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4350B1 - 결착식 분리형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결착식 분리형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4350B1
KR102264350B1 KR1020200042504A KR20200042504A KR102264350B1 KR 102264350 B1 KR102264350 B1 KR 102264350B1 KR 1020200042504 A KR1020200042504 A KR 1020200042504A KR 20200042504 A KR20200042504 A KR 20200042504A KR 102264350 B1 KR102264350 B1 KR 102264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detachable
jaw
container body
coo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원
박보현
Original Assignee
박정원
박보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원, 박보현 filed Critical 박정원
Priority to KR1020200042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43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4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4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1Saucepan, frying-pan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2Bowl handles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음식물 수용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의 측면에 설치된 손잡이홀더와, 상기 손잡이홀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는 결착부와 파지부가 둔각(鈍角)으로 절곡된 구조를 이루고 있어서, 상기 결착부의 결합방향에 따라 상기 파지부가 용기몸체의 위쪽에 비스듬히 배치되는 제1 결합위치와, 용기몸체의 옆쪽에 배치되는 제2 결합위치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결착식 분리형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결착식 분리형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Cooking pan with detachable handle of interlocking type}
본 발명은 분리형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음식물 수용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의 측면에 설치된 손잡이홀더와, 상기 손잡이홀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는 결착부와 파지부가 둔각(鈍角)으로 절곡된 구조를 이루고 있어서, 상기 결착부의 결합방향에 따라 상기 파지부가 상기 용기몸체의 위쪽에 비스듬히 배치되는 제1 결합위치와, 상기 용기몸체의 옆쪽에 배치되는 제2 결합위치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결착식 분리형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조리할 때 사용하는 냄비나 후라이팬 등과 같은 조리용기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용기몸체의 일측에 편수형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편수형 손잡이는 용기몸체 옆으로 길게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조리용기를 포장하거나, 다수개의 조리용기를 층층이 쌓아서 보관할 때는 상기 손잡이가 구조적으로 큰 장애를 일으킨다.
그래서 최근에는 필요에 따라 용기몸체에서 손잡이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손잡이 분리형 조리용기들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대한민국 특허 제10-0971872호(2010년 07월 15일) 등에는 손잡이에 용기몸체의 테두리 부분을 붙잡아 주는 집게(또는 클립)가 설치되어 있는 조리용기가 소개되어 있고, 특허 제10-1140459호(2012년 04월 19일) 등에는 용기몸체의 일측에 설치된 손잡이홀더(또는 브라켓)에다 손잡이의 일측 단부를 끼워서 결합하도록 구성된 조리용기가 소개되어 있다.
한편, 일본 특허공개 제2010-167250호(2010년 08 05일)에는, 탈부착이 가능한 경사 손잡이를 갖는 편수냄비가 소개되어 있다. 첨부 도 1은 상기 편수냄비의 도면을 인용한 것으로, 손잡이(1)의 파지부(2)가 냄비(8)의 중앙 위쪽을 향하여 비스듬히 경사를 이루고 있고, 손잡이(1) 하단에는 냄비(8)의 가장자리(81)에 결합되는 결착부(4)가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손잡이(1)의 레버(5)를 꽉 잡으면, 상기 결착부(4)가 냄비(8)의 가장자리(81)에 맞물려 고정되고, 상기 레버(5)를 풀어주면 냄비(8)의 가장자리(81)에서 손잡이(1)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 1의 편수냄비는 손잡이(1)의 파지부(2)가 냄비(8)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냄비(8)를 들어 올리는 힘을 반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요리 도중이나 냄비(8) 안에 뜨거운 음식물이 담겨 있는 상태에서는 손잡이(1)나 냄비(8)를 잡기가 곤란한 단점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제2008-212632호(2008년 09월 18일)에는 첨부 도 2와 같은 회동 손잡이를 갖는 편수냄비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편수냄비는, 냄비몸체(113)의 외주면에 부착된 브라켓(107)과, 절곡지지부(102)를 갖는 손잡이(101)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절곡지지부(102)는 연결축(105)에 의해서 상기 브라켓(107)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101)의 절곡지지부(102)에는 스토퍼(103)가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107)에는 상기 연결축(105)의 양쪽에 각각 스토퍼홀(111,112)이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도 2와 같이, 상기 스토퍼(103)를 바깥쪽 스토퍼홀(111)에 삽입하면 손잡이(101)가 냄비몸체(113)의 위쪽에 배치되고, 손잡이(101)를 반대쪽으로 회전시켜서 스토퍼(103)를 안쪽 스토퍼홀(112)에 삽입하면 손잡이(101)가 냄비몸체(113)의 옆쪽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도 2의 회동 손잡이를 갖는 편수냄비는, 필요에 따라 손잡이(101)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냄비몸체(113)에서 손잡이(101)를 분리할 수가 없다는 불편이 있다.
