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0704B1 -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0704B1
KR101880704B1 KR1020170036191A KR20170036191A KR101880704B1 KR 101880704 B1 KR101880704 B1 KR 101880704B1 KR 1020170036191 A KR1020170036191 A KR 1020170036191A KR 20170036191 A KR20170036191 A KR 20170036191A KR 101880704 B1 KR101880704 B1 KR 101880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unit
edge
ri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한욱
김승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피씨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피씨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피씨테크
Priority to KR1020170036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7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7Cooking- or baking-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oven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Abstract

본 발명의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용기부를 차폐할 수 있는 뚜껑부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부는 상기 수용 공간의 외곽 부분 및 용기 몸체의 상부 가장 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철부를 갖는 레일부를 포함한다. 상기 뚜껑부는 뚜껑 몸체의 가장 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일부의 철부와 체결되는 요부를 갖는 테두리부와, 상기 뚜껑 몸체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접시부와, 상기 테두리부와 접시부 사이에 위치하는 판부와, 상기 뚜껑 몸체의 모서리 부분에 서로 대칭되게 상기 테두리부와 동일 높이로 위치하고, 상기 용기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상기 용기부의 수용공간 상에 위치하는 증기 배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증기 배출부는 상기 판부를 관통하는 도어형 배출구와, 상기 도어형 배출구를 둘러싸면서 상기 판부로부터 돌출된 방지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cooking container for microwave oven}
본 발명은 조리 용기(cooking contain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cooking container for microwave oven}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용기의 내부에 미 조리된 음식물을 담고 뚜껑을 닫은 상태의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를 전자레인지에서 가동시키면 조리가 쉽게 완성될 수 있다. 전자레인지는 고주파(마이크로파)로 음식물을 가열하는 조리 기구로서, 고주파 전장(電場) 중의 분자, 예컨대 물분자가 심하게 진동하여 발열하는 것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빠른 시간에 고르게 가열하여 조리할 수 있다.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를 할 경우, 조리 용기 내부의 음식물이 끓어올라 조리 용기의 뚜껑이 열리거나 음식물이 넘쳐 조리 용기 몸체를 오염시키거나 전자레인지의 내부를 오염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음식물을 조리할 때 뚜껑이 열리거나 음식물이 넘쳐 조리 용기 몸체나 전자레인지의 내부를 오염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용기부를 차폐할 수 있는 뚜껑부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부는 상기 수용 공간의 외곽 부분 및 용기 몸체의 상부 가장 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철부를 갖는 레일부를 포함한다.
상기 뚜껑부는 뚜껑 몸체의 가장 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일부의 철부와 체결되는 요부를 갖는 테두리부와, 상기 뚜껑 몸체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접시부와, 상기 테두리부와 접시부 사이에 위치하는 판부와, 상기 뚜껑 몸체의 모서리 부분에 서로 대칭되게 상기 테두리부와 동일 높이로 위치하고, 상기 용기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상기 용기부의 수용공간 상에 위치하는 증기 배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증기 배출부는 상기 판부를 관통하는 도어형 배출구와, 상기 도어형 배출구를 둘러싸면서 상기 판부로부터 돌출된 방지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용기부를 차폐할 수 있는 뚜껑부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부는 상기 수용 공간의 외곽 부분 및 용기 몸체의 상부 가장 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철부를 갖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수용 공간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용기 손잡이부와, 상기 용기 손잡이부에 서로 이격되어 있는 손잡이 홈부와, 상기 용기 손잡이부의 일측 및 상기 용기 몸체의 모서리 부분에 상기 용기 손잡이부과 연결되어 있는 용기 오픈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뚜껑부는 뚜껑 몸체의 가장 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일부의 철부와 체결되는 요부를 갖는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를 따라 상기 뚜껑 몸체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뚜껑 손잡이부와, 상기 뚜껑 몸체의 모서리 및 상기 테두리부와 접하여 외측으로 형성된 뚜껑 오픈 지지부와,
상기 뚜껑 몸체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접시부와, 상기 테두리부와 접시부 사이에 위치하는 판부와, 상기 뚜껑 몸체의 모서리 부분에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고 상기 테두리부와 접하여 상기 테두리부와 동일 높이로 위치하고, 상기 용기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증기 배출부를 포함한다. 상기 증기 배출부는 상기 판부를 관통하는 도어형 배출구와, 상기 도어형 배출구를 둘러싸면서 상기 판부로부터 돌출된 방지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는 음식물이 담기는 용기부와, 용기부를 차폐될 수 있는 뚜껑부를 구비하여 음식물 조리할 때 뚜껑부가 열리지 않을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는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뚜껑부의 모서리 부분에 서로 대칭되게 증기 배출부를 설치하여 내부 증기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는 용기부의 내부 증기를 유도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모서리 부분에 대칭되게 증기 배출부를 구비하여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에 따른 뚜껑부와 용기부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 레벨도이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1의 뚜껑부의 배면도 및 배면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의 뚜껑부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VB-VB에 따른 단면 레벨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의 뚜껑부의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VIB-VIB에 따른 단면 레벨도이다.
