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664Y1 - 휴대용 조리 용기 및 용기 세트 - Google Patents

휴대용 조리 용기 및 용기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664Y1
KR200475664Y1 KR2020130001349U KR20130001349U KR200475664Y1 KR 200475664 Y1 KR200475664 Y1 KR 200475664Y1 KR 2020130001349 U KR2020130001349 U KR 2020130001349U KR 20130001349 U KR20130001349 U KR 20130001349U KR 200475664 Y1 KR200475664 Y1 KR 2004756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ide wall
holes
portable cook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3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4849U (ko
Inventor
손종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원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원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원금속
Priority to KR20201300013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664Y1/ko
Publication of KR201400048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8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6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66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3/00Camp cooking devices without integr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2Bowl ha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조리 용기 및 용기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리 용기는 음식을 담을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한정하는 바닥부 및 측벽부를 포함하는 용기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 몸체의 상기 측벽부에 브래킷(bracket)이 고정되고, 상기 브래킷은 수평 방향의 개방된 관통 홀들을 갖는 손잡이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조리 용기는 상기 관통 홀들에 각각 삽입되어 자유 고정되는 걸림부들, 및 상기 걸림부들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관통 홀들의 내부 방향으로 상기 걸림부들을 밀어 넣는 힘을 인가하는 탄성력을 갖는 파지부를 각각 갖는 양수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조리 용기 및 용기 세트{Potable cooker and cooker set including the same}
본 고안은 음식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조리 용기 및 용기 세트에 관한 것이다.
야외 피크닉, 캠핑 또는 긴급 구호와 같은 상황에서, 실외에서 간단히 음식 조리를 할 수 있는 휴대용 조리 용기, 예를 들면, 코펠(Kocher)은 가벼울 뿐만 아니라, 다양한 크기의 용기를 서로 포개어 적은 부피에서 많은 용기를 수납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그러나, 이러한 코펠과 같은 휴대용 조리 용기는 수납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통상의 주방용 냄비와 달리, 손잡이 구조에 제한이 따른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조리 용기(1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휴대용 조리 용기(10)의 손잡이 구조는 용기 몸체(1)에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2 개의 손잡이편들(2_1, 2_2)로 이루어진 손잡이(2)를 갖는다. 사용자는 용기 몸체(1)의 외표면에 붙어있는 손잡이편들(2_1, 2_2)을 한쪽으로 펼쳐 모은 후, 한손으로, 예를 들면, 오른손으로 손잡이편들(2_1, 2_2)을 한꺼번에 파지하여 휴대용 조리 용기(10)를 들 수 있다. 크기가 다른 여러 용기들을 수납하는 경우에는 손잡이편들(2_1, 2_2)을 각각 용기 몸체(1)의 외표면으로 이동시켜 접힘 상태를 만든 후에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한쪽에서 파지하는 종래의 휴대용 조리 용기(10)는 조리 음식의 무게가 커질수록, 무게 중심이 용기 몸체(1) 쪽으로 비대칭적으로 치우치면서 사용자는 음식이 담긴 조리 용기(10)를 들 때, 실제 무게보다 더 무겁다고 느낄 수 있다. 또한, 상기 무게 중심의 편심 때문에, 중심을 잡기 어려워 조리된 음식이 밖으로 넘치거나 가열된 음식이 넘쳐 화상의 위험하기까지 있다.