특허 제10-0971872호(2010년 07월 15일) 특허 제10-1140459호(2012년 04월 19일) 일본 특허공개 제2010-167250호(2010년 08 05일) 일본 특허공개 제2008-212632호(2008년 09월 18일)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몸체와 손잡이를 손쉽게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고, 또한 손잡이의 결합위치에 따라 손잡이의 방향과 각도가 달라지도록 구성된 결착식 분리형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잡이의 일부가 조리용기의 음식물 수용공간 상측으로 비스듬히 배치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조리용기를 취급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무게감과 손목에 대한 부담을 크게 경감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결착식 분리형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조리용기의 손잡이에다 손잡이 고유의 기능 이외에 조명 기능, 온도 측정 기능 등의 보조적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결착식 분리형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결착식 분리형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는, 음식물 수용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의 측면에 설치된 손잡이홀더와, 상기 손잡이홀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홀더에는 상단지지턱과 하단지지턱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손잡이홀더에 결착되는 결착부와, 상기 결착부에서 둔각(鈍角)으로 절곡된 파지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의 결착부에는, 상기 손잡이홀더의 상단지지턱에 걸림결합되는 상단걸림턱과, 상기 하단지지턱에 걸림결합되는 하단걸림턱을 가지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탄성을 부여하는 스프링과, 상기 승강부재의 상승을 차단 또는 허용하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결착부의 결합방향에 따라 상기 파지부가 상기 용기몸체의 위쪽에 비스듬히 배치되는 제1 결합위치와, 상기 파지부가 상기 손잡이홀더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용기몸체의 반대쪽에 배치되는 제2 결합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의 상단걸림턱은, 상기 결착부의 후면에서 파지부 쪽으로 돌출된 제1 상단걸림턱과, 상기 결착부의 전면에서 파지부의 반대쪽으로 돌출된 제2 상단걸림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의 상단걸림턱은, 상기 결착부의 양쪽 측면에서 상기 파지부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한쌍의 제3 상단걸림턱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결착식 분리형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는, 손잡이홀더에 구비된 상단지지턱 및 하단지지턱과, 손잡이의 결착부에 구비된 상단걸림턱과 승강부재 및 스토퍼를 이용하여 상기 손잡이를 용기몸체에서 용이하게 분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견고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어서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는, 상기 손잡이의 위치를 필요에 따라 제1 결합위치와 제2 결합위치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고, 특히 상기 손잡이가 제1 결합위치에 있을 때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파지부가 용기몸체의 음식물 수용공간 상측에 비스듬히 배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용기몸체를 집어 들었을 때 느끼는 중량감과 손목에 대한 부담감을 현저하게 경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경사 손잡이를 갖는 편수냄비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회동 손잡이를 갖는 편수냄비의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결착식 분리형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상기 도 3의 조리용기에 대한 요부 분리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상기 도 3의 조리용기에 대한 사용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결착식 분리형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의 분리 사시도,
