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531B1 -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 Google Patents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531B1
KR102206531B1 KR1020180173922A KR20180173922A KR102206531B1 KR 102206531 B1 KR102206531 B1 KR 102206531B1 KR 1020180173922 A KR1020180173922 A KR 1020180173922A KR 20180173922 A KR20180173922 A KR 20180173922A KR 102206531 B1 KR102206531 B1 KR 102206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ontainer
coupled
head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2897A (ko
Inventor
오근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켓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켓드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켓드림
Priority to KR1020180173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531B1/ko
Priority to CN201980086765.2A priority patent/CN113286541B/zh
Priority to JP2021561591A priority patent/JP7231285B2/ja
Priority to US17/309,905 priority patent/US11992162B2/en
Priority to CA3125102A priority patent/CA3125102A1/en
Priority to EP19907174.7A priority patent/EP3906824A4/en
Priority to AU2019418679A priority patent/AU2019418679B2/en
Priority to PCT/KR2019/016080 priority patent/WO2020141726A2/ko
Publication of KR20200082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2Bowl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1Saucepan, frying-pan ha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는, 일측에 단차부가 형성되고,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 체결부가 형성되며, 단차부가 형성된 일측이 용기에 고정 결합되는 체결부재; 체결부재의 체결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 착탈블록부재; 및 착탈블록부재가 결합되는 핸들을 포함하는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VESSEL COMPRISING ATTACHABLE AND DETACHABLE HANDLE}
본 발명은,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와 손잡이 사이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음식의 조리에 사용되는 용기에는 사용의 편의를 위해 손잡이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용기에 부착된 손잡이는 가스레인지 등과 같은 가열 장치에 의해 용기 자체에 열이 전달되는 경우에도 고열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면서 조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전통적인 용기의 손잡이는 용기에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는 형태로 용기와 손잡이가 단단하게 고정되어서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로 조리를 하더라도 용기가 손잡이로부터 유동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지만, 반면 복수의 용기를 수납시 어느 하나의 용기의 손잡이 부분이 다른 용기의 본체와 간섭하거나 부딪혀 파손 위험이 있으며 수납 부피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고정식 손잡이를 가지는 용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용기로부터 착탈가능하게 마련된 손잡이를 가지는 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 착탈식 손잡이를 가지는 용기의 경우, 손잡이를 용기에 결합하면 용기와 손잡이 사이의 유격으로 인해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있을때 용기가 흔들거리는 등 유동하게 되며 이러한 유동으로 인해 조리하기가 용이하지도 않을뿐만 아니라 사용하기 불편하고, 또한 사용자의 안전 사고의 위험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제10-2004-0043798호(공개일자:2004년05월27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손잡이가 용기에 유격없이 결합되어 용기와 손잡이 사이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간편하고 용이하게 손잡이를 용기에 결합시킬 수 있는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측이 용기에 결합되고, 상기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 체결부가 형성된 체결부재;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 스토퍼부재가 구비된 착탈블록부재; 및 상기 착탈블록부재가 결합되는 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부재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이동축; 및 상기 이동축에 결합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이동축에 결합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에 접촉될 수 있는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는 상기 이동축과 함께 이동하여 상기 체결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이동축을 기준으로 경사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는, 상기 헤드의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체결부에 접촉된채 상기 제2 부분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정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이동축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축보다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의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체결부에 접촉된채 이동하여 헤드가 상기 착탈블록부재 및 상기 체결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하여 정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는 상기 제2 부분에 결합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이동축을 기준을 기준으로 경사가 형성되고, 상기 제3 부분도 상기 이동축을 기준으로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이동축이 이루는 각도인 제1 각도는 상기 이동축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부분과 상기 이동축이 이루는 각도인 제2 각도는 상기 이동축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예각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각도가 상기 제2 각도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이동축은 서로 교차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착탈블록부재는,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관통공이 형성된 블록본체; 상기 블록본체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스토퍼부재에 결합되는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부재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되어 탄성력을 제공받으며, 상기 체결부재에 형성된 체결부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탈블록부재는,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관통공이 형성된 블록본체; 상기 블록본체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스토퍼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되는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부재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레버에 결합되고, 상기 레버에 결합된 탄성부재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으며, 상기 체결부재에 형성된 체결부에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은 상기 용기의 둘레면에 직교하는 가상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경사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축은 경사가 형성된 상기 관통공을 따라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에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는 상기 체결부재의 상기 경사부에 접촉된채 상기 경사부를 따라 이동하여 정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가 상기 체결부재의 상기 경사부에 접촉된채 상기 경사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헤드가 상기 착탈블록부재 및 상기 체결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하여 정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는 상기 제2 부분에 결합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3 부분이 만나는 연결지점에서 상기 경사부에 접촉되며, 상기 연결지점이 상기 체결부재의 경사부에 접촉된채 상기 체결부재의 상기 경사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는, 상기 제1 부분에 결합되는 제4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의 상기 제4 부분이 먼저 상기 착탈블록부재에 접촉한채로 이동하여 상기 헤드의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체결부에 접촉하여 정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는, 상기 제1 부분에 결합되는 제4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에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의 상기 제4 부분이 먼저 상기 착탈블록부재에 접촉한채로 이동하여 상기 헤드의 다른 부분이 상기 체결부재의 경사부에 접촉하여 정지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일측에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체결부가 형성된 상기 일측이 용기에 고정 결합되는 체결부재; 스토퍼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부재가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홈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 착탈블록부재; 및 상기 착탈블록부재가 결합되는 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부재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이동축; 및 상기 이동축에 결합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이동축에 결합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에 접촉될 수 있는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는 상기 이동축과 함께 이동하여 상기 체결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탈블록부재는, 상기 체결부재의 상기 공간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블록본체; 상기 블록본체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탄성부재;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되어 탄성력을 제공받으며, 상기 체결부재에 형성된 체결부에 체결되는 스토퍼부재; 및 상기 스토퍼부재에 결합되는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이격된 간격이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돌출부의 폭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착탈블록부재가 체결부재에 유격없이 결합되므로, 용기와 손잡이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고 용기의 근접한 위치에서 소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만으로 손잡이와 용기가 결합될 수 있으므로, 간편하고 용이하게 손잡이를 용기에 결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손잡이가 용기에 결합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손잡이가 분리된 용기와 체결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손잡이가 용기에 결합되는 모습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손잡이에 체결부재가 결합된 전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손잡이로부터 체결부재가 제거된 전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블록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블록본체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스토퍼부재가 체결부재의 체결홈에 체결된 모습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체결부재의 일측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체결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체결부재의 타측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착탈블록부재에 체결부재가 삽입된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스토퍼부재와 체결부재가 제거된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에서 스토퍼부재의 이동축에 작용하는 각각의 힘의 예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착탈블록부재에 체결부재가 삽입된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착탈블록부재에 체결부재가 삽입된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손잡이에 체결부재가 결합된 전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측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핸들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착탈블록부재의 블록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체결부재의 일측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체결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체결부재의 타측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손잡이에 체결부재가 결합된 모습의 측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착탈블록부재의 블록본체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8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재가 체결부재의 일측 단부에 접촉된 모습의 측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스토퍼부재가 체결부재의 체결홈에 체결된 모습의 측면도이다.
