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3704B1 - 착탈식 용기 손잡이 - Google Patents

착탈식 용기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3704B1
KR101423704B1 KR1020120073578A KR20120073578A KR101423704B1 KR 101423704 B1 KR101423704 B1 KR 101423704B1 KR 1020120073578 A KR1020120073578 A KR 1020120073578A KR 20120073578 A KR20120073578 A KR 20120073578A KR 101423704 B1 KR101423704 B1 KR 101423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gripper
hole
grip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647A (ko
Inventor
김기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토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토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토얀
Priority to KR1020120073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3704B1/ko
Publication of KR20140005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1Saucepan, frying-pan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2Bowl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구성은 손잡이 바디(10)와; 상기 손잡이 바디(10)에 결합되며 선단부에는 그립핑 피스(22)를 구비한 그립퍼(20)와; 상기 손잡이 바디(10)에 정역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캠(30)과; 상기 그립퍼(20)의 전후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일측의 제1캠홀면(42)과, 상기 제1캠홀면(42)과 이어지면서 상기 그립퍼(20)의 전후 이동 방향과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캠홀면(44)과, 상기 제2캠홀면(44)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어지면서 상기 그립퍼(20)의 전후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제3캠홀면(46)과, 상기 제1캠홀면(42) 및 상기 제3캠홀면(46)과 이어지면서 상기 그립퍼(20)의 전후 이동 방향과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캠홀면(44)보다 후방 위치에 배치된 제4캠홀면(48)을 포함하도록 상기 그립퍼(20)에 형성된 그립 작동홀(40)과; 상기 그립퍼(20)의 릴리스 상태에서 그립 작동홀(40)의 제1캠홀면(42)과 상기 제4캠홀면(48)에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1캠면(52) 및 제2캠면(54)과, 상기 제1캠면(52) 및 상기 제2캠면(54)과 이어지는 원호형으로 이루어진 제3캠면(56)을 포함하도록 상기 캠(30)에 구비된 그립 캠 포션(50)과; 상기 그립 작동홀(40)의 외측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그립퍼(20)에 구비된 록킹홀(60)과; 상기 그립퍼(20) 선단부의 상기 그립핑 피스(22)와 손잡이 바디(10)에 의해 용기(2)를 1차로 그립한 상태를 유지하는 록킹 부재(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착탈식 용기 손잡이{Detachable receptacle handle}
본 발명은 착탈식 용기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 용기에서 분리되거나 조리 용기에 결합되기 위한 착탈 구조에 있어서 종래에 비하여 간소화되어서 구조적 측면이나 비용적 측면 등에서 보다 효율적이며, 조리 용기의 두께에 대응하여 비교적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어서 조리 용기 두께에 따라 각각 다른 규격의 손잡이를 상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소비자들에게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등의 경우도 해결하고, 동시에 상기와 같은 조리 용기의 두께에 대응하여 호환성 있게 그립할 수 있는 구조는 보다 심플하면서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구현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보다 높여줄 수 있으므로 여러모로 바람직한 결과를 낳을 수 있는 새로운 착탈식 용기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냄비나 프라이펜과 같은 조리 용기는 음식물을 끓이거나 조리할 수 있도록 제작된 용기로서,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용기 본체와, 이 용기 본체를 들어 가열기구로 이동시키거나 음식물 조리가 이루어진 다음에 가열기구에서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용기 본체의 일측에 구비된 손잡이를 구비한 것이며, 조리 용기에서 요리가 완료되면 용기 본체의 일측으로 연장된 손잡이를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필요한 장소로 이동을 하는 등의 일을 하게 된다.
