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5906U - 주방용기용 뚜껑 - Google Patents
주방용기용 뚜껑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30005906U KR20130005906U KR2020120002630U KR20120002630U KR20130005906U KR 20130005906 U KR20130005906 U KR 20130005906U KR 2020120002630 U KR2020120002630 U KR 2020120002630U KR 20120002630 U KR20120002630 U KR 20120002630U KR 20130005906 U KR20130005906 U KR 20130005906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d
- container
- kitchen
- water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for withdrawing or condensing cooking vapors from cooking utens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라 바디(20)의 하면(22)에 돌기(22a)가 형성될 경우 증기가 용기(10)로부터 상승하여 부딪혀 응결됨과 동시에 중력에 의해 돌기(22a)로 집결되면서 곧바로 용기(10) 속으로, 즉 용기(10)의 물 위로 노출되는 야채 등의 표면에 다시 낙하됨으로써 물 속에 침수된 음식물과 더불어 물 위로 노출된 음식물에도 낙하되는 물방울(W)에 의해 그 수분을 최대한 유지토록 함으로써 음식물이 익혀지거나 쪄지면서 노출된 표면에서의 건조현상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는 주방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주방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속의 물 위로 노출된 음식물에 물방울을 낙하시켜 수분을 최대한 유지토록 할 수 있는 주방용기용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용기용 뚜껑은 찌개나 탕, 라면 또는 고구마나 감자와 같은 야채 등을 끓이거나 익혀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주방용기에 씌워지는 부속품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 속의 물 위로 노출된 음식물에도 수분을 최대한 유지토록 할 수 있는 주방용기용 뚜껑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에 씌워지며 상면 및 하면을 지닌 바디를 포함하는 주방용기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하면은 상기 용기로부터 상승되는 증기가 부딪히면서 응결되어 물방울이 맺혀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물방울로 하여금 상기 용기 속으로 다시 낙하되도록 돌출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증기가 용기로부터 상승하여 바디의 하면에 부딪혀 응결됨과 동시에 중력에 의해 돌기로 집결되면서 다시 용기 속으로, 즉 용기의 물 위로 노출되는 야채 등의 표면으로 낙하되도록 하여 물 위로 노출된 음식물의 표면까지 그 수분을 최대한 유지토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냄비용 뚜껑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냄비용 뚜껑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b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6a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b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7a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b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8a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b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9a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9b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2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냄비용 뚜껑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b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6a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b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7a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b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8a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8b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9a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9b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을 나타내는 저면도.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10)에 씌워지며 상면(21) 및 하면(22)을 지닌 바디(20)를 포함하여, 찌개나 탕, 라면 또는 고구마나 감자와 같은 야채 등을 끓이거나 익혀 먹을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기본적으로 바디(20)에는 배출구멍(23)이 뚫려지고,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30)를 구비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라 하면(22)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로부터 상승되는 증기가 부딪히면서 응결되어 물방울(W)이 맺혀지도록 함과 동시에 그 물방울(W)로 하여금 용기(10) 속으로 다시 낙하되도록 돌출된 돌기(22a)를 포함한다.
찌개나 탕, 라면 또는 고구마나 감자와 같은 야채 등은 용기(10)의 물 속에 침수된 경우와 물 위로 노출되는 경우로 나뉠 수 있는데, 본 고안에 따라 바디(20)의 하면(22)에 돌기(22a)가 형성될 경우 증기가 용기(10)로부터 상승하여 하면(22)에 부딪혀 응결됨과 동시에 중력에 의해 돌기(22a)로 집결되면서 다시 용기(10) 속으로, 즉 용기(10)의 물 위로 노출되는 야채 등의 표면에 낙하됨으로써 물 속에 침수된 음식물과 더불어 물 위로 노출된 음식물에도 낙하되는 물방울(W)에 의해 그 수분을 최대한 유지토록 함으로써 음식물이 익혀지거나 쪄지면서 노출된 표면에서의 건조현상을 최대한 억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반면, 통상의 주방용기용 뚜껑과 같은 경우 용기(10)로부터 상승되는 증기가 하면(22)에 부딪히면서 그 경사를 타고 용기(10)의 내측면으로 곧바로 하강되므로 증기가 뜨거워진 하면(22)을 따라 하강하면서 곧바로 기화되어 증발이 더욱 촉진될 수밖에 없다는 점을 감안할 때, 본 고안에 따른 돌기(22a)에 의한 응결수, 즉 물방울(W)의 리턴은 상대적인 작용 효과로서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도 5a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고, 도 5b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돌기(22a)는 바디(20)의 하면(22)을 따라 돌출된 원형의 돌출띠일 수 있다.