도 8은 상기 도 7의 조리용기에 대한 요부 분리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상기 도 3의 조리용기에 대한 사용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한 것이므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서 도면부호 ‘21’는 도면부호 ‘21a, 21b’를 대표하고, 도면부호 ‘31’ 및 ‘34’는 각각 도면부호 ‘31a, 31b, 31c’ 및 ‘34a, 34b’를 대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결착식 분리형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는,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음식물 수용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용기몸체(10)와, 상기 용기몸체(10)의 측면에 설치된 손잡이홀더(20), 그리고 상기 손잡이홀더(2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용기몸체(10)는 통상적인 프라이팬(frypan)이나 일반적인 냄비, 또는 중국식 요리에 주로 사용되는 웍(wok)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용기몸체(10)의 테두리는 원형인 것이 일반적이지만, 사각형이나 타원형, 다각형 등의 형상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손잡이홀더(20)는 상기 용기몸체(10)의 외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단지지턱(21)과 하단지지턱(22)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손잡이홀더(20)는 상기 용기몸체(10)와 한몸으로 성형될 수도 있고, 딴몸으로 제작된 후에 용기몸체(10)의 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30)는, 상기 손잡이홀더(20)에 결착되는 결착부(30A)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상기 결착부(30A)에서 확장된 파지부(30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결착부(30A)를 길이방향으로 통과하는 중심선과, 상기 파지부(30B)를 길이방향으로 통과하는 중심선이 서로 둔각(鈍角)을 이루도록 절곡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30)의 결착부(30A)에는, 상기 손잡이홀더(20)의 상단지지턱(21)에 걸림결합되는 상단걸림턱(31)과,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승강부재(32), 상기 승강부재(32)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탄성을 부여하는 스프링(33),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32)의 상승을 차단 또는 허용하는 스토퍼(3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부재(32)의 하단에는 상기 하단지지턱(22)에 걸림결합 되는 하단걸림턱(32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하단걸림턱(321)은 상기 스프링(33)의 탄성에 의해서 결착부(30A)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30)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결착부(30A)의 결합방향에 따라 각도와 방향이 서로 다른 제1 결합위치(S1)와 제2 결합위치(S2)를 갖는다. 상기 제1 결합위치(S1)에서는 상기 파지부(30B)가 상기 용기몸체(10)의 위쪽에 비스듬히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결합위치(S2)에서는 상기 파지부(30B)가 상기 손잡이홀더(20)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용기몸체(10)의 반대쪽, 즉 용기몸체(10)의 옆쪽에 배치된다.
상기 손잡이(30)가 제1 결합위치(S1)에 있을 때는 용기몸체(10)를 들어 옮기기 위하여 파지부(30B)를 집어 들었을 때 사용자가 느끼는 용기몸체(10)의 무게감이나 사용자의 손목에 미치는 부담감이 훨씬 경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30)가 제2 결합위치(S2)에 있을 때는, 음식물을 조리하거나 뜨거운 내용물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파지부(30B)를 잡고 용기몸체(10)를 조작하기에 용이하다.
상기 제1 결합위치(S1)에서는 상기 손잡이(30)의 파지부(30B)가 조리용기(10)에 대하여 45~90도의 각도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지부(30B)의 각도가 45도 미만이면, 상기 파지부(30B)를 잡은 사용자의 손이 용기몸체(10)에 들어 있는 음식물과 너무 가까워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반대로 상기 파지부(30B)의 각도가 90도를 초과하면, 본 발명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가 없다.
상기 손잡이(30)가 제1 결합위치(S1)와 제2 결합위치(S2)에서 서로 다른 방향 및 각도를 갖는 것은, 결착부(30A)와 파지부(30B) 사이의 절곡각도에 기인한다. 즉, 상기 절곡각도가 수직(90도)에 가까울수록 제1 결합위치(S1)와 제2 결합위치(S2)에서 손잡이(30)의 각도 편차가 증가하고, 상기 절곡각도가 수평(180도)에 가까울수록 상기 손잡이(30)의 각도 편차가 감소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결착부(30A)와 파지부(30B) 사이의 절곡각도는 100~160도 인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30)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상단걸림턱(31)이 상기 결착부(30A)의 후면에 돌출된 제1 상단걸림턱(31a)과, 상기 결착부(30A)의 전면에 돌출된 제2 상단걸림턱(31b)으로 구성되어 있는 구조를 보여준다. 즉, 상기 제1 상단걸림턱(31a)은 파지부(30B) 쪽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제2 상단걸림턱(31b)은 파지부(30B)의 반대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단지지턱(21)은, 제1 상단걸림턱(31a)과 제2 상단걸림턱(31b) 중 어느 하나가 걸림 결합되는 제1 상단지지턱(21a)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손잡이(30)가 제1 결합위치(S1)에 있을 때는 제1 상단걸림턱(31a)이 상기 제1 상단지지턱(21a)에 결합되고, 제2 결합위치(S2)에 있을 때는 제2 상단걸림턱(31b)이 상기 제1 상단지지턱(21a)에 결합된다.
