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116B1 - 가스 및 인덕션 겸용 주방조리기구 - Google Patents

가스 및 인덕션 겸용 주방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116B1
KR101587116B1 KR1020140092705A KR20140092705A KR101587116B1 KR 101587116 B1 KR101587116 B1 KR 101587116B1 KR 1020140092705 A KR1020140092705 A KR 1020140092705A KR 20140092705 A KR20140092705 A KR 20140092705A KR 101587116 B1 KR101587116 B1 KR 101587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m portion
cooking apparatus
cooking
hea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근
Original Assignee
오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정근 filed Critical 오정근
Priority to KR1020140092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116B1/ko
Priority to PCT/KR2015/007500 priority patent/WO201601382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dapted to high-frequency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및 인덕션 겸용 주방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렌지와 인덕션 렌지에 사용할 수 있는 조리기구인데 조리기구 본체의 하단부에 열전도판이 설치되고, 상기 열전도판에는 인덕션용 철판이 삽입된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기에 가스렌지와 인덕션 렌지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상기 열전도판이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조리기구 본체에 리베팅 공법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작성성이 더욱 뛰어나며 연질의 알루미늄 소재의 조리기구의 제작작업이 간단하며 생산 작업시 불량률이 극히 적으며 생산성이 뛰어나고 열전도율이 좋으며 사용중 열에 의한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오랫동안 사용하여도 변형됨이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열전도판과 조리기구 본체 사이에 공기 챔버가 형성되어 조리기구의 대상물이 쉽게 타지 않아 조리의 편리성이 추구되고, 상기 열전도판의 일단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공기 챔버 내의 공기 또는 물 등이 쉽게 외부로 배출되어 조리기구의 관리가 쉽고 편리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가스 및 인덕션 겸용 주방조리기구{Induction combined use kitchen utensils and gas}
본 발명은 가스 및 인덕션 겸용 주방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렌지와 인덕션 렌지에 사용할 수 있는 조리기구인데 조리기구 본체의 하단부에 열전도판이 설치되고, 상기 열전도판에는 인덕션용 철판이 삽입된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기에 가스렌지와 인덕션 렌지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상기 열전도판이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조리기구 본체에 리베팅 공법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작성성이 더욱 뛰어나며 연질의 알루미늄 소재의 조리기구의 제작작업이 간단하며 생산 작업시 불량률이 극히 적으며 생산성이 뛰어나고 열전도율이 좋으며 사용중 열에 의한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오랫동안 사용하여도 변형됨이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열전도판과 조리기구 본체 사이에 공기 챔버가 형성되어 조리기구의 대상물이 쉽게 타지 않아 조리의 편리성이 추구되고, 상기 열전도판의 일단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공기 챔버 내의 공기 또는 물 등이 쉽게 외부로 배출되어 조리기구의 관리가 쉽고 편리한 가스 및 인덕션 겸용 주방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인덕션 렌지는 기존의 가스렌지나 전기렌지를 대체하는 조리기기로서 어떤 조리기기보다 안전하며 경제적이고 편리하며 깨끗하여 근래에 사용하는 가정이 늘고 있는 실정으로 그 작동원리는 렌지 상판 아래에 있는 코일에 전류를 보내면 코일에 자력선이 발생하고 이 자력선이 상판 위에 놓인 조리기구의 바닥을 통과시에 조리기구의 재질에 포함된 저항성분(철성분)에 의해서 와류전류를 생성시킨다.
이와 같이 조리기구 바닥에서 발생한 와류전류는 조리기구 자체만을 발열을 시키므로 렌지 상판의 달구어짐이 없이 조리기구만 뜨거워지는 유도가열이 일어난다.
그러므로 조리기구를 들면 가열이 즉시로 멈추게 되며, 상판을 손으로 만져도 뜨겁지 않아 안전하고 조리기구가 닿는 부분에서만 에너지가 생성되므로 에너지효율이 높아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인덕션 렌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조리기구의 바닥면에 저항성분을 지닌 금속이 일체로 되어야하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다이캐스팅 류의 조리기구는 자성을 가지지 않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통상적인 다이캐스팅 조리기구에 있어 바닥면에 자성을 가질 수 있는 금속을 일체로 만들어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다이캐스팅 조리기구에 자성을 가질 수 있는 금속을 결합함에 있어 여러가지로 만들어 제작하고 있으며, 통상적으로 강성의 다이캐스팅 조리기구에 있어서는 선등록 실용신안 제 20-0429867호에 나타난 것과 같이 조리기구를 제작시 먼저 도전판을 제작한 다음 용기 제작용 몰드 내부에 도전판을 안착하고, 다시 몰드 내부에 비전도성 금속물질 주입 및 용기본체 주조단계를 거쳐 용기본체를 탈형을 시켜 바닥면을 마무리하는 여러단계를 거쳐 생산되고 있다.
