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0700B1 - 조리 기구 및 그 손잡이 장치 - Google Patents

조리 기구 및 그 손잡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0700B1
KR101540700B1 KR1020130065814A KR20130065814A KR101540700B1 KR 101540700 B1 KR101540700 B1 KR 101540700B1 KR 1020130065814 A KR1020130065814 A KR 1020130065814A KR 20130065814 A KR20130065814 A KR 20130065814A KR 101540700 B1 KR101540700 B1 KR 101540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pair
main body
insertion groove
insertion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5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3978A (ko
Inventor
이동형
Original Assignee
(주)리셰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리셰프 filed Critical (주)리셰프
Priority to KR1020130065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0700B1/ko
Publication of KR20140143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0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0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2Bowl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리 기구의 한 특징은 본체,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된 돌출부, 상기 돌출부와 연결되는 결합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에 위치하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와 접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홈, 그리고 상기 제1 삽입홈을 사이에 두고 좌측과 우측 부분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손잡이가 삽입되는 한 쌍의 제2 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2 삽입홈 각각은 제1 내측면을 구비한 제1 부분과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 내측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한 제2 내측면을 갖는 제2 부분을 구비한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제2 내측면에 위치하여 회전한다.

Description

조리 기구 및 그 손잡이 장치{COOKWARE AND HANDLE EQUIPMENT THEREOF}
본 발명은 조리 기구 및 그 손잡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 기구는 주로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조리된 음식물을 보관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조리 기구는 위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열 등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조리 기구에 부착되어 있는 손잡이는 위치나 부착 상태를 변경할 수 없는 형태로 조리 기구에 부착되어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조리 기구에서 튀어나온 손잡이로 인해 많은 수납 공간을 차지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2-0107343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조리 기구의 수납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조리 기구는 본체,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된 돌출부, 상기 돌출부와 연결되는 결합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에 위치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와 접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홈, 그리고 상기 제1 삽입홈을 사이에 두고 좌측과 우측 부분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손잡이가 삽입되는 한 쌍의 제2 삽입홈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제2 삽입홈 각각은 제1 내측면을 구비한 제1 부분과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 내측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한 제2 내측면을 갖는 제2 부분을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제2 내측면에 위치하여 회전한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제2 내측면과 접하는 제1 절삭면을 포함하고, 제1 내측면과 제2 내측면 사이에 위치한 상기 제2 부분의 면과 접할 때까지 회전하는 것이 좋다.
상기 특징에 따른 조리 기구는 상기 한 쌍의 제2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몸체의 내측 하부면에 접하는 면에서부터 상기 몸체의 상부면 쪽으로 형성된 삽입홈을 각각 구비하는 한 쌍의 위치 고정체,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삽입홈 각각에 삽입하는 한 쌍의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높이가 변함에 따라 상기 본체의 외측 직경의 크기가 변할 수 있다.
상기 특징에 따른 조리 기구는 상기 결합부가 부착되는 상기 측면의 부분에 위치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손잡이 장치는 조리 기구와 결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홈, 그리고 상기 제1 삽입홈을 사이에 두고 좌측과 우측 부분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손잡이가 삽입되는 한 쌍의 제2 삽입홈을 포함하는 결합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에 위치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제2 삽입홈 각각은 제1 내측면을 구비한 제1 부분과 돌출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 내측면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한 제2 내측면을 갖는 제2 부분을 구비한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제2 내측면에 위치하여 회전한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제2 내측면과 접하는 제1 절삭면을 포함하고, 제1 내측면과 제2 내측면 사이에 위치한 상기 제2 부분의 면과 접할 때까지 회전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손잡이 장치는 상기 한 쌍의 제2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몸체의 내측 하부면에 접하는 면에서부터 상기 몸체의 상부면 쪽으로 형성된 삽입홈을 각각 구비하는 한 쌍의 위치 고정체,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삽입홈 각각에 삽입하는 한 쌍의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조리기구의 손잡이가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각도로 접혀지고 펴짐에 따라, 수납의 편리성과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냄비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냄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 몸체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냄비의 손잡이를 접었을 때의 내부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냄비의 본체의 측면과 손잡이가 이루는 각도가 0에서 90도 각도 사이일 때의 내부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냄비의 손잡이를 펼쳤을 때의 내부 작동 원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 기구 및 그 손잡이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로서 조리 기구 중에서 냄비와 냄비에부착된 손잡이 장치에 관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냄비(1)는 본체(10), 손잡이(20), 손잡이(20)를 본체(10)에 결합시키는 결합부(30), 그리고 결합부(30)의 내부에 위치하는 위치 고정부(40)를 구비한다.
