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8941B1 - 음식 조리 기구 - Google Patents

음식 조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8941B1
KR101568941B1 KR1020140140697A KR20140140697A KR101568941B1 KR 101568941 B1 KR101568941 B1 KR 101568941B1 KR 1020140140697 A KR1020140140697 A KR 1020140140697A KR 20140140697 A KR20140140697 A KR 20140140697A KR 101568941 B1 KR101568941 B1 KR 101568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embers
plate
toothed portion
plate member
toot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규
조수민
Original Assignee
박상규
조수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규, 조수민 filed Critical 박상규
Priority to KR1020140140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9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8Other culinary hand implements, e.g. spatulas, pincers, forks or like food holders, ladles, skimming ladles, cooking spoons; Spoon-holders attached to cooking p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음식물의 크기에 맞추어 뒤집개의 판 부재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음식 조리 기구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일면에 복수개의 제1톱니부가 구비되는 제1판부재; 제1판부재와 동일 선상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제1톱니부와 맞물리는 제2톱니부가 구비되는 제2판부재; 및 제1 및 제2판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판부재가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제1 판부재가 제2판부재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음식 조리 기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음식 조리 기구{Food cookware}
본 발명은 음식 조리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조리용 뒤집개의 구성을 간단히 살펴보면 하부에는 음식물에 잔류한 기름을 거를 수 있도록 장방향으로 다수개 구멍을 형성하여 조리물을 뒤집는 평탄부와, 조리 시 전달되는 열로 인한 화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열전도도가 낮은 소재로 이루어진 손잡이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조리용 뒤집개는 음식물을 튀기거나 볶는 과정에서 조리자가 손잡이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평탄부를 이용해서 음식물을 뒤집어주거나 밀어주어 음식물을 골고루 익혀주는데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조리용 뒤집개는 평탄부의 너비가 단일구조로 되어 있어 면적이 큰 음식물을 뒤집기가 다소 불편한 점이 있었고 너비가 너 넓은 뒤집개를 일일이 구비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다양한 음식물의 크기에 맞추어 뒤집개의 판 부재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음식 조리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면에 복수개의 제1톱니부가 구비되는 제1판부재; 제1판부재와 동일 선상에 구비되며, 복수개의 제1톱니부와 맞물리는 제2톱니부가 구비되는 제2판부재; 및 제1 및 제2판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판부재가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제1 판부재가 제2판부재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음식 조리 기구를 제공한다.
이때, 제1톱니부 및 제2톱니부는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1 및 제2톱니부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동심원 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톱니부와 맞물리는 제1톱니부의 적어도 일면에는 포물선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제1톱니부와 맞물리는 제2톱니부의 면에는 제1톱니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일측이 제1 및 제2판부재에 결합되고, 타측이 파지부에 결합되는 작동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파지부의 외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일측이 작동부재에 결합되는 작동레버를 더 포함하며, 작동레버의 작동에 의하여 작동부재를 제1 및 제2판부재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및 제2판부재를 상호 이격시킬 수 있다.
이때, 파지부의 말단에는 걸고리가 구비되고, 작동레버의 타측에는 걸고리가 결착되는 걸림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파지부는: 파지부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는 복수개의 장공; 및 작동부재의 타측에서 파지부의 외부로 돌출되게 결합되며, 복수개의 장공에 걸리는 복수개의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가압부재의 걸림돌기를 가압하여 작동부재를 제1 및 제2판부재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제1 및 제2판부재를 상호 이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조리 기구는 제1 및 제2판부재에 제1 및 제2톱니부를 형성하고, 제1 및 제2톱니부가 서로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의 크기에 따라 제1 및 제2판부재를 상호 이격시켜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제1 및 제2판부재를 상호 이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조리 기구 중 뒤집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사용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 조리 기구 중 뒤집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8a 및 8b는 도 5의 사용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 조리 기구 중 뒤집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단면 사시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사용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용 뒤집개(100)는 음식물을 뒤집기 위해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판부재(110, 120)와, 제1 및 제2판부재(110, 1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판부재(110, 120)는 상호 이격될 수 있도록 상호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판부재(110, 120)가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제1판부재(110)가 제2판부재(120)의 일측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판부재(110)의 일면에는 복수개의 제1톱니부(11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2판부재(120)는 제1판부재(110)와 동일 선상에 구비될 수 있고, 제1판부재(110)의 마주하는 제2판부재(120)의 면에는 복수개의 제1톱니부(112)와 맞물리는 복수개의 제2톱니부(122)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1톱니부(112)와 제2톱니부(122)는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제1 및 제2톱니부(112, 122)는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되,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동심원 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제1 및 제2판부재(110, 120)는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제1 및 제2톱니부(112, 122)가 상호 이격되는 경우 제1판부재(110) 또는 제2판부재(120)가 동일 선상에 있지 않고 제1 및 제2판부재(110, 120) 중 어느 하나의 판부재가 쳐지는 방지하기 위하여 동심원 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톱니부(122)와 맞물리는 제1톱니부(112) 적어도 일면에는 포물선 형상의 돌출부(114)가 형성되며, 제1톱니부(112)와 맞물리는 제2톱니부(122) 일면에는 제1톱니부(112)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부(114)는 제2톱니부(122)와 맞물리는 제1톱니부(112)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될 수 있고, 홈(124)은 돌출부(114)에 대응하여 제2톱니부(122)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톱니부(112)의 일면에 돌출부(114)가 형성되고, 그와 마주보는 제2톱니부(122)의 일면에 홈(124)이 형성되면, 동일평면 상에 배치된 상태로 제1판부재(110)가 제2판부재(120)에 대하여 회전할 때, 제2톱니부(122)의 홈(124)이 제1톱니부(112)의 돌출부(114)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판부재(110, 120)의 힌지 결합은 파지부(130)와 결합될 수 있다.
