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5861Y1 -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5861Y1
KR200465861Y1 KR2020110000820U KR20110000820U KR200465861Y1 KR 200465861 Y1 KR200465861 Y1 KR 200465861Y1 KR 2020110000820 U KR2020110000820 U KR 2020110000820U KR 20110000820 U KR20110000820 U KR 20110000820U KR 200465861 Y1 KR200465861 Y1 KR 2004658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ntact member
plunger
kitchen container
kitch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8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641U (ko
Inventor
윤장원
Original Assignee
윤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장원 filed Critical 윤장원
Priority to KR20201100008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861Y1/ko
Publication of KR201200056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6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8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8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8Handles having indicating means, e.g. for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용기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후라이팬, 냄비 등과 같은 주방용기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상부덮개와 하부덮개로 이루어지는 몸체부를 갖춘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는 전류 공급시 작동하는 플런저를 갖춘 솔레노이드 장치와, 상기 플런저의 일측과 체결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장치의 작동에 따라 전후진 동작을 수행하면서 상기 주방용기의 가장자리부 내측면에 밀착 또는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이탈되는 제 1 밀착 부재와, 상기 하부덮개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주방용기의 가장자리부 외측면에 밀착되는 제 2 밀착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An attachable and seperable handle of kitchen container}
본 고안은 주방용기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바람직하게는 후라이팬, 냄비 등과 같은 주방용기에 착탈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라이팬이나 냄비 등과 같은 각종 조리용기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해당 조리용기를 원하는 곳으로 들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가 설치 되어 있으며, 이러한 조리용기용 손잡이는 일반적으로 그 손잡이의 단부를 조리용기 몸체에 완전히 용접고정시키거나 스크류우조임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조리용기에 일체로 결합설치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종래의 조리용기는 그 조리용기 몸체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손잡이로 인해 예컨대 오븐 레인지에 그 조리용기를 넣어 조리를 행하기가 곤란하게 되거나 조리완료된 음식물이 수용되어 있는 조리용기를 식탁에 바로 올려 식사하기가 곤란하게 되는 것 등의 불편이 초래되는 일이 많고, 또한 조리용기의 보관, 운반 등의 취급이나 세척시에도 많은 불편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조리용기에 탈부착 가능한 독립부재형 손잡이에 대한 기술 개발이 1990년대 중반 이후로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관련 기술들이 특허 또는 실용신안으로 출원되고 있다.
그러나, 시장에 출시되어 있거나 특허, 실용신안 출원된 대다수의 조리용기용 손잡이는 그 작동 방식이 기계식인 까닭에 나이 드신 노약자 분들이나 힘이 부족한 미성년자들이 다루기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종래의 조리용기용 손잡이에는 아무런 알람 또는 경고 장치 등이 없었던 관계로 요리 도중 일시적으로 자리를 비우거나 다른 일을 병행하여 수행하다가 실수로 요리를 망치는 경우도 비일비재하였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기계적 힘을 가함이 없이 손쉽게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전자식 스위치 기능을 구비한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솔레노이드 장치를 구비한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고안에서는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의 일부분에 솔레노이드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버튼을 제공하고, 버튼의 선택에 의하여 솔레노이드 장치와 연동되어 있는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의 전면판이 후면판 방향으로 밀착 이동하여 주방용기의 테두리부와 결합 가능하도록 한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의 일측에 알람 기능을 갖는 타이머를 부착하여 일시적으로 주방을 이탈하는 경우에도 적정 요리 시간 경과 후 알람 신호 등을 통하여 주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의 일 실시예는 상부덮개와 하부덮개로 이루어지는 몸체부를 갖춘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로서, 전류 공급시 작동하는 플런저를 갖춘 솔레노이드 장치와, 상기 플런저의 일측과 체결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장치의 작동에 따라 전후진 동작을 수행하면서 상기 주방용기의 가장자리부 내측면에 밀착 또는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이탈되는 제 1 밀착 부재와, 상기 하부덮개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주방용기의 가장자리부 외측면에 밀착되는 제 2 밀착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시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밀착부재는 