본 예에서, 손잡이(20), 결합부(30) 및 위치 고정부(40)는 손잡이 장치를 구성한다.
본체(10)는 하부면(11)과 이 하부면(11)에 연결되어 있는 측면(12)을 구비하고 있고, 상부면은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10)의 가운데 부분은 하부면(11)과 측면(12)으로 에워싸여져 있는 빈 공간(13)으로서, 이 빈 공간(13) 내에 음식물과 같은 내용물이 담긴다.
이러한 본체(10)는 또한,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측면(12)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121), 돌출부(121)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한 체결 구멍(122), 그리고 측면(12)과 돌출부(121) 사이에 위치하는 받침대(123)를 구비한다.
돌출부(121)는 결합부(30)에 삽입되어 결합부(30)를 본체(10)와 체결시키기 위한 부분으로서,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다.
이러한 돌출부(121)는 측면(12)의 상단부, 즉 하부면(11)과 접해있는 하단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부분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돌출부(121)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한 체결 구멍(122)은 나사와 같은 체결 수단(50)이 삽입되어 돌출부(121)와 결합부(30)를 결합시킨다. 이로 인해, 손잡이(20)가 내장된 결합부(30)가 본체(10)에 부착된다.
본 예의 경우와 같은 체결 수단(50)을 이용해 돌출부(121)와 결합부(30)를 결합시키기 위해, 체결 구멍(122)에는 체결 수단(50)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되는 형태로 나사산(1221)이 위치한다.
받침대(123)는 돌출부(121)가 위치하는 본체(10)의 측면(12)에 위치하여, 본체(10)의 측면(12)에 결합부(30)가 경사지지 않고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한다.
본 예에서, 빈 공간(13)의 평면 형상은 원형 형상을 갖고 있고, 세로 방향으로의 위치, 즉 본체(10)의 높이가 변함에 따라 본체(10)의 외측 직경(D1)의 크기가 변한다. 예를 들어, 측면(12)의 높이가 증가할수록 본체(10)의 외측 직경(D1) 역시 증가한다.
따라서, 결합부(30)가 본체(10)의 측면(12)에 바로 부착될 때, 이러한 본체(10)의 외측 직경 차이로 인해 결합부(30)가 경사지게 부착되고 손잡이(20)의 회전 상태가 제한을 받게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결합부(30)가 부착되는 측면(12)의 부분에 받침대(123)를 설치하여, 측면(12)의 높이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외측 직경(D1)의 차이를 보상하여 결합부(30)가 부착되는 부분에서 받침대(123)까지 포함한 냄비(1)의 외측 직경을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하여 본체(10)에 결합부(30)가 경사지지 않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처럼, 받침대(123)는 본체(10)의 외측 직경(D1)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한 것이므로, 받침대(123)의 두께는 세로 방향으로의 위치에 따라 달라져, 본 예의 경우, 하부면(11) 쪽으로 갈수록 그 두께는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예와 달리, 측면(12)의 높이에 무관하게 외측 직경(D1)의 크기가 실질적으로 동일할 경우, 받침대(123)는 생략된다.
이러한 받침대(123)는 본체(10)의 측면(12)의 표면 형상과 같이 곡면을 갖고 있다.