파지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판부재(110, 12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파지부(130)와 제1 및 제2판부재(110, 120) 사이에는 작동 부재(140)가 구비될 수 있다.
파지부(130)의 외부에는 작동 레버(15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작동 레버(150)는 파지부(130)의 외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되, 작동 레버(150)의 일부가 작동 부재(140)의 이동부(144)에 형성된 한 쌍의 연결핀(149)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파지부(130)의 일측, 즉 작동 부재(140)와 연결되는 파지부(130) 측에 탄성 스프링(132)이 설치될 수 있다.
작동 부재(140)는 중공의 몸체(142)와, 몸체(142) 내부에 설치되되, 일단이 제1 및 제2판부재(110, 120)에 결합되고, 타단의 일부가 파지부(130) 내부에 수용되는 이동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파지부(130)의 말단에는 걸고리(134)가 구비되고, 작동레버(150)의 타측에는 걸고리(134)가 결착되는 걸림턱(152)이 구비될 수 있다.
몸체(142)는 제1 및 제2판부재(110, 120)와 결합되는 지지편(148)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144)는 일단에 제1 및 제2판부재(110, 120)에 형성된 가이드 홈(116, 126)에 연결되는 가이드 핀(147)과, 타단에 작동 레버(150)와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핀(149)을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130)의 탄성 스프링(132)은 파지부(130) 내에 수용되는 이동부(144)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작동 레버(150)의 작동에 의해 탄성 스프링(132)을 가압하는 플랜지(136)가 탄성 스프링(132)의 타측에 설치될 수 있다.
즉, 탄성 스프링(132)의 일측은 몸체(142)와 연결되는 파지부(130)의 일측에 연결되고, 탄성 스프링(132)의 타측은 플랜지(136)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뒤집개의 사용법을 간단히 살펴보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레버(150)가 파지부(130) 방향으로 당겨지면, 작동 레버(150)와 연결되는 연결핀(149)이 제1 및 제2판부재(110, 120) 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이때, 파지부(130)의 걸고리(134)는 작동레버(150)의 걸림턱(152)에 결착시킴으로써, 작동레버(150)가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사용자가 더 이상의 힘을 작동레버(150)에 가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핀(149)이 구비되는 이동부(144)가 제1 및 제2판부재(110, 120)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때, 이동부(144)의 이동에 의해 플랜지(136)는 탄성 부재(132)를 제1 및 제2판부재(110, 120)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후, 이동부(144)의 가이드 핀(147)은 전진하게 되고, 제1 및 제2판부재(110, 120)에 형성된 가이드 홀(116, 126)은 가이드 핀(147)을 따로 파지부(13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제1 및 제2판부재(110, 120)는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제1톱니부(112)에 형성되는 돌출부는 제2톱니부(122)에 형성된 홈을 따라 이동하여 걸리게 된다.
따라서, 음식 조리 기구 중 뒤집개는 제1 및 제2판부재에 제1 및 제2톱니부를 형성하고, 제1 및 제2톱니부가 서로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의 크기에 따라 제1 및 제2판부재를 상호 이격시켜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파지부에 작동레버 및 작동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제1 및 제2판부재를 상호 이격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식 조리 기구 중 뒤집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단면 사시도이며, 도 8a 및 8b는 도 5의 사용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뒤집개(200)는 도 1 및 도2와 같이 음식물을 뒤집기 위해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판부재(210, 220)와, 제1 및 제2판부재(210, 220)의 일측에 결합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2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비교하면, 도 4 및 도 6에서는 제1 및 제2판부재(210, 220)를 상호 이격시키는 파지부(230) 구성에 차이가 있다.
아울러, 도 5에 도시된 제1 및 제2판부재(210, 220)와, 작동 부재(240)의 구성은 도 1 및 도 2의 상세한 설명에 기술된 바와 같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230)는 파지부(230)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는 복수개의 장공(234), 및 작동부재(240)의 타측에서 파지부(230)의 외부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가압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재(250)에는 복수개의 장공(234)에 걸리는 복수개의 걸림돌기(25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재(250)의 걸림돌기(252)가 가압되어 작동부재(240)를 제1 및 제2판부재(210, 220)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 및 제2판부재(210, 220)를 상호 이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 뒤집개의 사용법을 간단히 살펴보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130)의 말단 외부로 돌출된 가압부재(250)의 누름부(254)를 제1 및 제2판부재(210, 220) 방향으로 누른다.
이에, 가압부재(250)는 이동부(244)를 제1 및 제2판부재(210, 220) 방향으로 가압되며 전진하게 된다.
이때, 가압부재(250)에 구비되는 제1걸림돌기(252a)는 제1장공(234a)에서 제2장공(234b)으로 이동하여 걸리게 되며, 이에 플랜지(236)는 탄성부재(232)를 가압하는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후,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244)의 전진에 의해, 제1 및 제2판부재(210, 220)에 형성된 가이드 홀들(216, 226)은 가이드 핀(247)을 따라 파지부(23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제1 및 제2판부재(210, 220)는 상호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음식 조리 기구 중 뒤집개는 제1 및 제2판부재에 제1 및 제2톱니부를 형성하고, 제1 및 제2톱니부가 서로 맞물리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의 크기에 따라 제1 및 제2판부재를 상호 이격시켜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파지부에 가압부재 및 작동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수동이 아닌 자동으로 제1 및 제2판부재를 상호 이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200 : 음식 조리 기구 110, 210 : 제1판부재
112, 212 : 제1톱니부 120, 220 : 제2판부재
122, 222 : 제2톱니부 130, 230 : 파지부
140, 240 : 작동 부재 150 : 작동 레버
250 : 가압부재