또한, 이러한 손잡이 구조는 수평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지만 이의 움직임에 제한 요소가 없어, 조리 용기를 들었을 때 조리 용기가 좌우로 움직일 수 있어, 조리 용기(10)를 안정적으로 들기 어렵다. 또한, 경량화를 달성하기 위하여 손잡이편들(2_1, 2_2)은 비교적 얇은 철심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기계적으로 약하여 사용시 변형되거나 용기 몸체(1)로부터 탈락되어, 조리 용기(10)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된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용기 몸체에 밀착되는 거나 펼쳐짐이 가능하도록 회동 가능하고,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파지하고 용기를 안정적으로 들 수 있어, 조리 용기의 수납이 쉽고, 취급이 용이하고 안전한 휴대용 조리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이점을 갖는 휴대용 조리 용기를 적어도 2 개 이상 갖는 용기 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리 용기는 음식을 담을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한정하는 바닥부 및 측벽부를 포함하는 용기 몸체를 포함한다. 상기 용기 몸체의 상기 측벽부에 브래킷(bracket)dl 고정되고, 상기 브래킷은 수평 방향의 개방된 관통 홀들을 갖는 손잡이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조리 용기는 상기 관통 홀들에 각각 삽입되어 자유 고정되는 걸림부들, 및 상기 걸림부들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관통 홀들의 내부 방향으로 상기 걸림부들을 밀어 넣는 힘을 인가하는 탄성력을 갖는 파지부를 각각 갖는 양수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측벽부의 외표면에 고정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 고정부는 상기 지지부로부터 확장되어 상기 측벽부의 상기 외표면과 함께 상기 관통 홀들을 한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부의 외표면은 곡면이고, 상기 관통 홀들은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상기 관통 홀들의 내부 폭은 안쪽으로 점점 감소되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곡면의 외표면과 상기 관통 홀의 내벽에 가압 접촉됨으로써 상기 걸림부들의 움직임에 마찰력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브래킷의 상기 손잡이 고정부의 양 단부는 각각 상기 관통 홀들의 내부 방향으로 파여진 제 1 홈을 갖도록 가공되고, 상기 손잡이가 펼쳐질 때 상기 손잡이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홈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조리 용기는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에 플랜지부(flange)를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부에 의해 상기 손잡이의 상방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브래킷의 상기 손잡이 고정부는 각각 상기 제 1 홈의 하부에 상기 관통 홀들의 내부 방향으로 파여진 제 2 홈을 갖도록 가공되고, 상기 손잡이부가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2 홈에 수용되는 것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걸럼부들 및 상기 파지부는 일체로 형성된 금속 선형 강체일 수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조리 세트는 포개어 수납 가능하도록 크기가 순차적으로 다른 적어도 2 이상의 휴대용 냄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손잡이부의 걸림부는 브래킷의 관통 홀들에 각각 삽입되어 자유 고정되고, 손잡이부의 파지부는 상기 걸림부로부터 연장되어 용기 몸체에 밀착되거나 펼쳐짐이 가능하도록 회동 가능하다. 따라서, 손잡이부가 펼쳐지는 경우,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파지하고 용기를 안정적으로 들 수 있고, 손잡이부가 용기 몸체에 밀착되는 경우, 조리 용기의 수납이 쉬운 취급이 용이하고 안전한 휴대용 조리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조리 용기들로 구성된 휴대용 냄비 세트는, 상기 휴대용 조리 용기들의 크기가 순차적으로 달라 상술한 이점을 모두 갖고, 포개어 수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용 조리 용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가 펼침 상태에 있는 휴대용 조리 용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손잡이부를 확대한 확대 사시도이며 도 2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bracket)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가 접힘 상태에 있는 휴대용 조리 용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손잡이부를 확대한 확대 사시도이며 도 3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납된 휴대용 조리 용기들의 세트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 는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고안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고안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
도 2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400)가 펼침 상태에 있는 휴대용 조리 용기(10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손잡이부(400)를 확대한 확대 사시도이며 도 2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bracket; 300)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휴대용 조리 용기(1000)의 용기 몸체(100)는 음식을 담을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한정하는 바닥부(100_1) 및 측벽부(100_2)를 포함한다. 바닥부(100_1)는 평평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예시적일 뿐, 오목할 수도 있다. 또한, 측벽부(100_2)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측벽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이며, 측벽부(100_2)는 심미감의 증진을 위해 바닥부(100_1)로부터 수직한 축을 기준으로 오목 및/또는 볼록하게 가공될 수도 있다.
측벽부(100_2)의 상단부에는 플랜지부(200)가 제공될 수 있다. 플랜지부(200)는 측벽부(100_2)의 상단부로부터 방사상으로 수평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다. 플랜지부(200)는 펼침 상태의 손잡이부(400)가 상방으로 더 회동할 수 없도록 젖혀짐을 방지하기 위한 제한 부재로서 기능한다.