도 28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스토퍼부재가 체결부재의 체결홈에 체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 및 도 3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스토퍼부재의 헤드가 체결부재의 경사부를 따라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 및 도 34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스토퍼부재의 헤드가 체결부재에 체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 및 도 36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스토퍼부재의 헤드가 체결부재에 체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손잡이가 용기에 결합된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손잡이가 분리된 용기와 체결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손잡이가 용기에 결합되는 모습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손잡이에 체결부재가 결합된 전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손잡이로부터 체결부재가 제거된 전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블록본체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블록본체의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스토퍼부재가 체결부재의 체결홈에 체결된 모습의 측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체결부재의 일측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체결부재의 측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체결부재의 타측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착탈블록부재에 체결부재가 삽입된 모습의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2에서 스토퍼부재와 체결부재가 제거된 모습의 단면도이고, 도 14(a) 및 도 1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에서 스토퍼부재의 이동축에 작용하는 각각의 힘의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20)를 포함하는 용기(10)는, 체결부재(100)와, 착탈블록부재(200)와, 핸들(300)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착탈식 손잡이(20)는 착탈블록부재(200)가 결합된 핸들(300), 즉, 착탈블록부재(200)와 핸들(300)을 모두 포함하여 지칭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착탈블록부재(200)와 핸들(300)은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고, 분리형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체결부재(10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용기(10)에 고정 결합된다. 체결부재(100)는 다양한 방식으로 용기(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각종 용접에 의해 용기(10)에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체결부재(100)는 부착과 탈거가 가능한 탈부착식으로 용기(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체결부재(100)는 용기가 결합되는 일측(100a)에 단차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체결부재(100)의 일측에 반드시 단차부(110)가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체결부재(100)는 일측(100a)의 반대측인 타측(100b)에 체결부가 형성된다. 체결부는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을 참조하면, 체결부는 체결홈(120)일 수 있다. 또는, 도 26에서와 같이 체결부는 헤드(232)의 제2 부분(234)이 접촉될 수 있는 체결부재(100)의 일측 단부일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체결부가 도 11의 체결홈(120)인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단차부(110)는 후술하는 착탈블록부재(200)에 구비된 블록본체(210)의 제2 지지부(214)의 결합홈(217)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지지부(214)의 결합홈(217)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이격된 간격이 감소하는 형상, 예를 들어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도 6 참조), 체결부재(100)의 단차부(110)는 제2 지지부(214)의 결합홈(217)에 결합(도 4 참조)될 수 있도록 도 9에서와 같이 제2 지지부(214)의 결합홈(217)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지지부(214)의 결합홈(217)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체결부재(100)의 타측(100b)에 형성된 체결홈(120)에는 착탈블록부재(200)의 스토퍼부재(230)가 착탈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체결부재(100)는 도 2에서와 같이 단차부(110)가 용기(10)측을 향하도록 하여 체결부재(100)의 일측(100a, 도 9 참조)이 용기(10)에 고정 결합되며, 체결홈(120)은 단차부(110)의 반대측에서 용기(10) 외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도 3을 참조하면, 착탈식 손잡이(20)는 체결부재(1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착탈식 손잡이(20)가 체결부재(100)에 결합되어 있다. 다만, 도 4에서는 착탈식 손잡이(20)와 체결부재(100)의 결합된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체결부재(100)가 용기(10)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것이며, 체결부재(100)는 도 2에서와 같이 용기(10)에 고정결합되어 있고, 도 1을 참조하면, 용기(10)에 고정결합된 체결부재(100)에 착탈식 손잡이(20)가 결합된다.
착탈블록부재(200)는 체결부재(100)의 체결홈(120)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 스토퍼부재(23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착탈블록부재(200)는 스토퍼부재(230)를 포함하며, 또한, 블록본체(210)와, 탄성부재(220)와, 레버(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블록본체(210)에는 도 6에서와 같이 체결부재(1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216)이 마련되고, 탄성부재(220)와 스토퍼부재(230)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219)이 형성된다. 즉, 용기(10)에 고정 결합되어 있는 체결부재(100)가 블록본체(210)의 공간(216)에 삽입되며, 도 5에서와 같이 관통공(219)에 삽입되어 있는 스토퍼부재(230)가 체결부재(100)에 접촉하여 힘을 받으면 도 5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이동하며, 체결부재(100)의 체결홈(120) 부분이 스토퍼부재(230)의 헤드(232)까지 이동하면 탄성부재(220)의 탄성력에 의해 스토퍼부재(230)가 체결부재(100)의 체결홈(120)측으로 이동하여 스토퍼부재(230)의 헤드(232)가 체결부재(100)의 체결홈(120)에 체결될 수 있다.
블록본체(210)는 도 6을 참조하면, 전방블록(211)과, 후방블록(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블록(211)에는 체결부재(100)가 삽입되는 공간(216)이 형성되어 체결부재(100)가 전방블록(211)의 공간(216)에 삽입될 수 있다. 전방블록(211)은 제1 지지부(213)와, 제2 지지부(214)와, 연결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213)에는 후방블록(212)이 결합되며, 제1 지지부(213)로부터 후방블록(212)에 걸쳐 관통공(219)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부(214)는 제1 지지부(213)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지부(214)가 제1 지지부(213)로부터 이격되는 것에 의해 제2 지지부(214)와 제1 지지부(213) 사이에 체결부재(1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21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지부(214)에는 체결부재(100)에 형성된 단차부(110)가 결합할 수 있는 결합홈(217)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착탈식 손잡이(20)의 핸들(300)을 파지한채, 착탈식 손잡이(20)를 체결부재(100)가 결합된 용기(10)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착탈식 손잡이(20)의 착탈블록부재(200)의 블록본체(210), 예를 들어 블록본체(210)의 제1 지지부(213)와 제2 지지부(214) 사이의 공간(216)으로 체결부재(100)가 삽입되며, 제2 지지부(214)의 결합홈(217)에 체결부재(100)의 단차부(110)가 결합된다. 여기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지지부(214)는 한 쌍의 벽체(218a, 218b)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한 쌍의 벽체(218a, 218b) 사이에 결합홈(217)이 형성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벽체(218a, 218b)는 한 쌍의 벽체(218a, 218b)의 중심을 지나는 세로 방향의 가상의 수직선(L)을 기준으로 일부분이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한 쌍의 벽체(218a, 218b) 사이에 결합홈(217)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벽체(218a, 218b)는 한 쌍의 벽체(218a, 218b)의 중심을 지나는 세로 방향의 가상의 수직선(L)을 기준으로 대칭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벽체(218a, 218b)는 도 7에서와 같이 도 7을 기준으로 상측이 개방되고, 하측이 연결되며, 한 쌍의 벽체(218a, 218b) 사이에 결합홈(217)이 형성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을 참조하면, 결합홈(217)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이격된 간격(g)이 감소하도록 예를 들어,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홈(217)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이격된 간격(g)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면, 결합홈(217)이 도 9에서와 같이 결합홈(217)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체결부재(100)의 단차부(110)에 결합된 후(도 4 참조), 도 7을 기준으로 블록본체(210)와 체결부재(100)의 좌우 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만약, 결합홈(217)이 간격(g)의 변화없이 수평하게 형성되고, 체결부재(100)의 단차부(110)도 폭(w1, 도 9 참조)의 변화없이 수평하게 형성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이 경우 가공상의 오차 또는 단차부(110)와 결합홈(217)의 부딪힘 내지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소정의 유격을 형성해야 하며, 착탈블록부재(200)에 체결부재(100)가 결합되더라도 상기와 같은 단차부(110)와 결합홈(217) 사이의 유격으로 인해 착탈식 손잡이(20)가 용기(10)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20)를 포함하는 용기(10)는, 결합홈(217)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이격된 간격(g)이 감소하도록 형성되고, 단차부(110)가 형성된 체결부재(100)의 중심부가 결합홈(217)에서와 같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폭(w1, 도 9 참조)이 감소하도록 형성되면 가공상의 오차 내지 유격을 제거 내지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도 7을 기준으로 착탈식 손잡이(20)의 좌우 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4에서와 같이 체결부재(100)가 착탈블록부재(200)에 유격없이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다. 도 6을 다시 참조하여 연결부(215)는 제1 지지부(213)와 제2 지지부(214)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연결부(215)는 내측의 단면을 기준으로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폭(w2)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을 참조하면, 연결부(215)의 내측에 접촉하는 체결부재(100)의 측면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폭(w3)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술한 결합홈(217) 및 단차부(110)와 마찬가지로, 연결부(215)의 내측의 폭(w2)과, 체결부재(100)의 측면의 폭(w3)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감소하도록 형성되어 도 6을 기준으로 블록본체(210)와 체결부재(100)의 전후 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도 6을 기준으로 착탈식 손잡이(20)의 전후 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부(215) 내측의 폭(w2)이 변화되도록 형성되면, 즉 연결부(215) 내측에 경사가 형성되고, 체결부재(100)의 측면에도 경사가 형성되면 블록본체(210)가 체결부재(100)에 삽입되는 경우 연결부(215) 내측에 형성된 경사가 체결부재(100)의 측면에 형성된 경사를 따라 이동하므로 블록본체(210)를 체결부재(100)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연결부(215) 내측의 경사와, 체결부재(100) 측면의 경사는 가이드 역할을 가질 수 있다. 후방블록(212)은 전방블록(211)에 결합되고 관통공(219, 도 13 참조)이 형성되어 관통공(219)에 탄성부재(220)와 스토퍼부재(230)가 삽입될 수 있다(도 12 참조). 후방블록(212)은 전방블록(211)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후방블록(212)과 전방블록(211)이 분리되도록 제작된 후 후방블록(212)이 전방블록(211)에 결합될 수도 있다.
