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9196B1 - 전자렌지용 취반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렌지용 취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9196B1
KR100539196B1 KR10-2004-0056842A KR20040056842A KR100539196B1 KR 100539196 B1 KR100539196 B1 KR 100539196B1 KR 20040056842 A KR20040056842 A KR 20040056842A KR 100539196 B1 KR100539196 B1 KR 100539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rice
microwave oven
container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6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9614A (ko
Inventor
요시오 오야마
Original Assignee
요시오 오야마
니시히라 타카시
오노 히로시
요쿄오 노부마사
하타 타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오 오야마, 니시히라 타카시, 오노 히로시, 요쿄오 노부마사, 하타 타쿠 filed Critical 요시오 오야마
Publication of KR20050079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9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9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91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7Cooking- or baking-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oven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9/00Foods and beverages: apparatus
    • Y10S99/14Induction heating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렌지용 취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쌀에 특유한 냄새를 배게 하거나, 혹은 황백색으로 변색시키는 겨를 분리·배제시키며, 게다가, 일부의 급격한 가열을 억제시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하여, 맛있게 밥짓는 것이 가능한 전자렌지용 취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자렌지용 취반시스템(10)은, 쌀과 취반수(밥짓는 물)를 수납하는 조리용기(20)와, 조리용기(20)를 측면에 간격이 생기도록 수납하는 용기본체(30)와, 용기본체(30)를 덮는 뚜껑(40)과, 용기본체(30)와 뚜껑(40)의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며, 다수의 소공(52)을 가진 거품콘트롤시트(50)를 구비한다. 조리용기(20)는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며, 조리용기(20)의 모서리부(22)는 절곡, 또는 권입된다. 용기본체(30)의 저부(32)에는 조리용기(20)가 고정되는 단턱부(34)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취반시스템(10)에 따르면, 냄새나 변색이 없고, 통통하며 맛있는 밥을 전자렌지로 비교적 간편하게 취반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렌지용 취반시스템 {Rice cooking system for microwave oven}
본 발명은 전자렌지용 취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쌀에 특유한 냄새를 배게 하거나, 황백색으로 변색시키는 겨(지방)를 분리·배제시키며, 또한, 일부의 급격한 가열을 억제시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하여, 맛있게 밥짓는 것이 가능한 전자렌지용 취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렌지는 단지, 음식물을 간편하게 데우는 편리한 도구로서 존재해 왔다.
전자렌지는 식품(신선식품에서 가공식품까지 포함)을 수납한 상태로 가열 조리하기 위한 용기로 내열성 플라스틱 시트제의 밀봉형 뚜껑 부착 용기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밀봉형 뚜껑부착 용기는 음식을 수납한 상태로 간편하게 전자렌지에서 가열·조리할 수 있기 때문에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밀폐형 뚜껑 부착 용기로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반을 목적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취반기(밥솥)가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08-052069호 공보 참조).
이러한 전자렌지용 취반기(1)는 쌀 및 취반수를 수납하는 내측용기(2)와, 내측용기(2)를 간격이 생기도록 수납하는 외측용기(3)와, 상기 외측용기(3)와 내측용기(2)를 덮는 외측뚜껑(4)을 구비하여, 내측용기(2)의 취반수를 대류 시키기 위한 마이크로파 차단층(5)이 마련되어, 내측용기(2)와 외측용기(3)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부(A)에 취반수의 일부가 상기 내측용기의 보온수로 유입되도록, 내측용기(2)와 외측용기(3)를 연통시키는 통수공(8)이 내측용기(2)에 뚫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전자렌지용 취반기(1)는 마이크로파 차단층(5)에 의해 내측용기(2) 저부로부터만 가열이 가능해지므로, 내용물 중앙에서 효율적인 대류가 행하여져, 국부적인 가열에 의하여 심하게 흘러 넘치는 탈수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전자렌지용 취반기(1)는 상부에 마이크로파 차단층(5)이 마련되어 있지만, 측면으로 마이크로파를 받음에 따라 국부적인 과열이 발생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한 가열이 되지 않으며, 취반이 충분히 만족할 수 있도록 행해질 수 없었다.
