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5369A - 냄비 - Google Patents

냄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5369A
KR20080065369A KR1020070002425A KR20070002425A KR20080065369A KR 20080065369 A KR20080065369 A KR 20080065369A KR 1020070002425 A KR1020070002425 A KR 1020070002425A KR 20070002425 A KR20070002425 A KR 20070002425A KR 20080065369 A KR20080065369 A KR 20080065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pot
outer bottom
bottom wall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0676B1 (ko
Inventor
문병남
Original Assignee
문병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병남 filed Critical 문병남
Priority to KR1020070002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0676B1/ko
Publication of KR20080065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0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0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2Cooking-vessels with enlarged heating surf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냄비에 관한 것으로 가열시 냄비몸체의 저벽중앙부분과 가장자리 부분이 동시에 거의 동일한 온도로 가열되어서 음식물을 신속하고 균일하게 그리고 끓어 넘치지 않도록 조리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해서 냄비몸체(1)에서 저벽부분(2)의 중앙과, 가장자리 쪽에 나사구멍(6)을 가진 돌출부(5)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측바닥판(3)에는 상기 나사구멍(6)과 대응하는 조립안내구멍(7)이 형성되어 있어서 외측 바닥판(3)이 저벽부분(2)에 나사(8)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임.
본 발명은 음식물의 조리시간을 단축시켜 주며, 음식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고, 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냄비, 이중바닥구조, 저벽부분, 외측바닥판, 돌출부, 나사구멍, 조립안내구멍, 나사.

Description

냄비 {A POT}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냄비의 종단면도.
도2는 도1에서 보인 바닥판이 제거된 상태의 저면도.
도3은 도1에서 보인 냄비의 저면도.
본 발명은 음식물을 보다 신속하고 균일하게 끓일 수 있는 냄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중 바닥을 가진 냄비에 관한 것이다. 이중 바닥을 가진 종래의 냄비는 냄비 몸체의 저벽부분과 외측의 바닥판 사이가 비어 있는 공간부로 된 것이어서 가열시켜 주었을 때 냄비몸체의 저벽부분과 측벽부분이 만나는 부위에서는 열전도가 다른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이루어지게 되어서 음식물을 균일하게 끓일 수 없었다.
즉, 냄비몸체의 가장자리쪽은 빨리 끓기 시작하는 반면에 냄비몸체의 중앙부분은 나중에 끓게 되어서 조리시간이 길어지게 되었었고, 냄비몸체의 가장자리쪽이 빨리 끓는 것에 의해서 음식물이 냄비몸체의 측벽부분을 따라 신속하게 끓어오르게 되어서 음식물이 냄비 밖으로 쉽게 넘치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냄비몸체의 저벽중앙부분과 외측바닥판의 중앙부분이 접촉되어 있어 가열시 냄비몸체의 저벽중앙부분과 가장자리부분이 동시에 거의 동일한 온도로 가열되어서 음식물을 신속하게 그리고 균일하게 끓일 수 있는 냄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예시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1 내지 도3에 예시한 바와 같이 냄비몸체(1)의 저벽부분(2)과 외측바닥판(3)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는 이중바닥구조를 가진 냄비에 있어서, 저벽부분(2)의 중앙과, 상기 저벽부분(2)과 외측바닥판(3)을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시켜 주는 환상턱(4)의 내측에는 상기 저벽부분(2)과 외측바닥판(3)을 접촉시켜 주는 돌출부(5)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5)들에는 나사구멍(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바닥판(3)에는 상기 나사구멍(6)과 대응하는 조립안내구멍(7)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외측바닥판(3)이 상기 저벽부분(2)에 나사(8)로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3에 잘 표현된 바와 같이 외측바닥판(3)에는 상기 저벽부분(2)과 외측바닥판(3) 사이의 공간부(9)와 통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개구부(10)가 형성되어 있어서 가열시 상기 공간부(9)에서 급속하게 팽창되는 공기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켜 주어서 상기 외측바닥판(3)의 고정된 상태를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10)는 냄비의 세척시 상기 공간부(9)내로 유입될 수도 있는 물의 배수구를 겸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냄비는 도1에 잘 표현된 바와 같이 냄비몸체(1)에서 저벽부분(2)의 중앙이 외측바닥판(3)의 중앙과 돌출부(5)를 통해서 접촉되어 있는 것이어서 가열시켜 주었을 때 저벽부분(2)의 가장자리와 중앙부위에서 열전도상태가 균일해지는 것이므로 상기 저벽부분(2)의 가장자리와 중앙부위가 거의 같은 시간에 거의 같은 온도로 동시에 가열되는 것이기 때문에 음식물을 거의 동시에 끓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음식물의 조리시간을 단축시켜 주게 되며, 음식물이 끓을 때 냄비 밖으로 넘쳐나가지 않도록 해주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냄비는 가열시 냄비몸체(1)에서 저벽부분(2)의 가장자리와 중앙부위가 거의 동시에 같은 온도로 가열되어서 음식물이 저벽부분(2)의 가장자리와 중앙부위에서 거의 동시에 끓게 되는 것이므로 조리시간을 단축시켜 주고 에너지도 절약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외측바닥판이 저벽부분에 나사로 고정되는 것이어서 용접시켜 고정해주었던 종래 것에 비하여 숙련된 기술없이도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Claims (2)