탄성부재(220)는 도 12에서와 같이, 블록본체(210)의 관통공(219)에 삽입될 수 있다. 탄성부재(220)는 탄성회복력을 가지는 다양한 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220)는 예를 들어 관통공(219)에 삽입될 수 있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후술하는 레버(240)를 당겨 레버(240)에 결합된 스토퍼부재(230)를 소정 방향으로 이동 후 레버(240)를 놓으면 탄성부재(220)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스토퍼부재(230)가 상기 소정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탄성부재(220)는 관통공(219)에 삽입되지 않고, 블록본체(210)와 레버(24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즉, 탄성부재(220)의 일측 단부는 블록본체(210)에 결합되고, 탄성부재(220)의 타측 단부는 레버(24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부재(230)는 관통공(219)에 삽입되어 레버(240)에 결합되고, 레버(240)에 결합된 탄성부재(220)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으며, 이에 의해, 스토퍼부재(230)가 체결부재(100)에 형성된 체결홈(120)에 체결될 수 있다.
스토퍼부재(230)는 도 12을 참조하면, 관통공(219)에 삽입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220)에 결합되어 탄성력을 제공받아 이동하면서 체결부재(100)의 체결홈(120)에 체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스토퍼부재(230)의 이동 방식은 탄성부재(220)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즉, 스토퍼부재(230)가 이동하여 체결홈(120)에 체결될 수 있다면 여러가지 다양한 방식을 통해 스토퍼부재(230)가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스토퍼부재(230)는 체결부재(100)에 형성된 체결홈(120)에 체결될 수 있다.
스토퍼부재(230)는 도 8 및 도 12를 참조하면, 이동축(231)과 헤드(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축(231)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동축(231)은 관통공(219)에 삽입되어 레버(24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레버(240)를 당기면 레버(240)에 결합된 이동축(231)이 블록본체(210)의 관통공(219) 내부에서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헤드(232)는 이동축(231)에 결합되어 이동축(231)과 함께 이동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레버(240)를 놓으면 탄성부재(220)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헤드(232)와 이동축(231)이 이동하며, 도 8에서와 같이 헤드(232)가 체결부재(100)의 체결홈(120)측으로 이동하여 체결홈(120)에 접촉된다. 이에 의해, 착탈식 손잡이(20)가 용기(10)의 체결부재(100)에 체결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레버(240)를 당기지 않은 상태에서 체결부재(100)가 블록본체(210)에 삽입되는 경우 체결부재(100)가 헤드(232)에 접촉되어 도 5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헤드(232)를 밀게되면 탄성부재(220)가 탄성수축하면서 헤드(232)와 이동축(231)이 후방으로 이동하며, 헤드(232)가 체결부재(100)의 체결홈(120)까지 이동하면 탄성부재(220)가 탄성회복력에 의해 헤드(232)와 이동축(231)이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도 8에서와 같이 헤드(232)가 체결부재(100)의 체결홈(120)에 접촉된다. 즉, 사용자가 헤드(232)를 체결부재(100)에 결합하기 위해 레버(240)를 당긴 상태에서 블록본체(210)에 체결부재(100)를 삽입할 수도 있고, 또는 레버(240)를 당기지 않은 상태에서 블록본체(210)에 체결부재(100)를 삽입할 수도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블록본체(210)의 관통공(219)은 용기(10)의 둘레면에 직교하는 가상의 수평선(h1)을 기준으로 경사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동축(231)은 경사가 형성된 관통공(219)을 따라 삽입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a)를 참조하면, 관통공(219)이 용기(10)의 둘레면에 직교하는 가상의 수평선(h2)을 기준으로 경사가 형성되지 않으며, 여기서 상측으로부터 제공되는 힘 F1 중 이동축(231)을 관통공(219)의 후방, 즉 화살표 X1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힘의 분력은 F2이다. 도 13 및 도 14(b)를 참조하면, 관통공(219)이 용기(10)의 둘레면에 직교하는 가상의 수평선(h1)을 기준으로 경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여기서 상측으로부터 제공되는 힘 F4 중 이동축(231)을 관통공(219)의 후방, 즉 화살표 X2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힘의 분력은 F5이다. 도 14(a) 및 도 14(b)의 실시예를 비교하면, 도 14(b)의 실시예의 경우 도 14(a)의 실시예에 비해 적은 힘으로도 이동축(231)을 용이하게 관통공(219)의 후방으로 화살표 X2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도 14(a)의 F1과 도 14(b)의 F4의 크기가 동일하다면 이동축(231)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은 도 14(a)의 F2의 크기인 Fa보다, 도 14(b)의 F5의 크기인 Fb가 더 크므로, 관통공(219)에 경사가 형성된 도 14(b)의 실시예의 경우 도 14(a)의 실시예에 비해 적은 힘으로도 용이하게 이동축(231)을 후방으로 화살표 X2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헤드(232)는 이동축(231)과 함께 이동하여 체결홈(120)에 접촉될 수 있다. 헤드(232)는 제1 부분(233)과, 제2 부분(234)과, 제3 부분(2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233)은 이동축(231)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도 8을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되며, 도 8에서와 같이 제1 부분(233)과 이동축(231)이 서로 교차하도록, 예를 들어, 직교하도록 제1 부분(233)이 이동축(231)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부분(233)은 이동축(231)에 대해 다양한 각도를 가지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2 부분(234)은 제1 부분(233)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도 8을 기준으로 측방에 배치되며, 체결홈(120)의 일측, 예를 들어, 도 8을 기준으로 체결홈(120)의 하측에 접촉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부분(234)은 제1 부분(233)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고, 다른 부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제2 부분(234)은 이동축(231)을 기준으로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부분(234)과 이동축(231)은 제1 각도(θ1)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부분(234)은 이동축(231)을 기준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경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2 부분(234)은 이동축(231)을 기준으로 이동축(231)보다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8 내지 도 30을 참조하면, 도 28에서 스토퍼부재(230)가 체결부재(100)에 접촉된채 체결부재(100)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며, 도 29를 참조하면, 스토퍼부재(230)의 헤드(232)가 체결홈(120)측으로 이동하면서 체결부재(100)로부터 순간적으로 떨어진다. 그리고, 도 30을 참조하면, 탄성부재(620)의 탄성력에 의해 헤드(232)가 체결부재(100)측으로 이동하면서 헤드(232)의 제2 부분(234)이 체결홈(120)에 접촉된다. 이러한 원리는, 제2 부분(234)이 이동축(231)을 기준으로 제1 각도(θ1, 도 8 참조)를 가지도록 경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3을 참조하면, 블록본체(210)의 관통공(219)은 가상의 수평선(h1)을 기준으로 경사가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2를 참조하면, 이동축(231)은 경사가 형성된 관통공(219)을 따라 삽입될 수 있으므로, 탄성부재(220)의 탄성력이 작용하면 이동축(231)은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관통공(219)의 경사를 따라 체결홈(120)측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만약, 도 8의 제2 부분(234)과 이동축(231)이 평행하다면, 즉, 도 8의 제1 각도(θ1)가 제로(Zero)라면, 탄성부재(220)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축(231)이 체결홈(120)측으로 이동하더라도 이동축(231)에 평행한 제2 부분(234)이 체결홈(120)의 하측에 접촉하지 않고 헤드(232)가 체결홈(120)에 삽입되어 헤드(232)와 체결홈(120)에 유격이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제2 부분(234)과 이동축(231)은 제1 각도(θ1)만큼 경사가 형성되므로, 이동축(231)이 체결홈(120)측으로 계속 이동하면 제2 부분(234)의 임의의 위치에서 체결홈(120)에 접촉(도 30 참조)하게 된다. 그리고, 도 30에서와 같이 헤드(232)는, 체결부인 체결홈(120)의 일측의 연장선과 제2 부분(234)의 연장선이 서로 교차하도록, 헤드(232)의 제2 부분(234)이 체결홈(120)의 하측에 접촉된채 제2 부분(234)의 경사면을 따라 계속 이동하며, 헤드(232)가 착탈블록부재(200) 및 체결홈(120)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하여 정지된다. 즉, 도 30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12를 참조하면, 헤드(232)는 제2 부분(234)이 체결홈(120)의 하측에 접촉되고, 헤드(232)의 상측부분이 착탈블록부재(200)의 블록본체(210)에 접촉되므로, 즉, 헤드(232)가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착탈블록부재(200)의 블록본체(210)와 체결홈(120)에 접촉되어 걸리므로 유격이 전혀 발생되지 않으며, 이에 의해, 착탈식 손잡이(20)가 유동없이 고정될 수 있다. 