한편, 첨부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30)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상단걸림턱(31)이 상기 결착부(30A)의 양쪽 측면에 돌출된 한쌍의 제3 상단걸림턱(31c)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3 상단걸림턱(31c)은 상기 결착부(30A)의 양쪽 측면에서 상기 파지부(30B)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단지지턱(21)은 양쪽 제3 상단걸림턱(31c)이 동시에 결합되는 한쌍의 제2 상단지지턱(21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상단지지턱(21b)은 뒤집어진 걸고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손잡이(30)가 제1 결합위치(S1)에 있을 때는, 상기 파지부(30B)가 용기몸체(10) 쪽으로 향한 상태에서 양쪽 제3 상단걸림턱(31c)이 양쪽 제2 상단지지턱(21b)에 동시에 결합된다. 그리고, 손잡이(30)가 제2 결합위치(S2)에 있을 때는, 상기 파지부(30B)가 용기몸체(10)의 반대쪽으로 향한 상태에서 양쪽 제3 상단걸림턱(31c)이 양쪽 제2 상단지지턱(21b)에 동시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스토퍼(34)는 상기 제1 실시예(도 3 내지 도 6)와 같은 방아쇠 구조의 제1 스토퍼(34a)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2 실시예(도 7 내지 도 9)와 같은 버튼 구조의 제2 스토퍼(34b)로 구성될 수도 있다.
먼저 상기 제1 스토퍼(34a)는, 도 4와 같이, 전방단부(341)와 후방단부(342)를 가지며, 그 사이에는 힌지축(343)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스토퍼(34a)의 전방단부(341)는 승강부재(32)의 상단부와 접촉하여 승강부재(32)의 상승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고, 후방단부(342)는 승강부재(32)의 상승을 허용하도록 전방단부(341)의 위치를 이동시켜 주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전방단부(341)와 후방단부(342)는 힌지축(343)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제1 스토퍼(34a)에는, 상기 힌지축(343)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단부(341)가 승강부재(32)의 상단부와 접촉하고, 동시에 후방단부(342)가 손잡이(30) 밖으로 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344)이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자연 상태에서는 도 4와 같이 상기 스프링(344)의 탄성에 의해서 상기 전방단부(341)가 승강부재(32)의 상승을 차단하는 위치에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후방단부(342)를 눌러주면, 도 5와 같이 상기 전방단부(341)가 회전하면서 상기 승강부재(32)의 상승을 허용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2 스토퍼(34b)는, 도 8과 같이 상기 승강부재(32)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승강부재(32)의 상승을 차단하는 작동간(345)을 갖는다. 상기 작동간(345)에는 그의 선단부(346)가 손잡이(30) 밖으로 노출되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347)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작동간(345)의 중간 부위에는 상기 승강부재(32)의 상승을 허용하는 상승허용홈(348)이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자연 상태에서는, 도 8과 같이 상기 스프링(347)의 탄성에 의해서 작동간(345)이 승강부재(32)의 상승을 차단하는 위치에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작동간(345)의 선단부(346)를 눌러주면 도 9와 같이 상기 작동간(345)이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승강부재(32)의 상단부가 상승허용홈(348)에 위치하게 되고, 따라서 승강부재(32)의 상승을 허용한다. 이때, 상기 승강부재(32)의 상단부와 여기에 접촉되는 상승허용홈(348)은 서로 대응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실시예(도 3 내지 도 6)를 대상으로 하여 본 발명의 손잡이(30)에 대한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손잡이(30)가 손잡이홀더(20)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단걸림턱(31)과 하단걸림턱(321)이 각각 손잡이홀더(20)의 상단지지턱(21)과 하단지지턱(22)에 결합되어 있고, 제1 스토퍼(34a)의 전방단부(341)가 승강부재(32)의 상승을 차단하고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손잡이(30)가 사용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손잡이홀더(20)에서 분리될 우려가 전혀 없다.
상기 손잡이(3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5와 같이 제1 스토퍼(34a)의 후방단부(342)를 눌러서 전방단부(341)의 위치를 이동시킨 상태에서 결착부(30A)를 살짝 눌러준다. 이렇게 하면, 승강부재(32)가 스프링(33)의 탄성을 이기고 상승하면서 상단지지턱(21)과 상단걸림턱(31) 사이의 걸림 결합이 해제된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30)를 잡아당기면, 결착부(30A)가 손잡이홀더(20)에서 쉽게 분리된다.