상기 플런저의 전후진 동작에 연동되도록 상기 플런저의 일측과 체결되는 체결홈을 구비한 바디와, 상기 바디와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주방용기의 자장자리 내측면에 밀착 또는 탈착되는 전면판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덮개의 상면에는 상기 제 1 밀착부재의 전진 및 후진 간격을 조절하는 걸림턱이 부설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밀착부재의 바디 일측에는 상기 걸림턱에 삽입되는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구멍은 상기 제 1 밀착 부재의 전진 또는 후진에 따라 상기 걸림턱의 일측면 또는 상기 일측면의 반대편인 타측면과 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덮개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제 1 밀착부재와 제 2 밀착부재가 밀착되어 있는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잠금해제키가 안내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해제키는 상기 몸체의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함께 성형되며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상기 몸체 내부에 삽입되는 슬라이드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드판 일측에는 상기 플런저 일측을 에워싸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덮개의 일측에는 탄성부재 안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 안착부에 삽입된 탄성부재의 일측은 상가 잠금해제키의 슬라이드판 종단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상기 솔레노이드 장치가 작동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밀착 부재가 상호 밀착하는 경우, 상기 플런저가 이동하면서 상기 플런저의 종단부에 형성된 환형으로 형성된 홈이 상기 슬라이드판의 상기 슬라이드 홈에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의 영향으로 상기 잠금해제키는 상기 솔레노이드 동작전보다 외부 방향으로 돌출되며,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상기 잠금해제키의 손잡이를 내부 방향으로 밀어 상기 잠금해제키의 상기 슬라이드판의 상기 슬라이드 홈과 상기 플런저 종단부의 환형으로 형성된 홈의 끼워짐 상태를 해제시키면 상기 플런저는 상기 제 1 밀착부재와 제 2 밀착부재를 이탈시키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 일측에는 조리시간 카운팅용 타이머 장치가 더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 일측에는 자석이 부설되어 있으며, 상기 자석에 착탈 가능한 조리시간 카운팅용 타이머 장치가 더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인 상부덮개와 하부덮개로 이루어지는 몸체부를 갖춘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는 상기 몸체부 일측에 부설된 버튼에 의하여 작동하는 플런저를 갖춘 솔레노이드 장치와, 상기 플런저의 일측과 체결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장치의 작동에 따라 전후진 동작을 수행하면서 상기 주방용기의 가장자리부 내측면에 밀착 또는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이탈되는 제 1 밀착 부재와, 상기 하부덮개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주방용기의 가장자리부 외측면에 밀착되는 제 2 밀착 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를 사용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종래 기계식 방식이 적용된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의 작동시 과도한 힘이 필요하였던 반면, 전자식 스위치 기능을 갖는 솔레노이드 장치를 적용함과 아울러 솔레노이드의 플런저를 이용하여 밀착 부재의 기계적 운동을 유발시키는 본 고안의 경우 적은 힘을 사용하여 조리용기용 손잡이를 다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몸체의 일측에 돌출된 잠금해제키를 몸체 방향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밀착부재들간의 잠김 상태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셋째, 몸체의 일측에 고정 부착 또는 착탈식으로 부착 가능한 타이머를 부가하여 조리 시간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솔레노이드 장치를 갖춘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에 적용된 솔레노이드 장치의 동작을 회로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의 일부 분해 사시도로서, 손잡이를 사용하기 전의 상태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의 일부 분해 사시도로서, 손잡이를 사용하는 경우의 상태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의 일측에 요리 시간 측정을 위하여 장착되는 타이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솔레노이드 장치를 갖춘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는 전원연결용 스위치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11)과, 버튼(11) 선택시 전류가 공급되어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장치(12)와, 상기 솔레노이드 장치(12)의 플런저(도시되지 않음) 종단부와 일측이 체결되어 연동되는 제 1 밀착부재(13)와, 제 1 밀착부재(13)의 작동에 따라 제 1 밀착 부재(13)와 함께 주방용기의 가장자리에 밀착하여 부착되는 제 2 밀착부재(14)를 기본적으로 구비한다.
여기서, 제 1 및 제 2 밀착부재는 조리용기의 가장자리에 부착되게 될 한쌍의 부재를 의미한다.
도 1의 개념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기본적인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다.
손잡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해제 상태)
손잡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솔레노이드 장치(12)의 플런저와 체결되어 연동하게 되는 제 1 밀착 부재가 제 2 밀착 부재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며, 솔레노이드 장치(12)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 상태를 유지한다.