  1. 냄비몸체(1)의 저벽부분(2)과 외측바닥판(3)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유지되는 이중 바닥 구조를 가진 냄비에 있어서, 저벽부분(2)의 중앙과, 상기 저벽부분(2)과 외측바닥판(3)을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시켜 주는 환상턱(4)의 내측에는 상기 저벽부분(2)과 외측바닥판(3)을 접촉시켜 주는 돌출부(5)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5)들에는 나사구멍(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측바닥판(3)에는 상기 나사구멍(6)과 대응하는 조립안내구멍(7)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외측바닥판(3)이 상기 저벽부분(2)에 나사(8)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
  2. 제1항에 있어서, 외측바닥판(3)에는 상기 저벽부분(2)과 외측바닥판(3) 사이에 있는 공간부(9)와 통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개구부(1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
KR1020070002425A 2007-01-09 2007-01-09 냄비 KR100880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425A KR100880676B1 (ko) 2007-01-09 2007-01-09 냄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425A KR100880676B1 (ko) 2007-01-09 2007-01-09 냄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369A true KR20080065369A (ko) 2008-07-14
KR100880676B1 KR100880676B1 (ko) 2009-01-30

Family

ID=39816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425A KR100880676B1 (ko) 2007-01-09 2007-01-09 냄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06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8114A2 (ko) * 2011-04-27 2012-11-01 Cho Kwan Hyoung 이중가열 방식의 조리기구
KR200464740Y1 (ko) * 2012-06-26 2013-01-21 김춘동 조리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112B1 (ko) 2010-01-27 2012-04-24 김희정 열전도기
DE102013006649B4 (de) * 2013-04-18 2017-01-26 Jochen Hennes Kochgeschirr zur Herstellung von warmen Speise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053U (ko) * 1997-12-06 1999-07-05 문종인 이중 보호 냄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48114A2 (ko) * 2011-04-27 2012-11-01 Cho Kwan Hyoung 이중가열 방식의 조리기구
WO2012148114A3 (ko) * 2011-04-27 2013-03-21 Cho Kwan Hyoung 이중가열 방식의 조리기구
KR101321440B1 (ko) * 2011-04-27 2013-10-23 조관형 이중가열 방식의 조리기구
KR200464740Y1 (ko) * 2012-06-26 2013-01-21 김춘동 조리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0676B1 (ko) 200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107677A (ko) 이중 가열식 냄비 구조
KR20080065369A (ko) 냄비
GB2419273A (en) Avoiding overheating of cooking utensil
US9504357B2 (en) Insulating pot bottom for stockpots
CN208425911U (zh) 上内胆及烹饪器具
US20070256570A1 (en) Cooking Implement
KR200406372Y1 (ko) 열기 유도커버가 구비된 조리용 솥
KR200426082Y1 (ko) 직화열 조리가 가능한 이중 냄비
CN210726954U (zh) 一种电饭盒
KR200394229Y1 (ko) 조리용기의 뚜껑
KR200445787Y1 (ko) 이중바닥 냄비
CN210871012U (zh) 用于烹饪器具的锅具和烹饪器具
KR101587116B1 (ko) 가스 및 인덕션 겸용 주방조리기구
KR20130128948A (ko) 조리용기
CN209090843U (zh) 烹饪器具
KR101657926B1 (ko) 유도가열식 튀김기
CN211155264U (zh) 可导水蒸具及蒸锅
KR20190064952A (ko) 조리용 용기
KR100590287B1 (ko) 이중 가열식 양면 프라이팬 구조
KR200455898Y1 (ko) 조리기구의 바닥면 구조
CN220236665U (zh) 加热底座及烹饪器具
KR200393652Y1 (ko) 과열방지 기능이 구비된 조리용기
KR20060124369A (ko) 과열방지 기능이 구비된 조리용기
CN215777441U (zh) 一种具有烹饪功能的多功能便当机
CN213882810U (zh) 一种使用灵活的蒸笼及包括有该蒸笼的电煮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