도 6c는 도 6a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의 뚜껑부의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VIIB-VIIB에 따른 단면 레벨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의 뚜껑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의 뚜껑부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하나 이상을 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에 따른 뚜껑부와 용기부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 레벨도이다.
구체적으로,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300)는 용기 몸체(102)의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 공간(104)이 형성되는 용기부(100)와, 용기부(100)의 상부에 체결되어 용기부(100)를 차폐할 수 있도록 판상의 뚜껑 몸체(202)로 구성되는 뚜껑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부(100) 및 뚜껑부(200)는 투명 또는 불투명 플라스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용기부(100)는 용기 몸체(102)의 상부 가장 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레일부(106)와, 레일부(106)를 따라 수용 공간(104)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용기 손잡이부(108)와, 용기 손잡이부(108)에 서로 이격되어 있는 손잡이 홈부(112)와, 용기 손잡이부(108)의 일측 및 용기 몸체(102)의 모서리 부분에 용기 손잡이부(108)와 연결되어 있는 용기 오픈 지지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 몸체(102)는 용기 바닥부(114)와, 음식물이 담기는 음식물 투입부(116)와 조리시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버퍼링하는 음식물 버퍼링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음식물 버퍼링부(118)의 높이(H)는 음식물 투입부(116)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할 수 있다. 음식물 버퍼링부(118)의 높이(H)는 음식물 투입부(116)의 높이의 70-90%로 구성할 수 있다.
레일부(106)는 뚜껑부(200)의 테두리부(204)와 체결되어 밀폐되는 부분일 수 있다. 용기 손잡이부(108)는 음식물의 조리시 또는 조리 후에 사람이 용기부(100)를 잡는 부분일 수 있다. 손잡이 홈부(112)는 음식물의 조리시 또는 조리 후에 사람이 용기부(100)를 잡을 때 미끄러지거나 용이하게 잡기 위하여 설치할 수 있다. 도 1에서 손잡이 홈부(112)는 두개 형성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 손잡이 홈부(112)를 한 개 형성할 수 있다.
용기 오픈 지지부(110)는 용기 몸체(102)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용기부(100)와 뚜껑부(200)가 체결되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 오픈 지지부(110)는 음식물의 조리시 또는 조리 후에 용기부(100)로부터 뚜껑부(200)를 오픈(열) 때 사람이 용기 몸체(102)를 잡는 부분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용기 오픈 지지부(110)는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뚜껑부(200)는 뚜껑 몸체(202)의 가장 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고 용기부(100)의 레일부(106)와 체결되는 테두리부(204)와, 테두리부(204)를 따라 뚜껑 몸체(202)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뚜껑 손잡이부(206)와, 뚜껑 몸체(202)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된 뚜껑 오픈 지지부(207)와, 뚜껑 몸체(202)의 중앙에 형성된 접시부(208)와, 테두리부(204)와 접시부(208) 사이에 위치하는 판부(210)와, 판부(210)에 설치되어 용기부(100) 내부의 증기를 유도하여 용기부(10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증기 배출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테두리부(20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부(100)의 레일부(106)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뚜껑부(200)가 용기부(100)와 체결되어 밀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레인지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때 뚜껑부(200)가 열리지 않을 수 있다. 뚜껑 손잡이부(206)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 손잡이부(108)에 대응되게 설치될 수 있다. 뚜껑 손잡이부(206)는 음식물의 조리시 또는 조리 후에 사람이 잡는 부분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뚜껑 손잡이부(206)는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뚜껑 오픈 지지부(207)는 뚜껑 몸체(202)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용기부(100)와 뚜껑부(200)가 체결되었을 때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뚜껑 오픈 지지부(207)는 음식물의 조리시 또는 조리 후에 용기부(100)로부터 뚜껑부(200)를 오픈(열) 때 사람이 뚜껑 몸체(202)를 잡는 부분일 수 있다.
