 조리시 가열에 의해 발생되는 수증기가 다시 응결되어 떨어짐으로서 뚜껑 내측에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따라 양념의 손실은 물론 뚜껑을 열었ㅇㄹ 경우에 이러한 맺힌 것이 없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러한 응결유도수단이 뚜껑의 내측면에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원형 돌출부재 또는 반구형 돌출부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뚜껑 내측면에 맺혀진 물방울이 상기 본체에 고르게 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보조받침수단을 더 구비하여, 냄비를 레인지 등에 올려놓는 경우에도 열전달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리를 하지 않는 경우 냄비받침대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찜 등의 조리를 하는 경우에는 상기 보조받침수단을 본체의 개구부에 결합시킴에 따라 별도의 찜기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사용의 편의성 및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열 세라믹 냄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열 세라믹 냄비의 제1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열 세라믹 냄비의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열 세라믹 냄비의 제3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라믹 냄비(A) 어셈블리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뚜껑(20) 및 상기 뚜껑(20) 내측에 형성되는 응결유도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본체(10)는 상부에 개구부(11)가 형성될 수 있는 조리부(1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의 외측에는 손잡이부(15)가 구비되게 된다.
이 때 상기 본체(10)는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손잡이부(15)는 상기 본체(10)와 함께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져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사용자가 열에 의한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열 전도성이 적은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10)에 결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1)에는 후술하는 뚜껑(20)의 안착부(23)가 놓일 수 있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부(111)가 형성되어 있다.
먼저 세라믹 소재는 비금속 또는 무기질 재료를 높은 온도에서 가공, 성형하여 만든 제품. 대개 도자기류를 말하며, 종류에는 천연의 원료를 그대로 사용한 코스 세라믹(Coarse Ceramics), 정제하여 가공한 파인 세라믹(Fine Ceramics)이 있다. 또 천연 원료를 주로 이용한 이전의 세라믹을 전통 세라믹(Traditional Ceramics), 점토를 이용하지 않은 것을 비점토 세라믹(Non-clay Ceramics), 점토나 산화물을 함유하지 않는 파인 세라믹을 비산화물 세라믹(Non-oxide Ceramics)이라 한다.
또한 이러한 세라믹 재질은 열전도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조리를 하는 경우에, 시간을 단축시키고 고온의 열을 전달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조리를 가능하게 한다.
다시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1)를 덮는 뚜껑(20)이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뚜껑(20)은 본체(10)의 개구부(11)를 덮으며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만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측면(21)과, 상기 내측면(21)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11) 테두리의 지지부(111)에 안착되는 안착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뚜껑(20)은 상기 본체(10)와 동일하게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뚜껑(20)의 중앙에는 상기 뚜껑(20)을 사용자가 손쉽게 들 수 있도록 뚜껑꼭지부(25)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꼭지부(25)는 상기 뚜껑(20)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나, 사용자가 손쉽게 뚜껑(20)을 잡을 수 있도록 별도의 뚜껑(20)꼭지가 결합되되, 열전도성이 작아 화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상기 뚜껑(20)의 내측면(21)은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만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면(21)의 단부에는 상기 지지부(111)에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부(23)가 일체형으로 연장 형성되게 된다.
