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8452B1 - 탈착식 손잡이 - Google Patents

탈착식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452B1
KR101528452B1 KR1020150016455A KR20150016455A KR101528452B1 KR 101528452 B1 KR101528452 B1 KR 101528452B1 KR 1020150016455 A KR1020150016455 A KR 1020150016455A KR 20150016455 A KR20150016455 A KR 20150016455A KR 101528452 B1 KR101528452 B1 KR 101528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ocket
plate
spac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선
Original Assignee
김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선 filed Critical 김형선
Priority to KR1020150016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4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452B1/ko
Priority to CN201580009107.5A priority patent/CN106061342B/zh
Priority to PCT/KR2015/008674 priority patent/WO201612596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1Saucepan, frying-pan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용기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중공형 소켓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탈착식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잡이는 주방용기를 향하는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주방용기의 소켓이 삽입되는 제1 공간부와, 제1 공간부로부터 연장되며 상부로 개방되되 상부에는 제1 안착부가 형성되고 중간에는 제2 안착부가 형성되는 제2 공간부를 갖되 제2 공간부에는 상기 소켓과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버튼부가 위치된다. 되는 탈착식 손잡이를 제공한다. 버튼부는 중앙홈을 가지며 상기 제1 안착부에 고정되는 버튼 시트, 버튼 시트의 중앙홈을 관통하여 위치되며 제2 공간부를 따라 상,하로 운동하는 버튼, 스프링,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용기방향 단부를 향해 전,후방으로 운동하되 상기 스프링에 의해 전방으로 운동하고 상기 버튼의 하향 운동에 의해 후방으로 운동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제2 안착부에 상,하로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되 상기 이동부재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하여서 이동부재의 전방운동을 제어하는 판상부재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탈착식 손잡이{Detachable handle}
본 발명은 주방용기에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탈착식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용기는 음식물을 단순하게 수납할 수 있는 수납용기와 조리를 위해 가열할 수 있는 조리용기로 분류될 수 있다. 조리용기의 예로는 후라이팬, 냄비 등이 있으며, 통상적으로 이러한 용기는 가열이 가능하도록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며 가열 중에도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가 달려 있다. 주방용기에 손잡이가 달린 경우 용기를 보관할 때에 손잡이로 인해 적층하는 것이 어렵게 되므로 이러한 용기의 보관을 위해서는 큰 공간을 필요로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피하기 위해 한국특허등록 10-933007, 10-716595, 한국특허공개 2006-108597호는 주방용기용 탈착식 손잡이가 개시하고 있으나, 이들은 조리용기용 간이 손잡이로서 이러한 손잡이로는 조리용기를 확실하게 파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한국특허등록 10-1140459호는 주방용기 외측면에 고정되며 걸림턱을 갖는 중공형 소켓과, 이 소켓의 걸림턱에 탈착가능하게 맞물리는 돌기가 형성된 돌기부재를 갖는 손잡이를 개시하고 있다. 이 손잡이는 이전의 것에 비해 주방용기와 손잡이의 결합력이 향상되었으나, 돌기부재로부터 돌출하는 2개의 돌기만에 의해 손잡이와 소켓이 결합하므로 여전히 만족할만한 결합력은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방용기와의 결합력이 현저하게 향상된 탈착식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주방용기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중공형 소켓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탈착식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가 주방용기를 향하는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주방용기의 소켓이 삽입되는 제1 공간부와, 제1 공간부로부터 연장되며 상부로 개방되되 상부에 제1 안착부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 제2 안착부가 형성되는 제2 공간부를 갖되 제2 공간부에는 상기 소켓과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버튼부가 위치되는 탈착식 손잡이를 제공한다.