이와 같이 생산되는 조리기구는 제작이 여러단계를 거침으로 인해 제작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두께가 얇은 도전판의 제작이 실질적으로 참고도면(도시하지 않음)과 같이 만들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으며 상기의 도전판에 비도전성 금속물질을 주입하는 과정에 있어 비도전성 금속물질의 높은 열에 의해 도전판에 변형이 오는 관계로 바닥면이 고르지 않아 다시 이를 정밀하게 가공하여야만 사용이 가능한 관계로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런 점을 방지하기 위한 다이캐스팅이라고 부르는 주조법은 고압 다이캐스팅을 말하는 것으로 금형 내에 용탕을 고압으로 투입하여 주조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와 같은 다이캐스팅 주조는 소재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주조하므로 고속 생산이 가능하고 두께가 아주 얇고 치수가 정밀한 제품의 생산이 가능하며 결정입자가 미세하여 열처리 공법 없이도 사형주물에 비해 강도가 높은 제품의 생산이 가능하지만 내부에 기공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도전판의 함침 시 불량제품의 발생율이 높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 사용하고 있는 일 실시 예를 보면 대부분 자성강판부분과 다이캐스팅 조리기구가 상호 간에 밀착만 된상태로 처음 사용시에는 전열이 쉽게 전도되나 자성강판에 고열이 가해지면 자성강판이 열에 의해 늘어나는 성질에 의해 자주 사용하면 다이캐스팅 조리기구의 바닥면에서 팽창과 수축이 반복하여 일어나는 과정에 있어 밀착력이 떨어져 바닥면에서 떨어져 전도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47263호 등록특허공보 제10-0889722호 등록특허공보 제10-0768251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가스렌지와 인덕션 렌지에 사용할 수 있는 조리기구인데 조리기구 본체의 하단부에 열전도판이 설치되고, 상기 열전도판에는 인덕션용 철판이 삽입된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기에 가스렌지와 인덕션 렌지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상기 열전도판이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조리기구 본체에 리베팅 공법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작성성이 더욱 뛰어나며 연질의 알루미늄 소재의 조리기구의 제작작업이 간단하며 생산 작업시 불량률이 극히 적으며 생산성이 뛰어나고 열전도율이 좋으며 사용중 열에 의한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오랫동안 사용하여도 변형됨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가스 및 인덕션 겸용 주방조리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열전도판과 조리기구 본체 사이에 공기 챔버가 형성되어 조리기구의 대상물이 쉽게 타지 않아 조리의 편리성이 추구되고, 상기 열전도판의 일단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공기 챔버 내의 공기 또는 물 등이 쉽게 외부로 배출되어 조리기구의 관리가 쉽고 편리한 가스 및 인덕션 겸용 주방조리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바닥면의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제 1 테두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에 다수개의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조리기구 본체와;
상기 조리기구 본체의 제 1 테두리부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 1 테두리부의 내측과 밀접하게 대응되도록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제 2 테두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테두리부가 조리기구 본체의 바닥면에 접촉됨으로써, 사이에 공기 챔버가 형성되며, 일단면은 공기 챔버 내의 공기 또는 물이 일측으로 용이하게 이송되도록 중앙부가 가장자리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 경사지게 형성되고, 중앙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경계선(C)이 형성되되, 상기 경계선(C)을 중심으로 양측면이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골이 형성되어 공기 또는 물이 일측으로 용이하게 이송되는 열전도판;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테두리부와 제 2 테두리부에는 공기 챔버 내의 공기 또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거나 유입되도록 다수개의 공기 이송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및 인덕션 겸용 주방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스 및 인덕션 겸용 주방조리기구는 가스렌지와 인덕션 렌지에 사용할 수 있는 조리기구인데 조리기구 본체의 하단부에 열전도판이 설치되고, 상기 열전도판에는 인덕션용 철판이 삽입된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기에 가스렌지와 인덕션 렌지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상기 열전도판이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조리기구 본체에 리베팅 공법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작성성이 더욱 뛰어나며 연질의 알루미늄 소재의 조리기구의 제작작업이 간단하며 생산 작업시 불량률이 극히 적으며 생산성이 뛰어나고 열전도율이 좋으며 사용중 열에 의한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오랫동안 사용하여도 변형됨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열전도판과 조리기구 본체 사이에 공기 챔버가 형성되어 조리기구의 대상물이 쉽게 타지 않아 조리의 편리성이 추구되고, 상기 열전도판의 일단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공기 챔버 내의 공기 또는 물 등이 쉽게 외부로 배출되어 조리기구의 관리가 쉽고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방조리기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방조리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열전도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열전도판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B-B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D부분을 나타낸 확대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바닥면의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제 1 테두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에 다수개의 결합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조리기구 본체와;