이 때 상기 뚜껑(20)의 내측면(21)에는 응결유도수단(30)이 구비되어 조리시 가열에 의해 발생되는 수증기가 상기 뚜껑(20)의 내측면(21)에 부딪혀 온도차이로 인하여 생기는 응결된 물방울이 다시 밑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응결유도수단(3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응결유도수단(30)은 상기 뚜껑(20)의 내측면(21)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돌출부재(31)로 이루어지게 되어 물방울이 뚜껑(20)의 내측면(21)을 따라 위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돌출부재(31)에 의해 다시 밑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먼저 이러한 응결유도수단(30)의 제1 실시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재(31)는 상기 뚜껑(20)의 내측면(21)에 복수개로 구비되되, 상기 뚜껑(20)의 내측면(21)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는 복수개의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응결유도수단(30)은 뚜껑(20)의 내측면(21)에서 하향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돌출부재(31)로서, 상기 돌출부재(31)는 뚜껑(20) 내측면(21)의 중심을 기준으로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러한 돌출부재(31)는 복수개가 구비되며, 각각의 돌출부재(31)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뚜껑(20)의 내측면(21) 중심을 기준으로 동심원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돌출부재(31)에는 뾰족부(3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수증기가 물방울로 응결되는 경우, 상기 뾰족부(311)를 통하여 다시 밑으로 떨어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응결유도수단(30)의 제2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응결유도수단(30)을 이루는 돌출부재(31)는 상기 뚜껑(20)의 내측면(21)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반구형의 돌출부재(31)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뚜껑(20)의 내측면(21)에는 반구형의 돌출부재(31)가 복수개로 구비되어 있으며, 각각의 돌출부재(31)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재(31)의 수와 크기는 상기 뚜껑(2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된다.
따라서 뚜껑(20)에 맺히는 물방울은 상기 돌출부재(31)에 의해 아래로 낙하되게 된다.
나아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제1 실시예와 제2 실시예는 함께 구성될 수 있는데, 즉, 상기 뚜껑(20)의 내측에는 복수개의 동심원이 서로 이격되는 돌출부재(31)와, 이 동심원들 사이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반구형의 돌출부재(31)가 함께 구비되어 있어 증기의 응결효과를 더욱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내열 세라믹 냄비(A)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보조받침수단(40)이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받침수단(40)은 상기 본체(10)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41)와, 상기 받침부(41) 외곽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10)를 감싸는 외벽부(43) 및 상기 받침부(41)에 구비되어 레인지의 열을 전달하는 복수개의 통공(4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보조받침수단(40)은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10)의 하부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받침부(41)와, 상기 받침부(41) 외곽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10)의 외벽을 지지하는 외벽부(43)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외벽부(43)에 의하여 내삽부(431)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본체(10)가 상기 보조받침수단(40)의 내삽부(431)에 견고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보조받침수단(40)은 열전도성이 작은 재질로 이루어져, 가열된 본체(10)를 식탁 등에 놓는 경우에 냄비(A)받침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보조받침수단(40)이 레인지 상부에 위치하여, 결과적으로 레인지와 냄비(A)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레인지의 열이 냄비(A)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받침수단(40)에는 복수개의 통공(411)이 구비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통공(411)을 통하여 열이 본체(1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조리가 완료된 후에 상기 보조받침수단(40)과 함께 본체(10)를 들어 식탁 등의 다른 장소에 놓임으로서 냄비(A)받침의 기능을 함께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조받침수단(40)은 조리에 따라 찜기로서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보조받침수단(40)의 받침부(41) 하부에는 상기 본체(10) 상부의 지지부(111)에 놓일 수 있도록 안착부(23)와 동일한 형상의 안착돌기(413)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통공(411)으로 인하여 본체(10) 내부의 증기가 관통될 수 있어 찜기의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찜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보조받침수단(40)은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1)에 안착되게 되고, 이 때 상기 안착돌기(413)가 개구부(11)의 지지부(111)에 놓여 자연스럽게 찜기로서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이 경우에 뚜껑(20)은 보조받침수단(40)을 덮을 수 있도록 구성되게 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뚜껑(20)에는 보조안착부(27)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보조안착부(27)는 상기 뚜껑(20)에서 안착부(23)보다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며, 평상시에는 상기 개구부(11)의 외측을 덮는 구조로 이루어지나, 상기 보조받침수단(40)이 개구부(11)에 안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개구부(11)의 외벽을 덮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상기 외벽부에는 상기 뚜껑의 안착부(23)가 안착될 수 있는 보조지지부(433)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뚜껑(2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평상시에는 상기 안착부(23)가 상기 지지부(111)에 안착됨에 따라 본체(10)의 개구부(11)를 덮고, 보조받침수단(40)이 개구부(11)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보조안착부(27)가 상기 보조받침수단(40)의 외벽을 덮어 뚜껑(20)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상기 뚜껑(20)에는 증기의 배출을 돕는 벤츄리관(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뚜껑(20)의 중앙에는 중공(29)이 구비되게 되고, 상기 중공(29)에는 내측에 나사산이 형성된 연결부재(291)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291)는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증기가 세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연결부재(291)의 나사산(291A)에 상기 벤츄리관(50)이 나사결합되어 구비되게 된다.