상기 버튼부는 a)중앙홈을 가지며 상기 제1 안착부에 고정되는 버튼 시트, b)버튼 시트의 중앙홈을 관통하여 위치되며 제2 공간부를 따라 상,하로 운동하는 버튼, c)스프링, d)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용기방향 단부를 향해 전,후방으로 운동하되 상기 스프링에 의해 전방으로 운동하고 상기 버튼의 하향 운동에 의해 후방으로 운동하는 이동부재, 및 e)상기 제2 안착부에 상,하로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되 상기 이동부재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하여서 이동부재의 전방운동을 제어하는 판상부재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소켓이 손잡이의 제1 공간부로 삽입되면 소켓의 상단부가 판상부재를 축회전시켜서 판상부재와 이동부재의 결합을 해제하고, 결합이 해제된 이동부재는 스프링에 의해 전방운동을 하여서 이동부재의 전방부가 소켓의 중공부로 삽입됨으로써 소켓의 외측면이 제1 공간부의 내측면에 압착되어 소켓과 손잡이가 결합한다. 이와 같이 소켓과 손잡이가 체결된 상태에서 버튼을 하향 가압하면 이동부재는 버튼에 의해 후방으로 운동하고 판상부재와 결합하여 후방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소켓과 손잡이가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소켓과 손잡이의 결합시 소켓의 외측면이 제1 공간부 내측면에 넓은 접촉면적에 걸쳐 압착됨으로써 소켓과 손잡이는 훨씬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소켓의 상부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간부의 상부 벽면에 소켓의 외측면이 제1 공간부의 내측면에 압착될 때 소켓의 돌기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소켓과 손잡이가 일단 결합하면 손잡이가 소켓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켓과 손잡이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한다.
도 1은 소켓이 부착된 주방용기와 소켓으로부터 분리된 손잡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주방용기의 소켓 저면 방향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버튼 시트 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버튼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판상부재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이동부재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8과 9는 주방용기의 소켓과 손잡이의 결합 및 분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도 10(a),(b)는- 도 3에 도시된 판상부재와 이동부재의 결합 및 분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10)는 주방용기(1) 외측에 고정된 소켓(2)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탈착식 손잡이다.
도 1과 2를 참조하면, 소켓(2)은 중공부(3)를 갖되 전체적으로 돌기와 같이 형성된 부재로, 상부에는 평평한 상부면(4)이 형성되되 이 상부면에 돌기 경사면(6)을 통해 연장되는 돌기(5)가 위치되며 하부에는 완만하게 만곡되는 하부면(7)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10)는 이러한 소켓이 부착된 주방용기에만 사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손잡이(10)의 분해사시도인 도 3을 참조하면, 손잡이(10)는 전체적으로 통상적인 주방용기 손잡이와 같은 형상을 갖되 제1 공간부(20)와 이 공간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공간부(30)를 갖는 손잡이 본체(11)와, 제2 공간부(30)에 위치되는 버튼 시트(50), 버튼(60), 판상부재(70), 스프링(90), 및 이동부재(80)로 구성된다. 이하에 이들 각각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하부 또는 상면, 하면과 같이 상,하 방향을 지칭하는 용어는 손잡이(10)가 소켓(2)과 결합하도록 도 1과 같이 정상적인 방향을 향하여 위치될 때의 상대적인 상,하 위치에 기초한 용어이며, 전방 및 후방은 손잡이(10)가 소켓(2)을 향하여 위치할 때 소켓(2)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상대적인 전,후 위치를 말한다.
제1 공간부(20)는 손잡이가 주방용기를 향하는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중공부로서, 하부에는 소켓(2)의 하부면(7)과 상응하도록 만곡되는 하부 경사면(21)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각각 소켓(2)의 상부면(4)과 돌기 경사면(5)에 상응하도록 형성되는 제1 상부 경사면(23)과 제2 상부 경사면(25)이 형성된다(도 9 참조). 또한, 제1 공간부의 상부에는 소켓(2)의 돌기(5)가 삽입되는 홈(27)이 형성되며, 이 홈(27)은 후술될 제2 공간부(30)의 제1 안착부(31)의 전방에 위치된다.
제2 공간부(30)는 제1 공간부(20)로부터 연장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다. 제2 공간부의 상부 개방부에는 버튼 시트(50)가 위치될 수 있도록 제1 안착부(31)가 형성된다. 제1 안착부(31)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홈(27) 외에 전방 홈(32)과 후방 홈(33)이 형성된다. 후방 홈(33)은 제1 안착부(31)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형태를 갖는다. 제1 안착부(31) 하부의 적당한 위치에 판상부재(70)가 축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제2 안착부(35)가 형성된다. 제2 안착부(35)에는 핀 홈(36)이 형성된다. 또한, 제2 공간부 측벽을 따라 전,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 측홈(39)이 형성되며 이 측홈(39)의 후방에는 벽체(38,38')에 의해 둘러싸이는 결합 홈(37)이 형성된다. 제2 공간부 후방 단부에는 스프링(90)의 일측 단부가 위치되는 제1 스프링 홈(43)이 형성되며, 제2 공간부 바닥면 측부에는 제2 측홈(40)이 형성된다.