도 12에서는 헤드(232)가 체결부재(100)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즉, 헤드(232)의 제3 부분(235, 도 8 참조)가 체결부재(100)의 체결홈(120)으로부터 떨어져 있지만, 헤드(232)가 체결부재(100)에 접촉될 수도 있다. 즉, 도 29 및 도 30에서와 같이, 헤드(232)의 제2 부분(234)이 체결부재(100)의 체결홈(120)의 하측에 접촉된채 제2 부분(234)의 경사면을 따라 상측으로 계속 이동하다가, 도 12에서와 같이, 헤드(232)의 상측이 착탈블록부재(200)의 블록본체(210)에 접촉(도 12 참조)되거나,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헤드(232)의 제3 부분(235, 도 8 참조)이 체결부재(100)의 체결홈(120)의 상측에 접촉되거나, 또는, 헤드(232)가 착탈블록부재(200)의 블록본체(210)와 체결부재(100)의 체결홈(120)의 상측 모두에 접촉하게 되면, 헤드(232)는 이동을 정지한다. 즉, 헤드(232)가 체결홈(120)의 하측과 블록본체(210)에 접촉되고, 체결홈(120)의 하측과 블록본체(210) 사이에 꽉 껴지게 되어 유격이 없으므로, 헤드(232)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헤드(232)의 제2 부분(234)만 체결홈(120)의 하측에 접촉되고, 헤드(232)가 착탈블록부재(200)의 블록본체(210)와 체결부재(100)의 체결홈(120)의 상측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헤드(232)의 제2 부분(234)과 체결홈(120)의 하측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으로 정지하고 상측으로 약간의 유동이 발생할 수 있지만, 이동축(231)에 결합된 레버(240)에 의해 이동축(231)과 헤드(232)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부분(235)은 제2 부분(234)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제3 부분(235) 역시 제2 부분(233)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고, 다른 부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제3 부분(235)은 도 8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되며, 체결홈(120)의 타측, 예를 들어, 도 8을 기준으로 체결홈(120)의 상측으로부터 이격될 수도 있고, 또는, 도 8을 기준으로 체결홈(120)의 상측에 접촉될 수도 있다. 즉, 제3 부분(235)은 체결홈(120)에 반드시 접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체결홈(120)으로부터 떨어져 있어도 무방하다. 제3 부분(235) 역시 제2 부분(234)과 마찬가지로 이동축(231)을 기준으로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부분(235)과 이동축(231)은 제2 각도(θ2)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부분(235)에 경사가 형성되면 체결부재(100)가 제3 부분(235)의 경사면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적은 힘으로 스토퍼부재(230)가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부분(235)은 이동축(231)을 기준으로 상측 또는 하측으로 경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3 부분(235)은 이동축(231)을 기준으로 이동축(231)보다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동축(231)을 기준으로 하는 제2 부분(234)의 경사와 제3 부분(235)의 경사는 예각을 기준으로 제2 부분(234)과 이동축(231)이 이루는 각도인 제1 각도(θ1)가 제3 부분(235)과 이동축(231)이 이루는 각도인 제2 각도(θ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축(231)을 기준으로 제2 부분(234)과 제3 부분(235)에 경사가 형성되면 스토퍼부재(230)의 헤드(232)가 체결홈(120)에 접촉된 후 도 8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전술한 결합홈(217)과 단차부(110)에서와 마찬가지로, 헤드(232)에 경사가 형성되지 않으면 가공상의 오차 또는 헤드(232)와 체결홈(120)의 부딪힘 내지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소정의 유격을 형성해야 하며, 이로 인해 헤드(232)가 체결홈(120)에 접촉되어 체결되더라도 착탈식 손잡이(20)가 용기(10)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20)를 포함하는 용기(10)는, 헤드(232)의 제2 부분(234)과 제3 부분(235)이 이동축(231)을 기준으로 경사가 형성되므로 가공상의 오차 내지 유격을 제거 내지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도 8을 기준으로 착탈식 손잡이(20)의 상하 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헤드(232)가 체결홈(120)에 유격없이 정확하게 접촉되어 체결될 수 있다. 다만, 헤드(232)의 제2 부분(234)과 제3 부분(235)이 반드시 모두 경사가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제2 부분(234)과 제3 부분(235) 중 적어도 하나에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착탈식 손잡이(20)를 돌려서 뒤집는 경우, 즉, 도 8을 기준으로 체결부재(100)의 상하부분이 반전되는 경우 스토퍼부재(230)의 상하부분도 반전된다. 여기서, 중력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면 스토퍼부재(230)의 이동축(231)은 체결부재(100)측으로 힘을 받게 되므로 오히려 착탈식 손잡이(20)가 체결부재(100)에 더욱 단단히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레버(240)는 도 5 및 도 12를 참조하면, 스토퍼부재(230)에 결합되며, 사용자가 레버(240)를 잡고 작동하여 스토퍼부재(230)를 체결홈(120)으로부터 체결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레버(240)를 도 12의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면 레버(240)에 결합된 스토퍼부재(230)가 레버(240)의 이동방향으로 이동하며, 이에 의해 스토퍼부재(230)의 헤드(232)가 체결부재(100)의 체결홈(12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핸들(300)은 도 5를 참조하면, 착탈블록부재(200)가 결합되며,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핸들(300)은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핸들(300)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20)를 포함하는 용기(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용기(10)에 체결부재(100)가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여, 도 3을 기준으로 착탈식 손잡이(20)를 체결부재(100)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올리면 착탈블록부재(200)의 블록본체(210)에 형성된 공간(216)에 체결부재(100)가 삽입된다. 이때, 체결부재(100)가 블록본체(210)의 공간(216)에 삽입되면 도 5에서와 같이 블록본체(210)의 관통공(219)에 삽입되어 있는 스토퍼부재(230)의 헤드(232)가 체결부재(100)에 접촉되고, 체결부재(100)가 공간(216)에 삽입되어 착탈블록부재(200)에 대해 상대적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스토퍼부재(230)의 헤드(232)로 힘을 제공하며, 이와 같이 제공된 힘에 의해 헤드(232)가 도 5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힘을 받는다. 즉, 체결부재(100)의 블록본체(210)에 대한 상대적 이동을 기준으로, 체결부재(100)가 블록본체(21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블록본체(210)의 공간(216)에 삽입되면서 헤드(232)에 접촉되어 헤드(232)를 후방으로 밀게 된다. 헤드(232)는 이동축(231)에 연결되고 도 12에서와 같이 스토퍼부재(230)에는 탄성부재(220)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체결부재(100)에 의해 헤드(232)가 힘을 받으면 탄성부재(220)가 탄성 수축되면서 헤드(232)와 이동축(231)이 관통공(219)에 삽입된채 도 5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체결부재(100)가 계속 하측으로 이동하여 헤드(232)가 체결홈(120)의 위치에 놓이면 헤드(232)에 연결된 탄성부재(220)의 탄성회복력에 의해 헤드(232)가 도 5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이동하여, 도 8 및 도 12에서와 같이, 체결부재(100)의 체결홈(120)에 접촉되어 체결된다. 이에 의해, 착탈식 손잡이(20)가 용기(10)의 체결부재(100)에 체결된다. 여기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관통공(219)은 경사가 형성되고, 관통공(219)에 삽입된 이동축(231) 역시 경사지게 배치되며, 이에 의해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도 스토퍼부재(230)를 도 5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즉 도 14(b)의 화살표 X2 방향을 따라 쉽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착탈식 손잡이(20)가 용기(10)의 체결부재(100)에 체결된 경우, 블록본체(210)의 제2 지지부(214)에 형성된 결합홈(217)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이격된 간격(g, 도 7 참조)이 감소하도록 예를 들어, 대략 'V'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단차부(110)가 형성된 체결부재(100)의 중심부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폭(w1, 도 9 참조)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가공상의 오차 내지 유격을 제거 내지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도 7을 기준으로 착탈식 손잡이(20)의 좌우 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215)는 내측의 단면을 기준으로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폭(w2, 도 13 참조)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도 10을 참조하면, 연결부(215)의 내측에 접촉하는 체결부재(100)의 측면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폭(w3)이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도 6을 기준으로 착탈식 손잡이(20)의 전후 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을 참조하면, 