이미 설명한 것처럼, 본 예에서, 본체(10)의 빈 공간(13)은 원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이나 타원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 경우, 받침대(123)가 존재할 경우, 냄비(1)의 본체(10)와 부착되는 받침대(123)의 표면 형상은 본체(10)의 표면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손잡이(20)는 결합부(30) 내에 위치하며, 일부가 개방되어 있는 사각형의 고리 형상을 갖고 있고, 서로 마주보고 있는 한 쌍의 단부에는 각각 회전부(21)가 위치한다.
각 회전부(21)는 손잡이(20)의 연장 방향과 나란한 길이 방향으로 절삭된 제1 절삭면(211)과 이 제1 절삭면(21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삭된 제2 절삭면(212)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제1 절삭면(211)과 제2 절삭면(212)은 서로 접해 있고, 제1 절삭면(211)과 제2 절삭면(212)이 이루는 각도는 대략 수직일 수 있다.
이때, 제1 절삭면(211)을 구비한 회전부(21)의 부분은 반원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고 있는 반면, 손잡이(20)의 나머지 부분은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고 있다.
이로 인해, 제1 절삭면(211)이 위치한 회전부(21)의 두께(T1)는 나머지 손잡이(20) 부분의 두께(T2)보다 작고 예를 들어, 약 1/2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절삭면(211)을 구비한 회전부(21)의 부분과 나머지 손잡이(20) 부분과의 두께 차이는 제2 절삭면(212)의 높이(T11)와 동일하다.
또한 제1 절삭면(211)의 폭(W1)과, 제1 절삭면(211)을 구비한 회전부(21)와 손잡이(20)의 나머지 부분과의 단차 부분의 두께(T11)는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본 예와 달리, 손잡이(20)의 형상은 원형이나 타원형과 같은 다른 다양한 형상의 고리 형태일 수 있다.
본 예에서 손잡이(20)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와는 달리 열에 강한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부(30)는 본체(10)의 측면(12)과 접하는, 즉, 받침대(123)와 접하는 몸체(31), 몸체(31)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고 본체(10)의 돌출부(121)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홈(32), 그리고 제1 삽입홈(32)을 사이에 두고 좌측과 우측 부분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제2 삽입홈(33)을 구비한다.
이들 제1 삽입홈(32)과 제2 삽입홈(33)은 각각 몸체(31)의 접합면(즉, 본체(10)의 받침대(123)와 접하는 면)에서부터 제1 방향(X) 쪽으로 홈이 파져 형성되고, 이들 제1 및 제2 삽입홈(32, 33) 각각이 몸체(31)와 접합하는 부분(즉, 접합 부분)은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접합 부분을 제외한 각 삽입홈(32, 33)의 내측면은 전체 또는 일부가 막혀 있다.
이미 설명한 것처럼, 돌출부(121)가 제1 삽입홈(32)에 삽입되므로, 제1 삽입홈(32)의 평면 형상은 돌출부(121)의 평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제1 삽입홈(32)의 평면 형상은 돌출부(121)의 평면 형상에 따라 달라진다. 한 예로서, 돌출부(121)의 평면 형상이 사각형이므로 제1 삽입홈(32)의 평면 형상 역시 사각형일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1)가 제1 삽입홈(32)내로 용이하게 삽입되거나 제1 삽입홈(32)으로부터 용이하게 탈거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 삽입홈(32)의 직경은 돌출부(121)의 직경보다 커, 제1 삽입홈(32)의 가로변과 세로변의 길이는 돌출부(121)의 가로변과 세로변의 길이보다 각각 크고 제1 삽입홈(32)의 깊이(L2)는 돌출부(121)의 돌출 길이(L1)와 같거나 클 수 있다.
이러한 제1 삽입홈(32)의 가운데 부분에는 체결 수단(50)이 삽입되는 삽입 구멍(321)이 위치하여, 몸체(31)의 접합면과 반대편에 위치하고 있는 제1 삽입홈(32)의 내측면은 삽입 구멍(321)에 의해 일부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체결 수단(50)은 삽입 구멍(321)을 통해 결합부(30)를 관통하여 돌출부(121)의 체결 구멍(122)과 결합된다.