뚜껑 오픈 지지부(207)는 판부(210) 및 테두리부(204)의 일측 모서리에 하나 형성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서 뚜껑 오픈 지지부(207)는 판부(210) 및 테두리부(204)의 양측 모서리에 대칭되게 두개 형성할 수 있다.
판부(210)의 하면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두리부(204)의 하면보다 낮게 위치할 수 있다. 접시부(208)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부(210)보다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접시부(208)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뚜껑부(200)를 뒤집을 경우 접시로써 이용될 수 있다. 접시부(208)의 모양은 원형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접시부(208)의 높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두리부(204)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접시부(208a)의 높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두리부(204)보다 높게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접시부(208, 208a)의 상면은 테두리부(204)의 상면과 동일 높이로 형성되거나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증기 배출부(216)는 뚜껑 몸체(202)의 모서리 부분에 대칭되게 설치될 수 있다. 증기 배출부(216)는 테두리부(204)와 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증기 배출부(216)는 판부(210)를 관통하는 도어형 배출구(212)와, 도어형 배출구(212)를 둘러싸면서 판부(210)로부터 돌출된 방지턱(214)을 포함할 수 있다.
증기 배출부(216)는 전체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증기 배출부(216)는 용기부(100) 내부의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뚜껑부(200)에 도어형 배출구(212)를 설치하여 내부 증기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증기 배출부(216)는 용기부(100)에서 발생되는 내부 증기를 레일부(106) 및 테두리부(204)를 따라 유도하여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게 뚜껑부(200)의 모서리 부분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할 수 있다.
도어형 배출구(212)는 용기부(100)의 내부 증기를 배출할 경우에만 오픈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어형 배출구(212)는 용기부(100) 내부의 증기를 온 및 오프할 수 있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형 배출구(212)는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판부(210)에 고정되고, 실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판부(210)에서 상하로 이동하여 내부 증기가 배출되게 하거나 음식물을 따를 수 있다. 도어용 배출구(212)는 삼각형 형태일 수 있다. 방지턱(214)은 도어형 배출구(212)를 통해 배출되는 내부 증기나 음식물 등이 넘치기 않게 할 수 있다. 방지턱(214)의 높이는 테두리부(204)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방지턱(214)의 높이는 테두리부(204)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300)는 용기부의 레일부(106)와 뚜껑부의 테두리부(204)가 체결되어 밀폐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레인지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때 뚜껑부(200)가 열리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300)는 용기부(100)에서 발생되는 내부 증기를 레일부(106) 및 테두리부(204)를 따라 유도하여 모서리 부분에 대칭되게 설치된 증기 배출부(216)로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하여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1의 뚜껑부의 배면도 및 배면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도 4에서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설명의 편의상 중복 내용은 간단히 설명하거나 생략한다.