스토퍼부재(230)의 헤드(232)의 제2 부분(234)은 이동축(231)을 기준으로 경사가 형성될 수 있고, 스토퍼부재(230)의 헤드(232)의 제3 부분(235) 역시 제2 부분(234)과 마찬가지로 이동축(231)을 기준으로 경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이동축(231)을 기준으로 제2 부분(234)과 제3 부분(235)에 경사가 형성되는 것에 의해 도 8을 기준으로 착탈식 손잡이(20)의 상하 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20)를 포함하는 용기(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용기(10)와 착탈식 손잡이(20)의 전후, 좌우, 상하 방향의 모든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안정적이고 편리하게 조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착탈식 손잡이(20)의 핸들(300)을 파지 후 용기(10)에 결합된 체결부재(100)의 하측에서 착탈식 손잡이(20)를 상측으로 올리는 것만으로 착탈식 손잡이(20)를 용기(10)에 결합시킬 수 있고, 또한, 레버(240)를 당겨서 착탈식 손잡이(20)를 하측으로 내리는 것만으로 착탈식 손잡이(20)를 용기(10)로부터 분리할 수 있으므로, 착탈이 용이하고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손잡이(20)가 분리된 후 복수의 용기(10)들을 수납할 수 있으므로, 손잡이(20)와 용기(10)들이 간섭되거나 충돌되지 않아서 수납이 간편하고 수납된 용기(10)들의 부피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의 변형 실시예로, 체결부재(100)가 핸들(300)에 결합되고, 블록본체(210)가 용기(10)에 결합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착탈블록부재에 체결부재가 삽입된 모습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20)를 포함하는 용기(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20)를 포함하는 용기(10)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하며,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경우 착탈블록부재(200)에서 탄성부재(220)를 대신하여 블록본체(210)의 일부분과, 스토퍼부재(230)의 일부분에 자석(410, 420)이 포함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착탈블록부재(200)는 블록본체(210)와, 스토퍼부재(230)와, 레버(240)를 포함한다. 블록본체(21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체결부재(10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216)과 관통공(219)이 마련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그리도, 도 15를 참조하면, 블록본체(210)의 일부분이 자석(410)으로 형성된다. 스토퍼부재(230)는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관통공(219)에 삽입되고 체결부재(100)에 형성된 체결홈(120)에 체결되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도 15를 참조하면, 스토퍼부재(230)의 일부분, 예를 들어 이동축(231)의 일부분은 블록본체(210)의 자석(410)과 동일 극성의 자석(420)으로 형성된다. 한편, 레버(240)는 스토퍼부재(230)에 결합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공통되므로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15는 스토퍼부재(230)가 체결부재(100)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헤드(232)가 체결홈(120)에 체결되며, 이에 의해 착탈식 손잡이(20)가 용기(10)에 결합된 상태이다. 여기서, 착탈식 손잡이(20)를 용기(1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사용자가 레버(240)를 당기면 블록본체(210)의 자석(410)과 스토퍼부재(230)의 이동축(231)의 자석(420)이 근접한 위치에 놓여지며, 착탈식 손잡이(20)를 용기(10)로부터 분리 후 사용자가 레버(240)를 놓게 되면 블록본체(210)의 자석(410)과 스토퍼부재(230)의 이동축(231)의 자석(420)은 동일한 극성을 가지므로 서로 밀어낸다. 즉, 스토퍼부재(230)에 제1 실시예에서의 탄성부재(220)가 없더라도 동일 극성을 가지는 자석들(410, 420)의 척력에 의해 스토퍼부재(230)가 원위치로 원상회복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착탈블록부재에 체결부재가 삽입된 모습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20)를 포함하는 용기(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20)를 포함하는 용기(10)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하며,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경우 착탈블록부재(200)에서 탄성부재(220)를 대신하여 레버(240)의 적어도 일부분과, 핸들(300)의 일부분에 자석(430, 440)이 포함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착탈블록부재(200)는 블록본체(210)와, 스토퍼부재(230)와, 레버(240)를 포함한다. 블록본체(210)와 스토퍼부재(230)는 1 실시예와 공통되므로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레버(240)는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스토퍼부재(230)에 결합되며, 도 16을 참조하면, 적어도 일부분이 자석(430)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핸들(300)의 일부분, 예를 들어 핸들(300)의 내측의 일부분은 레버(240)의 자석(430)과 동일 극성의 자석(440)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착탈식 손잡이(20)를 용기(1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사용자가 레버(240)를 당기면 레버(240)의 자석(430)과 핸들(300)의 자석(440)이 근접한 위치에 놓여지며, 착탈식 손잡이(20)를 용기(10)로부터 분리 후 사용자가 레버(240)를 놓게 되면 레버(240)의 자석(430)과 핸들(300)의 자석(440)은 동일한 극성을 가지므로 서로 밀어낸다. 즉, 스토퍼부재(230)에 제1 실시예에서의 탄성부재(220)가 없더라도 동일 극성을 가지는 자석들(430, 440)의 척력에 의해 스토퍼부재(230)가 원위치로 원상회복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손잡이에 체결부재가 결합된 전체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측단면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핸들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착탈블록부재의 블록본체의 사시도이며, 도 2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체결부재의 일측의 사시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체결부재의 측면도이며, 도 2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체결부재의 타측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20)를 포함하는 용기(10, 도 1 및 도 2 참조)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20)를 포함하는 용기(10)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하며,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경우, 착탈블록부재(200)에 공간(216) 및 결합홈(217)이 형성된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와 달리, 체결부재(500)에 결합홈(520) 및 공간(530)이 형성(도 23 참조)되어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고, 또한, 블록본체(610)의 형상에서도 차이가 있으며, 또한, 결합홈(520)의 이격된 간격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점도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체결부재(500)에는 도 21을 참조하면, 용기에 고정 결합되는 체결부재(500)의 일측(500a)에 체결홈(510)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23을 참조하면, 일측(500a)의 반대측인 타측(500b)에 결합홈(520)이 형성된다. 여기서, 체결부재(500)의 일측(500a)과 체결부재(500)의 타측(500b)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530)이 형성된다. 블록본체(610)의 돌출부(611)는 체결부재(500)의 공간(530)에 삽입되며, 이때, 블록본체(610)는 체결부재(500)의 결합홈(520)에 결합된다. 여기서, 체결부재(500)의 결합홈(520)은 도 23을 기준으로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이격된 간격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도 23 참조), 결합홈(520)에 대응되도록 블록본체(610)의 돌출부(611)의 폭(w4)이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도 20 참조). 체결부재(500)의 일측(500a)에 형성된 체결홈(510)에는 착탈블록부재(600)의 스토퍼부재(630)가 착탈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으며(도 18 참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서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체결부재(500)는 체결부재(500)의 일측(500a, 도 21 및 도 22 참조)이 용기(10)에 고정 결합되며(도 1 및 도 17 참조), 결합홈(520)은 체결홈(510)의 반대측에서 용기(10) 외부로 노출된다(도 22 및 도 23 참조). 그리고, 착탈식 손잡이(20)는 체결부재(5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착탈블록부재(600)는 체결부재(500)의 체결홈(510)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착탈블록부재(600)는 블록본체(610)와, 탄성부재(620)와, 스토퍼부재(630)와, 레버(6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블록본체(610)는 도 20을 참조하면, 체결부재(500)의 공간(530)에 삽입되는 돌출부(611)가 마련되고, 탄성부재(620)와 스토퍼부재(630)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612)이 형성되며, 체결부재(500)의 결합홈(520)에 결합된다. 