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0272A - 캡을 갖는 조리용 용기 - Google Patents

캡을 갖는 조리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0272A
KR20120070272A KR1020100131759A KR20100131759A KR20120070272A KR 20120070272 A KR20120070272 A KR 20120070272A KR 1020100131759 A KR1020100131759 A KR 1020100131759A KR 20100131759 A KR20100131759 A KR 20100131759A KR 20120070272 A KR20120070272 A KR 201200702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container
container body
main body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1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1244B1 (ko
Inventor
박은진
송은경
조경식
이병국
차규환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1020100131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244B1/ko
Publication of KR20120070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캡을 갖는 조리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본체 바닥부와, 본체 바닥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 측면부, 그리고 본체 측면부의 연장 방향의 단부에서 연장 방향에 수직 외측으로 연장되는 본체 플랜지부를 가지며, 본체 플랜지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통공이 구비되는 용기 본체; 그리고 캡 바닥부와, 캡 바닥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캡 측면부, 그리고 캡 측면부의 연장 방향의 단부에서 연장 방향에 수직 외측으로 연장되는 캡 플랜지부를 가지며, 캡 플랜지부에는 용기 본체의 결합 통공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출부가 구비되는 용기 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캡 플랜지부의 결합 돌출부가 용기 본체의 결합 통공에 삽입되어 용기 본체의 내부를 폐쇄하며, 용기 본체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 용기 캡이 용기 본체로부터 가압 이격되면서 결합 돌출부가 결합 통공으로부터 적어도 일부 이탈되면서 틈이 생기고, 이 틈을 통하여 용기 본체의 내부 증기가 용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Description

캡을 갖는 조리용 용기{COOKING CASE WITH CAP}
본 발명은 캡을 갖는 조리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캡에 의해 밀폐 포장된 용기를 조리할 때 증기압을 보존하여 찜 효과를 낼 수 있는 조리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대량 생산된 용기를 이용한 전자레인지용 조리 식품이 널리 생산 소비되고 있으며, 그 생산과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전자레인지용 조리 식품은 일정 규격의 용기에 내용물을 담은 후 밀봉하는 방식으로 제조된다. 소비자들이 이러한 식품을 소비할 때는, 터짐이나 폭발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의 일부나 전부를 제거하고 전자레인지에 넣어 조리한다. 그런데, 커버를 일부라도 제거하면 뚜껑을 덮지 않고 요리를 하는 결과가 되어, 내용물이 충분히 그리고 골고루 요리되기 어렵고, 전자레인지를 가동하는 시간도 길어져 에너지가 낭비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조리용 용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첫째, 캡을 제거하지 않고도 용기의 내용물을 찜 효과를 내면서 요리할 수 있고,
둘째, 용기 내의 내용물을 골고루 조리할 수 있으며, 또한
셋째, 조리할 때 용기 내의 증기압으로 용기가 변형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조리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리용 용기는 용기 본체와 용기 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용기 본체는, 본체 바닥부와, 본체 바닥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 측면부, 그리고 본체 측면부의 연장 방향의 단부에서 연장 방향에 수직 외측으로 연장되는 본체 플랜지부를 가지며, 본체 플랜지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통공이 구비된다.
용기 캡은, 캡 바닥부와, 캡 바닥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캡 측면부, 그리고 캡 측면부의 연장 방향의 단부에서 연장 방향에 수직 외측으로 연장되는 캡 플랜지부를 가지며, 캡 플랜지부에는 용기 본체의 결합 통공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출부가 구비된다.
용기 본체와 용기 캡의 결합에 의해 밀폐된 용기가 구성된다. 캡 플랜지부의 결합 돌출부가 용기 본체의 결합 통공에 삽입되면서 용기 캡이 용기 본체의 내부를 밀봉 폐쇄한다. 전자레인지 등을 이용하여 조리를 하게 되면, 용기 본체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이때 용기 캡이 용기 본체로부터 상방으로 가압 이격되면서 용기 캡의 결합 돌출부가 용기 본체의 결합 통공으로부터 이탈되고, 그 결과 틈이 생긴다. 이 틈으로 용기 본체의 내부 증기가 용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된다.