뚜껑부(200)는 뚜껑 몸체(202)의 가장 자리를 따라 테두리부(204)가 설치되어 있고, 테두리부(204)를 따라 뚜껑 몸체(202)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뚜껑 손잡이부(206)와, 뚜껑 몸체(202)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된 뚜껑 오픈 지지부(207)와, 뚜껑 몸체(202)의 중앙에 돌출되어 형성된 접시부(208)와, 테두리부(204)와 접시부(208) 사이에 위치하는 판부(210)와, 판부(210)에 설치되어 용기부(100) 내부의 증기를 유도하여 용기부(10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증기 배출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뚜껑부(200)의 배면 관련 도면이다. 이에 따라, 테두리부(204)는 뚜껑 몸체(202)의 가장 자리를 따라 형성된 라인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접시부(208)는 뚜껑 몸체(202)의 중앙부에 형성된 원형의 리세스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증기 배출부(216)는 도어형 배출구(212)의 가장 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원형 또는 타원형 구조의 홈 형태의 방지턱(21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의 뚜껑부의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VB-VB에 따른 단면 레벨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a 및 도 5b에서 도 1 내지 도 4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설명의 편의상 중복 내용은 간단히 설명하거나 생략한다. 도 5a 및 도 5b에서는 도 1 내지 도 4의 용기부(100)가 사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편의상 용기부(100)의 설명은 생략한다.
뚜껑부(200-1)는 도 1 내지 도 4의 뚜껑부(200)와 비교할 때 접시부(208-1), 판부(210-1), 및 증기 배출부(216-1)의 모양이나 구조가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동일할 수 있다.
뚜껑부(200-1)는 뚜껑 몸체(202)에 테두리부(204), 뚜껑 손잡이부(206) 및 뚜껑 오픈 지지부(207)가 형성되어 있다. 뚜껑부(200-1)는 뚜껑 몸체(202)의 중앙에 돌출되어 형성된 접시부(208-1)와, 테두리부(204)와 접시부(208-1) 사이에 위치하는 판부(210-1)와, 판부(210-1)에 설치된 증기 배출부(216-1)를 포함할 수 있다.
접시부(208-1)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부(210-1)보다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접시부(208-1)는 뚜껑부(200-1)를 뒤집을 경우 접시로써 이용될 수 있다. 접시부(208-1)의 모양은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접시부(208)의 높이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두리부(204)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판부(210-1)는 접시부(208-1)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판부(210-1)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부(210-1)보다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여 홈 형태일 수 있다.
증기 배출부(216-1)는 뚜껑 몸체(202)의 모서리 부분에 대칭되게 설치될 수 있다. 증기 배출부(216-1)는 판부(210)를 선택적으로 관통하는 도어형 배출구(212-1)와, 도어형 배출구(212-1)의 둘레를 따라 상대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방지턱(214-1)을 포함할 수 있다.
증기 배출부(216-1)는 용기부에서 발생하는 내부 증기를 테두리부(204)를 따라 유도할 수 있게 뚜껑부(200-1)의 모서리 부분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할 수 있다. 증기 배출부(216-1)는 전체적으로 삼각형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증기 배출부(216-1)는 도어형 배출구(212-1) 및 방지턱(214-1)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형 배출구(212-1)는 원형 또는 타원형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방지턱(214-1)은 도어형 배출구(212-2)를 통해 배출되는 내부 증기나 음식물 등이 넘치기 않게 할 수 있다. 방지턱(214-1)의 높이는 테두리부(204)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의 뚜껑부의 평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VIB-VIB에 따른 단면 레벨도이고, 도 6c는 도 6a의 배면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6a 내지 도 6c에서 도 1 내지 도 4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설명의 편의상 중복 내용은 간단히 설명하거나 생략한다. 도 6a 내지 도 6c에서는 도 1 내지 도 4의 용기부(100)가 사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편의상 용기부(100)의 설명은 생략한다.
뚜껑부(200-2)는 도 1 내지 도 4의 뚜껑부(200)와 비교할 때 접시부(208-2), 판부(210-2), 및 증기 배출부(216-2)의 모양이나 구조가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동일할 수 있다.
뚜껑부(200-2)는 뚜껑 몸체(202)에 테두리부(204), 뚜껑 손잡이부(206) 및 뚜껑 오픈 지지부(207)가 형성되어 있다. 뚜껑부(200-2)는 뚜껑 몸체(202)의 중앙에 돌출되어 형성된 접시부(208-2)와, 테두리부(204)와 접시부(208-2) 사이에 위치하는 판부(210-2)와, 판부(210-2)에 설치된 증기 배출부(216-2)를 포함할 수 있다.