상기 조리기구 본체의 제 1 테두리부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 1 테두리부의 내측과 밀접하게 대응되도록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제 2 테두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테두리부가 조리기구 본체의 바닥면에 접촉됨으로써, 사이에 공기 챔버가 형성되며, 일단면은 공기 챔버 내의 공기 또는 물이 일측으로 용이하게 이송되도록 중앙부가 가장자리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 경사지게 형성되고, 중앙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경계선(C)이 형성되되, 상기 경계선(C)을 중심으로 양측면이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골이 형성되어 공기 또는 물이 일측으로 용이하게 이송되는 열전도판;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테두리부와 제 2 테두리부에는 공기 챔버 내의 공기 또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거나 유입되도록 다수개의 공기 이송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방조리기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방조리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열전도판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열전도판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은 도 4의 B-B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의 D부분을 나타낸 확대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스 및 인덕션 겸용 주방조리기구는 대상물(음식)을 담아 조리하는 조리기구 본체(10)와, 상기 조리기구 본체(10)에 설치되어 열 또는 자기장을 직접 접촉되어 열원을 조리기구 본체(10)에 전도하는 열전도판(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리기구 본체(10)는 도 1 내지 도 2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대상물(음식)이 담겨져 조리될 수 있도록 조리공간이 형성되고, 하부는 바닥면의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제 1 테두리부(11)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에 다수개의 결합돌기(12)가 돌출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테두리부(11)가 형성됨으로써, 조리기구 본체(10)의 하단면에는 홈(미도시)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홈에 열전도판(20)이 결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테두리부(11)에는 조리기구 본체(10)와 열전도판(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 챔버(40) 내의 공기 또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거나 유입되도록 다수개의 공기 이송구(3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공기 이송구(30)는 제 1 테두리부(11) 이외에 열전도판(20)의 제 2 테두리부(21)에도 형성되며, 상기 제 1 테두리부(11) 및 제 2 테두리부(21)의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열전도판(20)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기구 본체(10)의 제 1 테두리부(11) 내측에 구비되어 열을 조리기구 본체(10)에 전도하는 판으로써, 상기 제 1 테두리부(11)의 내측과 밀접하게 대응되도록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제 2 테두리부(21)가 형성된다.
즉, 상기 열전도판(20)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조리기구 본체(10)의 제 1 테두리부(11) 내 홈에 결합되는데, 상기 제 2 테두리부(21)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열전도판(20)의 하단면과 제 1 테두리부(11)의 끝단면이 상호 동일한 수평을 이루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2 테두리부(21)가 형성됨으로써, 열전도판(20)이 열에 의해 휘어지거나 구부러지는 변형 현상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테두리부(21)에는 공기 챔버(40) 내의 공기 또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거나 유입되도록 다수개의 공기 이송구(30)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테두리부(21)의 공기 이송구(30)는 제 1 테두리부(11)의 공기 이송구(30)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내외가 상호 관통된다.
여기서, 상기 열전도판(20)은 도 1 내지 도 6에서처럼, 조리기구 본체(10)의 결합돌기(12)가 삽입되도록 다수개의 삽입홀(2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22)은 결합돌기(12)의 수량 및 위치에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열전도판(20)의 일단면에는 자기장에 의해 열이 발생하는 다수개의 열전도용 돌기(23)가 돌출 형성되어 조리기구 본체(10)에 열을 전도한다.