바디(20)의 하면(22)을 따라 돌출된 원형의 돌출띠로서 돌기(22a)가 형성될 경우 냄비로부터 상승되는 증기가 응결되면서 원형의 돌출띠에 물방울(W)로서 맺힐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원형의 돌출띠를 겹겹이 형성시킬 경우 용기(10) 속의 음식물에 전방위로 물방울(W)을 낙하시킬 수 있게 되어 보다 고른 수분 공급을 가능케 할 수 있다.
도 6a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돌기(22a)는 바디(20)의 하면(22)을 따라 돌출된 원호형의 돌출띠일 수 있다.
바디(20)의 하면(22)을 따라 돌출된 원호형의 돌출띠로서 돌기(22a)가 형성될 경우 냄비로부터 상승되는 증기가 응결되면서 원호형의 돌출띠에 물방울(W)로서 맺힐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원호형의 돌출띠를 겹겹이 형성시킬 경우 용기(10) 속의 음식물에 전방위로 물방울(W)을 낙하시킬 수 있게 되어 보다 고른 수분 공급을 가능케 할 수 있다.
도 7a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라 돌기(22a)는 바디(20)의 하면(22)을 따라 돌출된 직선형의 돌출띠일 수 있다.
바디(20)의 하면(22)을 따라 돌출된 직선형의 돌출띠로서 돌기(22a)가 형성될 경우 냄비로부터 상승되는 증기가 응결되면서 직선형의 돌출띠에 물방울(W)로서 맺힐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직선형의 돌출띠를 겹겹이 형성시킬 경우 용기(10) 속의 음식물에 전방위로 물방울(W)을 낙하시킬 수 있게 되어 보다 고른 수분 공급을 가능케 할 수 있다.
도 8a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8b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돌기(22a)는 바디(20)의 하면(22)을 따라 돌출된 엠보싱일 수 있다.
바디(20)의 하면(22)을 따라 돌출된 엠보싱으로서 돌기(22a)가 형성될 경우 냄비로부터 상승되는 증기가 응결되면서 엠보싱에 물방울(W)로서 맺힐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엠보싱을 겹겹이 형성시킬 경우 용기(10) 속의 음식물에 전방위로 물방울(W)을 낙하시킬 수 있게 되어 보다 고른 수분 공급을 가능케 할 수 있다.
도 9a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9b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기용 뚜껑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 따라 돌기(22a)는 돌기(22a)는 바디(20)의 하면(22)을 따라 돌출된 와선형의 돌출띠일 수 있다.
바디(20)의 하면(22)을 따라 돌출된 와선형의 돌출띠로서 돌기(22a)가 형성될 경우 냄비로부터 상승되는 증기가 응결되면서 와선형의 돌출띠에 물방울(W)로서 맺힐 수 있게 되고, 이러한 와선형의 돌출띠를 겹겹이 형성시킬 경우 용기(10) 속의 음식물에 전방위로 물방울(W)을 낙하시킬 수 있게 되어 보다 고른 수분 공급을 가능케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바디(20)의 하면(22)은 중고외저형(中高外低形)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도록 하여 증기가 하면(22)에 부딪힘과 동시에 그 하면(22)을 따라 빠르게 하강토록 하면서 돌기(22a)에 물방울(W)이 신속하게 맺힐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 이외에 용기(10)로부터 상승되는 증기가 바디(20)의 하면(22)에 부딪히면서 응결되는 물방울(W)을 돌기(22a)를 통해 다시 낙하되도록 하는 것이라면, 통상의 미감을 고려치 않는 주방용기용 하면(22)일지라도 하트 형상, 무늬 연출을 위한 패턴 형상 등 다양한 변형을 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렇게 본 고안에 따른 물방울(W)의 낙하를 통한 음식물의 건조됨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기술적 사상이 포함된 경우라면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됨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찌개나 탕, 라면 또는 고구마나 감자와 같은 야채 등을 끓이거나 익혀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주방용기 관련 산업분야에 이용된다.