휴대용 조리 용기(100)의 측벽부(100_2)의 외표면에 브래킷(300)이 배치될 수 있다. 브래킷(300)은 휴대용 조리 용기(100)의 측벽부(100_2)의 외표면에 용접 또는 볼트/나사 결합과 같은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브래킷(30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의 양 단부에 개방된 관통 홀들(도 2c의 300_3 참조)을 갖는 손잡이 고정부(300_2)를 포함한다. 손잡이 고정부(300_2)의 관통 홀들(300_3)에는 손잡이부(400)의 걸림부들(400_1)이 각각 삽입되어 자유 고정됨으로써, 손잡이부(400)가 수직 방향으로 원호를 그리면서 회동 가능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브래킷(30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00_1)에 의해 조리 용기(100)의 측벽부(100_2)에 고정될 수 있으며, 관통 홀들(300_3)은 지지부(300_1)로부터 상기 측벽부(100_2)의 외표면 위로 더 확장된 손잡이 고정부(300_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손잡이 고정부(300_2)의 단부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부(2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브래킷(300)은 금속 판재를 재단하여 절곡함으로써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관통 홀들(300_3)은 손잡이 고정부(300_2)와 손잡이 고정부(300_2)의 내면과 대향하는 휴대용 조리 용기(100)의 측벽부(100_2)의 외표면 일부와 함께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이며, 브래킷(300)의 지지부(300_1)와 손잡이 고정부(300_2)는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브래킷(300)은 지지부와 손잡이 고정부가 일체로 형성된 벌크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지지부의 저면은 용기 몸체(100)의 측벽부(100_2)의 외표면에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의 저면과 반대되는 외표면에 손잡이 고정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브래킷(300)에 고정되는 손잡이부(400)는 걸림부들(400_1) 및 파지부(400_2)를 갖는다. 걸림부들(400_1)과 파지부(400_2)는 일체로 형성되어, 굴곡을 갖는 금속 선형 강체일 수 있다. 상기 금속은 알루미늄, 철, 구리 또는 이들의 합금일 수 있다. 상기 금속 선형 강체는 적절한 굵기와 강도를 가짐으로써 후술하는 적절한 탄성력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접힘 상태와 펼침 상태로 가역적으로 회동하는 것을 돕고, 사용자가 용기를 들 때 충분한 강도를 제공할 수 있다.
걸림부들(400_1)은 브래킷(300)의 관통 홀들(300_3)에 각각 삽입되어 자유 고정된다. 걸림부들(400_1)로부터 연장된 파지부(400_2)는 걸림부들(400_1)을 관통 홀들(300_3)의 내부로 밀어 넣을 수 있는 정도의 탄성력을 가진다. 화살표 T는 상기 탄성력에 의한 작용 방향을 나타낸다.
파지부(400_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 형태를 갖는 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면, C 형과 같은 만곡된 형태(도 3a의 400_2 참조) 또는 다른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걸림부들(400_1)은 관통 홀들(300_3) 내에서 유격(G)을 갖도록 이격된다. 유격(G)은 손잡이부(400)가 회동할 때, 변화하는 손잡이부(400)의 미소한 변형에 대응하여 걸림부들(400_1) 사이의 간격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장한다. 파지부(400_2)가 회동하면, 유격(G)의 크기는 후술하는 제 1 홈(300_4) 및 제 2 홈(300_5)에 의해 미소하게 달라질 수 있다. 파지부(400_2)의 탄성력 T에 의해 파지부는 제 1 홈(300_4)과 제 2 홈(300_5)의 가장자리를 따라 움직이게 된다.
관통 홀들(300_3)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단부가 완전히 관통된 형태를 가질 수 있지만, 본 고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손잡이부(400)의 수직 방향의 회동에 따라 걸림부들(400_1)의 미세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하는 유격(G)이 존재하면 족하며, 관통 홀들(300_3)은 완전히 서로 관통되지 않으면서도 걸림부들(400_1)이 삽입될 수 있는 포켓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300)은 지지부(300_1)와 이로부터 확장된 손잡이 고정부(300_2)를 가질 수 있다. 손잡이 고정부(300_2)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관통 홀(300_3)을 포함한다. 관통 홀(300_3)의 단부에는 관통 홀(300_3)의 내부 방향으로 오목하게 파여진 제 1 홈(300_4)이 형성된다. 제 1 홈(300_4)은 휴대용 조리 용기(1000)의 수직 방향에 평행한 연장선(B)로부터 C 만큼 리세스됨으로써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홈(300_4)의 형상은 펼침 상태의 파지부(400_2)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파지부(400_2)의 외부 둘레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400_2)가 원형 절단면을 가진 경우, 제 1 홈(300_4)은 원호 또는 타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 1 홈(300_4)에 펼침 상태의 파지부(400_2)가 안착될 수 있으며 복원력(T)에 의해 이러한 손잡이부(400)의 안착이 유지되고, 그에 따라 손잡이부(400)의 펼침 상태가 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유지 정도는 파지부(400_2)의 상기 탄성력과 제 1 홈(300_3)의 기계적 걸림 작용에 의존한다.