접시부(208-2)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부(210-2)보다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접시부(208-2)는 뚜껑부(200-2)를 뒤집을 경우 접시로써 이용될 수 있다. 접시부(208-2)의 모양은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접시부(208-2)의 높이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두리부(204)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판부(210-2)는 접시부(208-2)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판부(210-2)는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시부(208-2)보다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여 홈 형태일 수 있다. 판부(210-2)의 일측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증기 배출부(216-2)를 구성하는 방지턱(214-2)을 구성할 수 있다.
증기 배출부(216-2)는 뚜껑 몸체(202)의 모서리 부분에 대칭되게 설치될 수 있다. 증기 배출부(216-2)는 판부(210)를 선택적으로 관통하는 도어형 배출구(212-2)와, 도어형 배출구(212-2)의 둘레에 형성되는 방지턱(214-2)을 포함할 수 있다.
증기 배출부(216-2)는 용기부에서 발생하는 내부 증기를 테두리부(204)를 따라 유도할 수 있게 뚜껑부(200-2)의 모서리 부분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할 수 있다. 증기 배출부(216-2)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어형 배출구(212-2)는 삼각형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방지턱(214-2)의 일측은 테두리부(204)로 구성할 수 있다. 방지턱(214-2)의 높이는 테두리부(204)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방지턱(214-2)은 도어형 배출구(212-2)를 통해 배출되는 내부 증기나 음식물 등이 넘치기 않게 할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의 뚜껑부의 평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VIIB-VIIB에 따른 단면 레벨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7a 및 도 7b에서 도 1 내지 도 4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설명의 편의상 중복 내용은 간단히 설명하거나 생략한다. 도 7a 및 도 7b에서는 도 1 내지 도 4의 용기부(100)가 사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편의상 용기부(100)의 설명은 생략한다.
뚜껑부(200-3)는 도 1 내지 도 4의 뚜껑부(200)와 비교할 때 접시부(208-3), 판부(210-3), 및 증기 배출부(216-3)의 모양이나 구조가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동일할 수 있다.
뚜껑부(200-3)는 뚜껑 몸체(202)에 테두리부(204), 뚜껑 손잡이부(206) 및 뚜껑 오픈 지지부(207)가 형성되어 있다. 뚜껑부(200-3)는 뚜껑 몸체(202)의 중앙에 돌출되어 형성된 접시부(208-3)와, 테두리부(204)와 접시부(208-3) 사이에 위치하는 판부(210-3)와, 판부(210-3)에 설치된 증기 배출부(216-3)를 포함할 수 있다.
접시부(208-3)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부(210-3)보다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접시부(208-3)는 뚜껑부(200-3)를 뒤집을 경우 접시로써 이용될 수 있다. 접시부(208-3)의 모양은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접시부(208-3)의 높이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두리부(204)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판부(210-3)는 접시부(208-3)를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판부(210-3)는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시부(208-2)보다 상대적으로 하측에 위치하여 홈 형태일 수 있다.
증기 배출부(216-3)는 뚜껑 몸체(202)의 모서리 부분에 대칭되게 설치될 수 있다. 증기 배출부(216-3)는 판부(210)를 선택적으로 관통하는 도어형 배출구(212-3)와, 도어형 배출구(212-3)의 둘레에 형성되는 방지턱(214-3a, 214-3b)을 포함할 수 있다.
방지턱(214-3a, 214-3b)은 도어형 배출구(212-3)의 둘레에 형성되는 이중 방지턱일 수 있다. 방지턱(214-3a, 214-3b)은 도어형 배출구(212-3)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제1 방지턱(214-3a), 및 도어형 배출구(212-3)의 내측 둘레에 형성된 제2 방지턱(214-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지턱(214-3a)의 높이와 제2 방지턱(214-3b)의 높이는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제1 방지턱(214-3a)의 높이는 테두리부(204)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제2 방지턱(214-3b)의 높이는 제1 방지턱(214-3b)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제2 방지턱(214-3b)의 높이는 제1 방지턱(214-3b)의 높이보다 크게 할 수도 있다. 방지턱(214-3a, 214-3b)을 이중으로 할 경우 용기부에서 발생하는 내부 증기나 음식물이 넘치는 것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증기 배출부(216-3)는 용기부에서 발생하는 내부 증기를 테두리부(204)를 따라 유도할 수 있게 뚜껑부(200-3)의 모서리 부분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할 수 있다. 증기 배출부(216-3)는 전체적으로 삼각형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어형 배출구(212-3)는 반원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의 뚜껑부의 평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8에서 도 1 내지 도 4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설명의 편의상 중복 내용은 간단히 설명하거나 생략한다. 도 8에서는 도 1 내지 도 4의 용기부(100)가 사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편의상 용기부(100)의 설명은 생략한다.