관통공(612)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서의 관통공(219)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사용자가 착탈식 손잡이(20)의 핸들(700)을 파지한채, 착탈식 손잡이(20)를 체결부재(500)가 결합된 용기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블록본체(610)의 돌출부(611)가 체결부재(500)의 공간(530)에 삽입되고, 블록본체(610)가 체결부재(500)의 결합홈(520)에 결합된다(도 17 및 도 18 참조). 여기서, 스토퍼부재(630)가 체결홈(510)에 체결되는 과정은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서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한편, 탄성부재(620)와, 스토퍼부재(630)와, 레버(640)는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서의 탄성부재(220)와, 스토퍼부재(230)와, 레버(240)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그리고, 착탈블록부재(600)가 결합되는 핸들(700, 도 19 참조) 또한,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서의 핸들(300)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손잡이에 체결부재가 결합된 모습의 측단면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착탈블록부재의 블록본체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20)를 포함하는 용기(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4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20)를 포함하는 용기(10)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하며,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경우 기본적으로 제4 실시예와 공통되며, 다만, 착탈블록부재(600)의 블록본체(610)의 형상이 제4 실시예와 다르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제5 실시예의 블록본체(610)에 가이드부(613)가 더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부(613)는 블록본체(610)의 전방면을 체결부재(500)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시킨다. 즉, 제4 실시예의 도 18을 참조하면, 블록본체(610)의 전방면이 체결부재(500)에 접촉되어 있지만, 제5 실시예의 도 24를 참조하면, 가이드부(613)에 의해 블록본체(610)의 전방면이 체결부재(500)로부터 이격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5 실시예는 제4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스토퍼부재가 체결부재의 체결홈에 체결된 모습의 측면도이고, 도 28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스토퍼부재가 체결부재의 체결홈에 체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20)를 포함하는 용기(10, 도 1 및 도 2 참조)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하며,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경우, 제2 부분(234)과 제3 부분(235)이 가상의 수평선(Y1, 도 27 참조)을 기준으로 경사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이동축(231)을 기준으로 제2 부분(234)과 제3 부분(235)에 경사가 형성된 제1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스토퍼부재(230)는 가상의 수평선(Y1)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체결부, 즉, 체결홈(120)에 체결되며, 이를 위해 이동축(231)과 헤드(23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축(231)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여기서, 이동축(231)은 블록본체(210)에 형성된 관통공(219)에 삽입되어 레버(2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체한다. 한편, 탄성부재(220)는 도 12에서와 같이, 블록본체(210)의 관통공(219)에 삽입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로 탄성부재(200)의 일측이 레버(240)에 결합되고, 탄성부재(200)의 타측이 블록본체(210)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블록본체(210)의 관통공(219)은 용기(10)의 둘레면에 직교하는 가상의 수평선(h1)을 기준으로 경사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동축(231)은 경사가 형성된 관통공(219)을 따라 삽입될 수 있다. 즉, 이동축(231)은 도 27의 가상의 수평선(Y1)을 기준으로 θ5만큼 경사지게 배치되어 블록본체(210)의 관통공(219)에 삽입될 수 있다. 이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공통되므로,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27을 참조하면, 헤드(232)는 제1 부분(233)과, 제2 부분(234)과, 제3 부분(2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233)은 이동축(231)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도 27을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되며, 도 27에서와 같이 제1 부분(233)과 이동축(231)이 서로 교차하도록 제1 부분(233)이 이동축(23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부분(233)과 이동축(231)은 다양한 각도를 가지도록 제1 부분(233)이 이동축(23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제1 부분(233)이 이동축(231)에 직교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2 부분(234)은 제1 부분(233)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으로 도 27을 기준으로 측방에 배치되며, 체결홈(120)의 일측, 예를 들어, 도 27을 기준으로 체결홈(120)의 하측에 접촉될 수 있다. 도 27에서와 같이 제2 부분(234)은 가상의 수평선(Y1)을 기준으로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부분(235)은 제2 부분(234)으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으로 도 27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부분(235)은 체결홈(120)의 타측, 예를 들어, 도 27을 기준으로 체결홈(120)의 상측에 접촉될 수도 있고, 또는 체결홈(120)의 상측으로부터 떨어져 있을 수도 있다. 즉, 제2 부분(234)이 체결홈(120)에 접촉되면 착탈식 손잡이(20)의 고정이 가능하므로, 제3 부분(235)은 체결홈(120)에 접촉될 수도 있고, 또는 체결홈(120)에 접촉되지 않고 체결홈(120)으로부터 떨어져 있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제3 부분(235) 역시 제2 부분(234)과 마찬가지로 가상의 수평선(Y1)을 기준으로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27을 참조하면, 가상의 수평선(Y1)을 기준으로 하는 제2 부분(234)의 경사와 제3 부분(235)의 경사는 예각을 기준으로 제2 부분(234)과 가상의 수평선(Y1)이 이루는 각도인 제1 각도(θ3)가 제3 부분(235)과 가상의 수평선(Y1)이 이루는 각도인 제2 각도(θ4)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상의 수평선(Y1)을 기준으로 제2 부분(234)과 제3 부분(235)에 경사가 형성되면 스토퍼부재(230)의 헤드(232)의 제2 부분(234)이 체결홈(120)에 접촉된 후 도 27을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의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20)를 포함하는 용기(10)는, 헤드(232)의 제2 부분(234)과 제3 부분(235)이 가상의 수평선(Y1)을 기준으로 경사가 형성되므로 가공상의 오차 내지 유격을 제거 내지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도 27을 기준으로 착탈식 손잡이(20)의 상하 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헤드(232)가 체결홈(120)에 유격없이 정확하게 접촉되어 체결될 수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제1 각도(θ3)는 가상의 수평선(Y1)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형성되고, 제2 각도(θ4)는 가상의 수평선(Y1)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부분(234)은 이동축(231)을 기준으로 이동축(231)보다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7에서와 같이, 제2 부분(234)은 이동축(231)에 평행한 가상의 점선(Y2)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θ6만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2 부분(234)은 이동축(231)을 기준으로 이동축(231)보다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헤드(232)의 제2 부분(234)이 체결부재(100)에 접촉된채로 상측으로 이동한다. 도 29를 참조하면, 헤드(232)의 제2 부분(234)이 상측으로 이동하면 헤드(232)가 체결부재(100)로부터 순간적으로 떨어진다. 그리고, 도 30을 참조하면, 탄성부재(620)의 탄성력에 의해 헤드(232)가 체결부재(100)측으로 이동하면서 헤드(232)의 제2 부분(234)이 체결홈(120)의 하측에 접촉된다. 그리고, 헤드(232)는, 헤드(232)의 제2 부분(234)이 체결홈(120)의 하측에 접촉된채 제2 부분(234)의 경사면을 따라 계속 이동하며, 헤드(232)가 착탈블록부재(200) 및 체결홈(120)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하여 정지된다. 이에 의해, 착탈식 손잡이(20)가 유동없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설명된 내용은 필요에 따라 적용 가능한 범위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내지 제5 실시예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1 및 도 3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스토퍼부재의 헤드가 체결부재의 경사부를 따라 이동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20)를 포함하는 용기(10, 도 1 및 도 2 참조)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하며,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의 경우, 체결부재(100)에 경사부(130)가 형성되고, 스토퍼부재(230)의 헤드(232)가 체결부재(100)의 경사부(130)를 따라 이동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 내지 제6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체결부재(100)에는 경사부(130)가 형성된다. 