용기 본체의 결합 통공과 용기 캡의 결합 돌출부는 2개가 대향하여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용기 본체의 바닥부는 중앙부가 상방으로 절곡되는 본체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 본체의 측면부는 다수의 면을 갖는 리브를 가질 수 있다.
용기 캡의 바닥부도 중앙부가 상방으로 절곡되는 결합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 캡의 측면부에도 다수의 면을 갖는 리브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조리용 용기에 의하면, 결합 통공을 포함하는 관련 구성요소에 의해 커버를 제거하지 않고도 용기의 내용물을 조리할 수 있어 찜 효과가 충분히 발생할 수 있으며, 바닥부에 형성된 돌출부로 인해 용기 내의 내용물을 골고루 조리할 수 있으며, 또한 측면부가 리브 구조로 되어 있어 용기의 외형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개선된 효과는, 조리 시간을 단축하고, 전자레인지의 가동 시간을 줄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캡을 갖는 조리용 용기를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2a와 도2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용기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작용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캡을 갖는 조리용 용기를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리용 용기는 용기 본체(100)와 용기 캡(300)을 포함하며, 내용물 받침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기 본체(100)는 조리되는 내용물을 담는 것으로, 본체 바닥부(110), 본체 측면부(120), 본체 플랜지부(130) 등으로 구성된다. 용기 본체(100)는 보통 플라스틱, 스탠레스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 바닥부(110)는 평평하게 구성할 수 있으나, 중앙에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돌출부(11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112)는 용기 본체(110) 내의 내용물을 조리할 때 내용물이 골고루 조리되도록, 즉 용기 내에서 온도가 고르게 분포되게 할 수 있다.
본체 측면부(120)는 본체 바닥부(110)에서 일측 방향, 즉 도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보통 원형으로 구성된다. 본체 측면부(120)는 용기에 내용물을 담을 수 있게 한쪽 방향이 개방된다. 본체 측면부(120)에는 다수의 리브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 측면부(120)의 리브는 직선 형태, 즉 다수의 평면을 결합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리브는 내용물이 조리될 때 발생하는 증기의 압력이 용기를 변형시키는 것을 최소화한다.
본체 플랜지부(130)는 본체 측면부(120)가 개방되는 쪽의 연장 방향에서 그 단부로부터 연장 방향에 대해 수직 외측으로 연장되며, 일정 넓이의 폭을 갖는다. 본체 플랜지부(130)에는 결합 통공(H1,H2)이 형성되어 있다. 도1에서는 결합 통공이 2개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결합 통공은 적어도 하나가 있으면 된다. 용기 본체(100) 내의 내용물이 조리될 때 발생하는 증기의 압력에 의해 상부의 용기 캡(300)이 상방으로 이탈하면, 결합 통공(H1,H2)의 일부가 개방되고, 이렇게 개방된 결합 통공(H1,H2)을 통하여 용기 본체(100)의 내부 증기가 용기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증기압에 의해 용기 캡(300)이 용기 본체(100)에서 상부로 이탈하게 되는데, 그 이탈 과정을 보면 본체 플랜지부(130)의 중심에서 외측으로 가면서 벗겨진다. 따라서, 증기압의 빠른 배출이 필요한 경우라면, 결합 통공(H1,H2)을 본체 플랜지부(130)의 중심 방향으로 더 치우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내용물 받침대(200)는 용기 본체(100) 내에 삽입되어 상부면에 내용물을 담아 지지한다. 보통 찜을 할 때, 용기의 하단에는 물을 담게 되고, 물 위에는 받침대를 놓게 되며, 받침대 위에 내용물을 놓고 그 위에 뚜껑을 덮어 용기를 가열하게 된다. 내용물 받침대(200)도 이렇게 찜용으로 사용되는 용기에서 받침대로 사용되는 것이다.
용기 캡(300)은 용기 본체(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용기 본체(100)의 내부 증기압을 높이는 용도로 사용되며, 캡 바닥부(310), 캡 측면부(320), 캡 플랜지부(330) 등으로 구성된다. 용기 캡(300)도 보통 플라스틱, 스탠레스 등의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캡 바닥부(310)는 평평하게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용기 캡(300)에는 내용물이 담기지 않으므로, 중앙에 상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돌출부(미도시)를 반드시 구비할 필요는 없으나, 그러한 돌출부를 구비하면 소정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즉, 캡 바닥부(310)에 돌출부를 구비하면, 밀폐된 용기 내에서 증기가 고르게 유동할 수 있기 때문에 용기 내의 온도를 고르게 분포시키는데 일조할 수 있다.
