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92817A -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92817A
KR20080092817A KR1020070073908A KR20070073908A KR20080092817A KR 20080092817 A KR20080092817 A KR 20080092817A KR 1020070073908 A KR1020070073908 A KR 1020070073908A KR 20070073908 A KR20070073908 A KR 20070073908A KR 20080092817 A KR20080092817 A KR 20080092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steel
steel plate
cookware
cooking appliance
induction st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3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정숙
Original Assignee
정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정숙 filed Critical 정정숙
Publication of KR20080092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28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9/00Foods and beverages: apparatus
    • Y10S99/14Induction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상생활에서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인덕션 렌지에 사용하는 조리기구에 있어 사용시 조속한 전원 감응이 작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조리기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바닥면을 제조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알루미늄 재질의 조리기구에 있어서, 조리기구 몸체의 외측 저면부에 요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입홈의 안쪽에는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자성강판이 결합되되, 상기 요입홈의 안쪽과 자성강판의 사이에는 금속파우더층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덕션 렌지, 자성강판, 요입홈, 금속파우더, 관통공

Description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Cooker for a induction range}
본 발명은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상생활에서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인덕션 렌지에 사용하는 조리기구에 있어 사용시 조속한 전원 감응이 작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조리기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바닥면을 제조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인덕션 렌지는 기존의 가스렌지나 전기렌지를 대체하는 조리기기로서 어떤 조리기기보다 안전하며 경제적이고 편리하며 깨끗하여 근래에 사용하는 가정이 늘고 있는 실정이다.
인덕션 렌지의 작동원리는 렌지 상판 아래에 있는 코일에 전류를 보내면 코일에 자력선이 발생하고 이 자력선이 상판 위에 놓인 조리기구의 바닥을 통과할 때, 조리기구의 재질에 포함된 저항성분(철 성분)에 의해서 와류전류를 생성시킨다. 이와 같이 조리기구 바닥에서 발생한 와류전류는 조리기구 자체에만 발열이 일어나도록 하므로 렌지 상판의 달구어짐이 없이 조리기구만 뜨거워지는 유도가열이 일어난다.
그러므로 조리기구를 들면 가열이 즉시 멈추게 되며, 상판을 손으로 만져도 뜨겁지 않아 안전하고 조리기구가 닿는 부분에서만 에너지가 생성되므로 에너지 효율이 높아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인덕션 렌지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조리기구의 바닥면에 저항성분을 지닌 금속이 일체로 형성되어야 하나,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다이캐스팅 류의 조리기구는 자성을 가지지 않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통상적인 다이캐스팅으로 제조된 조리기구의 바닥면에 자성을 가질 수 있는 금속을 일체로 만들어 생산하고 있다.
종래의 다이캐스팅 조리기구에 자성을 가질 수 있는 금속을 결합시키는 방법으로는 선등록 실용신안 제20-0429867호에 나타난 것과 같이 조리기구를 제작할 때, 먼저 도전판을 제작한 다음 용기 제작용 몰드 내부에 도전판을 안착하고, 다시 몰드 내부에 비전도성 금속물질 주입 및 용기본체 주조단계를 거쳐 용기본체를 탈형시켜 바닥면을 마무리하는 여러 단계를 거쳐 생산하는 방법이 있다.
이와 같이 생산되는 조리기구는 제작이 여러 단계를 거침으로 인해 제작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두께가 얇은 도전판의 제작이 실질적으로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도전판에 비도전성 금속물질을 주입하는 과정에 있어 비도전성 금속물질의 높은 열에 의해 도전판에 변형이 생기는 관계로 바닥면이 고르지 않아 다시 이를 정밀하게 가공하여야만 사용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이 다이캐스팅이라고 불리는 주조법은 고압 다이캐스팅을 말하는 것으로 금형 내에 용탕을 고압으로 투입하여 주조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와 같은 다이캐스팅 주조는 소재를 고압으로 분사하여 주조하므로 고속 생산이 가능하고 두께가 아주 얇고 치수가 정밀한 제품의 생산이 가능하며 결정입자가 미세하여 열처리 공정 없이도 사형주물에 비해 강도가 높은 제품의 생산이 가능하지만 내부에 기공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도전판의 함침 시 불량제품 발생율이 높다.