한편, 취반시에는 쌀에 포함된 성분이 용출되면서 풀 형태의 거품이 되어, 취반기 내부에서 상승하였다가, 대류 하여 다시 쌀에 혼입되는 현상이 되풀이된다.
이와 같이 취반시 발생하는 풀 형태의 거품 성분은 (1) 밥에 찰기를 주고 맛있게 해주는 풀화(알파(Alpha)화)된 전분(탄수화물)과, (2) 밥에 좋지 않은 냄새를 배게 하거나, 백색에서 황백색으로 변색시키는 겨(지방), 2종류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겨는 종래의 전자렌지용 취반기는 물론이고, 통상의 전기취반기, 가스취반기, 또는 가스·숯·땔나무 등을 이용한 솥에 의한 취반시에도 분리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비추어 보아, 쌀에 특유한 냄새를 배게 하거나, 황백색으로 변색시키는 겨를 분리·배제시키고, 또한, 일부의 급격한 가열을 억제시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하여, 맛있게 밥짓는 것이 가능한 전자렌지용 취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쌀 및 취반수를 수납하는 조리용기와, 상기 조리용기를 측면에 간격이 생기도록 수납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를 덮는 뚜껑과,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뚜껑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며, 다수의 구멍을 가진 시트를 구비하여, 상기 조리용기는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리용기의 모서리부가 절곡, 또는 권입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저부에 상기 조리용기가 고정되는 단턱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취반시스템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대한 전자렌지용 취반시스템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대한 전자렌지용 취반시스템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부호 20은 조리용기, 30은 용기본체, 40은 뚜껑, 50은 거품콘트롤시트, 60은 캡(cap)이다.
본 발명의 전자렌지용 취반시스템(10)은 쌀 및 취반수(밥을 짓기 위한 물)를 수납하는 조리용기(20)와, 조리용기(20)를 측면에 간격이 생기도록 수납하는 용기본체(30)와, 용기본체(30)를 덮는 뚜껑(40)과, 용기본체(30)와 뚜껑(40)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며, 다수의 소공(52)을 가진 거품콘트롤시트(50)를 구비하고 있다.
뚜껑(40)의 상부에는 더욱이 캡(60)이 끼워지도록 마련되어 있어, 취반시 뚜껑(40)과 캡(60) 사이로 증기가 배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조리용기(20)는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며, 조리용기(20)의 모서리부(22)는 절곡, 또는 권입되어 있다.
조리용기(20)의 금속소재로는 구체적으로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가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리용기(20)의 모서리부(22)를 절곡, 또는 권입시키는 것은 전자렌지에서 금속소재를 사용했을 경우에 일어나는 스파크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스파크방지기구에 대해서는 일본 특개2000-57285호에 개시되어 있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지만, 상기한 스파크방지기구에 의하여 금속소재를 사용한 용기라 할지라도 전자렌지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어 있다.
용기본체(30)의 저부(32)에는 조리용기(20)가 고정되는 단턱부(34)가 마련되어 있다.
거품콘트롤시트(50)는 다수의 소공(직경 2mm 정도)(52)을 가진 부직포로써 이루어지며, 이러한 소공(52)의 전체 면적은 거품콘트롤시트(50) 전체 면적의 2.5%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품콘트롤시트(5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30)와 뚜껑(40)의 사이에 끼워져 조립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얇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강도 및 신축성을 고려하면 두께가 50㎛(마이크로미터) 전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여기에서, 「부직포」로는 화학섬유와 합성수지를 혼합하여 시트형태로 한 천으로, 이러한 부직포는 물에 젖어도 강도가 낮아지지 않으며, 신축성이 뛰어난 것으로써, 본 발명의 거품콘트롤시트로 매우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거품콘트롤시트(50)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취반시, 쌀에 포함된 성분이 용출되면서 풀 형태의 거품이 되어, 조리용기(20) 내부에서 상승하여 거품콘트롤시트(50)에 충돌한다.