그런데, 조리 용기에 구비된 손잡이는 탈착이 불가능한 구조로 제작되는 것이 많아서 용기 본체의 부피를 증가시키므로, 보관시 공간상에 제약을 받는다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초래되어, 최근에는 용기 본체에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사용할 수 있는 착탈식 손잡이가 개발되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조리 용기의 착탈식 손잡이는 대부분 용기 본체에서 분리되거나 용기 본체에 결합되기 위한 착탈 구조에 있어서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는 점에서 구조적 측면이나 비용적 측면 등에서 다소 비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착탈식 손잡이는 조리 용기의 용기 본체 두께에 대응하여 사용하기 곤란한 점이 없지 않아서 용기 본체의 두께에 따라 각각 다른 규격의 손잡이를 상비하여야 하므로, 소비자들에게 경제적으로 부담이 되는 등의 문제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 용기에서 분리되거나 조리 용기에 결합되기 위한 착탈 구조에 있어서 종래에 비하여 간소화되어서 구조적 측면이나 비용적 측면 등에서 보다 효율적이며, 조리 용기의 두께에 대응하여 비교적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어서 조리 용기 두께에 따라 각각 다른 규격의 손잡이를 상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소비자들에게 경제적인 부담이 가중되는 등의 경우도 해결하고, 동시에 조리 용기의 두께에 대응하여 호환성 있게 그립할 수 있는 구조는 보다 심플하면서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구현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보다 높여줄 수 있으므로 여러모로 바람직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착탈식 용기 손잡이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전단부에 용기(2)를 그립하기 위한 그립핑면(10s)이 구비된 손잡이 바디(10)와;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에서 상대 전후진되도록 상기 손잡이 바디(10) 내부에 결합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상기 그립핑면(10s)과의 사이에 용기(2)를 그립할 수 있는 그립 스페이스를 형성하는 그립핑 피스(22)를 구비한 그립퍼(20)와; 상기 손잡이 바디(10)에 정역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캠(30)과; 상기 그립퍼(20)의 전후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일측의 제1캠홀면(42)과, 상기 제1캠홀면(42)과 이어지면서 상기 그립퍼(20)의 전후 이동 방향과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캠홀면(44)과, 상기 제2캠홀면(44)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어지면서 상기 그립퍼(20)의 전후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제3캠홀면(46)과, 상기 제1캠홀면(42) 및 상기 제3캠홀면(46)과 이어지면서 상기 그립퍼(20)의 전후 이동 방향과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캠홀면(44)보다 후방 위치에 배치된 제4캠홀면(48)을 포함하도록 상기 그립퍼(20)에 형성된 그립 작동홀(40)과; 상기 캠(30)의 회전 중심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서로 벌어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그립퍼(20)가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에 완전 인출된 릴리스 상태에서 상기 그립 작동홀(40)의 상기 제1캠홀면(42)과 상기 제4캠홀면(48)에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1캠면(52) 및 제2캠면(54)과, 상기 제1캠면(52) 및 상기 제2캠면(54)과 이어지는 원호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그립퍼(20)가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에 완전 인출된 릴리스 상태에서 상기 그립 작동홀(40)의 상기 제3캠홀면(46)과 마주하는 제3캠면(56)을 포함하도록 상기 캠(30)에 구비된 그립 캠 포션(50)과; 상기 그립 작동홀(40)의 외측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그립퍼(20)에 구비된 록킹홀(60)과; 상기 손잡이 바디(10)에 구비되어 상기 캠(30)과 상기 그립 캠 포션(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그립퍼(20)가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내부로 후퇴한 상태에서 상기 그립퍼(20)의 상기 록킹홀(60)에 결합되어 상기 그립퍼(20) 선단부의 상기 그립핑 피스(22)와 상기 손잡이 바디(10) 전단부의 상기 그립핑면(10s)에 의해 상기 용기(2)를 1차로 그립한 상태를 유지하는 록킹 부재(70)와; 상기 록킹 부재(70)가 상기 그립퍼(20)의 상기 록킹홀(60)에서 이탈될 때에 상기 그립퍼(20)가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에서 완전 인출되도록 탄지하는 릴리스 탄성체(2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용기 손잡이가 제공된다.