또 다른 등록 실용신안 제20-0402929호에는 탄성돌부를 만든 자성강판을 자석을 매입한 암금형 하단에 안치하거나, 암금형 하단에 설치하는 에어흡착기로 자성강판을 흡착하여 숫금형으로 압착하는 방법으로 제조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 사용하고 있는 실시예들을 보면 대부분 자성강판 부분과 다이캐스팅 조리기구가 상호 간에 밀착만 된 상태로 처음 사용시에는 전열이 쉽게 전도되나 자성강판에 고열이 가해지면 자성강판이 열에 의해 늘어나는 성질에 의해 오랜 기간동안 자주 사용하게 되면 다이캐스팅 조리기구의 바닥면에서 팽창과 수축이 반복하여 일어나는 과정에 있어 밀착력이 떨어져 자성강판이 바닥면에서 떨어져 전도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질의 알루미늄을 재질로 이루어진 조리기구의 하단에 금속파우더층을 형성시키고, 그 위에 자성강판을 안치하여 압착함으로써 접착력과 결합력이 높은 제품을 간편하게 생산할 수 있고, 인덕션 렌지에 의한 조속한 전원 감응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중 열에 의한 변형으로 자성강판이 조리기구 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알루미늄 재질의 조리기구에 있어서, 조리기구 몸체의 외측 저면부에 요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입홈의 안쪽에는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자성강판이 결합되되, 상기 요입홈의 안쪽과 자성강판의 사이에는 금속파우더층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자성강판의 외주연에는 상기 조리기구 몸체의 요입홈에 결합되는 단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성강판의 관통공 외주연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원주가 줄어드는 테이퍼를 이루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요입홈의 내측 조리기구 몸체 저면부에는 다수 개의 요홈이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요홈의 중앙에는 상기 자성강판의 관통공과 결합되는 결 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요홈과 결합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는 상기 자성강판의 돌출부가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성강판에 형성된 각각의 관통공 사이에는 칼집홈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리기구 몸체의 저면부에 형성된 결합돌기는 자성강판의 두께보다 높이 h 만큼 더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에 의하면, 생산과정이 간단하여 생산 작업시 불량률이 극히 적으며 생산성이 뛰어나고, 열전도율이 좋으며 사용중 열에 의한 비틀림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조리기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기구 몸체와 자성강판이 결합시 압착하는 방식과 열을 가하여 접착하는 두 가지 방식을 병행하여 사용함으로써 연질의 알루미늄 재질의 조리기구에 대해서도 접착력과 결합력이 높은 제품을 간편하게 생산할 수 있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를 나타낸 하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A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 중 몸체에 자성강판을 안치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및 일부 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 중 자성강판의 부분 확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도 4에 나타낸 몸체에 도 5에 나타낸 자성강판을 압착하여 일체화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10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조리기구 몸체(10)의 외측 저면부에 원형으로 요입홈(20)을 형성하고, 상기 요입홈(20)의 내측으로 금속파우더를 골고루 뿌려 금속파우더층(40)을 형성시킨 후, 그 상부에 다수 개의 관통공(32)이 형성된 자성강판(30)을 일체로 압착 결합한 것이다.
이때, 상기 자성강판(30)의 외주연에는 단턱부(38)가 형성되는데, 상기 단턱부(38)는 조리기구 몸체(10)의 외측 저면부에 형성된 상기 요입홈(20)에 삽입 결합되어 자성강판(30)이 조리기구 몸체(10)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여 사용중에 자성강판(30)이 조리기구 몸체(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자성강판(30)의 관통공(32) 외주연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34)가 형성되어 상기 자성강판(30)이 조리기구 몸체(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돌출부(34)는 상기 자성강판(30)의 상면 관통공(32)의 외 주연으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원주가 작아지도록 테이퍼(36)를 이루게 하여 보다 완벽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조리기구 몸체(10)에 형성된 요입홈(20)의 내측으로는 다수 개의 요홈(12)이 형성되는데, 상기 요홈(12)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리기구 몸체(10)의 외측 저면부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요홈(12)의 중앙에는 상기 자성강판(30)의 관통공(32)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돌기(14)가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돌기(14)는, 상기 요홈(12)의 주연부, 즉 조리기구 몸체(10)의 저면부로부터 자성강판(30)의 두께보다 높이 h 만큼 약간 더 올라오도록 돌출 형성되어 조리기구 몸체(10)에 자성강판(30)이 결합된 후 자성강판(30)의 상부를 압압하였을 때, 상기 결합돌기(14)의 상단면이 압착되어 자성강판(30)의 관통공(32) 외주연을 조금씩 덮개 되면서 완벽히 결합되었을 때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리기구 몸체(10)의 저면이 