이러한 풀 형태의 거품성분 중, 쌀을 맛있게 하는 성분인 굳어진 전분의 거품은 비중이 높아 내압에 의하여 원호를 그리며 거품콘트롤시트(50)에 충돌하면서 터지게 되어 조리용기(20)로 다시 되돌아온다.
한편, 풀 형태의 거품성분 중, 좋지 않은 냄새나 변색의 원인이 되는 겨의 거품은 비중이 낮기 때문에, 거품콘트롤시트(50)의 가장자리로 이동하여 방울로 맺혀 흘러내리게 되어, 조리용기(20) 외벽과 용기본체(30) 내벽에 형성된 공간으로 모아진다.
여기로 모여진 겨는 조리용기(20) 내로 되돌아올 수 없으며, 이렇게 하여, 거품콘트롤시트(50)에 의하여 겨의 분리·배제가 실현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전자렌지용 취반시스템(10)을 이용한 취반의 상태를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도에 있어서의 화살표는, 수증기, 전분이나 겨 등이 움직이는 방향을 가리킨다.
도 4에는 취반 시작시의 취반시스템(10)을 도시한다.
쌀 140g(1홉)과 취반수 270g을 넣은 조리용기(20)가 용기본체(30)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용기본체(30)의 상측면에 거품콘트롤시트(50)가 씌워졌을 때, 그 위에 뚜껑(40)이 거품콘트롤시트(50)를 맞물어 지지함으로써 용기본체(30)와 조립된다.
본 발명의 취반시스템(10)은, 통상 취반에 비하여 1.25배의 물을 필요로 하고, 쌀과 물의 중량비율은, 쌀 1에 대하여 물 1.8∼1.95를 표준으로 한다.
쌀은 20분∼30분 정도 물에 불려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의, 취반수로는 물 이외에 각종 수프(soup)류나 주스류를 사용해도 된다.
조리용기(20)에 넣기 전에 쌀은 잘 씻어 둔다.
씻지 않은 쌀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씻지 않은 쌀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한 중량비율에 있어서 물의 양을 3∼10% 증가시켜 취반한다.
도 5에는 취반 시작으로부터 5∼6분 경과시의 취반시스템(10)을 도시한다.
취반 시작으로부터 5∼6분 경과하면, 조리용기(20) 안에서 증기가 많이 나오고, 그 증기가 거품콘트롤시트(50)를 통과하여 뚜껑(40)에 꽉 채워진다.
도 6에는 취반 시작으로부터 9∼10분 경과시의 취반시스템(10)을 도시한다.
취반 시작으로부터 9∼10분 경과하면, 조리용기(20) 안에 가라앉아 있었던 쌀이 뜨거운 물과 서로 섞여 요동하기 시작하면서 대류하고, 물을 흡수하면서 팽창하며, 쌀의 전분질이 풀화(알파화)된다.
이것과 비례하는 형태로, 끓는 물이 변화하여 풀 형태의 거품이 되면서 용적이 팽창하여 상승하게 되고, 서서히 내압을 받아 원호를 그리며 변형된 거품콘트롤시트(50)에 충돌한다.
풀 형태의 거품성분 중, 비교적 무거운 전분(탄수화물)의 거품은 거품콘트롤시트(50)에 충돌하면, 터지면서 조리용기(20)로 다시 되돌아온다.
한편, 풀 형태의 거품성분 중, 좋지 않은 냄새나 변색의 원인이 되는 겨의 거품은 비중이 낮기 때문에, 거품콘트롤시트(50)의 가장자리로 이동하여 방울로 맺혀 흘러내리고, 조리용기(20) 외벽과 용기본체(30) 내벽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모아진다.
여기로 모아진 겨는 조리용기(20) 안으로 되돌아올 수 없다.