캡 측면부(320)는 캡 바닥부(310)에서 일측 방향, 즉 도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보통 원형으로 구성된다. 캡 측면부(320)는 용기 본체(100)와 결합되어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도록 한쪽 방향이 개방되게 구성된다. 캡 측면부(320)에는 다수의 리브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캡 측면부(320)의 리브는 직선 형태, 즉 다수의 평면을 결합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는데, 이러한 리브는 내용물이 조리될 때 발생하는 증기의 압력이 용기를 변형시키는 것을 줄일 수 있게 한다.
캡 플랜지부(330)는 캡 측면부(320)가 개방되는 쪽의 연장 방향에서 그 단부로부터 연장 방향에 대해 수직 외측으로 연장되며, 일정 넓이의 폭을 갖는다. 캡 플랜지부(330)에는 결합 돌출부(T1,T2)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들 결합 돌출부(T1,T2)는 용기 본체(100)의 결합 통공(H1,H2)에 각각 삽입된다. 도1에서는 결합 돌출부(T1,T2)를 2개 형성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용기 본체(100)의 결합 통공의 수가 1개, 또는 3개 이상이면, 그 결합 통공의 수에 대응되게 또한 그 결합 통공의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용기 본체(100)와 용기 캡(300)은 각각의 플랜지부(130,330)가 맞닿은 상태에서 일정한 온도를 가하거나 압력을 가하면, 서로 접착되어 그 내부에 밀폐된 공간을 형성한다. 물론, 본체 플랜지부(130)와 캡 플랜지부(330) 사이에 접착제(미도시)를 도포하는 방식으로, 본체 플랜지부(130)와 캡 플랜지부(330)를 결합할 수도 있다.
도1에서, 본체 플랜지부(130)의 결합 통공(H1,H2)과 이에 대응되는 캡 플랜지부(330)의 결합 돌출부(T1,T2)는 적어도 각 플랜지부(130,330)의 최소폭보다 안쪽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각 플랜지부(130,330)의 최소폭 부분을 더 강하게 접착시키는 경우에는 결합 통공(H1,H2)과 결합 돌출부(T1,T2)를 최소폭보다 바깥쪽에 위치시킬 수도 있다.
도2a와 도2b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 용기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작용 단면도이다.
도2a와 도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용물이 담긴 조리용 용기를 전자레인지에 넣고 스위치를 켜면, 용기 본체(100) 내의 내용물의 온도가 상승한다. 온도의 상승은 내용물로부터 증기를 발생시키고, 발생된 증기는 용기 본체(100)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용기 본체(100) 내의 증기압이 올라가면 용기 캡(300)이 상부 방향으로 가압되고, 증기압이 일정 압력에 도달하면 캡 플랜지부(330)의 결합 돌출부(T1,T2)가 본체 플랜지부(130)의 결합 통공(H1,H2)로부터 이탈되기 시작한다. 이때, 결합 돌출부(T1,T2)와 결합 통공(H1,H2) 사이에 틈이 생기고, 이 틈으로 용기 본체(100) 내의 증기가 용기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작용을 통해, 용기 본체(100) 내의 증기가 일정 압력까지 유지될 수 있으며, 또한 결합 통공(H1,H2)이 일부 개방된 후에도 내부의 증기압이 급격히 떨어지지 않으므로, 내용물을 충분히 조리하는 찜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또한,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그러한 수정 또는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100: 용기 본체 110: 본체 바닥부
120: 본체 측면부 130: 본체 플랜지부
H1,H2: 결합 통공 300: 용기 캡
310: 캡 바닥부 320: 캡 측면부
330: 캡 플랜지부 T1,T2: 결합 돌출부

Claims (6)

  1. 조리용 용기에 있어서,
    본체 바닥부와, 상기 본체 바닥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본체 측면부, 그리고 상기 본체 측면부의 연장 방향의 단부에서 연장 방향에 수직 외측으로 연장되는 본체 플랜지부를 가지며, 상기 본체 플랜지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통공이 구비되는 용기 본체; 및
    캡 바닥부와, 상기 캡 바닥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캡 측면부, 그리고 상기 캡 측면부의 연장 방향의 단부에서 연장 방향에 수직 외측으로 연장되는 캡 플랜지부를 가지며, 상기 캡 플랜지부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결합 통공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출부가 구비되는 용기 캡을 포함하여,
    상기 캡 플랜지부의 결합 돌출부가 상기 용기 본체의 결합 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를 폐쇄하며,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 압력이 증가하면 상기 용기 캡이 상기 용기 본체로부터 가압 이격되면서 상기 결합 돌출부가 상기 결합 통공으로부터 적어도 일부 이탈되면서 틈이 생기고, 상기 틈을 통하여 상기 용기 본체의 내부 증기가 상기 용기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을 갖는 조리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결합 통공과 상기 용기 캡의 결합 돌출부는
    2개가 대향하여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을 갖는 조리용 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바닥부는
    중앙부가 상방으로 절곡되는 본체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을 갖는 조리용 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측면부는
    다수의 면을 갖는 본체 리브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을 갖는 조리용 용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캡의 바닥부는
    중앙부가 상방으로 절곡되는 결합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을 갖는 조리용 용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캡의 측면부는
    다수의 면을 갖는 캡 리브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을 갖는 조리용 용기.