10 : 용기 20 : 바디
21 : 상면 22 : 하면
22a : 돌기 23 : 배출구멍
30 : 손잡이 W : 물방울
21 : 상면 22 : 하면
22a : 돌기 23 : 배출구멍
30 : 손잡이 W : 물방울
Claims (7)
-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10)에 씌워지며 상면(21) 및 하면(22)을 지닌 바디(20)를 포함하는 주방용기용 뚜껑에 있어서,
상기 하면(22)은 상기 용기(10)로부터 상승되는 증기가 부딪히면서 응결되어 물방울(W)이 맺혀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물방울(W)로 하여금 상기 용기(10) 속으로 다시 낙하되도록 돌출된 돌기(22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용 뚜껑.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22a)는 상기 하면(22)을 따라 돌출된 원형의 돌출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용 뚜껑.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22a)는 상기 하면(22)을 따라 돌출된 원호형의 돌출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용 뚜껑.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22a)는 상기 하면(22)을 따라 돌출된 직선형의 돌출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용 뚜껑.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22a)는 상기 하면(22)을 따라 돌출된 엠보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용 뚜껑.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22a)는 상기 하면(22)을 따라 돌출된 와선형의 돌출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용 뚜껑.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22)은 중고외저형(中高外低形)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기용 뚜껑.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2630U KR20130005906U (ko) | 2012-03-30 | 2012-03-30 | 주방용기용 뚜껑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2630U KR20130005906U (ko) | 2012-03-30 | 2012-03-30 | 주방용기용 뚜껑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5906U true KR20130005906U (ko) | 2013-10-10 |
Family
ID=52433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2630U KR20130005906U (ko) | 2012-03-30 | 2012-03-30 | 주방용기용 뚜껑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30005906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6219B1 (ko) * | 2015-02-24 | 2015-07-14 | (주)아이지코리아 | 내열 세라믹 냄비 |
KR20230017661A (ko) * | 2021-07-28 | 2023-02-06 |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 체외 수정용 배양 장치 |
-
2012
- 2012-03-30 KR KR2020120002630U patent/KR20130005906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36219B1 (ko) * | 2015-02-24 | 2015-07-14 | (주)아이지코리아 | 내열 세라믹 냄비 |
KR20230017661A (ko) * | 2021-07-28 | 2023-02-06 | 의료법인 성광의료재단 | 체외 수정용 배양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30346B1 (en) | Moisture adding microwave lid apparatus | |
KR100539196B1 (ko) | 전자렌지용 취반시스템 | |
TWM488276U (zh) | 多功能鍋具 | |
JPH0761301B2 (ja) | 高温乾燥蒸気調理器 | |
JP2007535358A (ja) | 食品調理用容器のための改良型蓋 | |
KR20130005906U (ko) | 주방용기용 뚜껑 | |
CN206434203U (zh) | 活动盖板组件、煲盖及电烹饪器具 | |
JP4494507B1 (ja) | 調理器具用蓋 | |
KR200370793Y1 (ko) | 다용도 솥 | |
KR101645410B1 (ko) | 즉석 찜 포장용기 | |
KR200428739Y1 (ko) | 직화구이 팬 | |
KR20130000911U (ko) | 조리용 찜기 | |
KR102125481B1 (ko) | 무쇠팬 조리 기구 | |
KR101867087B1 (ko) | 조리용기용 덮개 | |
JP3173069U (ja) | 調理用容器 | |
KR20100050688A (ko) | 배기공을 구비한 주방용품 | |
KR101138925B1 (ko) | 다기능 조리용 뚜껑 | |
JP6932862B1 (ja) | フライパン | |
KR20070061492A (ko) | 황토의 원적외선을 이용한 다용도 요리기구 | |
CN219782308U (zh) | 一种锅盖 | |
KR200493026Y1 (ko) | 구이판 | |
KR200422065Y1 (ko) | 다단식 시루 | |
JP3869427B2 (ja) | 多目的調理容器 | |
US20160007790A1 (en) | Vessel for transferring thermal energy to a contained fluid | |
RU2673766C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