또한, 이러한 겨를 포함한 수분은 조리용기(20) 안의 수분보다 20∼30% 정도 온도가 높아, 취반 중에는, 조리용기(20) 벽면 및 저면을 효율적으로 가열하는 역할을 달성하며, 취반 후에는 취반한 쌀을 뜸들이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거품콘트롤시트(50)를 통과하여 빠져나가 뚜껑(40) 내부로 들어온 점착성이 약한 풀 형태의 거품은, 뚜껑(40) 내부에서 강도가 낮은 얇은 거품을 구성하고, 팽창하여 뚜껑(40) 상부로 상승하지만, 뚜껑(40) 상부에 끼워진 캡(60)에 충돌하여, 형상 파괴를 일으키면서 거품콘트롤시트(50)로 떨어진다.
따라서, 취반시스템(10) 내에 발생한 풀 형태의 거품이 취반시스템(10) 밖으로 흘러 넘치지는 않는다.
도 7에는 취반 시작으로부터 13∼14분 경과시의 취반시스템(10)을 도시한다.
취반 시작으로부터 13∼14분 경과하면, 조리용기(20) 내의 취반이 더 진행되어 60% 정도까지 취반이 진행된다.
쌀의 용적비가 팽창하고 쌀과 뜨거운 물의 비율이, 쌀 80 : 뜨거운 물 20까지 변화한다.
도 8에는 취반 시작으로부터 16∼17분 경과시의 취반시스템(10)을 도시한다.
취반 시작으로부터 16∼17분 경과하면, 조리용기(20) 내의 취반이 더욱 진행되어 90% 정도까지 취반이 진행된다.
쌀의 용적비가 팽창하고 쌀과 뜨거운 물의 비율이, 쌀 95 : 뜨거운 물 5까지 변화한다.
도 9에는 취반 시작으로부터 18분 경과시의 취반시스템(10)을 도시한다.
취반 시작으로부터 18분 경과하면 취반이 완료된다.
취반 완료시, 거품콘트롤시트(50)에는 풀이 고착되어 있다.
취반이 완료되면, 뚜껑(40)과 거품콘트롤시트(50)를 떼어 내어, 밥을 뒤섞고 다시 뚜껑(40) 만을 용기본체(30)에 조립하여 3∼5분 정도 뜸들인다.
이와 같이 하여 취사된 밥은, 좋지 않은 냄새나 변색이 없으며, 그 내부 중심으로부터 통통하게 부풀어 한 알 한 알이 은색으로 빛나고, 대단히 맛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취반시스템은, 좋지 않은 냄새나 변색의 원인이 되는 겨를 효율적으로 분리·배제시킬 수 있는 것으로써, 묵은 쌀의 밥 짓기에 특히 적합하다.
한편, 지금까지는 본 발명의 취반시스템을 이용하여 쌀의 취반에 관하여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취반시스템이 쌀의 취반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파스타(pasta), 콩, 건조물, 조림 등의 조리에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취반시스템」이란 말은 상기한 것 외의 용도도 포함하는 것으로 사용되어 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전자레인지용 취반시스템을 도 10 내지 도12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전자레인지용 취반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전자레인지용 취반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이러한 전자레인지용 취반시스템(12)은, 거품콘트롤시트(51)가 다수의 소공(52) 이외에 십자절개공(54)을 시트의 중앙에 추가로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전자레인지용 취반시스템(12)에 따르면, 취반의 최초 단계에서 흔히 나타나는 것으로, 찰기가 많은 거품이 한번에 발생하여 거품콘트롤시트(51)에 순간적으로 큰 압력이 가해진 경우에도 십자절개공(54)에 의하여 압력이 해방되므로, 용기본체(30)와 뚜껑(40)의 조립을 그다지 견고하게 할 필요가 없다.