그리고, 헤드(232)는 체결부재(100)의 경사부(130)에 접촉된채 경사부(13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부분(234)은 이동축(231)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부분(234)은 이동축(231)을 기준으로 경사가 형성되지 않는다. 다만, 제2 부분(234)이 이동축(231)을 기준으로 경사가 형성되는 것을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즉, 제7 실시예에서도 제2 부분(234)은 이동축(231)을 기준으로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헤드(232)의 제2 부분(234)과 제3 부분(235)이 만나는 연결지점(237)에서 경사부(130)에 접촉될 수 있다(도 32 참조). 그리고, 탄성부재(620)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축(231)이 이동하면 연결지점(237)이 체결부재(100)의 경사부(130)에 접촉된채 체결부재(100)의 경사부(130)를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헤드(232)가 착탈블록부재(200)의 블록본체(210) 및 체결홈(120)의 상측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하여 정지된다. 헤드(232)가 정지하는 내용은 전술한 설명과 공통되므로,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도 33 및 도 34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스토퍼부재의 헤드가 체결부재에 체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20)를 포함하는 용기(10, 도 1 및 도 2 참조)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하며,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의 경우, 헤드(232)가 체결부재(100)보다 착탈블록부재(200)에 먼저 접착하여 이동한다는 점에서 다른 실시예들과 차이가 있다.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면, 헤드(232)는 제1 부분(233)에 결합되는 제4 부분(236)을 포함한다. 제4 부분(236)은 제1 부분(233)에 직접 결합되는 부분일 수도 있고, 다른 부분 내지 다른 부재들에 의해 간접적으로 결합되는 부분일 수도 있다. 도 33을 참조하면, 헤드(232)의 제4 부분(236)이 착탈블록부재(200)의 블록본체(210)에 먼저 접촉한채로 이동하며, 도 34를 참조하면, 헤드(232)의 제2 부분(234)이 체결홈(120)의 하측에 접촉하여 정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헤드(232)의 제4 부분(236)은 다양한 위치에서 착탈블록부재(200)의 블록본체(210)에 접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33에서와 같이, 제4 부분(236)과 제3 부분(235)이 만나는 지점에서 착탈블록부재(200)의 블록본체(210)에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35 및 도 36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에서 스토퍼부재의 헤드가 체결부재에 체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손잡이(20)를 포함하는 용기(10, 도 1 및 도 2 참조)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한 내용과 공통되는 부분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하며,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의 경우, 헤드(232)가 체결부재(100)보다 착탈블록부재(200)에 먼저 접착하여 이동한다는 점에서 제1 내지 제 7 실시예와 차이가 있고, 또한, 체결부재(100)에 경사부(130)가 형성된다는 점에서 제 8실시예와도 차이가 있다.
도 35 및 도 36을 참조하면, 헤드(232)는 제1 부분(233)에 결합되는 제4 부분(236)을 포함한다. 제4 부분(236)은 제1 부분(233)에 직접 결합되는 부분일 수도 있고, 다른 부분 내지 다른 부재들에 의해 간접적으로 결합되는 부분일 수도 있다. 그리고, 체결부재(100)에는 경사부(130)가 형성된다. 도 35를 참조하면, 헤드(232)의 제4 부분(236)이 착탈블록부재(200)의 블록본체(210)에 먼저 접촉한채로 이동하며, 도 36을 참조하면, 헤드(232)의 다른 부분, 예를 들어, 헤드(232)의 제2 부분(234)과 제3 부분(235)이 만나는 연결지점(237)에서 체결부재(100)의 경사부(130)에 접촉하여 정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용기 20 : 착탈식 손잡이
100 : 체결부재 110 : 단차부
120 : 체결홈 130 : 경사부
200 : 착탈블록부재 210 : 블록본체
211 : 전방블록 212 : 후방블록
213 : 제1 지지부 214 : 제2 지지부
215 : 연결부 216 : 공간
217 : 결합홈 218 : 벽체
219 : 관통공 220 : 탄성부재
230 : 스토퍼부재 231 : 이동축
232 : 헤드 233 : 제1 부분
234 : 제2 부분 235 : 제3 부분
236 : 제4 부분 237 : 연결지점
240 : 레버 300 : 핸들
410, 420, 430, 440 : 자석 500 : 체결부재
510 : 체결홈 520 : 결합홈
530 : 공간 600 : 착탈블록부재
610 : 블록본체 611 : 돌출부
612 : 관통공 613 : 가이드부
620 : 탄성부재 630 : 스토퍼부재
640 : 레버 700 : 핸들

Claims (20)

  1. 일측이 용기에 결합되고, 상기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 체결부가 형성된 체결부재;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부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 스토퍼부재가 구비된 착탈블록부재; 및
    상기 착탈블록부재가 결합되는 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부재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이동축; 및
    상기 이동축에 결합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이동축에 결합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에 접촉될 수 있는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는 상기 이동축과 함께 이동하여 상기 체결부에 접촉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이동축을 기준으로 경사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는, 상기 체결부 일측의 연장선과 상기 제2 부분의 연장선이 서로 교차하도록 상기 헤드의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체결부에 접촉된채 상기 제2 부분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이동축을 기준으로 상기 이동축보다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체결부에 접촉된채 이동하여 헤드가 상기 착탈블록부재 및 상기 체결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하여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제2 부분에 결합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이동축을 기준을 기준으로 경사가 형성되고, 상기 제3 부분도 상기 이동축을 기준으로 경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이동축이 이루는 각도인 제1 각도는 상기 이동축을 기준으로 하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3 부분과 상기 이동축이 이루는 각도인 제2 각도는 상기 이동축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예각을 기준으로, 상기 제1 각도가 상기 제2 각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이동축은 서로 교차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블록부재는,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관통공이 형성된 블록본체;
    상기 블록본체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스토퍼부재에 결합되는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부재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되어 탄성력을 제공받으며, 상기 체결부재에 형성된 체결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블록부재는,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관통공이 형성된 블록본체;
    상기 블록본체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스토퍼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되는 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부재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레버에 결합되고, 상기 레버에 결합된 탄성부재로부터 탄성력을 제공받으며, 상기 체결부재에 형성된 체결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용기의 둘레면에 직교하는 가상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경사가 형성되며, 상기 이동축은 경사가 형성된 상기 관통공을 따라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에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는 상기 체결부재의 상기 경사부에 접촉된채 상기 경사부를 따라 이동하여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가 상기 체결부재의 상기 경사부에 접촉된채 상기 경사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헤드가 상기 착탈블록부재 및 상기 체결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하여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제2 부분에 결합되는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분과 상기 제3 부분이 만나는 연결지점에서 상기 경사부에 접촉되며, 상기 연결지점이 상기 체결부재의 경사부에 접촉된채 상기 체결부재의 상기 경사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제1 부분에 결합되는 제4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의 상기 제4 부분이 먼저 상기 착탈블록부재에 접촉한채로 이동하여 상기 헤드의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체결부에 접촉하여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제1 부분에 결합되는 제4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부재에는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의 상기 제4 부분이 먼저 상기 착탈블록부재에 접촉한채로 이동하여 상기 헤드의 다른 부분이 상기 체결부재의 경사부에 접촉하여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17. 일측에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일측과 상기 타측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체결부가 형성된 상기 일측이 용기에 고정 결합되는 체결부재;