반대로 상기 손잡이(30)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 스토퍼(34a)의 후방단부(342)를 눌러서 전방단부(341)의 위치를 이동시키고 도 5와 같이 하단걸림턱(321)을 하단지지턱(22)에 위치시킨다. 이 상태에서 결착부(30A)를 살짝 눌러서 승강부재(32)를 상승시킨 다음, 상단걸림턱(31)을 상단지지턱(21) 속으로 밀어 넣고, 손잡이(30)를 자유 상태로 놓아준다.
이렇게 하면 스프링(33)의 탄성에 의해 승강부재(32)가 하강하면서 상단걸림턱(31)과 하단걸림턱(321)이 각각 손잡이홀더(20)의 상단지지턱(21)과 하단지지턱(22)에 걸림 결합된다. 그리고, 제1 스토퍼(34a)의 전방단부(341)가 승강부재(32)의 상승을 차단함으로써 손잡이(30)의 결착부(30A)가 손잡이홀더(2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손잡이홀더(20)는 상기 용기몸체(10)의 양쪽 측면에 각각 하나씩 2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손잡이(30) 한개를 필요에 따라 양쪽 손잡이홀더(20) 중 어느 한쪽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양쪽 손잡이홀더(20)에 각각 하나씩 2개의 손잡이(30)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2개의 손잡이(30)를 사용할 경우,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쪽 손잡이(30)는 제1 결합위치(S1)에 결합하고, 다른 한쪽 손잡이(30)는 제2 결합위치(S2)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0은 상기 제2 실시예로서, 제2 상단지지턱(21b)이 설치된 손잡이홀더(20)와, 제3 상단걸림턱(31c) 및 제2 스토퍼(34b)가 설치된 손잡이(30)를 예시한 것이다.
또한, 상기 손잡이(30)의 파지부(30B)의 자유단부에는 도 4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몸체(10)의 음식물 수용공간을 조명할 수 있는 조명램프(4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조명램프(40)는 도 6 및 도 10과 같이 야간에 야외나 어두운 실내에서 별도 조명 없이 조리를 하거나, 음식물 수용공간에 담겨져 있는 음식물을 취식할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30B)에는 조명램프(40) 이외에도 용기몸체(10)에 수용되어 있는 음식물의 요리 온도를 측정할 수 있는 비접촉식 온도계나, 요리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타이머와 경보장치 등을 설치할 수도 있다. 도 4 및 도 8에서 미설명 부호 41은 전원공급용 배터리이고, 42는 스위치이다.
(10) 용기몸체 (20) 손잡이홀더
(21; 21a, 21b) 상단지지턱 (22) 하단지지턱
(30) 손잡이 (30A) 결착부
(30B) 파지부 (31; 31a, 31b, 31c) 상단걸림턱
(32) 승강부재 (321) 하단걸림턱
(33) 스프링 (34; 34a, 34b) 스토퍼
(341) 전방단부 (342) 후방단부
(343) 힌지축 (344, 347) 스프링
(345) 작동간 (346) 선단부
(348) 상승허용홈 (40) 조명램프
(41) 배터리 (42) 스위치
(S1) 제1 결합위치 (S2) 제2 결합위치

Claims (8)

  1. 음식물 수용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의 측면에 설치된 손잡이홀더와, 상기 손잡이홀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분리형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홀더에는 상단지지턱과 하단지지턱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손잡이홀더에 결착되는 결착부와, 상기 결착부에서 둔각(鈍角)으로 절곡된 파지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의 결착부에는, 상기 손잡이홀더의 상단지지턱에 걸림결합되는 상단걸림턱과, 상기 하단지지턱에 걸림결합되는 하단걸림턱을 가지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승강부재와, 상기 승강부재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탄성을 부여하는 스프링과, 상기 승강부재의 상승을 차단 또는 허용하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는, 상기 결착부의 결합방향에 따라 상기 파지부가 상기 용기몸체의 위쪽에 비스듬히 배치되는 제1 결합위치와, 상기 파지부가 상기 손잡이홀더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용기몸체의 반대쪽에 배치되는 제2 결합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착식 분리형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상단걸림턱은, 상기 결착부의 후면에서 파지부 쪽으로 돌출된 제1 상단걸림턱과, 상기 결착부의 전면에서 파지부의 반대쪽으로 돌출된 제2 상단걸림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착식 분리형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상단걸림턱은, 상기 결착부의 양쪽 측면에서 상기 파지부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한쌍의 제3 상단걸림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착식 분리형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스토퍼는, 상기 승강부재의 상승을 차단하는 전방단부와, 상기 승강부재의 상승을 허용하도록 상기 전방단부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후방단부와, 상기 전방단부와 후방단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전방단부가 상기 승강부재의 상승을 차단하고 동시에 상기 후방단부가 상기 손잡이 밖으로 노출되는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착식 분리형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스토퍼는, 