거품콘트롤시트(51)의 중앙 내주연에 절개된 십자절개공(54)의 크기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30)의 높이 h1 및 직경 W1, 조리용기(20)의 높이 h2 및 직경 W2, 용기본체(30)의 높이 h1과 조리용기(20)의 높이 h2 의 차 h3 등에 의하여 결정되지만, 십자절개공(54)의 내주연에 절개된 길이가 십자절개공(54) 직경의 30∼40%이며, 십자절개공(54)의 직경이 용기본체(30) 직경의 약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소공(52)과 십자절개공(54)을 합친 면적은, 거품콘트롤시트(50) 전체의 면적에 8.5%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구멍을 가진 시트에 의해, 밥에 찰기를 주고 맛있게 해주는 풀화(알파화)된 전분(탄수화물)만을 밥으로 환원시키고, 취반시에 발생하는 풀 형태의 거품성분 중, 밥에 좋지 않은 냄새를 배게 하거나, 백색으로부터 황백색으로 변색시키는 겨(지방)를 분리·배제시킬 수 있음으로써, 묵은 쌀에 많이 나타나는 좋지 않은 냄새나 변색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모서리부를 절곡, 또는 권입시킨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조리용기에 의하여, 스파크를 발생시키지 않아, 일부의 급격한 가열을 억제시켜 쌀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음으로써, 그 내부 중심으로부터 통통하게 부풀어 한 알 한 알이 은색으로 빛나는 맛있는 밥을 전자렌지에서 비교적 간편하게 취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전자렌지용 취반시스템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대한 전자렌지용 취반시스템의 요소를
분리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전자렌지용 취반시스템의 조립상태 단면도이며, 도 3b는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취반 개시시의 취반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5는 취반 개시로부터 5∼6분 경과시의 취반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6은 취반 개시로부터 9∼10분 경과시의 취반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7은 취반 개시로부터 13∼14분 경과시의 취반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8은 취반 개시로부터 16∼17분 경과시의 취반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9는 취반 개시로부터 18분 경과시의 취반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전자렌지용 취반시스템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한 전자렌지용 취반시스템의 요소를
분리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십자절개공의 크기를 결정하는 요소의 설명도,
도 13은 종래의 전자렌지용 취반시스템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2 : 전자렌지용 취반시스템 20 : 조리용기
22 : 모서리부 30 : 용기본체
32 : 저부 34 : 단턱부
40 : 뚜껑 50, 51 : (거품콘트롤)시트
52 : 소공 54 : 십자절개공
60 : 캡

Claims (5)

  1. 쌀 및 취반수를 수납하는 조리용기와, 상기 조리용기를 측면에 간격이 생기도록 수납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를 덮는 뚜껑과, 상기 용기본체와 상기 뚜껑 사이에 끼워져 지지되며 다수의 소공을 가진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조리용기는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리용기의 모서리부는 절곡, 또는 권입되고;
    상기 용기본체의 저부에 상기 조리용기가 고정되는 단턱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취반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상부에 끼워지는 캡을 구비하여, 상기 뚜껑과 상기 캡 사이로 증기가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취반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소공 전체 면적이 상기 시트 전체 면적의 2.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취반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중앙에 십자절개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취반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소공과 십자절개공을 합친 면적이 상기 시트 전체 면적의 8.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취반시스템.