KR1020100131759A 2010-12-21 2010-12-21 캡을 갖는 조리용 용기 KR101281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759A KR101281244B1 (ko) 2010-12-21 2010-12-21 캡을 갖는 조리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759A KR101281244B1 (ko) 2010-12-21 2010-12-21 캡을 갖는 조리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272A true KR20120070272A (ko) 2012-06-29
KR101281244B1 KR101281244B1 (ko) 2013-07-02

Family

ID=46688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759A KR101281244B1 (ko) 2010-12-21 2010-12-21 캡을 갖는 조리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12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704B1 (ko) * 2017-03-22 2018-07-20 주식회사 에이피씨테크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811Y1 (ko) * 2017-06-05 2018-07-04 장지환 다용도 바가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2517A (ja) * 1990-07-25 1992-03-16 Toshiba Corp 電子レンジ用調理容器
JP4110516B2 (ja) 2002-07-03 2008-07-02 株式会社サンプラスト三笠 電子レンジ用食品容器
KR20090100687A (ko) * 2008-03-20 2009-09-24 이상규 이중으로 된 칩용기를 수납한 전자렌지용 조리용기.
JP2009247732A (ja) * 2008-04-09 2009-10-29 News Chef株式会社 電子レンジによる調理用容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0704B1 (ko) * 2017-03-22 2018-07-20 주식회사 에이피씨테크 전자레인지용 조리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1244B1 (ko) 201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305716A (ja) 電子レンジ調理用システム容器
KR102012769B1 (ko) 증기배출공이 형성된 음식물 조리용 용기
CN105476491A (zh) 用于电饭煲的盖体组件和具有其的电饭煲
KR200491706Y1 (ko) 전자레인지용 즉석식품 밀봉용기
KR101557752B1 (ko)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
JP2008167890A (ja) 炊飯器
JP2016196329A (ja) 電子レンジ用容器
KR101281244B1 (ko) 캡을 갖는 조리용 용기
KR20100029792A (ko) 전자렌지용 용기
KR101253862B1 (ko) 조리용 용기
CN210019089U (zh) 食物烹饪容器
JP4468479B1 (ja) 電子レンジ調理用容器
KR101158674B1 (ko) 전자 렌지용 밀폐 용기 뚜껑
JP4955297B2 (ja) 電子レンジ調理用容器
KR101616877B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 뚜껑
KR102291876B1 (ko) 가스 조리와 인덕션을 겸비한 이중조리용기
WO2016163428A1 (ja) 電子レンジ用容器
KR102027414B1 (ko) 음식물 조리용기 및 제조방법
KR200445787Y1 (ko) 이중바닥 냄비
JP2007307099A (ja) 電子レンジ調理用容器
KR101720428B1 (ko) 전자레인지용 조리용기의 뚜껑
KR20080085480A (ko) 전자렌지용 조리용기
KR200260880Y1 (ko) 규격 호환이 가능한 가정용 시루
KR101841916B1 (ko)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다양한 기능을 갖는 다단적층용기
CN212233468U (zh) 电饭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