손잡이를 사용하는 경우(잠금 상태)
손잡이를 사용하는 경우, 손잡이 몸체의 일측에 부착되는 버튼을 눌러 솔레노이드 장치(12)를 동작시키면, 솔레노이드 장치의 플런저와 체결되어 있는 제 1 밀착부재(13)가 제 2 밀착 부재(14)가 있는 방향으로 순간적으로 이동하여 주방용기의 가장자리에 제 1 밀착 부재(13)와 제 2 밀착 부재(14)가 밀착되어 고정된다. 한편, 제 1 밀착 부재(13)가 제 2 밀착 부재(14)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솔레노이드 장치의 전원을 오프되도록 구현하여 손잡이를 사용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불필요한 전류 소모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에 적용된 솔레노이드 장치의 동작을 회로적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장치(12)는 스위치(SW1)와 스위치(SW2)와 전원공급부(VCC)로 이루어지는 폐회로를 구성한다.
동작 다음과 같다.
손잡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해제 상태)
손잡이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스위치(SW1)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스위치(SW2)는 온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장치(12)는 아무런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손잡이를 사용하는 경우(잠금 상태)
손잡이를 사용하기 위하여 도 1에서 설명한 버튼(11)을 누르면 스위치(SW1)가 턴온되어(스위치(SW2)는 온 상태를 유지), 솔레노이드 장치(12)가 동작한다.
솔레노이드 장치(12)가 작동하여 플런저가 이동하면, 플런저에 체결된 제 1 밀착부재(13)가 제 2 밀착 부재(14)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이동한 제 1 밀착부재(13)에 의하여 해제 상태에서 온 상태를 유지하던 스위치(SW2)가 오프된다. 따라서, 솔레노이드 장치에는 잠금 상태 초기시에만 전류가 흐르고 추후에는 차단된다. 따라서 주방용기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지속적인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솔레노이드 장치를 적용한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이다.
참고로, 도 3의 실시예는 솔레노이드 장치가 구현된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솔레노이드 동작 방식의 변형, 일부 수정 등(예컨대 스위칭 방식의 변형 수정 등)은 솔레노이드 장치를 이용하여 한쌍의 밀착 부재를 제어하는 기술적 범위내에서 모두 본 고안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기술적 사상에 당연히 포함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의 일부 분해 사시도로서, 손잡이를 사용하기 전의 상태도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의 일부 분해 사시도로서, 손잡이를 사용하는 경우의 상태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4에서는 도 3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하여 반복적인 부호의 표시는 생략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의 일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상부덮개(300)와 하부덮개(400)로 이루어지는 몸체부를 구비한다.
상부덮개(300)의 일측에는 버튼(11)과 버튼(11)이 안착되는 관통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덮개(400)에는 상면은 솔레노이드 장치(600)와 전원공급부인 배터리(700)가 안착되도록 구성되며, 제 2 밀착부재(520)는 도면에서와 같이 하부덮개(400)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한편, 솔레노이드 장치(60)의 플런저(61) 종단부 일측과 체결되는 좌우 이동 가능한 제 1 밀착부재(510)가 하부 덮개(400) 상면에 안착되어 있다.
추후 설명되겠지만 작동 상태에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한 제 1 밀착 부재(510)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를 조리용기의 가장자리에 부착시키거나 이탈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밀착부재(510)는 바디(511)와 전면판(512)으로 구성된다.
바디(511)는 플런저(61)의 전후진 동작에 연동되도록 플런저(61)의 일측과 체결되는 체결홈(516)을 구비하며, 하부덮개(400)의 상면 일측에는 제 1 밀착부재(510)의 전진 및 후진 간격(또는 좌우 왕복 간격)을 조절하는 걸림턱(41)이 하부덮개(400)와 일체로 성형되어 부설되어 있다.
제 1 밀착부재(510)의 바디(511) 일측에는 걸림턱(400)에 삽입되는 가이드 구멍(513)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513)은 제 1 밀착 부재(510)의 전진 또는 후진에 따라 걸림턱(41)의 일측면 또는 상기 일측면의 반대편인 타측면과 밀착하게 된다(도 3 및 도 도 4 참조).
참고로, 제 1 밀착 부재(510)의 전면판(512)는 바디(511)와 일체로 성형되어 주방용기의 자장자리 내측면에 밀착 또는 탈착되는 부재이다.
한편, 하부덮개(400)의 상면 일측에는 제 1 밀착부재(510)와 제 2 밀착부재(520)가 밀착되어 있는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잠금해제키(800)가 안내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다.