KR10-2004-0056842A 2004-02-06 2004-07-21 전자렌지용 취반시스템 KR1005391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30566 2004-02-06
JP2004030566 2004-02-06
JP2004101953 2004-03-31
JPJP-P-2004-00101953 2004-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9614A KR20050079614A (ko) 2005-08-10
KR100539196B1 true KR100539196B1 (ko) 2005-12-27

Family

ID=34703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6842A KR100539196B1 (ko) 2004-02-06 2004-07-21 전자렌지용 취반시스템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952000B2 (ko)
EP (1) EP1563776B1 (ko)
KR (1) KR100539196B1 (ko)
CN (1) CN100333673C (ko)
AT (1) ATE374557T1 (ko)
AU (1) AU2004203484B2 (ko)
CA (1) CA2476344C (ko)
DE (1) DE602004009276T2 (ko)
ES (1) ES2293139T3 (ko)
HK (1) HK1075809A1 (ko)
MY (1) MY138581A (ko)
PT (1) PT1563776E (ko)
TW (1) TWI2666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43154A1 (ja) * 2005-09-30 2007-04-19 News Chef, Inc. パスタの電子レンジ調理用システム容器
SE530085C2 (sv) * 2006-01-30 2008-02-26 Timothy Richard Vinnicombe Kärl för microvågsugn
DE202006008071U1 (de) * 2006-05-19 2006-07-20 Seda S.P.A., Arzano Behälter
US8071923B2 (en) * 2007-02-15 2011-12-06 Mcmahan Enterprises, Llc Device for microwave heating of a food product
US8592736B2 (en) * 2008-01-16 2013-11-26 Tristar Products, Inc. Microwave cooking system
CN101632547B (zh) * 2008-07-24 2012-05-02 蓝治成 可变式多功能蒸饭锅
GB2463010B (en) * 2008-08-26 2010-08-04 Gordon Smart Rice cooking method
BRMU8802943U2 (pt) * 2008-12-30 2010-09-28 Wadih Antonio Garios bacia de pipoca com tampa separadora de piruá
US8772685B2 (en) * 2008-12-31 2014-07-08 Dart Industries Inc. Microwave steam cooking container system
CN102670065A (zh) * 2011-03-16 2012-09-19 成都骏元科技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微波炉煮饭防溢容器及其煮饭方法
US9193510B2 (en) 2011-09-27 2015-11-24 Campbell Soup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heating liquid, semi-solid or liquid/solid combination comestibles in combination microwave and convection ovens
US20140048531A1 (en) * 2012-08-15 2014-02-20 George R. Carthane, JR. Cooking utensil with compartments
CN103110336A (zh) * 2013-02-18 2013-05-22 杨凡 一种可用微波加热的快捷式煮面器
USD772002S1 (en) 2015-03-06 2016-11-22 Cna International Inc. Steamer container lid
USD771997S1 (en) 2015-03-06 2016-11-22 Cna International Inc. Steamer basket
USD771998S1 (en) 2015-03-06 2016-11-22 Cna International Inc. Steamer basket
USD772640S1 (en) 2015-03-06 2016-11-29 Cna International Inc. Steamer basket
USD771432S1 (en) 2015-03-06 2016-11-15 Cna International Inc. Steamer container lid
USD771431S1 (en) 2015-03-06 2016-11-15 Cna International Inc. Steamer container lid
WO2016144787A1 (en) 2015-03-06 2016-09-15 Cna International Inc. Steamer container system
CN104879801B (zh) * 2015-06-08 2017-07-07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微波饭煲
US20170202389A1 (en) * 2016-01-14 2017-07-20 Iris Ohyama Inc. Cooking apparatus
USD804235S1 (en) 2016-08-01 2017-12-05 Cna International Inc. Steamer basket
USD812974S1 (en) 2016-08-01 2018-03-20 Cna International Inc. Steamer plate
KR101880704B1 (ko) * 2017-03-22 2018-07-20 주식회사 에이피씨테크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