상기 그립퍼(20)의 상기 그립 작동홀(40)을 구성하는 상기 제4캠홀면(48)은 상기 캠(30)의 상기 그립 캠 포션(50)의 회전 작동시 상기 손잡이 바디(10) 전단부의 상기 그립핑면(10s)과 상기 그립퍼(20)의 상기 그립핑 피스(22) 사이에 확보되는 그립 스페이스의 범위를 최대화하도록 상기 그립퍼(20)의 전후진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립 작동홀(40)의 상기 제4캠홀면(48)은 상기 그립 작동홀(40)의 상기 제3캠홀면(46)에 대해 둔각으로 벌어지고 상기 제1캠홀면(42)에 대해서는 예각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그립퍼(20)가 상기 손잡이 바디(10)에서 완전 인출된 릴리스 상태에서 상기 제4캠홀면(48)에 상기 그립 캠 포션(50)의 상기 제2캠면(54)이 접촉되고, 상기 제4캠홀면(48)에 이어지면서 상기 그립퍼(2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제3캠홀면(46)에는 그립 캠 포션(50)을 구성하도록 상기 제2캠면(54)에 이어지는 원호형의 제3캠면(56)의 일부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그립 캠 포션(50)의 상기 제1캠면(52)은 상기 그립퍼(20)가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에 완전 인출된 릴리스 상태에서 상기 그립 작동홀(40)의 상기 제1캠홀면(42)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캠면(52)에는 상기 캠(30)과 상기 그립 캠 포션(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그립퍼(20)가 상기 손잡이 바디(10)로 1차로 후퇴되어 상기 록킹 부재(70)에 의한 1차 록킹 상태로 전환될 때에 상기 제2캠홀면(44)에 접촉되는 원호형 곡면 블록 형상의 구배부(52a)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립 작동홀(40)의 상기 제3캠홀면(46)은 상기 그립퍼(20)의 전후진 방향과 나란한 직선 연장형 캠홀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4캠홀면(48)은 상기 제3캠홀면(46)과 나란한 직선 방향에 대해 외측으로 일정 각도 더 벌어지도록 형성된 경사형 캠홀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그립퍼(20)의 상기 그립핑 피스(22)와 상기 손잡이 바디(10) 전단의 상기 그립핑면(10s) 사이의 그립 스페이스 범위를 상대적으로 더 확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록킹 부재(70)는, 상기 그립퍼(20)의 상기 록킹홀(60)에 끼워지는 록킹 돌기(72)를 구비하며, 상기 록킹 부재(70)를 탄지하는 탄성체(76)에 의해 상기 록킹 부재(70)의 상기 록킹 돌기(72)가 상기 그립퍼(20)의 상기 록킹홀(60)에 결합되면서 상기 그립퍼(20)의 1차 그립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록킹 부재(70)는, 상기 손잡이 바디(10)에 형성된 승강홈에 끼워져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상기 승강홈과 상기 록킹 부재(70)의 하단부 사이에는 상기 탄성체(76)가 개재되어, 상기 탄성체(7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록킹 부재(70)의 상기 록킹 돌기(72)가 상기 그립퍼(20)의 상기 록킹홀(60)에 걸려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체(76)는 코일 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록킹 부재(70)의 하단부에는 결합핀부(74)가 구비되어, 상기 록킹 부재(70)의 상기 결합핀부(74)에 상기 탄성체(76)가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상기 승강홈과 상기 록킹 부재(70)의 사이에 상기 탄성체(76)가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 바디(10)는 상기 승강홈의 상부 위치에 외표면으로 연통된 버튼홀(16b)이 구비되고, 상기 록킹 부재(70)는 상단부에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상기 버튼홀(16b)에 끼워져서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외측으로 노출된 버튼(78)이 구비되고, 상기 버튼(78)의 양쪽 위치에는 상기 록킹 돌기(72)가 하나 씩 구비되어 상기 록킹 돌기(72)가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며, 상기 그립퍼(20)는 상기 록킹 부재(70)의 상기 록킹 돌기(72)에 대응되도록 상기 록킹홀(60)이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록킹홀(60)의 후방 위치에는 상기 그립퍼(20)가 상기 손잡이 바디(10)에서 완전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록킹 