제1 삽입홈(32)과 이격되어 위치한 제2 삽입홈(33) 각각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고,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다.
이때, 각 제2 삽입홈(33)내에는 몸체(31)의 접합면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내측면에서부터 몸체(31)의 접합면 쪽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여, 제2 삽입홈(33)의 내측면은 서로 깊이가 상이한 제1 내측면(3311)과 제2 내측면[즉, 몸체(31)의 접합면과 인접한 돌출부의 면](3321)을 구비한다.
본 예에서, 제1 내측면(3311)의 위치는 제2 내측면(3321)의 위치보다 낮다.따라서, 각 제2 삽입홈(33)은 제1 내측면(3311)을 구비한 제1 부분(331)과 돌출부가 형성되어 제2 내측면(3321)을 구비한 제2 부분(즉, 돌출부가 위치한 부분)(332)으로 나눠지고, 제1 내측면(3311)과 제2 내측면(3321)사이에 위치한 돌출부의 하부면인 면(3322)은 손잡이(20)의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회전 방지턱으로서 작용한다(이하에서, 이 '면(3322)'은 '회전 방지턱'이라 한다).
또한, 제2 삽입홈(33)의 개방된 측부 일부와 인접하고 제2 내측면(3321)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위치한 제2 부분(332)의 제3 내측면(3323)은 회전부(21)의 제2 절삭면(212)과 접하여 제2 방향(Y)으로 이동되는 손잡이(20)의 동작 범위를 제한한다. 따라서, 손잡이(20)는 제3 내측면(3323)에 제2 절삭면(212)이 접하게 되면 더 이상 제2 방향(Y)으로 이동되지 않는다.
이미 설명한 것처럼, 각 제2 삽입홈(33)에 손잡이(20)의 회전부(21)가 삽입되어 위치하므로, 손잡이(20)의 양 단부가 각 제2 삽입홈(33) 내로 삽입되도록 외부와 인접한 각 제2 삽입홈(33)의 측부 일부는 개방되어, 몸체(31)의 좌측 측면과 우측 측면에는 각각 'U'자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삽입홈(33)의 제2 내측면(3321) 각각에 손잡이(20)의 회전부(21)가 접하게 위치하며, 이때, 회전부(21)는 제2 삽입홈(33)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또한, 몸체(31)의 접합면에서부터 제2 내측면(3321)까지의 깊이는 각 회전부(21)의 제1 절삭면(211)의 두께(T1)보다 크고 제2 내측면(3321)의 가로폭(W2)은 각 회전부(21)의 제1 절삭면(211)의 폭(W1)보다 크므로, 회전부(21)의 회전이 용이해진다.
이러한 제1 삽입홈(32)과 제2 삽입홈(33)이 위치하지 않는 몸체(31)의 접합면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냄비(1)의 본체(10)의 측면(12)과의 용이한 접합을 위해 측면(12)과 동일하게 곡면 형상을 갖고 있다.
위치 고정부(40)는 결합부(30)의 제2 삽입홈(33)의 제1 부분(331)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위치 고정체(41), 그리고 각 위치 고정체(41)와 제2 삽입홈(33) 사이에 위치하는 스프링(spring)과 같은 한 쌍의 탄성 부재(43)를 구비한다.
각 위치 고정체(41)는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고, 제2 삽입홈(33)의 평면 형상과 대략 유사한 평면 형상을 갖고 있다.
각 위치 고정체(41)에는 결합부(30)의 몸체(31)의 내측 하부면에 접하는 면에서부터 몸체(31)의 상부면 쪽으로 삽입홈(42)이 형성되어 있고, 각 삽입홈(42)에는 탄성 부재(43)가 삽입되어 위치한다.