US11160415B2 (en) * 2018-05-02 2021-11-02 Dart Industries Inc. Microwave reheating container
CN111700507B (zh) * 2020-05-26 2021-08-03 杭州九阳小家电有限公司 一种有效去除杂粮饭异味的烹饪方法及烹饪器具
CN114052467B (zh) * 2020-07-31 2023-12-26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控制方法及控制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D1023751S1 (en) * 2022-03-14 2024-04-23 Direct Pack, Inc. Lid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7017A (en) * 1981-03-03 1982-02-23 Raytheon Company Microwave steamer
EP0288926A3 (de) * 1987-04-25 1989-05-10 Hermine Neumüller Metallischer Kochbehälter zum Garen von Speisen mittels Dampf in einem Mikrowellenherd
JPH0482517A (ja) * 1990-07-25 1992-03-16 Toshiba Corp 電子レンジ用調理容器
US5313878A (en) * 1992-06-22 1994-05-24 Strait Jr Clifford C Microwave ovenware apparatus, hydrating microwave ovens and microwave water purifier
US5387781A (en) * 1992-11-09 1995-02-07 Berkoff; William Vented food cooking system for microwave ovens
US5277326A (en) * 1992-12-22 1994-01-11 Machiko Chiba Rice cooking pot
JPH08453A (ja) * 1994-06-21 1996-01-09 Satake Eng Co Ltd 電子レンジ用炊飯器
JPH0852069A (ja) * 1994-08-11 1996-02-27 Satake Eng Co Ltd 電子レンジ用炊飯器
US5558798A (en) * 1995-06-12 1996-09-24 Tsai; Daniel T. Microwave steam cooking apparatus
JPH10165298A (ja) * 1996-12-12 1998-06-23 Studio Noa:Kk 電子レンジ使用の炊飯器
JP3658917B2 (ja) * 1997-03-06 2005-06-15 東洋製罐株式会社 電子レンジ炊飯器とこの炊飯器を用いた電子レンジ炊飯方法
JP2000201809A (ja) * 1999-01-14 2000-07-25 Keikichi:Kk 炊飯器具
JP2002052069A (ja) 2000-08-09 2002-02-19 Mikuni Corp 酸性水噴霧器
JP3792539B2 (ja) * 2001-05-30 2006-07-05 株式会社メイワパックス 電子レンジ炊飯用の炊飯容器および包装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4009276D1 (de) 2007-11-15
CN1650784A (zh) 2005-08-10
EP1563776A1 (en) 2005-08-17
AU2004203484B2 (en) 2006-11-16
MY138581A (en) 2009-07-31
TW200526153A (en) 2005-08-16
CN100333673C (zh) 2007-08-29
HK1075809A1 (en) 2005-12-30
EP1563776B1 (en) 2007-10-03
CA2476344C (en) 2008-10-28
TWI266627B (en) 2006-11-21
DE602004009276T2 (de) 2008-01-17
ES2293139T3 (es) 2008-03-16
US6952000B2 (en) 2005-10-04
PT1563776E (pt) 2007-12-17
CA2476344A1 (en) 2005-08-06
US20050184064A1 (en) 2005-08-25
ATE374557T1 (de) 2007-10-15
KR20050079614A (ko) 2005-08-10
AU2004203484A1 (en) 2005-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9196B1 (ko) 전자렌지용 취반시스템
US5584235A (en) Food steamer flavoring support
CA2189504C (en) Food steamer
JP2005312923A (ja) 電子レンジ用炊飯システム
EP1749757A2 (en) Package for steam cooking of food in a microwave oven
JPH1094370A (ja) 麺類の製造方法
US4316447A (en) Steam cooking apparatus
KR200433838Y1 (ko) 다기능 쿠커
KR200164512Y1 (ko) 훈제 구이기
KR101645410B1 (ko) 즉석 찜 포장용기
JP2009184712A (ja) 電子レンジ用容器およびその使用方法
JP2006087843A (ja) 電子レンジ用調理容器
KR200370793Y1 (ko) 다용도 솥
JP2008007195A (ja) 電子レンジ用加熱調理具および電子レンジ炊飯用米飯食品セット
JP2006034665A (ja) パスタの電子レンジ調理用システム容器
JP3178786B2 (ja) 容器入り冷凍食品の調理方法
KR100433315B1 (ko) 조리기
JP3469684B2 (ja) 蒸し具
JP2005035602A (ja) 蒸し機能付き容器
KR101945939B1 (ko) 찜기 겸용 전골냄비
JP2024058214A (ja) 電子レンジ用蒸し器
KR930001759Y1 (ko) Mwo(마이크로 웨이브 오븐)용 조리용기
JPH02142439A (ja) 蒸篭による蒸し料理の調理方法
JP2002177144A (ja) 蒸し調理具及び蒸し調理方法
KR100292240B1 (ko) 음식물 요리용 합성수지재 용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1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