뚜껑부(200-4)는 도 1 내지 도 4의 뚜껑부(200)와 비교할 때, 뚜껑 손잡이부(도 1의 206)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두개의 뚜껑 오픈 지지부(207)를 구비하며, 증기 배출부(216-4)의 모양이나 구조가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동일할 수 있다.
뚜껑부(200-4)는 뚜껑 몸체(202)에 테두리부(204) 및 뚜껑 오픈 지지부(207)가 형성되어 있다. 뚜껑부(200-4)는 뚜껑 몸체(202)의 중앙에 돌출되어 형성된 접시부(208)와, 테두리부(204)와 접시부(208) 사이에 위치하는 판부(210)와, 판부(210)에 설치된 증기 배출부(216-4)를 포함할 수 있다.
증기 배출부(216-4)는 뚜껑 몸체(202) 및 테두리부(204)의 모서리 부분에 대칭되게 설치될 수 있다. 증기 배출부(216-4)는 판부(210)를 선택적으로 관통하는 도어형 배출구(212-4)와, 도어형 배출구(212-4)의 둘레에 형성되는 방지턱(214-4)을 포함할 수 있다. 방지턱(214-4)의 일측은 판부(210)의 일측이 이용될 수 있다. 방지턱(214-4)의 타측은 테두리부(204)가 이용될 수 있다. 방지턱(214-4)의 높이는 테두리부(204)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증기 배출부(216-4)는 용기부에서 발생하는 내부 증기를 테두리부(204)를 따라 유도할 수 있게 뚜껑부(200-4)의 모서리 부분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할 수 있다. 증기 배출부(216-4)는 전체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증기 배출부(216-4)의 모양은 다양한 형태, 예컨대 삼각형, 사각형, 하트형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의 뚜껑부의 평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9에서 도 1 내지 도 4와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설명의 편의상 중복 내용은 간단히 설명하거나 생략한다. 도 9에서는 도 1 내지 도 4의 용기부(100)가 사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편의상 용기부(100)의 설명은 생략한다.
뚜껑부(200-5)는 도 1 내지 도 4의 뚜껑부(200)와 비교할 때, 증기 배출부(216-5)가 테두리부(204)와 이격되어 있고, 접시부(208-4)가 증기 배출부(216-5)와 이격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동일할 수 있다.
뚜껑부(200-4)는 뚜껑 몸체(202)에 테두리부(204) 및 뚜껑 오픈 지지부(207)가 형성되어 있다. 뚜껑부(200-4)는 뚜껑 몸체(202)의 중앙에 돌출되어 형성된 접시부(208-4)와, 테두리부(204)와 접시부(208-4) 사이에 위치하는 판부(210)와, 판부(210)에 설치된 증기 배출부(216-5)를 포함할 수 있다.