따라서, 탄성 부재(43)는 몸체(31)의 내측 하부면과 위치 고정체(41) 사이에 위치하여, 위치 고정체(41)를 몸체(31)의 상부면 쪽으로 밀게 된다.
이때, 각 위치 고정체(41)의 두께(즉, 세로 폭)(H3)의 크기는 각 제2 삽입홈(33)의 세로 폭(즉, 몸체(31)의 내측 하부면에서 회전 방지턱(3322)까지의 최단 거리)의 크기보다 작고, 이로 인해, 해당 제2 삽입홈(33) 속에 삽입된 위치 고정체(41)와 회전 방지턱(3322) 사이에는 공간(3312)이 형성된다(도 4a 내지 도 4c 참고).
따라서, 이 공간(3312)에 의해 제2 삽입홈(33)의 제2 부분(332)에서 손잡이(20)의 각 회전부(21)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즉, 손잡이(20)가 본체(10)의 하부면(11)에서부터 본체(10)의 상단부 쪽으로 회전하면, 공간(3312)이 형성된 제1 부분(331)의 제1 내측면(3311)의 위치가 제2 부분(332)의 제2 내측면(3321)의 위치보다 낮게 위치하므로 제2 부분(332)의 제2 및 제3 내측면(3321, 3323)과 접하는 손잡이(20)의 회전부(21)는 제1 절삭면(211)을 구비한 회전부(21)의 부분이 본체(10)의 상단부 쪽으로 회전하는 손잡이(20)의 회전 동작에 따라 공간(3312) 속으로 삽입되면서 회전한다.
손잡이(20)가 회전하여 본체(10)의 측면(12)과 이루는 각도가 설정 각도(예, 90도)에 다다르면, 손잡이(20)의 회전부(21)는 회전 방지턱(3322)과 접하게 되어 더 이상 본체(10)의 상단부 쪽으로 회전 동작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처럼, 공간(3312)이 형성된 제1 부분(331)에 의해 손잡이(20)의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고, 회전 방지턱(3322)에 의해 손잡이(20)의 회전 범위가 정해진다.
이때, 이미 설명한 것처럼, 위치 고정체(41)에 탄성 부재(43)가 위치하여 위치 고정체(41)를 몸체(31)의 상부면 쪽으로 밀어 올리는 신장력이 작용하므로, 제2 삽입홈(33) 내에 위치하고 있는 손잡이(20)의 회전부(21)는 이 탄성 부재(43)에 의해 위치가 지지된다.
본체(10)의 측면(12)과 인접해 있는 각 위치 고정체(41)의 면은 본체(10)의 측면(12)처럼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위치 고정체(41)는 제2 삽입홈(33)을 벗어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다음, 도 4a 내지 도 4c뿐만 아니라 다시 도 2를 참고로 하여, 이러한 구조를 갖고 있는 냄비(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손잡이(20)의 회전부(21)가 결합부(30)의 몸체(31)의 개방된 좌측 측부와 우측 측부를 통과해 각각 제2 삽입홈(33)에 삽입되어 회전부(21)의 제1 절삭면(211)이 제2 부분(332)의 제2 내측면(3321)과 접하게 되고 실질적으로 본체(10)의 측면(12)과 나란한 상태가 되면, 손잡이(20)는 도 4a와 같이 본체(10)의 하부면(11)을 향해 있는 손잡이 접힘 상태가 된다. 이러한 손잡이 접힘 상태일 때, 회전부(21)는 제1 부분(331)의 공간(3312)에 삽입되지 않는다.
이런 손잡이 접힘 상태에서, 도 4b와 같이 손잡이(20)에 본체(10)의 하부면(11)에서부터 본체(10)의 상단부 쪽으로 들어올리는 회전력이 가해지면, 손잡이(20)의 회전 동작에 의하여 제2 부분(332)의 제2 내측면(3321)과 접해 있는 회전부(21)의 제1 절삭면(211)이 제2 내측면(3321)의 하단으로 미끄러져 제2 내측면(3321) 보다 깊게 위치한 제1 부분(331)의 공간(3312) 속으로 삽입되면서 회전부(21)가 회전된다.