도 3과 함께 버튼 시트(50)의 저면을 보여주는 도 4를 참조하면, 버튼 시트(50)는 전체적으로 판과 같은 형태를 갖되 중앙에 중앙홈(51)이 형성되는 부재로서, 제2 공간부(30)의 제1 안착부(31)에 위치되어 고정되도록 각각 제1 안착부의 전방 홈(32)과 후방 홈(33)으로 삽입되어 결착되는 전방 돌기(55)과 후방돌기(56)를 하부에 갖는다. 버튼 시트(50)의 상부에는 전방 위치에 돌기 형태의 스토퍼(54)와, 중앙홈(51) 방향으로 경사진 얕은 홈 형태의 안치 홈(53)이 형성되며, 이들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과 함께 버튼(60)의 저면을 보여주는 도 5를 참조하면, 버튼(60)은 판상의 시트부(63) 위에 손가락으로 누르기 편하도록 가압부(61)가 형성되고 이 가압부 전방에는 전방 개방구(62)가 형성된다. 판상의 시트부(63) 하부에는 전방 위치에 제1 돌기(64)가 형성되고 후방 위치에 제2 돌기(65)가 형성된다. 이들 돌기(64,65)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판상의 시트부(63) 측부에는 걸림턱(69)을 갖는 제3 돌기(66)가 형성되되, 이 돌기(66)는 제2 공간부(30)의 제1 측홈(39)으로 삽입되도록 위치된다. 한편, 버튼의 판상 시트부(63)의 하부 중앙에는, 후술될 이동부재(80)의 경사 홈(83)으로 삽입되는, 경사돌기(67)가 형성되며 밑면(68)은,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된다.
도 3과 함께 판상부재(70)의 저면을 보여주는 도 6을 참조하면, 판상부재(70)는 중앙부 홈(72)을 갖는 대체적으로 사각형의 동체(71)로 구성된 판상의 부재로서, 제2 공간부의 제2 안착부(35)에 상,하로 축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를 위해 판상부재(70)의 후방에는 핀(77)에 의해 제2 안착부(35)의 핀 홈(36)에 고정되도록 핀 구멍(7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후방이 고정되므로 판상부재(70)의 전방이 상,하로 축회전하게 된다. 핀(77)에 의해 고정되어도 원활한 축회전을 위해 판상부재 동체(71)는 적당한 탄성을 갖는 재료,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판상부재의 전방에는 동체(7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평판 돌기(74)가 형성되며, 판상부재의 하부에는 후크(75)가 형성된다.
도 3과 함께 이동부재(80)의 저면을 보여주는 도 7을 참조하면, 이동부재(80)는, 평평한 저면(86)과 경사진 전방 경사부(87)를 갖는, 대체적으로 원기둥과 같은 형태를 갖는 부재이다. 이동부재(80)의 상부에는, 전술한 버튼의 경사돌기(67)가 삽입되는, 경사홈(83)이 형성된다. 이 경사 홈(83)은 버튼의 경사돌기(67)의 밑면(68)과 동일한 경사를 갖는 경사면(84)을 갖는다. 이동부재(80)의 측부에는 측돌기(85)가 형성된다. 이 측돌기(85)의 전방에는 전술한 판상부재(70)의 후크(75)가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후크 홈(81)이 형성되며, 측홈(82)이 후크 홈(81)의 개방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동부재(80)의 후방에는 하부를 향해 개방되는 중공형 원기둥 형태의 제2 스프링 홈(89)이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8 (또는 도 9)을 참조하여 각 부재의 위치와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8과 9에는 편의상 주방용기(1)의 소켓(2)만 도시하였고 도시의 간편화를 위해 일부 구성부들은 생략하였으며, 도 3에서 볼 수 있는 제2 공간부(30)의 일부 요소들에 대한 참조번호는 편의상 표시하지 않았으나 도 3을 참조하면 아래의 설명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스프링(90)은 일 단부가 제2 공간부(30)의 후방 단부에 형성되는 제1 스프링 홈(43)으로 삽입되고 다른 단부가 이동부재(80)의 후방에 형성되는 제2 스프링 홈(89)으로 삽입되어 이동부재(80)가 제2 공간부(30)의 후방 단부벽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하며, 이동부재(80)는 그 저면(86)이 제2 공간부(30)의 바닥면에 위치하되 이동부재의 측돌기(85)가 제2 공간부의 측홈(40)에 위치하도록 스프링(90)과 이동부재(80)가 제2 공간부(30) 하부에 위치된다. 