증기 배출부(216-5)는 뚜껑 몸체(202) 및 테두리부(204)의 모서리 부분에 대칭되게 설치될 수 있다. 증기 배출부(216-5)는 테두리부(204)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증기 배출부(216-5)는 판부(210)를 선택적으로 관통하는 도어형 배출구(212-5)와, 도어형 배출구(212-5)의 둘레에 형성되는 방지턱(214-5)을 포함할 수 있다. 방지턱(214-5)의 높이는 테두리부(204)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증기 배출부(216-5)는 접시부(208-4)와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증기 배출부(216-5)는 용기부에서 발생하는 내부 증기를 테두리부(204)를 따라 유도할 수 있게 뚜껑부(200-4)의 모서리 부분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할 수 있다. 증기 배출부(216-5)의 모양은 다양한 형태, 예컨대 원형, 타원형, 삼각형, 사각형, 하트형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용기부, 106: 레일부, 108: 용기 손잡이부, 110: 용기 오픈 지지부, 200: 뚜껑부, 204: 테두리부, 206: 뚜껑 손잡이부, 208: 접시부, 210: 판부, 216: 증기 배출부, 300: 조리 용기,

Claims (10)

  1.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용기부를 차폐할 수 있는 뚜껑부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부는 상기 수용 공간의 외곽 부분 및 용기 몸체의 상부 가장 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철부를 갖는 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부는 뚜껑 몸체의 가장 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일부의 철부와 체결되는 요부를 갖는 테두리부와, 상기 뚜껑 몸체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접시부와, 상기 테두리부와 접시부 사이에 위치하는 판부와, 상기 뚜껑 몸체의 모서리 부분에 서로 대칭되게 상기 테두리부와 동일 높이로 위치하고, 상기 용기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고 상기 용기부의 수용공간 상에 위치하는 증기 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증기 배출부는 상기 판부를 관통하는 도어형 배출구와, 상기 도어형 배출구를 둘러싸면서 상기 판부로부터 돌출된 방지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부는 상기 레일부를 따라 수용 공간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용기 손잡이부와, 상기 용기 손잡이부의 일측 및 상기 용기 몸체의 모서리 부분에 상기 용기 손잡이부과 연결되어 있는 용기 오픈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상기 테두리부를 따라 상기 뚜껑 몸체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뚜껑 손잡이부와, 상기 뚜껑 몸체의 모서리 부분에 상기 테두리부와 접하여 외측으로 형성된 뚜껑 오픈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턱의 일측은 상기 테두리부로 구성되고, 상기 방지턱의 타측은 상기 접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턱은 상기 도어형 배출구의 둘레에 형성된 이중 방지턱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중 방지턱은 상기 도어형 배출구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제1 방지턱과, 상기 도어형 배출구의 내측 둘레에 형성된 제2 방지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지턱의 높이와 상기 제2 방지턱의 높이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배출부는 상기 접시부와 떨어져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를 구성하는 판부의 하면은 상기 테두리부의 하면보다 낮게 위치하고, 상기 접시부의 상면은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과 동일 높이로 형성되거나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배출부는 상기 뚜껑 몸체의 모서리 및 상기 테두리부와 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
  10.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의 상부에 체결되어 상기 용기부를 차폐할 수 있는 뚜껑부를 포함하되,
    상기 용기부는 상기 수용 공간의 외곽 부분 및 용기 몸체의 상부 가장 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철부를 갖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를 따라 수용 공간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용기 손잡이부와, 상기 용기 손잡이부에 서로 이격되어 있는 손잡이 홈부와, 상기 용기 손잡이부의 일측 및 상기 용기 몸체의 모서리 부분에 상기 용기 손잡이부과 연결되어 있는 용기 오픈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뚜껑부는 뚜껑 몸체의 가장 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일부의 철부와 체결되는 요부를 갖는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를 따라 상기 뚜껑 몸체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뚜껑 손잡이부와, 상기 뚜껑 몸체의 모서리 및 상기 테두리부와 접하여 외측으로 형성된 뚜껑 오픈 지지부와,
    상기 뚜껑 몸체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접시부와, 상기 테두리부와 접시부 사이에 위치하는 판부와, 상기 뚜껑 몸체의 모서리 부분에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고 상기 테두리부와 접하여 상기 테두리부와 동일 높이로 위치하고, 상기 용기부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증기 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증기 배출부는 상기 판부를 관통하는 도어형 배출구와, 상기 도어형 배출구를 둘러싸면서 상기 판부로부터 돌출된 방지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