한편, 상기 열전도용 돌기(23)에는 인덕션용 철판(미도시)이 삽입되었기에 자기장에 의해 열이 발생하는 것이고, 또는 상기 인덕션용 철판 이외에도 인덕션용 철가루가 열전도용 돌기(23)의 표면에 부착되어 자기장에 의해 열이 발생한다. 이때, 상기 열전도용 돌기(23)는 원통형, 바(bar)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열전도용 돌기(23)는 도 2에서처럼, 직접적으로 조리기구 본체(10)의 하단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어 열을 전도하고, 상기 제 2 테두리부(21)가 조리기구 본체(10)의 바닥면에 접촉됨으로써, 열전도판(20)과 조리기구 본체(10)의 사이에 공기 챔버(4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열전도판(20)의 일단면은 도 5에서처럼, 공기 챔버(40) 내의 공기 또는 물이 공기 이송구(30) 측으로 용이하게 이송되도록 중앙부가 가장자리(제 2 테두리부(21) 측)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열전도판(20)의 일단면이 경사진 상태에서 도 3 내지 도 6에서처럼, 중앙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경계선(C)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경계선(C)을 중심으로 양측면이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경계선(C)을 중심으로 경사진 부위가 열전도판(20)의 원주방향으로 반복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호 간에 골(24)이 형성되고, 상기 골(24)을 통해 공기 또는 물이 한 곳으로 모여 이송된다. 이렇게 모인 공기 또는 물은 제 2 테두리부(21) 및 제 1 테두리부(11)의 공기 이송구(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조리기구 본체(10)에 열전도판(20)이 고정되는 방법은 도 7에서처럼, 상기 조리기구 본체(10)의 결합돌기(12)가 열전도판(20)의 삽입홀(22)에 결합되는데, 이때, 상기 결합돌기(12)의 끝단부가 삽입홀(22)의 외부까지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결합돌기(12)의 끝단부를 별도의 장치에 의해 리베팅 공법을 시행하여 확장시킴으로써, 상기 열전도판(20)이 조리기구 본체(10)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다. 즉, 상기 결합돌기(12)의 끝단부가 열전도판(20)의 바닥면과 동일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열전도판(20)의 삽입홀(22)은 일측이 확관된 형태로 형성되어 결합돌기(12)의 확장시, 용이하게 상호 접촉될 수 있다.
10 : 조리기구 본체 11 : 제 1 테두리부
12 : 결합돌기 20 : 열전도판
21 : 제 2 테두리부 22 : 삽입홀
23 : 열전도용 돌기 24 : 골
30 : 공기 이송구 40 : 공기 챔버

Claims (4)

  1. 바닥면의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제 1 테두리부(11)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면에 다수개의 결합돌기(12)가 돌출 형성되는 조리기구 본체(10)와;
    상기 조리기구 본체(10)의 제 1 테두리부(11) 내측에 구비되되, 상기 제 1 테두리부(11)의 내측과 밀접하게 대응되도록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제 2 테두리부(21)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테두리부(21)가 조리기구 본체(10)의 바닥면에 접촉됨으로써, 사이에 공기 챔버(40)가 형성되며, 일단면은 공기 챔버(40) 내의 공기 또는 물이 일측으로 용이하게 이송되도록 중앙부가 가장자리에 비해 높게 형성되어 경사지게 형성되고, 중앙부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경계선(C)이 형성되되, 상기 경계선(C)을 중심으로 양측면이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골(24)이 형성되어 공기 또는 물이 일측으로 용이하게 이송되는 열전도판(2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테두리부(11)와 제 2 테두리부(21)에는 공기 챔버(40) 내의 공기 또는 물이 외부로 배출되거나 유입되도록 다수개의 공기 이송구(30)가 형성되며,
    상기 공기 이송구(30)는 제 1 테두리부(11) 및 제 2 테두리부(21)의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및 인덕션 겸용 주방조리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판(20)의 일단면에는 열을 조리기구 본체(10)에 전도하는 열전도용 돌기(23)가 다수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및 인덕션 겸용 주방조리기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판(20)의 일단면에는 조리기구 본체(10)의 결합돌기(12)가 삽입되도록 다수개의 삽입홀(22)이 형성되고, 상기 조리기구 본체(10)의 결합돌기(12)는 열전도판(20)의 삽입홀(22)에 결합된 상태에서 끝단부를 리베팅 공법을 통해 열전도판(20)의 바닥면과 동일 평면으로 형성하여 조리기구 본체(10)에 열전도판(20)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및 인덕션 겸용 주방조리기구.