다음으로, 판상부재(70)가 제2 공간부의 제2 안착부(35)에 위치된 후, 판상부재(70)의 핀구멍(73)을 관통하여 제2 안착부(35)의 핀홈(36)으로 삽입되는 핀(77)에 의해 제2 안착부(35)에 고정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판상부재의 동체(71)는 탄성부재로 구성되고 중앙부 홈(72)이 형성되므로, 판상부재 후방이 핀(77)에 의해 고정되면 판상부재(70) 전방은 그 후방을 축으로 하여 용이하게 축회전 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버튼(60)의 경사돌기(67)가 판상부재(70)의 중앙부홈(72)을 관통하여 이동부재(80)의 경사홈(83)으로 삽입되도록 판상부재(70) 상부에 위치된다. 마지막으로 버튼(60)의 가압부(61)가 버튼 시트(50)의 중앙홈(51)을 관통하여 돌출하도록 버튼 시트(50)를 제2 공간부의 제1 안착부(31)에 위치시키면서 버튼 시트의 각 전방돌기(55)와 후방돌기(56)가 각각 제1 안착부의 전방홈(32)과 후방홈(33)으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버튼시트(50)를 제1 안착부(31)에 고정한다. 이렇게 하여 손잡이(10)가 완성된다. 이 상태에서 버튼(60)의 판상 시트부(63) 하부에 형성된 제 2, 3 돌기(65,66)는 각각 결합홈(37)과 제1 측홈(39)으로 삽입되어 위치되며, 따라서 버튼(60)은 제2 공간부(30) 내에서 상,하로 운동할 수 있다. 한편, 버튼의 판상 시트부(63)는 버튼 시트(50)의 하면과 중첩하여 위치됨으로써 버튼(60)이 제2 공간부(30)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상,하 운동을 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9를 참조하여 손잡이(10)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손잡이(10)와 주방용기의 소켓(2)이 분리된 상태에서 손잡이를 소켓과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손잡이를 반시계 방향으로 적당히 회전시키며 소켓을 손잡이의 제1 공간부(20)로 삽입한다. 이때,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손잡이와 소켓이 결합하기 전에 버튼(60)은 하향 위치에 있게 되며, 이 상태에서 버튼(60)의 경사돌기(67)는 이동부재(80)의 경사홈(83) 내에 깊숙히 위치한다. 한편, 이동부재(80)는, 도 10(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상부재(70)의 후크(75)와 이동부재의 후크 홈(81)이 결합하여서 스프링(90)을 압축한 채로 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상태에서 소켓(2)을 손잡이의 제1 공간부(20)로 좀더 깊숙이 삽입하면서 손잡이를 시계 방향으로 더욱 회전하면 소켓 상부면(4)의 전방단부가 판상부재(70)의 평판 돌기(74)를 상부로 밀게 된다. 이에 의해 판상부재(70)는 핀(77)을 중심으로 상부로(즉, 도시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축회전하게 되며, 이러한 축회전은 판상부재(70)의 후크(75)와 이동부재의 후크 홈(81)의 결합을 해제하게 된다. 이러한 해제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80)가 스프링(90)의 복원력에 의해 전방(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판상부재의 후크(75)는 이동부재의 측홈(82)에 위치한 상태로 된다. 이러한 이동부재(80)의 전방이동은 이동부재의 경사 홈(83)의 경사면(84)과 맞물린 버튼의 경사돌기(67)의 밑면(68)에 대해 상부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을 발생시켜서 버튼(60)을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동부재(8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의 전방 경사부(87)는 소켓(2)의 중공부(3)로 삽입된다. 이러한 이동부재의 전방 경사부(87)와 소켓 중공부(3)의 결합으로 인해 소켓(2)의 외측면, 즉 상부면(4), 경사면(6) 및 하부면(7)이 손잡이의 제1 공간부(20)의 내측면, 즉 제1 상부경사면(23), 제2 상부 경사면(25) 및 하부경사면(21)에 압착되면서 소켓(2)과 손잡이(10)가 결합하게 된다. 이러한 압착은 상대적으로 넓은 소켓 외측면과 손잡이 제1 공간부 내측면에 걸쳐 일어나므로 소켓과 손잡이는 견고하게 결합된다. 