부재(70)의 상기 록킹 돌기(72)가 걸려지는 보조 록킹홀(62)이 더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록킹홀(60)과 상기 보조 록킹홀(62) 사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록킹 부재(70)의 상기 버튼(78)이 결합되는 슬라이드 가이드홀(64)이 구비되며, 상기 록킹홀(60)과 상기 보조 록킹홀(62) 사이에 이어진 록킹 지지편(61)은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홀(64)의 양측면까지 이어지도록 구성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캠에 결합된 레버(36)를 1차 회전시켜서 그립퍼의 그립핑 피스(22)와 손잡이 바디 전단부의 그립핑면 사이에 용기를 1차를 파지한 1차 그립 상태에서 캠에 결하되어 있는 레버(36)를 더 회전(그립퍼의 전후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캠 하부측의 그립 캠 포션에서 제2캠면과 제3캠면 사이의 경계부에서 접촉되어 있던 부분이 회전하면서 그립퍼의 그립 작동홀의 제4캠홀면에 제3캠면의 원호형 곡면부가 제4캠홀면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캠과 그립 캠 포션이 계속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3캠면이 제4캠홀면을 계속하여 밀어주기 때문에, 그립퍼가 계속하여 손잡이 바디의 안쪽으로 후퇴하며, 상기 그립 캠 포션의 제2캠면이 그립퍼의 그립 작동홀을 구성하는 제1캠홀면에 접촉되는 위치까지 회전 완료되면 그립퍼가 손잡이 바디의 내부로 완전 후퇴한 상태가 되고, 그립퍼 선단부의 그립핑 피스(22)와 손잡이 바디 전단부의 그립핑면 사이의 간격이 1차 그립 상태에 비하여 더 가까워지므로, 용기를 완전히 파지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그립퍼의 그립 작동홀을 구성하는 제4캠홀면은 그립퍼의 전후진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캠의 하부측 그립 캠 포션을 캠과 함께 회전 작동시킬 때에 손잡이 바디 전단부의 그립핑면과 그립퍼의 그립핑 피스(22) 사이에 확보되는 그립 스페이스의 범위를 최대화함으로써 용기의 다양한 두께에 대응하여 용기 그립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그립퍼의 그립 작동홀을 구성하는 제4캠홀면의 한쪽이 다른 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그립퍼의 선단부 방향으로 더 나아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구조를 취하고 있어서, 상기 캠의 그립 캠 포션의 원호형 제3캠면이 그립 작동홀의 제4캠홀면에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그립퍼를 전후진 작동시킬 수 있는 원주 거리(유효 거리(CA))를 보다 넓혀줄 수 있고, 이처럼 캠의 그립 캠 포션에서 그립퍼의 전후진 작동을 하는 부분인 원호형 제3캠면이 그립퍼의 제4캠홀면과 접촉되어 그립퍼를 당겨주는 원주 유효 거리(CA)를 늘려줌으로써 그립퍼의 전후진 거리 범위를 보다 확장시키고, 그립퍼 선단부의 그립핑 피스(22)와 손잡이 바디 전단부의 그립핑면 사이에서의 용기 그립용 스페이스의 거리 범위를 보다 넓게 조절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모든 두께의 용기를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는 점이 본 발명에서 가지는 주요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캠의 하부측 그립 캠 포션의 제1캠면에는 캠과 그립 캠 포션의 회전에 의해 그립퍼가 손잡이 바디로 1차로 후퇴되어 록킹 부재에 의한 1차 록킹 상태로 전환될 때에 제2캠홀면에 접촉되는 원호형 곡면 블록 형상의 구배부가 더 구비되어 있어서, 그립퍼가 손잡이 바디의 전단부에 완전 인출된 릴리스 상태에서 그립 작동홀의 제1캠홀면과 그립 캠 포션의 제1캠면이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한편, 상기 그립퍼가 손잡이 바디의 내부로 1차로 후퇴하여 1차 그립 상태가 되면, 상기 그립 캠 포션의 제2캠면과 제3캠면 사이의 연결부가 그립 작동홀의 제4캠홀면에 접촉되는 동시에 그립 캠 포션의 제1캠면에 상대적으로 원호형 블록 형태의 살을 더 두껍게 확보한 형태의 원호형 구배부는 그립 작동홀의 제2캠홀면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 그립퍼가 손잡이 바디의 내부로 완전 후퇴하여 용기의 완전 그립 상태에서도 그립 캠 포션의 제1캠면에 살을 늘리는 식으로 더 구비된 원호형 구배부와 그립 캠 포션의 다른 캠면(즉, 제2캠면 및/또는 제3캠면)이 그립 작동홀의 내부에 전후 위치에서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는 상태가 되어서, 그립퍼 선단부의 그립핑 피스(22)가 손잡이 바디의 전단부로 1차 근접한 1차 그립 상태와 그립퍼 선단부의 그립핑 