그리고 도 4c에 도시한 것처럼 손잡이(20)의 회전 상태가 설정 상태까지 회전하여 본체(10)의 측면(12)과 이루는 각도가 설정 각도(예, 90도)에 도달하게 되면, 회전부(21)의 제1 절삭면(211)이 제2 부분(332)의 회전 방지턱(3322)과 접하게 되어 손잡이(20)의 회전 동작은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아 손잡이(20)는 더 이상 본체(10)의 상단부 쪽으로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손잡이(20)는 손잡이 펼침 상태가 된다.
이미 설명한 것처럼, 각 위치 고정체(41)의 삽입홈(42)에는 각각의 탄성 부재(43)가 위치하므로, 탄성 부재(43)의 신장력에 의해 위치 고정체(41)는 제2 삽입홈(33)의 상부면 쪽으로 밀어 올라가게 되므로, 자신과 접해 있는 손잡이(20)를 본체(10)의 상단부 쪽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손잡이(20)에 인가되는 회전력이 제거되거나 회전력보다 탄성 부재(43)의 신장력이 커지면, 손잡이(20)는 고정체(41)에 의해 해당 위치에 정지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냄비 10: 본체
11: 하부면 12: 측면
121: 돌출부 122: 체결 구멍
1221: 나사산 123: 받침대
13: 공간 20: 손잡이
21: 회전부 211: 제1 절삭면
212: 제2 절삭면 30: 결합부
31: 몸체 32: 제1 삽입홈
321: 삽입 구멍 33: 제2 삽입홈
331: 제1 부분 3311: 제1 내측면
3312: 공간 332: 제2 부분
3321: 제2 내측면 3322: 회전 방지턱
3323: 제3 내측면 40: 위치 고정부
41: 위치 고정체 42: 삽입홈
43: 탄성부재 50: 체결수단

Claims (8)

  1. 본체,
    상기 본체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된 돌출부,
    상기 돌출부와 연결되어 위치하고, 상기 본체와 접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고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홈, 그리고 상기 제1 삽입홈을 사이에 두고 좌측과 우측 부분에 각각 위치하며 제1 내측면을 갖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보다 돌출된 제2 내측면을 갖는 제2 부분이 형성된 한 쌍의 제2 삽입홈을 포함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상기 한 쌍의 제2 삽입홈의 상기 제1 부분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몸체의 내측 하부면에 접하는 면에서부터 상기 몸체의 상부면 쪽으로 형성되는 삽입홈을 갖는 한 쌍의 위치고정체,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위치고정체의 상기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한 쌍의 위치 고정부, 그리고
    상기 결합부의 상기 한 쌍의 제2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제2 내측면에 위치하여 회전하는 손잡이
    를 포함하는 조리기구.
  2. 제1항에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제2 내측면과 접하는 제1 절삭면을 포함하고, 제1 내측면과 제2 내측면 사이에 위치한 상기 제2 부분의 면과 접할 때까지 회전하는 조리 기구.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높이가 변함에 따라 상기 본체의 외측 직경의 크기가 변하는 조리 기구.
  5. 제1항에서,
    상기 돌출부가 부착되는 상기 본체의 측면에 위치하는 받침대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구.
  6. 조리 기구와 결합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고 돌출부가 삽입되는 제1 삽입홈, 그리고 상기 제1 삽입홈을 사이에 두고 좌측과 우측 부분에 각각 위치하며 제1 내측면을 갖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보다 돌출된 제2 내측면을 갖는 제2 부분이 형성된 한 쌍의 제2 삽입홈을 포함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의 상기 한 쌍의 제2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 부분의 상기 제2 내측면에 위치하여 회전하는 손잡이, 그리고
    상기 결합부의 상기 한 쌍의 제2 삽입홈의 상기 제1 부분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몸체의 내측 하부면에 접하는 면에서부터 상기 몸체의 상부면 쪽으로 형성되는 삽입홈을 갖는 한 쌍의 위치고정체,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위치고정체의 상기 삽입홈에 각각 삽입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한 쌍의 위치 고정부
    를 포함하는 조리 기구용 손잡이 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제2 내측면과 접하는 제1 절삭면을 포함하고, 제1 내측면과 제2 내측면 사이에 위치한 상기 제2 부분의 면과 접할 때까지 회전하는 조리 기구용 손잡이 장치.