평평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14)는 상기 자성강판(30)이 조리기구 몸체(10)의 저면에 안치되었을 때, 자성강판(30)의 두께보다 높이 h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조리기구 몸체(10)의 저면을 압압하였을 때, 상기 높이 h만큼 돌출된 부분이 요홈(12)과 결합돌기(14) 사이의 공간부(13)를 완벽하게 채움과 동시에 자성강판(30)의 관통공(32) 외주연을 메움으로써 자성강판(30)이 조리기구 몸체(10)에 완벽히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조리기구(100)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14) 및 자성강 판(30)의 크기 및 형상 등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 자성강판(30) 보다 돌출되는 높이 h는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요홈(12)은 그 크기를 다르게 하여 형성할 수도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기구 몸체(10)의 저면 중심에서 가장 가깝게 형성된 요홈(12)을 중심으로 하여 원주방향으로 그 지름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크기가 다른 요홈(12)이 서로 번갈아 형성되고, 상기 요홈(12)의 중앙에 형성되는 결합되는 결합돌기(14) 또한 상기 요홈(12)의 크기에 따라 지름이 큰 제1결합돌기(14a)와 상기 제1결합돌기(14a)보다 지름이 작은 제2결합돌기(14b)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1결합돌기(14a)와 제2결합돌기(14b)에 끼움 결합되는 자성강판(30)의 관통공(32) 역시 상기 제1결합돌기(14a)와 제2결합돌기(14b)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제1관통공(32a) 및 제2관통공(32b)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자성강판(30)에 형성되는 관통공(32)의 크기를 달리하여 자성강판(30)에 보다 많은 수의 관통공(32)을 형성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통공(32)의 외주연에 형성된 돌출부(34)의 면적이 넓어지도록 하여 자성강판(30)과 조리기구 몸체(10)와의 결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요홈(12)의 내주면과 요홈(12)의 중심에 돌출 형성된 결합돌기(14)의 외주면의 사이에는 공간부(13)가 형성되어 상기 자성강판(30)의 관통공(32) 외주연에 형성된 돌출부(34)가 상기 공간부(13)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자성강판(30)이 조리기구 몸체(10)의 외측 저면부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자성강판(30)에 형성된 관통공(32)의 사이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칼집홈(39)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와 같이 자성강판(30)의 상면 관통공(32) 사이에 칼집홈(39)을 형성시킴으로써 조리기구(100) 사용시마다 가해지는 열에 의해 자성강판(30)이 팽창 또는 수축하게 될 경우 칼집홈(39)에 의해 변형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 조리기구(100)를 장기간 동안 비틀림이나 변형없이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성강판(30)이 조리기구 몸체(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조리기구(10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요입홈(20), 요홈(12) 및 결합돌기(14)가 형성된 조리기구 몸체(10)의 저면에 금속파우더를 골고루 뿌려 상기 요홈(12)과 결합돌기(14)가 형성되지 않은 접착면(16)에 금속파우더층(40)을 형성시키고, 상기 금속파우더층(40)의 상부에 단턱부(38) 및 관통공(32)이 형성된 자성강판(30)을 상기 단턱부(30)가 요입홈(20)에 삽입 결합되고 상기 결합돌기(14)가 관통공(32)에 삽입 결합되도록 안치시킨 후 자성강판(30)의 상단을 압착시킴과 동시에 고열을 가해주면 상기 관통공으로 돌출된 결합돌기(14)의 상단면이 압착되어 자성강판(30)의 관통공(32) 외주연을 감싸주면서 압착되고, 조리기구 몸체(10)와 자성강판(30) 사이의 금속파우더층(40)이 열에 의해 조리기구 몸체(10)의 접착면(16)에 접착되면서 상기 조리기구 몸체(10)와 자성강판(30)이 보다 견고하게 접착되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상생활에서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하여 인덕션 렌지에 사용하는 조리기구에 있어 사용시 전원 감응이 최대한 빨리 작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조리기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바닥면을 제조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를 나타낸 하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본 발명 중 A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 중 몸체에 자성강판을 안치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및 일부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 중 자성강판의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나태난 몸체에 도 5에 나타낸 자성강판을 압착하여 일체화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조리기구 몸체 12 : 요홈
13 : 공간부 14 : 결합돌기
14a : 제1결합돌기 14b : 제2결합돌기
16 : 접착면 20 : 요입홈
30 : 자성강판 32 : 관통공
32a : 제1관통공 32b : 제2관통공
34 : 돌출부 36 : 테이퍼
38 : 단턱부 39 : 칼집홈
40 : 금속파우더층 100 : 조리기구

Claims (8)

  1. 알루미늄 재질의 조리기구에 있어서,