피스(22)가 손잡이 바디의 그립핑면과 가장 가까운 위치로 접근한 완전 그립 상태에서 그립퍼가 전후로 유동될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견고하게 잡아주는 구조가 될 수 있으므로, 그립퍼의 그립핑 피스(22)와 손잡이 바디의 그립핑면 사이에 용기를 끼워서 그립한 상태에서 그립퍼가 전후로 요동되면서 용기가 떨어져 버리는 불안정 요소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그립퍼의 그립 작동홀의 제3캠홀면은 그립퍼의 전후진 방향과 나란한 직선 연장형 캠홀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4캠홀면은 제3캠홀면과 나란한 직선 방향에 대해 외측으로 일정 각도 더 벌어지도록 형성된 경사형 캠홀면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3캠홀면과 나란한 가상의 직선과 상기 경사형 캠홀면인 제4캠홀면 사이의 각도만큼 캠과 그립 캠 포션의 회전 각도를 제3캠홀면과 나란한 직선 방향인 경우에 비하여 보다 더 많이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그립퍼의 그립핑 피스(22)와 손잡이 바디의 그립핑면 사이의 용기 그립 스페이스 거리 범위를 보다 더 늘려줄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착탈식 용기 손잡이로 파지하여 옮길 수 있는 용기의 규격 범위를 더욱더 늘려서 용기에 채용되는 사용 호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착탈식 용기 손잡이의 주요부인 손잡이 바디의 안쪽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그립퍼 부분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캠과 그립 캠 포션의 구성을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주요부인 캠과 그립 캠 포션의 구성을 상면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주요부인 록킹 부재와 탄성체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록킹 부재와 탄성체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그립퍼와 손잡이 바디의 하측 바디부(10A)의 결합된 상태와 캠과 록킹 부재의 분해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캠과 록킹 부재를 하측 바디부(10A)에 결합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에서 본 발명의 손잡이 바디를 구성하는 상측 바디부(10B)를 분해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손잡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손잡이의 릴리스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릴리스 상태에서 그립퍼와 캠 및 록킹 부재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손잡이의 1차 그립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1차 그립 상태에서 그립퍼와 캠 및 록킹 부재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손잡이의 2차 그립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2차 그립 상태에서 그립퍼와 캠 및 록킹 부재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에 의한 착탈식 용기 손잡에 의해 조리 용기를 파지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9와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주요부인 캠과 그립 캠 포션의 구성과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 주요부인 록킹 부재와 그립퍼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는 그립퍼(20)가 전단부에서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된 손잡이 바디(10), 이 손잡이 바디(10)에 정역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캠(30), 상기 그립퍼(20)에 형성된 그립 작동홀(40), 상기 캠(30)에 구비된 그립 캠 포션(50), 상기 그립 작동홀(40)의 외측 위치에 배치되도록 그립퍼(20)에 구비된 록킹홀(60), 손잡이 바디(10)에 구비되어 캠(30)의 회전에 의해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의 내부로 후퇴한 상태에서 그립퍼(20)의 록킹홀(60)에 결합되는 록킹 부재(70) 및 그립퍼(20)를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을 작용하는 릴리스 탄성체(28)를 구비한다.