  4. 삭제
KR1020140092705A 2014-07-22 2014-07-22 가스 및 인덕션 겸용 주방조리기구 KR101587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705A KR101587116B1 (ko) 2014-07-22 2014-07-22 가스 및 인덕션 겸용 주방조리기구
PCT/KR2015/007500 WO2016013825A1 (ko) 2014-07-22 2015-07-20 가스 및 인덕션 겸용 주방조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705A KR101587116B1 (ko) 2014-07-22 2014-07-22 가스 및 인덕션 겸용 주방조리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7116B1 true KR101587116B1 (ko) 2016-01-20

Family

ID=55163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705A KR101587116B1 (ko) 2014-07-22 2014-07-22 가스 및 인덕션 겸용 주방조리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87116B1 (ko)
WO (1) WO20160138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0918B1 (ko) * 2017-04-06 2018-11-02 하동웅 다용도 친환경 세라믹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UA20163689A1 (it) * 2016-05-23 2017-11-23 Pensofal Int S P A Recipiente di cottura per piani di cottura ad induzion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6560A (ja) * 1998-01-26 1999-08-03 Kuniyoshi Sago 電磁調理器用の加熱食器
KR20070047263A (ko) 2007-04-13 2007-05-04 정정숙 인덕션렌지용 조리기구
KR100768251B1 (ko) 2006-06-19 2007-10-22 정원식 인덕션 조리기구용 인덕션 히팅코일
KR100874214B1 (ko) * 2007-06-12 2008-12-15 서기원 비자성 금속을 이용한 유도가열 조리용기
KR100889722B1 (ko) 2007-04-13 2009-03-20 정정숙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
KR20120121660A (ko) * 2011-04-27 2012-11-06 조관형 이중가열 방식의 조리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733B1 (ko) * 2005-08-30 2006-12-20 조철환 인덕션 렌지용 주방용기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6560A (ja) * 1998-01-26 1999-08-03 Kuniyoshi Sago 電磁調理器用の加熱食器
KR100768251B1 (ko) 2006-06-19 2007-10-22 정원식 인덕션 조리기구용 인덕션 히팅코일
KR20070047263A (ko) 2007-04-13 2007-05-04 정정숙 인덕션렌지용 조리기구
KR100889722B1 (ko) 2007-04-13 2009-03-20 정정숙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
KR100874214B1 (ko) * 2007-06-12 2008-12-15 서기원 비자성 금속을 이용한 유도가열 조리용기
KR20120121660A (ko) * 2011-04-27 2012-11-06 조관형 이중가열 방식의 조리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0918B1 (ko) * 2017-04-06 2018-11-02 하동웅 다용도 친환경 세라믹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13825A1 (ko) 2016-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55448A (ko) 인덕션렌지용 조리기구
KR101034769B1 (ko) 인덕션 레인지용 조리용기
KR101587116B1 (ko) 가스 및 인덕션 겸용 주방조리기구
CN105120544A (zh) 一种旋风型ih电磁加热线盘
KR20100029792A (ko) 전자렌지용 용기
KR101480272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 용기
KR100954074B1 (ko) 유도가열이 가능한 알루미늄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및유도가열이 가능한 알루미늄 조리기구
JP6322658B2 (ja) 加熱調理器具
CN104223932A (zh) 电饭煲
CN105982562B (zh) 用于电磁加热烹饪的锅具和电磁加热烹饪器具
KR20080092817A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
JP2012110636A (ja) 誘導加熱調理器用調理容器
CN212186119U (zh) 烹饪器具
CN208973486U (zh) 电热盘和烹饪器具
CN212015276U (zh) 一种能够快速加热的压铸复底锅
CN204862615U (zh) 新型导磁复底锅
KR20070006993A (ko) 자성판이 부착된 인덕션 레인지용 주방용기.
CN205322124U (zh) 内锅及烹饪器具
US20150245419A1 (en) Glass pan having an electromagnetically formed induction layer
CN204993928U (zh) 一种旋风型ih电磁加热线盘
CN112190118A (zh) 用于烹饪器具的内锅
KR200422826Y1 (ko) 탄소성형체가 장착된 고기구이판
KR100906011B1 (ko) 유도가열용 조리기구 및 그 제조방법
CN204813322U (zh) 陶瓷内锅、具有该陶瓷内锅的电压力锅以及电饭煲
CN214433636U (zh) 一种u形板结构及使用其的微蒸烤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4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