도 3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400)가 접힘 상태에 있는 휴대용 조리 용기(10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손잡이부(400)를 확대한 확대 사시도이며 도 3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300)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휴대용 조리 용기(1000)의 손잡이부(400)는 용기 몸체(100)에 고정된 브래킷(300)에 접힘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휴대용 조리 용기(1000)의 측벽부(100_2)의 외표면이 실린더형의 곡면이고, 상기 관통 홀이 수평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된 경우, 상기 관통 홀들의 내부 폭은 안쪽으로 점점 감소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걸림부들(400_1)의, 예를 들면, 단부가 측벽부(100_2)의 상기 외표면과 관통 홀들의 내벽에 가압 접촉될 수 있으며, 그 결과, 걸림부들(400_1)에 마찰력이 제공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접힘 상태에 있는 손잡이부(400)의 상방 회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마찰력에 의해 손잡이부(400)의 접힘 상태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그대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도 3c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휴대용 조리 용기(100)의 손잡이부(400)의 접힘 상태를 위한 제한 부재로서, 수직 방향(B)에 평행한 연장선(B)로부터 리세스되어 형성된 제 2 홈(300_5)이 제 1 홈(300_4)의 하부에 더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홈(300_5)은 접힘 상태의 파지부(400_2)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파지부(400_2)의 외부 둘레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부(400_2)가 원형 절단면을 가진 경우, 제 2 홈(300_5)은 원호 또는 타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 2 홈(300_5)에는 접힘 상태에 있는 파지부(400_2)가 수용될 수 있다.
제 1 홈(300_4)과 제 2 홈(300_5)의 사이에는 돌출부(P)가 정의될 수 있으며, 돌출부(P)에 의해 손잡이부(400)의 펼침 상태와 접힘 상태 사이를 서로 구별할 수 있도록 파지부(400_2)의 수직 방향 회동에 대한 기계적 걸림 작용이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수납된 휴대용 조리 용기들의 세트(200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각각의 휴대용 조리 용기의 손잡이부가 접힘 상태에서 그 크기에 따라 순서대로 2 이상의 휴대용 조리 용기들(1000_1, 1000_2, 1000_3)이 순차대로 수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양수 손잡이부(400)를 갖지만, 양수 손잡이부(400)가 접히기 때문에 작은 부피에서 다양한 크기를 갖는 복수의 휴대용 조리 용기들(1000_1, 1000_2, 1000_3)을 한번에 수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이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laims (7)

  1. 음식을 담을 수 있는 내부 공간을 한정하는 바닥부 및 측벽부를 포함하는 용기 몸체;
    상기 측벽부의 외표면의 상부에 부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로부터 확장되어 상기 측벽부의 상기 외표면과 함께 수평 방향의 양 단부에 개방된 관통 홀들을 한정하는 손잡이 고정부를 포함하는 브래킷(bracket); 및
    상기 관통 홀들에 각각 삽입되어 자유 고정되는 걸림부들, 및 상기 걸림부들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관통 홀들의 내부 방향으로 상기 걸림부들을 밀어 넣는 힘을 인가하는 탄성력을 갖는 파지부를 각각 갖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는 상기 측벽부로부터 방사상으로 확장된 플랜지부(flange)를 포함하고,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용기 몸체에 밀착하거나 상기 용기 몸체로부터 펼쳐짐이 가능하도록 회동할 수 있고,
    상기 손잡이부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플랜지부에 의하여 상기 손잡이부의 상방 움직임이 제한되는 휴대용 냄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의 외표면은 곡면이고, 상기 관통 홀은 직선적으로 관통되어, 상기 걸림부가 상기 곡면의 외표면과 상기 관통 홀의 내벽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걸림부들의 움직임에 마찰력이 제공되는 휴대용 냄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상기 손잡이 고정부의 양 단부는 각각 상기 관통 홀들의 내부 방향으로 파여진 제 1 홈을 갖도록 가공되고,
    상기 손잡이부가 펼쳐질 때 상기 손잡이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1 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냄비.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상기 손잡이 고정부의 양 단부는 각각 상기 제 1 홈의 하부에 상기 관통 홀들의 내부 방향으로 파여진 제 2 홈을 갖도록 가공되고,
    상기 손잡이부가 접혀진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 2 홈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상기 손잡이부의 움직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냄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들 및 상기 파지부는 일체로 형성된 금속 강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냄비.