상기 손잡이 바디(10)는 하측 바디부(10A) 위에 상측 바디부(10B)가 체결수단에 의해 상호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측 바디부(10A)는 상측 바디부(10B)의 저면과 마주하게 되는 상면에 전단부에서 후단부 방향을 따라 볼트홀(12a1)과 캠결합홈(14a)과 록킹 부재 승강홈(16a)과 릴리스 탄성체 결합홈(18a) 및 후방측의 볼트홀(12a2)이 구비될 수 있다. 캠결합홈(14a)은 원형홈 형상이며, 캠결합홈(14a)의 중앙부에는 캠(30)의 캠축(32)을 결합하기 위한 축홈(14b)이 형성되어 있다. 록킹 부재 승강홈(16a)은 하측 바디부(10A)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대략 일자홈 형태로 구성된다. 릴리스 탄성체 결합홈(18a)은 하측 바디부(10A)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대략 일자홈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하측 바디부(10A)의 상면에는 볼트홀(12a1)과 캠결합홈(14a) 및 록킹 부재 승강홈(16a) 및 릴리스 탄성체 결합홈(18a)의 일부가 영역 내에 들어가도록 일정 면적의 그립퍼(20)의 슬라이딩 가이드홈(16)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가이드홈(16)은 양쪽 위치에 판형상 그립퍼(20)의 양단부가 접촉된 상태로 슬라이드되도록 하는 슬라이드 가이드턱을 구비한 사각홈 형상이다. 또한, 하측 바디부(10A)는 릴리스 탄성체 결합홈(18a)의 뒤쪽 위치에 볼트홀(12a2)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하측 바디부(10A)는 전단부에 조리 용기(2)를 그립(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립핑면(10s)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상측 바디부(10B)는 하측 바디부(10A)와 마주하게 되는 저면에 상기 캠결합홈(14a)과 대응되는 원형홈 형상의 어퍼 캠결합홈(14b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어퍼 캠결합홈(14b1)에는 캠(30)의 상부측 레버 결합부(34)가 결합되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원형홀 형태의 어퍼 캠조인홀(14b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바디부(10B)의 저면에서 하측 바디부(10A)의 록킹 부재 승강홈(16a)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버튼홀(16b)(본 발명에서는 버튼홀(16b)이 삼각형 홀 형태로 형성됨)이 형성되어 있고, 버튼홀(16b)의 뒤쪽 위치에는 하측 바디부(10A)의 릴리스 탄성체 결합홈(18a)과 대응되는 일자홈 형상의 어퍼 릴리스 탄성체 결합홈(18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측 바디부(10B)는 어퍼 캠결합홈(14b1)의 앞쪽 위치에 하측 바디부(10A)의 볼트홀(12a1)과 만나는 볼트 삽입홀(12b1)이 구비되고, 어퍼 릴리스 탄성체 결합홈(18b)의 뒤쪽 위치에는 하측 바디부(10A)의 볼트홀(12a2)과 만나는 후방측의 볼트 삽입홀(12b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립퍼(20)는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에서 상대 전후진되도록 손잡이 바디(10) 내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그립퍼(20)의 선단부에는 손잡이 바디(10)의 그립핑면(10s)과의 사이에 용기(2)를 그립할 수 있는 그립 스페이스를 형성하는 그립핑 피스(22)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서 그립퍼(20)는 전후로 길다른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그립퍼(20)가 상하로 결합된 손잡이 바디(10)의 그립퍼 슬라이딩 가이드홈(16) 부분에 결합된다. 또한, 그립퍼(20)는 선단부에서 기단부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장공 형태의 인출 스톱핑홀(21)과 그립 작동홀(40)과 록킹홀(60) 및 보조 록킹홀(62)이 구비되어 있다. 록킹홀(60)과 보조 록킹홀(62)은 중간 양쪽 위치에 한 쌍으로 대칭되게 배치된 록킹 지지편(61)을 기준으로 전후 위치에 배치된다. 즉, 록킹 지지편(61)의 앞쪽 위치에는 사각홀 형태의 록킹홀(60)이 구비되고 록킹 지지편(61)의 뒤쪽 위치에는 사각홀 형태의 보조 록킹홀(62)이 구비된 구조이다.