KR1020170036191A 2017-03-22 2017-03-22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 KR101880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191A KR101880704B1 (ko) 2017-03-22 2017-03-22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191A KR101880704B1 (ko) 2017-03-22 2017-03-22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0704B1 true KR101880704B1 (ko) 2018-07-20

Family

ID=63103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191A KR101880704B1 (ko) 2017-03-22 2017-03-22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070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209B1 (ko) * 2019-11-15 2021-04-22 김선혁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전자렌지용 가열용기
KR102516546B1 (ko) 2022-06-15 2023-03-31 (주)아이디그룹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종이용기의 제조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820A (ko) * 2001-11-20 2003-05-27 다치바나 요키 가부시키가이샤 포장체 및 포장용기
JP2003265309A (ja) * 2002-03-20 2003-09-24 Sanyo Engineering Kk 電磁プレート及び電子レンジ対応の調理容器
KR20050079614A (ko) * 2004-02-06 2005-08-10 오시오 오야마 전자렌지용 취반시스템
JP3141994U (ja) * 2008-03-14 2008-05-29 イノマタ化学株式会社 食品加熱容器
JP2010076779A (ja) * 2008-09-25 2010-04-08 News Chef株式会社 電子レンジ調理用容器
JP2012010906A (ja) * 2010-06-30 2012-01-19 Athena Kogyo Co Ltd 電子レンジ調理用容器及び食材を収容した電子レンジ調理用容器
KR20120070272A (ko) * 2010-12-21 2012-06-29 씨제이제일제당 (주) 캡을 갖는 조리용 용기
JP2014091543A (ja) * 2012-11-01 2014-05-19 Vendor Service Kk 電子レンジ用食品容器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820A (ko) * 2001-11-20 2003-05-27 다치바나 요키 가부시키가이샤 포장체 및 포장용기
JP2003265309A (ja) * 2002-03-20 2003-09-24 Sanyo Engineering Kk 電磁プレート及び電子レンジ対応の調理容器
KR20050079614A (ko) * 2004-02-06 2005-08-10 오시오 오야마 전자렌지용 취반시스템
JP3141994U (ja) * 2008-03-14 2008-05-29 イノマタ化学株式会社 食品加熱容器
JP2010076779A (ja) * 2008-09-25 2010-04-08 News Chef株式会社 電子レンジ調理用容器
JP2012010906A (ja) * 2010-06-30 2012-01-19 Athena Kogyo Co Ltd 電子レンジ調理用容器及び食材を収容した電子レンジ調理用容器
KR20120070272A (ko) * 2010-12-21 2012-06-29 씨제이제일제당 (주) 캡을 갖는 조리용 용기
JP2014091543A (ja) * 2012-11-01 2014-05-19 Vendor Service Kk 電子レンジ用食品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3209B1 (ko) * 2019-11-15 2021-04-22 김선혁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전자렌지용 가열용기
KR102516546B1 (ko) 2022-06-15 2023-03-31 (주)아이디그룹 재활용이 가능한 친환경 종이용기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429B1 (ko) 손잡이 연동형 밀폐 냄비
KR101485918B1 (ko) 전자조리기구용 조리용기
KR101880704B1 (ko)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
US20140157995A1 (en) Kitchen Applian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4210124A (en) Dish for holding food to be heated in a microwave cooking chamber
JPH0350176B2 (ko)
JP2010155078A (ja) マイクロ波蒸気調理容器システム
US8584894B1 (en) Kitchen applian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4143647A (en) Dish for holding food to be heated in a microwave cooking chamber
JP2016531721A (ja) スチーム調理器
US3985992A (en) Microwave heating tray
JPH0482517A (ja) 電子レンジ用調理容器
KR101467484B1 (ko) 근적외선을 이용한 가열 조리기구
KR200472099Y1 (ko) 부분 개폐가 편리한 한 쌍의 손잡이가 구비된 주방용 조리 용기
KR20140108893A (ko) 조리 용기용 기체 배출 장치
CN209032009U (zh) 煎烤机及烹饪组件
JP2000130770A (ja) 調理皿および加熱調理装置
KR20200118561A (ko) 당질 저감 밥솥
KR101328683B1 (ko) 발열체를 이용한 전자레인지용 용기
KR101129604B1 (ko) 전자레인지용 조리용기
KR100491795B1 (ko) 전자렌지용 조리용기
KR102035640B1 (ko) 전자 레인지용 조리기구
KR200474014Y1 (ko) 양면 프라이팬
KR200473274Y1 (ko) 스팀을 이용한 음식물 가열용기
JP2015097577A (ja) 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