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6259Y1 - 조리용기의 손잡이 구조 - Google Patents

조리용기의 손잡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6259Y1
KR200336259Y1 KR20-2003-0029099U KR20030029099U KR200336259Y1 KR 200336259 Y1 KR200336259 Y1 KR 200336259Y1 KR 20030029099 U KR20030029099 U KR 20030029099U KR 200336259 Y1 KR200336259 Y1 KR 2003362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vessel
handle
fixing member
coupled
locking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90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봉
Original Assignee
(주)주용이십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주용이십일 filed Critical (주)주용이십일
Priority to KR20-2003-00290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62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62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62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기의 손잡이 구조는 조리용기(40)의 외주면에 상·하 대칭되는 걸림턱(23)과, 손잡이(10)를 고정하는 스토퍼(30)를 일체로 포함하는 고정부재(20)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고정부재(20)에 회전가능케 고정핀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턱(23)에 의해 좌·우 이동이 제한되는 한쌍의 손잡이(10)로 구성되어, 조리용기(40)의 보관시 상기 손잡이(10)를 좌·우 회동하여 절접함으로써, 조리용기(40)의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 협소한 장소 등에 보관 및 거치가 용이하며, 특히 싱크대나 받침대 등에 여러가지 형태의 조리용기를 동시에 보관할 때, 타 조리용기의 수납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음으로써 수납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리용기의 손잡이 구조{STRUCTURE OF HANDLE FOR COOKER}
본 고안은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리용기의 테두리에 접절가능한 손잡이를 결합하여 조리용기의 보관시 전체적인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조리용기의 손잡이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조리용기의 외주면에 상·하 대칭되는 걸림턱과 손잡이를 고정하는 스토퍼를 일체로 포함하는 고정부재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가능케 고정핀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턱에 의해 좌·우 이동이 제한되는 한쌍의 손잡이로 구성되는 조리용기의 손잡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용기에는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된 손잡이가 고정결합되어 있어서, 음식을 조리시 사용편이성을 향상시키며, 특히 조리용기에서 발생되는 열을 손잡이에서 차단하여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조리용기에는 항상 손잡이가 필수구성요소가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조리용기에 고정결합된 손잡이는 조리용기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후 보관시 손잡이로 인한 점유공간이 지나치게 많으므로, 조리용기를 보관하기 충분한 수납공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싱크대와 서랍 등의 공간에 접시, 냄비, 조리용기 등을 함께 보관하는 경우 상기 손잡이로 인해 내부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은 조리용기의 외주면에 상·하 대칭되는 걸림턱과, 손잡이를 고정하는 스토퍼를 일체로 포함하는 고정부재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고정부재에 회전가능케 고정핀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턱에 의해 좌·우 이동이 제한되는 한쌍의 손잡이로 구성되는 조리용기의 손잡이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기의 손잡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례로서 조리용기에 손잡이가 결합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리용기의 손잡이가 절접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리용기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 손잡이 11: 결합편
12: 축공 13:구멍
14: 파지부 15: 돌기
20: 고정부재 21: 측면판
22: 고정편 23: 걸림턱
24: 관통공 25: 축공
30: 스토퍼 31: 스프링
32: 볼 33: 지지편
40: 조리용기 50: 고정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기의 손잡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례로서 조리용기에 손잡이가 결합된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리용기의 손잡이가 절접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리용기의 사용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기의 손잡이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용기(40)의 테두리에 고정되는 고정부재(20)와, 이 고정부재(20)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손잡이(1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20)는 일측에 조리용기(40)의 테두리에 고정되는 측면판(21)과, 이 측면판(21)에 연장되는 고정편(22)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편(22)은 상부 일측단과 하부 타측단에 대칭되게 걸림턱(23)이 형성되고, 소정위치에 관통된 관통공(24)과 축공(2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편(22)의 관통공(24)에는 스토퍼(30)가 개재되는데, 상기 스토퍼(30)는 스프링(31)이 탄지되고, 이 스프링(31)의 상·하측에 볼(32)이 안착되며, 이 볼(32)을 고정하는 지지편(33)이 상기 관통공(24)에 고정되므로, 상기 볼(32)은 상·하방에 대해 소정의 탄성을 갖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20)의 상·하측에는 한쌍의 손잡이(10)가 결합되는데, 상기 손잡이(10)는 사용시 걸림턱(23)에 걸려져 좌·우 이동에 일정한 제한을 받게되며, 상·하부에서 회동하는 손잡이(10)는 상기 걸림턱(23)에 의해 서로 포개지는 위치에 놓여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손잡이(10)는 일측으로 연장된 결합편(11)이 형성되고, 이 결합편(11)이 매입되어 고정되는 파지부(14)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편(11)에는 소정위치에 축공(12)과 구멍(1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편(11)과 고정편(22)의 축공(12,25)에 고정핀(50)이 끼워져 리벳 결합되면, 상기 손잡이(10)는 고정핀(50)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파지부(14)의 상·하 내측면에는 돌기(15)와 요홈(16)이 대응되게 형성되고, 손잡이(10)의 결합편(11)은 상기 고정부재(20)의 걸림턱(23)에 의해 엇갈리게 지지된다.
상기 손잡이(10)는 고정핀(50)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양측으로 접혀져 상기 손잡이(10)가 조리용기(40)의 측면에 당접되면 상기 볼(32)의 일부분이 구멍(13) 내측에 삽입되어 손잡이(10)의 회동을 자제되도록 한다.
그리고, 조리용기 사용시 양측에 결합된 손잡이(10)를 잡아당기면 상기 볼(32)에서 구멍(13)이 이탈되고, 이어서 상기 손잡이(10)가 회동되어 동일선상에 위치되면 상기 파지부(14)의 돌기(15)와 요홈(16)이 대응되게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결합편(11)의 측면이 상기 고정부재(20)의 걸림턱(23)에 걸려져 손으로 파지시손잡이(10)가 움직이지 않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요지에 벗어남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기의 손잡이 구조는 조리용기(40)의 외주면에 상·하 대칭되는 걸림턱(23)과, 손잡이(10)를 고정하는 스토퍼(30)를 일체로 포함하는 고정부재(20)를 고정설치하고, 상기 고정부재(20)에 회전가능케 고정핀으로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턱(23)에 의해 좌·우 이동이 제한되는 한쌍의 손잡이(10)로 구성되어, 조리용기(40)의 보관시 상기 손잡이(10)를 좌·우 회동하여 절접함으로써, 조리용기(40)의 전체적인 부피를 줄여 협소한 장소 등에 보관 및 거치가 용이하며, 특히 싱크대나 받침대 등에 여러가지 형태의 조리용기를 동시에 보관할 때, 타 조리용기의 수납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음으로써 수납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조리용기에 결합되는 손잡이에 있어서,
    조리용기(40)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상,하 대칭되는 걸림턱(23)이 돌출된 고정부재(20)와;
    상기 고정부재(20)에 회전가능케 고정핀(50)으로 결합되며 상기 걸림턱(23)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는 한쌍의 손잡이(10)와;
    상기 고정부재(20)에 결합된 손잡이(10)가 접혔을 때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스토퍼(3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의 손잡이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30)는 고정부재(20)의 관통공(24)에 삽입된 스프링(31)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볼(32)과, 상기 볼(32)의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손잡이(10)에 구멍(1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의 손잡이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손잡이(10)의 내측에는 돌기(15)와 요홈(16)이 각각 형성되어, 서로 대응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의 손잡이 구조.
KR20-2003-0029099U 2003-09-09 2003-09-09 조리용기의 손잡이 구조 KR2003362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099U KR200336259Y1 (ko) 2003-09-09 2003-09-09 조리용기의 손잡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9099U KR200336259Y1 (ko) 2003-09-09 2003-09-09 조리용기의 손잡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6259Y1 true KR200336259Y1 (ko) 2003-12-24