상기 그립퍼(20)에 형성된 그립 작동홀(40)은 그립퍼(20)의 전후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한쪽의 제1캠홀면(42)과, 이 제1캠홀면(42)과 이어지면서 그립퍼(20)의 전후 이동 방향과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캠홀면(44)과, 이 제2캠홀면(44)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어지면서 그립퍼(20)의 전후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다른쪽의 제3캠홀면(46)과, 상기 제1캠홀면(42) 및 제3캠홀면(46)과 이어지면서 그립퍼(20)의 전후 이동 방향과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캠홀면(44)보다 후방 위치에 배치된 제4캠홀면(48)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그립퍼(20)의 그립 작동홀(40)을 구성하는 제4캠홀면(48)은 캠(30)의 그립 캠 포션(50)의 회전 작동시 손잡이 바디(10) 전단부의 그립핑면(10s)과 그립퍼(20) 선단부의 그립핑 피스(22) 사이에 확보되는 그립 스페이스의 범위를 최대화하도록 그립퍼(20)의 전후진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 특징을 이룬다. 상기 제4캠홀면(48)은 그립 작동홀(40)의 제3캠홀면(46)(본 발명에서는 그립퍼(20)의 상면에서 볼 때에 좌측에 배치됨)에 대해 둔각으로 벌어지고 제1캠홀면(42)(본 발명에서는 그립퍼(20)의 상면에 볼 때에 우측에 배치됨)에 대해서는 예각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것이다. 즉, 제4캠홀면(48)의 우측이 좌측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그립퍼(20)의 선단부 방향으로 더 나아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손잡이 바디(10)에는 정역 회전 가능하도록 캠(30)이 결합되어 있다. 이때, 캠(30)은 상부측에는 레버(36)에 형성된 단면 육각형의 캠(30)삽입홈에 끼워지기 위한 단면 육각형의 레버 결합부(34)가 구비되어 있다. 레버 결합부(34)는 캠(30)의 직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단면 육각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캠(30)의 하부측 중심부에는 캠축(32)이 구비되고, 이 캠축(32)을 중심으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대략 부채꼴 블록 형상의 그립 캠 포션(5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캠(30)의 하부측 그립 캠 포션(50)은 캠(30)의 회전 중심부(즉, 캠축(32)을 기준으로 하는 회전 중심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서로 벌어지는 형태로 구성된 제1캠면(52) 및 제2캠면(54)과, 상기 제1캠면(52) 및 제2캠면(54)과 이어지는 원호형으로 이루어진 제3캠면(56)을 구비한 대략 부채꼴 블록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에 완전 인출된 릴리스 상태에서는 그립 작동홀(40)의 제1캠홀면(42)과 제4캠홀면(48)에 각각 마주하도록 제1캠면(52) 및 제2캠면(54)이 배치되고, 상기 제3캠홀면(46)은 그립 작동홀(40)의 제3캠면(56)과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그립퍼(20)의 그립 작동홀(40)의 제4캠홀면(48)은 제3캠홀면(46)에 대해 둔각으로 벌어지고 제1캠홀면(42)에 대해서는 예각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에서 완전 인출된 릴리스 상태에서 제4캠홀면(48)에 상기 캠(30)의 그립 캠 포션(50)의 제2캠면(54)이 접촉되고, 상기 제4캠홀면(48)에 이어지면서 그립퍼(2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제3캠홀면(46)에는 그립 캠 포션(50)을 구성하도록 제2캠면(54)에 이어지는 원호형의 제3캠면(56)의 일부가 접촉된다.