    조리기구 몸체의 외측 저면부에 요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입홈의 안쪽에는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자성강판이 결합되되, 상기 요입홈의 안쪽과 자성강판의 사이에는 금속파우더층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강판의 외주연에는 상기 조리기구 몸체의 요입홈에 결합되는 단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강판의 관통공 외주연에는 상부에서 하부로 원주가 줄어드는 테이퍼를 이루는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홈의 내측 조리기구 몸체 저면부에는 다수 개의 요홈이 방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요홈의 중앙에는 상기 자성강판의 관통공과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조리기구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그 지름이 다른 제1결합돌기와 제2결합돌기가 번갈아 돌출 형성되고, 상기 자성강판에 형성되는 관통공은 상기 제1결합돌기와 제2결합돌기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하여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과 결합돌기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는 상기 자성강판의 돌출부가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강판에 형성된 각각의 관통공 사이에는 칼집홈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구 몸체의 저면부에 형성된 결합돌기는 자성강판의 두께보다 높이 h 만큼 더 높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
KR1020070073908A 2007-04-13 2007-07-24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 KR200800928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6675 2007-04-13
KR1020070036675A KR20070047263A (ko) 2007-04-13 2007-04-13 인덕션렌지용 조리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817A true KR20080092817A (ko) 2008-10-16

Family

ID=382722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675A KR20070047263A (ko) 2007-04-13 2007-04-13 인덕션렌지용 조리기구
KR1020070073908A KR20080092817A (ko) 2007-04-13 2007-07-24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675A KR20070047263A (ko) 2007-04-13 2007-04-13 인덕션렌지용 조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700472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706B1 (ko) * 2009-02-19 2012-04-26 양성원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WO2015042948A1 (zh) * 2013-09-25 2015-04-02 广东万事泰集团有限公司 一种节能复合锅底及其制造工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7116B1 (ko) 2014-07-22 2016-01-20 오정근 가스 및 인덕션 겸용 주방조리기구
KR101956471B1 (ko) 2017-09-29 2019-03-08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인덕션 조리기용 발열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7706B1 (ko) * 2009-02-19 2012-04-26 양성원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WO2015042948A1 (zh) * 2013-09-25 2015-04-02 广东万事泰集团有限公司 一种节能复合锅底及其制造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7263A (ko) 2007-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9722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
JP2010099196A (ja) インダクションレンジ用調理器具
KR101951487B1 (ko) 제어된 변형을 가지는 조리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얻어진 용기
KR20080092817A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
CN105455614A (zh) 一种烹饪器具内锅的制造方法和相应的内锅及电热锅
CN107432663B (zh) 内锅的制造方法
KR100954074B1 (ko) 유도가열이 가능한 알루미늄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및유도가열이 가능한 알루미늄 조리기구
KR101751320B1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CN201200288Y (zh) 节能型电磁电饭锅
KR102074055B1 (ko) 금속판재 3장이 개재된 인덕션용 프라이팬 및 인덕션 프라이팬 제조방법
KR101176295B1 (ko) Ih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101956471B1 (ko) 인덕션 조리기용 발열판
CN2922703Y (zh) 可用于电磁炉的铸铝炊具
JP3758974B2 (ja) 調理用容器の製造方法
KR101587116B1 (ko) 가스 및 인덕션 겸용 주방조리기구
KR102097014B1 (ko) 열변형 저감형 바닥을 갖는 주방용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94832B1 (ko) 알루미늄 도금강판을 이용한 프라이팬 및 그 제조방법
CN103231251A (zh) 炊具锅体的制作方法
KR20170077433A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기구
KR101349943B1 (ko) 전기웍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15104A (ko) 인덕션 렌지용 조리용기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26702A (ko) 유도가열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CN212015276U (zh) 一种能够快速加热的压铸复底锅
CN205006679U (zh) 发热盘及电加热设备
KR20100042495A (ko) 전자유도 가열 밥솥용 내솥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