Claims (8)

  1. 일면에 복수개의 제1톱니부가 구비되는 제1판부재;
    상기 제1판부재와 동일 선상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제1톱니부와 맞물리는 제2톱니부가 구비되는 제2판부재;
    상기 제1 및 제2판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는 파지부;
    일측이 상기 제1 및 제2판부재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파지부에 결합되는 작동부재; 및
    상기 파지부의 외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되, 일측이 상기 작동부재에 결합되는 작동레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판부재가 상호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1 판부재가 상기 제2판부재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작동레버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작동부재를 상기 제1 및 제2판부재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판부재를 상호 이격시키는 음식 조리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톱니부 및 상기 제2톱니부는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음식 조리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제1 및 제2톱니부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동심원 상으로 배치되는 음식 조리 기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톱니부와 맞물리는 상기 제1톱니부의 적어도 일면에는 포물선 형상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톱니부와 맞물리는 상기 제2톱니부의 면에는 상기 제1톱니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되는 음식 조리 기구.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의 말단에는 걸고리가 구비되고, 상기 작동레버의 타측에는 상기 걸고리가 결착되는 걸림턱이 구비되는 음식 조리 기구.

  8. 삭제
KR1020140140697A 2014-10-17 2014-10-17 음식 조리 기구 KR101568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697A KR101568941B1 (ko) 2014-10-17 2014-10-17 음식 조리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697A KR101568941B1 (ko) 2014-10-17 2014-10-17 음식 조리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8941B1 true KR101568941B1 (ko) 2015-11-12

Family

ID=54610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697A KR101568941B1 (ko) 2014-10-17 2014-10-17 음식 조리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9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197Y1 (ko) * 2016-07-29 2018-01-10 하예라 뒤집개 겸용 국자 어셈블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0095B2 (ja) * 1989-04-19 2000-08-21 ニチバン株式会社 硬化性粘着性樹脂組成物
KR200235526Y1 (ko) * 2001-03-26 2001-10-10 안영주 너비가 확장되는 뒤집개
JP2002028091A (ja) * 2000-07-13 2002-01-29 Freedom Inc フライ返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80095B2 (ja) * 1989-04-19 2000-08-21 ニチバン株式会社 硬化性粘着性樹脂組成物
JP2002028091A (ja) * 2000-07-13 2002-01-29 Freedom Inc フライ返し
KR200235526Y1 (ko) * 2001-03-26 2001-10-10 안영주 너비가 확장되는 뒤집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197Y1 (ko) * 2016-07-29 2018-01-10 하예라 뒤집개 겸용 국자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5167B2 (ja) 調理容器用着脱式取っ手
US10561275B2 (en) Cooking device
US2243305A (en) Pot holder
JP2010017532A (ja) 調理容器用脱着式把手
KR101215223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JP2011513025A (ja) 調理容器の着脱型取手
KR101248661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TWD207213S (zh) 燒烤爐
KR101528452B1 (ko) 탈착식 손잡이
WO2018212888A1 (en) Spatula with channels for turning food
US20150305570A1 (en) Flipper tong assembly
WO2013173124A1 (en) Multifunctional cooking utensil
KR101140398B1 (ko)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KR101568941B1 (ko) 음식 조리 기구
JP6178922B2 (ja) 調理容器用着脱式両手取っ手
KR101388894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300211B1 (ko) 조리 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0389937Y1 (ko) 주방용 조리기구
KR101593377B1 (ko) 주방용기용 탈착식 손잡이
KR200466052Y1 (ko) 조리용구의 거치가 가능한 조리기구용 손잡이
CN105105654A (zh) 一种弹性自动烧烤纸固定器
JP6542391B2 (ja) 調理容器用着脱式取っ手
KR101540700B1 (ko) 조리 기구 및 그 손잡이 장치
US10327592B2 (en) Pivoting device for a cooking equipment
US9521931B2 (en) Detachable slee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