  8. 삭제
KR1020130065814A 2013-06-10 2013-06-10 조리 기구 및 그 손잡이 장치 KR101540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814A KR101540700B1 (ko) 2013-06-10 2013-06-10 조리 기구 및 그 손잡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814A KR101540700B1 (ko) 2013-06-10 2013-06-10 조리 기구 및 그 손잡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978A KR20140143978A (ko) 2014-12-18
KR101540700B1 true KR101540700B1 (ko) 2015-07-31

Family

ID=52674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5814A KR101540700B1 (ko) 2013-06-10 2013-06-10 조리 기구 및 그 손잡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07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28686B (zh) * 2020-05-11 2021-05-11 安徽永耀电器有限公司 一种可多角度调节的电压力锅把手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081Y1 (ko) * 2005-07-14 2005-10-11 김남중 냄비용 절첩식 손잡이
KR200410861Y1 (ko) * 2005-10-31 2006-03-10 김남중 냄비용 접철식 손잡이
KR20110007944U (ko) * 2010-02-04 2011-08-10 주식회사 네오텍 접이식 주방용기 손잡이의 구조
KR20120128490A (ko) * 2011-05-17 2012-11-27 주식회사 코베아 조리용기용 절첩식 손잡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8081Y1 (ko) * 2005-07-14 2005-10-11 김남중 냄비용 절첩식 손잡이
KR200410861Y1 (ko) * 2005-10-31 2006-03-10 김남중 냄비용 접철식 손잡이
KR20110007944U (ko) * 2010-02-04 2011-08-10 주식회사 네오텍 접이식 주방용기 손잡이의 구조
KR20120128490A (ko) * 2011-05-17 2012-11-27 주식회사 코베아 조리용기용 절첩식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978A (ko) 2014-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102015014149A2 (pt) panela multifuncional
KR20170040789A (ko) 주방기구 배치부를 갖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뚜껑을 포함하는 조리기구
KR101140398B1 (ko)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US20140069948A1 (en) Handgrip for cooking vessels
KR101540700B1 (ko) 조리 기구 및 그 손잡이 장치
EP2926703B1 (en) Food whisk
KR200464111Y1 (ko) 조리용 냄비
KR101593377B1 (ko) 주방용기용 탈착식 손잡이
JP5774234B2 (ja) 調理器具用ハンドル
KR200475664Y1 (ko) 휴대용 조리 용기 및 용기 세트
US20120145865A1 (en) Pot and utensil rest
KR200466052Y1 (ko) 조리용구의 거치가 가능한 조리기구용 손잡이
KR101940574B1 (ko) 받침대 일체형 용기 손잡이
JP7324503B2 (ja) 板バネ、携帯用調理具、及び携帯用収納具
KR101568941B1 (ko) 음식 조리 기구
KR102570102B1 (ko) 결합이 가능한 식사 도구 세트
KR20150029234A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KR101358534B1 (ko) 접이식 손잡이가 구비된 조리용기
CN216675572U (zh) 烹饪夹持器
CN217338216U (zh) 一种夹蛋器
JP3119154U (ja) 清掃用ブラシ構造
JP6349492B1 (ja) 箸自助具機能付き箸置き
US20180020865A1 (en) Cooking vessel having detachable handle
KR200336259Y1 (ko) 조리용기의 손잡이 구조
CN109124337B (zh) 组合器皿锁固件及组合器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