    스토퍼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부재가 상기 체결부재의 체결홈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는 착탈블록부재; 및
    상기 착탈블록부재가 결합되는 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부재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동가능하게 마련된 이동축; 및
    상기 이동축에 결합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이동축에 결합되는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에 결합되며 상기 체결부에 접촉될 수 있는 제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헤드는 상기 이동축과 함께 이동하여 상기 체결부에 접촉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이동축을 기준으로 경사가 형성되고,
    상기 헤드는, 상기 체결부 일측의 연장선과 상기 제2 부분의 연장선이 서로 교차하도록 상기 헤드의 상기 제2 부분이 상기 체결부에 접촉된채 상기 제2 부분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블록부재는,
    상기 체결부재의 상기 공간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마련되고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는 블록본체;
    상기 블록본체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탄성부재;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고 상기 탄성부재에 결합되어 탄성력을 제공받으며, 상기 체결부재에 형성된 체결부에 체결되는 스토퍼부재; 및
    상기 스토퍼부재에 결합되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이격된 간격이 증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돌출부의 폭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KR1020180173922A 2018-12-31 2018-12-31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KR102206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922A KR102206531B1 (ko) 2018-12-31 2018-12-31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CN201980086765.2A CN113286541B (zh) 2018-12-31 2019-11-22 具有可附接/可拆卸手柄的容器
JP2021561591A JP7231285B2 (ja) 2018-12-31 2019-11-22 着脱式取っ手を含む容器
US17/309,905 US11992162B2 (en) 2018-12-31 2019-11-22 Container having attachable/detachable handle
CA3125102A CA3125102A1 (en) 2018-12-31 2019-11-22 Container having attachable/detachable handle
EP19907174.7A EP3906824A4 (en) 2018-12-31 2019-11-22 CONTAINER WITH ATTACHABLE/REMOVABLE HANDLE
AU2019418679A AU2019418679B2 (en) 2018-12-31 2019-11-22 Container having attachable/detachable handle
PCT/KR2019/016080 WO2020141726A2 (ko) 2018-12-31 2019-11-22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922A KR102206531B1 (ko) 2018-12-31 2018-12-31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897A KR20200082897A (ko) 2020-07-08
KR102206531B1 true KR102206531B1 (ko) 2021-01-22

Family

ID=71406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922A KR102206531B1 (ko) 2018-12-31 2018-12-31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992162B2 (ko)
EP (1) EP3906824A4 (ko)
JP (1) JP7231285B2 (ko)
KR (1) KR102206531B1 (ko)
CN (1) CN113286541B (ko)
AU (1) AU2019418679B2 (ko)
CA (1) CA3125102A1 (ko)
WO (1) WO2020141726A2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2348B2 (ja) * 1992-06-08 2000-07-10 株式会社デンソー 流量計
KR200301372Y1 (ko) * 2002-10-12 2003-01-30 우천수 조리용기에 탈.부착되는 손잡이
KR101312368B1 (ko) * 2011-03-21 2013-09-27 주식회사 코베아 조리용기용 손잡이 착탈장치
KR101528452B1 (ko) * 2015-02-03 2015-06-11 김형선 탈착식 손잡이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2348U (ja) * 1999-03-23 1999-10-08 株式会社高敏 鍋持ち手の着脱構造
JP3769669B2 (ja) * 2002-01-21 2006-04-26 株式会社中央産業 把手構造
KR20040043798A (ko) 2002-11-20 2004-05-27 최정호 조리용기용 손잡이
KR100716595B1 (ko) 2005-09-12 2007-05-10 이상호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CN100586353C (zh) * 2008-04-22 2010-02-03 浙江苏泊尔股份有限公司 可拆卸的炊具手柄
WO2010005158A1 (ko) * 2008-07-11 2010-01-14 Jung Jin Heon 조리용기용 탈착식 손잡이
JP2010035652A (ja) * 2008-07-31 2010-02-18 Yoshino:Kk 加熱調理容器
KR101063568B1 (ko) * 2009-10-27 2011-09-07 김명임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KR200465861Y1 (ko) * 2011-01-28 2013-03-21 윤장원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
JP5369213B2 (ja) * 2012-04-09 2013-12-18 河培 林 着脱可能な料理用容器のハンドル
KR101237429B1 (ko) 2012-05-03 2013-02-26 김우협 손잡이 연동형 밀폐 냄비
JP5266425B1 (ja) * 2012-09-07 2013-08-21 克子 小林 調理用鍋の着脱把手
KR101457788B1 (ko) * 2013-02-08 2014-11-04 최중일 용기 그립 호환성을 향상시킨 착탈식 용기 손잡이
KR102227627B1 (ko) * 2013-07-29 2021-03-15 남경호 탈부착형 손잡이
KR101619137B1 (ko) * 2014-04-16 2016-05-11 김미경 조리기구용 손잡이의 탈부착 구조
CN108471912A (zh) * 2016-01-15 2018-08-31 F.B.M.热塑有限责任公司 用于烹饪容器和相应的固定系统的手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2348B2 (ja) * 1992-06-08 2000-07-10 株式会社デンソー 流量計
KR200301372Y1 (ko) * 2002-10-12 2003-01-30 우천수 조리용기에 탈.부착되는 손잡이
KR101312368B1 (ko) * 2011-03-21 2013-09-27 주식회사 코베아 조리용기용 손잡이 착탈장치
KR101528452B1 (ko) * 2015-02-03 2015-06-11 김형선 탈착식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06824A2 (en) 2021-11-10
KR20200082897A (ko) 2020-07-08
JP2022517697A (ja) 2022-03-09
CA3125102A1 (en) 2020-07-09
AU2019418679B2 (en) 2023-07-20
US11992162B2 (en) 2024-05-28
JP7231285B2 (ja) 2023-03-01
EP3906824A4 (en) 2022-09-28
US20220061591A1 (en) 2022-03-03
WO2020141726A2 (ko) 2020-07-09
AU2019418679A1 (en) 2021-08-12
CN113286541B (zh) 2024-06-07
CN113286541A (zh) 2021-08-20
WO2020141726A3 (ko) 202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4432B1 (ko) 플라스틱 보틀용의 핸들
KR102474739B1 (ko) 착탈식 손잡이
CN105899865B (zh) 快速连接组件
CN210276847U (zh) 由配备有挂耳的烹饪容器和可拆卸手柄形成的烹饪组件
KR102206531B1 (ko)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US20170127898A1 (en) Telescopic Wand for a Vacuum Cleaner
JP4038461B2 (ja) 収納ケース
US20070246467A1 (en) Stopper for a container
JP2016190669A (ja) エアゾール用アクチュエータ
KR101959964B1 (ko)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JP2018134391A (ja) 枢動ボタン付きの開放システムを備える脱着可能なハンドル
JP2009039648A (ja) フィンガーポンプ装置
IL273966B2 (en) Connects fiber optic end units
WO2018186170A1 (ja) 清掃具
CN108797717B (zh) 手持花洒的能装拆挂接结构及能装拆挂接结构
KR101596210B1 (ko) 착탈 가능한 핸들 체결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 기구
JP2018094223A (ja) 棚板支持具
KR20160002465U (ko) 개선된 실리콘 건
KR20220099908A (ko) 최적화된 조립체를 가지는 제거 가능 핸들
JP4841626B2 (ja) 自動車車両内における後部棚板の構成
JP5783923B2 (ja) 取り出し具付き容器
JP2007261350A (ja) フットレスト
JP5279801B2 (ja) 車両用給油口装置
KR200475342Y1 (ko) 음료 용기 손잡이
AU2021353512B2 (en) Cookware vessel with removable han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