  7. 포개어 수납 가능하도록 크기가 순차적으로 다른 적어도 2 이상의 휴대용 조리 용기들을 포함하며,
    상기 휴대용 조리 용기들은 제 1 항 기재의 휴대용 조리 용기인 휴대용 냄비 세트.
KR2020130001349U 2013-02-21 2013-02-21 휴대용 조리 용기 및 용기 세트 KR2004756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349U KR200475664Y1 (ko) 2013-02-21 2013-02-21 휴대용 조리 용기 및 용기 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349U KR200475664Y1 (ko) 2013-02-21 2013-02-21 휴대용 조리 용기 및 용기 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849U KR20140004849U (ko) 2014-09-01
KR200475664Y1 true KR200475664Y1 (ko) 2014-12-22

Family

ID=52450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349U KR200475664Y1 (ko) 2013-02-21 2013-02-21 휴대용 조리 용기 및 용기 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66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113B1 (ko) 2019-11-29 2021-05-17 임갑수 캠핑용 더치오븐 세트
KR102466823B1 (ko) 2022-06-30 2022-11-16 주식회사 이룸쿡 단열손잡이부가 구비된 조리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7847A (ja) * 1994-06-09 1995-12-19 Takei Kibutsu Seisakusho:Kk 把手の取付構造
KR200238404Y1 (ko) * 2001-03-22 2001-10-10 이성규 가스와 버너의 수납기능을 갖는 코펠
KR20100030481A (ko) * 2008-09-10 2010-03-18 정유진 조리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7847A (ja) * 1994-06-09 1995-12-19 Takei Kibutsu Seisakusho:Kk 把手の取付構造
KR200238404Y1 (ko) * 2001-03-22 2001-10-10 이성규 가스와 버너의 수납기능을 갖는 코펠
KR20100030481A (ko) * 2008-09-10 2010-03-18 정유진 조리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113B1 (ko) 2019-11-29 2021-05-17 임갑수 캠핑용 더치오븐 세트
KR102466823B1 (ko) 2022-06-30 2022-11-16 주식회사 이룸쿡 단열손잡이부가 구비된 조리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849U (ko) 2014-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6857B2 (en) Stackable cookware and lids
EP2976976B1 (en) Cookware including lid having handle with utensil rest
JP2020099664A (ja) 安定した構造を有する積み重ね可能で入れ子式の調理器具
KR200475664Y1 (ko) 휴대용 조리 용기 및 용기 세트
JP2012035066A (ja) 折り畳みハンドル付調理器具
EP2769655B1 (en) A detachable handle for pans
US8413840B2 (en) Handle for cookware
KR100927707B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KR20100030481A (ko) 조리용기
JP2017531517A (ja) 着脱式取っ手を備えた調理容器
US20210030211A1 (en) Stackable frying pans and saucepans
KR101565966B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JP3126499U (ja) 調理器具用取っ手
KR101540700B1 (ko) 조리 기구 및 그 손잡이 장치
KR200383876Y1 (ko) 뚜껑 겸용 후라이팬
JP3199358U (ja) カップホルダー。
US9655476B2 (en) Device for holding kitchen utensils, especially knives
CN214258932U (zh) 一种锅具装置
CN219479903U (zh) 一种锅盖夹持支撑装置
JP3209943U (ja) 容器
CN215777186U (zh) 烹饪器具的上盖
KR20110006635U (ko) 냄비
KR101981502B1 (ko) 보관이 편리한 용기 받침
JP2005342450A (ja) 重ね収納式鍋蓋
KR20180055371A (ko) 프라이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