나아가서, 소켓(2)의 상부면(4)에 형성된 돌기(5)가 손잡이 제1 공간부(20)에 형성된 홈(27)으로 삽입되어서 손잡이가 소켓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한다. 한편, 상부로 이동한 버튼(60)은 판상의 시트부(62)가 버튼 시트(50)의 후방 하면에 의해 저지되어 제2 공간부(30)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은 버튼(60)의 상,하 이동은, 각 부재의 결합관계를 설명한 부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버튼의 판상 시트부(63) 하부에 형성된 제 2, 3 돌기(65,66)가 각각 제1 측홈(39)과 결합홈(37)으로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서 진행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소켓(2)과 손잡이(10)가 결합된 상황에서 버튼(60)이 우연히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려면 버튼(60)의 가압부(61)를 손가락으로 밀어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도 3을 참조하면, 버튼(60)의 상,하 운동 중의 대부분의 위치에서는 버튼의 전방운동이 버튼 시트(50)의 스토퍼(54)에 의해 제한되나, 도 9와 같이 버튼이 최고의 위치에 있을 때는 버튼의 전방운동은 버튼 시트의 스토퍼(54)가 버튼에 형성된 전방 개방구(62)로 삽입될 수 있어서 방해받지 않는다. 이러한 버튼(60)의 전방이동시 버튼의 제1 돌기(64)는 버튼 시트(50)의 안치홈(53)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버튼의 전방이동은 버튼의 제2 돌기(65)가 결합홈(37) 위치로부터 이탈하여서 제2 돌기(65)의 하면이 벽체(38)를 향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이러한 버튼의 전방이동 위치에서는 버튼(60)에 대해 우연한 가압이 발생하더라도 버튼의 하향 이동이 버튼 시트(50)와 공간부(30)에 형성된 벽체(38)에 의해 제한되게 된다. 한편, 제2 공간부(30) 측벽을 따라 전,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며 제3돌기(66)가 위치되는 제1 측홈(39)의 상단부에는 제1 측홈(39)의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단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3돌기(66)의 걸림턱(69)(도 5 참조)이 이 걸림단에 의해 제3 돌기(66)가 제1 측홈(39)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따라서 버튼(60)의 전방이동에 의해 버튼(60)의 판상의 시트부(62)가 버튼 시트(50)의 후방 하면에 의한 저지작용을 받지 않더라도 버튼(60)이 제2 공간부(30)로부터 이탈하지 않는다.
다음에는, 도9를 참조하여 소켓(2)과 손잡이(10)의 분리를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9의 상태에서 손잡이의 버튼(60)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위치에 있으며, 버튼의 가압부(61)를 손가락으로 누르면 버튼은 하향이동한다. 이러한 버튼(60)의 하향이동은 버튼의 경사돌기(76)의 밑면(68)을 통해 이동부재(80)의 경사홈(83)의 경사면(84)을 가압함으로써 이동부재(80)에 대해 후방으로 가압하는 힘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이동부재(80)는, 도 10(b)를 참조하면, 스프링(90)을 압축시키며 후방(화살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후방 이동위치에서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부재(70)의 후크(75)와 이동부재의 후크 홈(81)이 결합하여서 이동부재(80)의 전방이동이 제한된다. 