상기 벤츄리관(5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벤츄리관(50)은 송입부(511)와, 상기 송입부(511)가 구비되는 대구경 제1 통로(51), 내경 점감형 제2 통로(52), 소구경 제3 통로(53), 내경 점층형 제4 통로(54) 및 상기 제4 토로 단부에 구비되는 토출부(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벤츄리관(50)은 대구경 제1 통로(51)와, 상기 대구경 제1 통로(51)에 구비되는 송입부(511), 제1 통로(51)와 연장되는 내경 점감형 제2 통로(52), 제2 통로(52)와 연장되는 소구경 제3 통로(53) 및 제3 통로(53)와 연장되는 내경 점층형 제4 통로(54)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4 통로(54)와 연결되어 증기가 배출되는 토출부(55)가 구비되게 된다.
상기 벤츄리관(50)의 통로, 특히 송입부(511), 제1 및 제2 통로(52)와 연속 연결된 제3통로 내주면에는 돌기(531)(그 단면 형상 및 길이(제1~제4 통로(54)의 일부 또는 전체 구간 길이에 형성 가능) 전체는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특히 다수의 돌기(531)(직선형 또는 나선형)가 형성되어, 층류를 형성하며 벤츄리관(50)을 통과하면서 압력차에 의하여 저압화 되어 단시간에 건조가 진행되도록 하는데 일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벤츄리관(50)의 송입부(511)는 제1통로에 사선형태로 구비됨에 따라 증기의 이송방향과 직교하는 송입부(511) 형태인 경우보다 좀 더 외부 공기의 원활한 유입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내열 세라믹 냄비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내열 세라믹 냄비 10 : 본체
11 : 개구부 111 : 지지부
13 : 조리부 15 : 손잡이부
20 : 뚜껑 21 : 내측면
23 : 안착부 25 : 뚜껑꼭지부
27 : 보조안착부 29 : 중공
30 : 응결유도수단 31 : 돌출부재
311 : 뾰족부 40 : 보조받침수단
41 : 받침부 411 : 통공
413 : 안착돌기 43 : 외벽부
431 : 내삽부 50 : 벤츄리관
51 : 제1 통로 511 : 송입부
52 : 제2 통로 53 : 제3 통로
531 : 돌기 54 : 제4 통로
55 : 토출부

Claims (4)

  1. 상부가 개방된 개구부(11)를 형성하는 조리부(13)가 구비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1)를 덮으며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만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측면(21)과, 상기 내측면(21)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11) 테두리에 안착되는 안착부(23)를 포함하는 뚜껑(20); 및
    상기 뚜껑(20)의 내측면(21)에 구비되어 증기를 응결시키는 응결유도수단(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응결유도수단(30)은 상기 내측면(21)에서 하향 돌출된 돌출부재(31)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10)에의 하부에는 보조받침수단(40)이 더 구비되고,
    상기 보조받침수단(40)은
    상기 본체(10)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41)와, 상기 받침부(41) 외곽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10)를 감싸는 외벽부(43) 및 상기 받침부(41)에 구비되어 레인지의 열을 전달하는 복수개의 통공(4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부(41) 하부에는 상기 안착부(23)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10)에 안착되는 안착돌기(413)가 구비되고,

    상기 뚜껑(20)에는 송입부(511)와, 상기 송입부(511)와 연결된 대구경 제1 통로(51), 내경 점감형 제2 통로(52), 소구경 제3 통로(53), 내경 점층형 제4 통로(54) 및 상기 제4 통로(54) 단부에 구비되는 토출부(55)로 이루어지는 벤츄리관(5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세라믹 냄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31)는
    상기 내측면(21)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개의 원형의 돌출부재(3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세라믹 냄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31)는
    상기 뚜껑(20)의 내측면(21)에 복수개로 구비되는 반구형의 돌출부재(3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세라믹 냄비.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벤츄리관(50)의 송입부(511)에 구비되는 제3통로(53) 내주면에는 복수개의 돌기(5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 세라믹 냄비.