상기 승강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승강부재의 상승을 차단하는 작동간과, 상기 작동간의 선단부가 상기 손잡이 밖으로 노출되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스프링과, 상기 작동간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승강부재의 상승을 허용하는 상승허용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착식 분리형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위치에서는 상기 손잡이의 파지부가 상기 조리용기에 대하여 45~90도의 각도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착식 분리형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결착부와 파지부 사이의 절곡각도가 100~160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착식 분리형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홀더는 상기 용기몸체의 양쪽 측면에 각각 하나씩 2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착식 분리형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
KR1020200042504A 2020-04-08 2020-04-08 결착식 분리형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 KR102264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504A KR102264350B1 (ko) 2020-04-08 2020-04-08 결착식 분리형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504A KR102264350B1 (ko) 2020-04-08 2020-04-08 결착식 분리형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4350B1 true KR102264350B1 (ko) 2021-06-14

Family

ID=76417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504A KR102264350B1 (ko) 2020-04-08 2020-04-08 결착식 분리형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435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3546U (ja) * 1983-11-17 1985-06-10 中沢工業株式会社 鍋,フライパン等のハンドル脱着装置
JP2008212632A (ja) 2007-02-11 2008-09-18 Katsuko Kobayashi スイング把手の片手鍋及び回動把手の片手鍋。
KR100971872B1 (ko) 2008-09-05 2010-07-22 김종득 조리용기의 탈부착형 손잡이
JP2010167250A (ja) 2008-12-25 2010-08-05 Katsuko Kobayashi 着脱斜め把手の片手鍋。
KR101140459B1 (ko) 2010-09-15 2012-04-30 김형선 탈착식 손잡이가 달린 주방용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3546U (ja) * 1983-11-17 1985-06-10 中沢工業株式会社 鍋,フライパン等のハンドル脱着装置
JP2008212632A (ja) 2007-02-11 2008-09-18 Katsuko Kobayashi スイング把手の片手鍋及び回動把手の片手鍋。
KR100971872B1 (ko) 2008-09-05 2010-07-22 김종득 조리용기의 탈부착형 손잡이
JP2010167250A (ja) 2008-12-25 2010-08-05 Katsuko Kobayashi 着脱斜め把手の片手鍋。
KR101140459B1 (ko) 2010-09-15 2012-04-30 김형선 탈착식 손잡이가 달린 주방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87751A (en) Detachable cookware handle
US5829342A (en) Cooker assembly
US20120297548A1 (en) Cooking utensil
US6145906A (en) Serving tray
KR102180928B1 (ko) 손잡이 분리형 조리용기
KR102264350B1 (ko) 결착식 분리형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
KR102294097B1 (ko) 포켓 결합식 분리형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
KR102234222B1 (ko) 포켓 결합식 손잡이 분리형 조리용기
US20070289981A1 (en) Cooking utensil with means of resting on pot, pan, skillet or otherwise
EP2769655A1 (en) A detachable handle for pans
KR102101776B1 (ko) 손잡이 분리형 조리용기
KR102117899B1 (ko) 기능성 손잡이를 갖는 프라이팬
KR20120004039A (ko) 조리 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2324067B1 (ko) 분리형 양방향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
KR200264123Y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US7410076B2 (en) Self-releasing, heat insulating pan-handle holder
KR200424567Y1 (ko) 조리용기용 탈부착 손잡이 및 이를 갖는 조리용기
US5884883A (en) Bowl lifting apparatus
KR102198643B1 (ko) 다기능 회전식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
KR200253260Y1 (ko) 조리용기의 착탈식 손잡이구조
KR20110007035U (ko) 조리용기용 탈부착 손잡이
WO2008072863A1 (en) Detachable handles and structure of the vessels
KR200288135Y1 (ko) 조리용기용 실리콘 손잡이
JPH058931Y2 (ko)
JPS6035463Y2 (ja) 鍋の蓋と杓子受スタ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