이러한 이동부재(80)의 후방이동으로 인해 이동부재의 전방 경사부(87)가 소켓(2)의 중공부(3)로부터 이탈하게 하며, 따라서 소켓(2)의 외측면과 손잡이의 제1 공간부(20) 간의 압착이 해제되며 동시에 소켓의 돌기(5)가 제1 공간부의 홈(27)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를 반시계방향으로 약간 회전시키면 도 8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이렇게 소켓(2)과 손잡이(10)가 위치된 상태에서 손잡이를 더욱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후방으로 이동시켜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과 손잡이를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후술될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주방용기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중공형 소켓과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는 탈착식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가 주방용기를 향하는 단부로부터 연장되며 주방용기의 소켓이 삽입되는 제1 공간부와, 제1 공간부로부터 연장되며 상부로 개방되되 상부에 제1 안착부가 형성되고 그 하부에 제2 안착부가 형성되는 제2 공간부를 가지며,
    상기 제2 공간부에는 상기 소켓과 분리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버튼부가 위치되며,
    상기 버튼부는 a)중앙홈을 가지며 상기 제1 안착부에 고정되는 버튼 시트, b)버튼 시트의 중앙홈을 관통하여 위치되며 제2 공간부를 따라 상,하로 운동하는 버튼, c)스프링, d)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용기방향 단부를 향해 전,후방으로 운동하되 상기 스프링에 의해 전방으로 운동하고 상기 버튼의 하향 운동에 의해 후방으로 운동하는 이동부재, 및 e)상기 제2 안착부에 상,하로 축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되 상기 이동부재와 분리가능하게 결합하여서 이동부재의 전방운동을 제어하는 판상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판상부재의 후방이 제2 안착부에 고정되고 판상부재는 탄성부재로 구성되어서 판상부재의 전방이 제2 안착부에 고정된 판상부재의 후방을 축으로 하여 상,하로 축회전 할 수 있으며,
    상기 소켓이 손잡이의 제1 공간부로 삽입되면 소켓의 상단부가 판상부재를 축회전시켜서 판상부재와 이동부재의 결합을 해제하고, 결합이 해제된 이동부재는 스프링에 의해 전방운동을 하여서 이동부재의 전방부가 소켓의 중공부로 삽입됨으로써 소켓의 외측면이 제1 공간부의 내측면에 압착되어 소켓과 손잡이가 결합하며, 버튼을 하향 가압하면 이동부재는 버튼에 의해 후방으로 운동하고 판상부재와 결합하여 후방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소켓과 손잡이가 분리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손잡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의 하부에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상부에 상기 경사 돌기가 삽입되는 경사 홈이 형성됨으로써 버튼의 하향운동에 의해 이동부재가 후방으로 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손잡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부재의 하부에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재의 상부에는 후크가 삽입되는 후크 홈이 형성됨으로써 판상부재와 이동부재가 분리가능하게 결합하되, 이동부재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후크가 후크 홈과 결합하여서 이동부재의 전방운동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손잡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상부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1 공간부의 상부 벽면에 소켓의 외측면이 제1 공간부의 내측면에 압착될 때 소켓의 돌기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손잡이.
  5. 제 1항에 있어서, 버튼 하부 전방에 제1 돌기가 형성되고 버튼 하부 후방에 제2 돌기가 형성되며, 버튼 시트 전방에는 버튼 제1 돌기가 위치되는 안치 홈이 형성되고 제2 공간부의 후방에는 벽체에 의해 둘러싸인 결합 홈이 형성되되, 버튼의 제2 돌기가 결합 홈으로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있을 때는 버튼이 제2 공간부를 따라 상,하로 운동할 수 있으나 버튼을 전방으로 밀면 버튼의 제1 돌기는 버튼 시트의 안치 홈에 위치되고 제2 돌기는 상기 벽체의 상면과 접함으로써 버튼의 상,하 운동이 방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착식 손잡이.