Family

ID=49421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9099U KR200336259Y1 (ko) 2003-09-09 2003-09-09 조리용기의 손잡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625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23515A (ja) * 2014-05-29 2015-12-14 東雨 李 厨房容器用折りたたみ式ハンドルタイプ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23515A (ja) * 2014-05-29 2015-12-14 東雨 李 厨房容器用折りたたみ式ハンドルタイプ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154215A (ja) 係止/係止解除兼用制御部材を有する圧力調理器具
EP0945097B1 (en) Grip device for a food cooking vessel, in particular a frying-pan
US20050184079A1 (en) Handle for cookware
KR101509482B1 (ko) 주방용기용 접이식 손잡이 구조
JP3229941U (ja) エコポータブル食器
KR200336259Y1 (ko) 조리용기의 손잡이 구조
KR100927707B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RU64883U1 (ru) Узел рукоятки крышки для кухонной посуды
KR20100098021A (ko)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KR200389937Y1 (ko) 주방용 조리기구
KR20140013559A (ko)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CN217066144U (zh) 煎烤机
KR200456901Y1 (ko) 접이식 주방용기 손잡이의 구조
KR101593377B1 (ko) 주방용기용 탈착식 손잡이
KR101940574B1 (ko) 받침대 일체형 용기 손잡이
KR101540700B1 (ko) 조리 기구 및 그 손잡이 장치
CN216724315U (zh) 旋转式便捷式可拆卸手柄
KR20110081410A (ko) 조리용기
KR101438203B1 (ko) 절첩식 조리용기 손잡이
KR200317667Y1 (ko) 조리 용기
KR200359504Y1 (ko) 조리용팬의 회전식 탈부착 손잡이 구조
KR200410861Y1 (ko) 냄비용 접철식 손잡이
CN210582275U (zh) 一种新型锅用手柄及锅具
CN220937826U (zh) 锅具与烹饪器具
KR200410950Y1 (ko) 양면 프라이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