잠금해제키(800)는 상기 몸체의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81)와, 손잡이(81)와 함께 성형되며 가이드 홈을 따라 조리용기용 손잡이 몸체 내부에 삽입되는 슬라이드판(82)로 구성되며, 슬라이드판(82)의 일측에는 플런저(61)의 일측을 에워싸는 슬라이드 홈(83)이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드판(82)의 종단부에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스프링 등으로 구성되는 탄성부재(85)와 결합되어 있다.
또한, 하부덮개(400)의 일측에는 탄성부재(85)가 안착되는 안착부(86)가 형성되며, 탄성부재 안착부(86)에 삽입되는 탄성부재(85)의 일측은 상가 잠금해제키(800)의 슬라이드판(82) 종단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탄성 부재(85)는 압축 상태를 유지하도록 잠금해제키(800)는 몸체 외측면에 밀착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의 일부 분해 사시도로서, 손잡이를 사용하는 경우의 상태도를 설명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방용기에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버튼(11)을 누르면, 버튼(11)에 의하여 도 2에서 설명한 스위치(SW1)가 온 상태가 된다. 참고로, 도 3과 도 4에서는 전기 배선을 생략하였으나, 도 2에 도시된 스위치(SW1, SW2)는 하부 덮개(400) 상에 적절하게 배치되게 된다.
버튼(11)이 선택되어 솔레노이드 장치(600)가 작동하면 플런저(61)가 후방(배터리 위치 방향)으로 후퇴한다.
그 결과 플런저(61)와 체결되어 있는 제 1 밀착부재(510)이 동일한 방향으로 후진하게 된다.
후방으로 진행하던 제 1 밀착부재(510)는 하부 덮개(400) 상부 일측에 형성된 걸림턱(41)에 의하여 후방 진행이 차단된다.
즉, 제 1 밀착부재(510)의 바디(511) 일측에는 걸림턱(41)에 삽입되는 가이드 구멍(513)이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 구멍(513)은 제 1 밀착 부재(510)의 후진에 따라 걸림턱(41)의 일측과 밀착한다.
이렇게 후방으로 밀착된 제 1 밀착 부재(510)에 의하여 안착부(44)에 설치되는 스위치(SW2)가 오프되며, 따라서 솔레노이드 장치(600)로의 전원 공급은 차단된다.
한편, 상기 동작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밀착 부재(510, 520)가 상호 밀착하는 경우, 플런저(61)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플런저(61)의 종단부에 형성된 환형으로 형성된 홈(미도시)이 슬라이드판(82)의 슬라이드 홈(83)에 끼워짐과 동시에 탄성부재(85)의 영향으로 잠금해제키(800)는 솔레노이드 동작 전보다 외부 방향으로 밀려 돌출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의 제 1 및 제 2 밀착 부재(510, 520) 상호간의 밀착으로 손잡이가 주방용기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주방용기의 손잡이를 주방용기로 부터 이탈 시키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요리가 종료된 경우, 외부 방향으로 돌출된 잠금해제키(800)의 손잡이를 몸체 내부 방향으로 밀어 잠금해제키(800)의 슬라이드판(82)의 슬라이드 홈(83)과 플런저(61) 종단부의 환형으로 형성된 홈간의 끼워짐 상태를 해제시키면, 플런저(61)는 탄성부재(63)의 영향으로 제 1 밀착 부재(510)는 도 3과 같은 상태로 전환되고, 따라서, 본 고안 손잡이는 주방용기로부터 이탈된 상태인 도 3과 같은 상태로 복귀한다.