  6. 삭제
KR1020150016455A 2015-02-03 2015-02-03 탈착식 손잡이 KR101528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455A KR101528452B1 (ko) 2015-02-03 2015-02-03 탈착식 손잡이
CN201580009107.5A CN106061342B (zh) 2015-02-03 2015-08-20 拆装式把手
PCT/KR2015/008674 WO2016125967A1 (ko) 2015-02-03 2015-08-20 탈착식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455A KR101528452B1 (ko) 2015-02-03 2015-02-03 탈착식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8452B1 true KR101528452B1 (ko) 2015-06-11

Family

ID=53503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455A KR101528452B1 (ko) 2015-02-03 2015-02-03 탈착식 손잡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28452B1 (ko)
CN (1) CN106061342B (ko)
WO (1) WO2016125967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723B1 (ko) * 2015-08-18 2016-11-08 김주홍 용기 손잡이 매개체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손잡이 어셈블리
KR101959964B1 (ko) * 2017-12-20 2019-03-20 주식회사 포켓드림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KR101958114B1 (ko) * 2017-10-19 2019-07-0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스렌지 사용이 가능한 분리형 전기포트
KR20200082897A (ko) *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포켓드림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KR102240532B1 (ko) * 2020-10-30 2021-04-15 김현우 회전손잡이를 갖는 용기
US11992162B2 (en) 2018-12-31 2024-05-28 Poketdream Inc. Container having attachable/detachable hand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8481A1 (en) * 2022-07-19 2024-01-25 Parsana Anish Rotating detachable handle assembly for culinary vessel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762Y1 (ko) * 2003-06-03 2003-08-19 권만현 조리 용기용 손잡이
KR20120025460A (ko) * 2009-04-27 2012-03-15 라 터모플라스틱 에프.비.엠. 에스.알.엘.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용기의 손잡이를 부착 및 분리하기 위한 시스템
KR20120028819A (ko) * 2010-09-15 2012-03-23 이만수 탈착식 손잡이가 달린 주방용기
KR20120108372A (ko) * 2011-03-24 2012-10-05 김명임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49388A5 (ko) * 1969-06-09 1971-03-26 Equipinox
JP3129264U (ja) * 2006-11-06 2007-02-15 株式会社 協和ロジテッ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762Y1 (ko) * 2003-06-03 2003-08-19 권만현 조리 용기용 손잡이
KR20120025460A (ko) * 2009-04-27 2012-03-15 라 터모플라스틱 에프.비.엠. 에스.알.엘.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용기의 손잡이를 부착 및 분리하기 위한 시스템
KR20120028819A (ko) * 2010-09-15 2012-03-23 이만수 탈착식 손잡이가 달린 주방용기
KR20120108372A (ko) * 2011-03-24 2012-10-05 김명임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723B1 (ko) * 2015-08-18 2016-11-08 김주홍 용기 손잡이 매개체 및 이를 포함하는 용기 손잡이 어셈블리
KR101958114B1 (ko) * 2017-10-19 2019-07-04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스렌지 사용이 가능한 분리형 전기포트
KR101959964B1 (ko) * 2017-12-20 2019-03-20 주식회사 포켓드림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KR20200082897A (ko) *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포켓드림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WO2020141726A3 (ko) * 2018-12-31 2020-08-27 주식회사 포켓드림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KR102206531B1 (ko) * 2018-12-31 2021-01-22 주식회사 포켓드림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US11992162B2 (en) 2018-12-31 2024-05-28 Poketdream Inc. Container having attachable/detachable handle
KR102240532B1 (ko) * 2020-10-30 2021-04-15 김현우 회전손잡이를 갖는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061342A (zh) 2016-10-26
WO2016125967A1 (ko) 2016-08-11
CN106061342B (zh) 2019-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8452B1 (ko) 탈착식 손잡이
KR101140459B1 (ko) 탈착식 손잡이가 달린 주방용기
JP4685167B2 (ja) 調理容器用着脱式取っ手
KR100566137B1 (ko) 식품 조리용기, 특히, 프라이팬용 손잡이 장치
JP4751452B2 (ja) 積み重ね可能な調理器具用ハンドルおよびそのようなハンドルと器具とのセット
JP5970616B2 (ja) 調理容器用着脱式取っ手
KR101037656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215223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JP2009536072A (ja) 取り外し可能な刃組立体を含むフード・ミル
KR101140398B1 (ko)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JP2010167250A (ja) 着脱斜め把手の片手鍋。
JP6033964B2 (ja) 調理容器用着脱式取っ手
JP6178922B2 (ja) 調理容器用着脱式両手取っ手
KR101570707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150064336A (ko)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
KR101593377B1 (ko) 주방용기용 탈착식 손잡이
KR101202930B1 (ko) 조리용기의 탈,부착 손잡이
KR101520321B1 (ko) 조리용기용의 착탈식 손잡이
KR20100028676A (ko) 조리용기의 탈부착형 손잡이
KR101644365B1 (ko) 프라이팬용 착탈식 손잡이
KR101083126B1 (ko) 간격조절이 가능한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CN210989852U (zh) 铲勺
KR101568941B1 (ko) 음식 조리 기구
KR101598300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0988278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