KR1020150025960A 2015-02-24 2015-02-24 내열 세라믹 냄비 KR101536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960A KR101536219B1 (ko) 2015-02-24 2015-02-24 내열 세라믹 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5960A KR101536219B1 (ko) 2015-02-24 2015-02-24 내열 세라믹 냄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6219B1 true KR101536219B1 (ko) 2015-07-14

Family

ID=53793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5960A KR101536219B1 (ko) 2015-02-24 2015-02-24 내열 세라믹 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21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5145B1 (ko) * 2016-07-29 2017-12-06 하예림 이중 뚜껑을 구비한 냄비 어셈블리
KR101875154B1 (ko) * 2016-07-29 2018-07-06 하예라 세라믹 프라이팬
KR101900918B1 (ko) 2017-04-06 2018-11-02 하동웅 다용도 친환경 세라믹 용기
KR20200029665A (ko) 2018-09-10 2020-03-19 (주)대한솔루션 온도 변화를 알 수 있는 조리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3745A (ko) * 2007-04-18 2008-10-22 강영미 고강도·내열·무균열 세라믹 조리 용기 및 이를 이용한 간편조리 방법
KR20130005906U (ko) * 2012-03-30 2013-10-10 (주)드림셰프 주방용기용 뚜껑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3745A (ko) * 2007-04-18 2008-10-22 강영미 고강도·내열·무균열 세라믹 조리 용기 및 이를 이용한 간편조리 방법
KR20130005906U (ko) * 2012-03-30 2013-10-10 (주)드림셰프 주방용기용 뚜껑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5145B1 (ko) * 2016-07-29 2017-12-06 하예림 이중 뚜껑을 구비한 냄비 어셈블리
KR101875154B1 (ko) * 2016-07-29 2018-07-06 하예라 세라믹 프라이팬
KR101900918B1 (ko) 2017-04-06 2018-11-02 하동웅 다용도 친환경 세라믹 용기
KR20200029665A (ko) 2018-09-10 2020-03-19 (주)대한솔루션 온도 변화를 알 수 있는 조리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6219B1 (ko) 내열 세라믹 냄비
JP5831521B2 (ja) 炊飯器
IT201600082900A1 (it) Apparato autonomo per la cottura di alimenti e relativo metodo
US10376087B2 (en) Cooking attachment for a heatable vessel of a food processor
US9961929B2 (en) Steam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e
JP2016209566A (ja) 家庭用器具のミキシングボウル上に載せられるように設計される凝縮液を集めるための受け器を含む蒸気調理アクセサリ
KR20130001268U (ko) 조리용 타진냄비
JP2017522947A (ja) 調理器具
US20160183710A1 (en) Rice Cooking Insert
JP5258858B2 (ja) 調理器具
KR101805145B1 (ko) 이중 뚜껑을 구비한 냄비 어셈블리
JP3217005U (ja) 調理補助具及び該調理補助具を用いた調理器具
KR200406372Y1 (ko) 열기 유도커버가 구비된 조리용 솥
KR100893326B1 (ko) 조리용기용 뚜껑
EP3723563B1 (en) Pot flange with vapour passage and cooking assembly provided with such a flange
KR20190064952A (ko) 조리용 용기
KR101968869B1 (ko) 만능냄비
JP3201705U (ja) 炊飯釜
KR20210097970A (ko) 열효율이 강화된 냄비
CN105411357B (zh) 具有能够被加热的容器的厨用设备
CN208832517U (zh) 煎烤盘组件及微波炉
US11607074B2 (en) Cooking assembly, cooking pot and pot lid with vapour passage
CN207220705U (zh) 蒸汽阀座、蒸汽阀、烹饪厨具盖体和烹饪厨具
KR20090010302U (ko) 조리용기
KR100763338B1 (ko) 스팀배출 조절가능 조리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