다음,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의 일측에 요리 시간 측정을 위하여 장착되는 타이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요리중에 주방을 잠시 비워 두는 경우가 있는 바, 손잡이의 일측에 알람 기능을 갖는 타이머를 부착시켜 요리중 부주의로 인한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손잡이에 고정 부착 가능한 타이머(즉, 조리시간 카운팅용 타이머)는 물론, 손잡이 몸체 일측에 자석을 부설함과 아울러 자석이 부설된 타이머를 이용하여 필요한 경우 타이머를 분리하여 다른 공간에서도 요리 시간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고안에서와 같이 알람 기능을 갖춘 타이머를 손잡이의 일측과 착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요리 도중 부주의로 인한 예기치 못한 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는 솔레노이드 장치를 스위치 수단으로 이용한다는 점에서 스위치 수단의 온 오프 방식 변경이나 일부 구성의 변경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하며,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기재되는 범위내에서 이러한 기술적 사상은 포괄적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상부덮개와 하부덮개로 이루어지는 몸체부를 갖춘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일측에 부설된 버튼에 의하여 작동하는 플런저를 갖춘 솔레노이드 장치와,
    상기 플런저의 일측과 체결되어 상기 솔레노이드 장치의 작동에 따라 전후진 동작을 수행하면서 상기 주방용기의 가장자리부 내측면에 밀착 또는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이탈되는 제 1 밀착 부재와,
    상기 하부덮개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주방용기의 가장자리부 외측면에 밀착되는 제 2 밀착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밀착부재는 상기 플런저의 전후진 동작에 연동되도록 상기 플런저의 일측과 체결되는 체결홈을 구비한 바디와, 상기 바디와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주방용기의 자장자리 내측면에 밀착 또는 탈착되는 전면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덮개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제 1 밀착부재와 제 2 밀착부재가 밀착되어 있는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잠금해제키가 안내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해제키는 상기 몸체의 외부로 노출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함께 성형되며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상기 몸체 내부에 삽입되는 슬라이드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드판 일측에는 상기 플런저 일측을 에워싸는 슬라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덮개의 상면에는 상기 제 1 밀착부재의 전진 및 후진 간격을 조절하는 걸림턱이 부설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밀착부재의 바디 일측에는 상기 걸림턱에 삽입되는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구멍은 상기 제 1 밀착 부재의 전진 또는 후진에 따라 상기 걸림턱의 일측면 또는 상기 일측면의 반대편인 타측면과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일측에는 조리시간 카운팅용 타이머 장치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일측에는 자석이 부설되어 있으며,
    상기 자석에 착탈 가능한 조리시간 카운팅용 타이머 장치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
KR2020110000820U 2011-01-28 2011-01-28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 KR2004658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820U KR200465861Y1 (ko) 2011-01-28 2011-01-28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820U KR200465861Y1 (ko) 2011-01-28 2011-01-28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641U KR20120005641U (ko) 2012-08-07
KR200465861Y1 true KR200465861Y1 (ko) 2013-03-21

Family

ID=46874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820U KR200465861Y1 (ko) 2011-01-28 2011-01-28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86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531B1 (ko) 2018-12-31 2021-01-22 주식회사 포켓드림 착탈식 손잡이를 포함하는 용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511Y1 (ko) * 2003-06-19 2003-09-03 (주)퓨어텍 라면전용 조리용기
KR200424065Y1 (ko) * 2006-06-05 2006-08-14 킴스핸들 주식회사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5511Y1 (ko) * 2003-06-19 2003-09-03 (주)퓨어텍 라면전용 조리용기
KR200424065Y1 (ko) * 2006-06-05 2006-08-14 킴스핸들 주식회사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641U (ko) 201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5167B2 (ja) 調理容器用着脱式取っ手
US11399665B2 (en) Removable cookware handle
KR20120028819A (ko) 탈착식 손잡이가 달린 주방용기
US3334782A (en) Container with a removable handle
KR101312368B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착탈장치
KR200465861Y1 (ko) 착탈식 주방용기용 손잡이
KR101388869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CN203898018U (zh) 压力锅
GB2448767A (en) Electric liquid heating appliance having a movable handle
CN210019046U (zh) 一种电饼铛
KR100465210B1 (ko) 양면 사용이 가능한 후라이팬
KR100883903B1 (ko) 조리용기용 탈착식 손잡이
EP2623003B1 (en) Detachable handle
KR101452153B1 (ko) 주방용 조리기구
US20170354297A1 (en) Assembly for preparation of meals for infants, in particular meals for babies
KR200468783Y1 (ko) 냄비용 양수형 손잡이 파지장치
KR200214193Y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748325B1 (ko) 사용이 편리한 국자
KR101244391B1 (ko) 용기와 착탈식 손잡이의 결합구조
KR101231906B1 (ko) 탈,부착되는 보조손잡이를 갖는 가열되는 조리용기
KR101105791B1 (ko) 조리용기의 탈착식 손잡이
KR20100028676A (ko) 조리용기의 탈부착형 손잡이
KR20120009164A (ko) 조리용기의 뚜껑용 탈착식 손잡이
CN212165577U (zh) 手柄及烹饪容器
KR200297012Y1 (ko) 양면 사용이 가능한 후라이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