한편, 상기 그립퍼(20)의 그립 작동홀(40)을 구성하는 제1캠홀면(42)과 제2캠홀면(44)이 이어지는 코너부, 제2캠홀면(44)과 제3캠홀면(46)이 이어지는 코너부, 제3캠홀면(46)과 제4캠홀면(48)이 이어지는 코너부 및 제4캠홀면(48)과 제1캠홀면(42)이 이어지는 코너부는 캠(30)의 회전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회전 가이드 스페이스를 형성하도록 곡면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그립 캠 포션(50)의 제1캠면(52)은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에 완전 인출된 릴리스 상태에서 그립 작동홀(40)의 제1캠홀면(42)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캠면(52)에는 캠(30)과 그립 캠 포션(50)의 회전에 의해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로 1차로 후퇴되어 후술할 록킹 부재(70)에 의한 1차 록킹 상태로 전환될 때에 제2캠홀면(44)에 접촉되는 원호형 곡면 블록 형상의 구배부(52a)가 더 구비된다. 원호형의 구배부(52a)는 제1캠면(52)에서 상대적으로 원호형 블록 형태의 살을 더 두껍게 확보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립 작동홀(40)의 제3캠홀면(46)은 그립퍼(20)의 전후진 방향과 나란한 직선 연장형 캠홀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4캠홀면(48)은 제3캠홀면(46)과 나란한 직선 방향에 대해 외측으로 일정 각도 더 벌어지도록 형성된 경사형 캠홀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그립퍼(20)의 그립핑 피스(22)와 손잡이 바디(10) 전단의 그립핑면(10s) 사이의 그립 스페이스 범위를 상대적으로 더 확장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바디(10)에는 록킹 부재(70)가 구비된다. 이 록킹 부재(70)는 그립퍼(20)의 록킹홀(60)에 끼워지는 록킹 돌기(72)가 상부에 구비된다. 록킹 돌기(72)는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에서 인출한 상태에서 다시 후퇴하기 원활하도록 그립퍼(20)의 전단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테이퍼부를 구비한다. 록킹 부재(70)는 손잡이 바디(10)에 형성된 승강홈에 끼워져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승강홈과 록킹 부재(70)의 하단부 사이에는 탄성체(76)가 개재되어, 상기 탄성체(76)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 부재(70)의 록킹 돌기(72)가 그립퍼(20)의 록킹홀(60)에 걸려지게 된다.
이때, 탄성체(76)는 코일 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록킹 부재(70)의 하단부에는 결합핀부(74)가 구비되어, 록킹 부재(70) 하단부의 결합핀부(74)에 탄성체(76)가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손잡이 바디(10)의 승강홈에 록킹 부재(70)가 끼워지고 동시에 록킹 부재(70)의 하단부와 손잡이 바디(10)의 승강홈 사이에 탄성체(76)가 배치된 구조를 이룬다.
또한, 상기 손잡이 바디(10)는 승강홈의 상부 위치에 외표면으로 연통된 버튼홀(16b)이 구비되고, 상기 록킹 부재(70)는 상단부에 손잡이 바디(10)의 버튼홀(16b)에 끼워져서 손잡이 바디(10)의 외측으로 노출된 버튼(78)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78)의 양쪽 위치에는 록킹 돌기(72)가 하나 씩 구비되어, 록킹 돌기(72)가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두 개의 록킹 돌기(72)가 록킹 부재(70)의 상부에 좌우 대칭되도록 구비된 구조를 취하고 있다.
또한, 상기 그립퍼(20)는 록킹 부재(70)의 록킹 돌기(72)에 대응되도록 록킹홀(60)이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됨과 동시에 록킹홀(60)의 후방 위치에는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에서 완전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록킹 부재(70)의 록킹 돌기(72)가 걸려지는 보조 록킹홀(62)이 더 구비되며, 복수개의 록킹홀(60)과 보조 록킹홀(62) 사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록킹 부재(70)의 버튼(78)이 결합되는 슬라이드 가이드홀(6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록킹홀(60)과 보조 록킹홀(62) 사이에 이어진 록킹 지지편(61)은 슬라이드 가이드홀(64)의 양측면까지 이어지도록 구성되어, 록킹 부재(70)의 록킹 돌기(72)가 걸려지는 힘을 충분히 강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록킹 부재(70)가 그립퍼(20)의 록킹홀(60)에서 이탈될 때에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에서 완전 인출되도록 탄지하는 릴리스 탄성체(28)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릴리스 탄성체(28)는 코일 스프링 구조를 취하고 있고, 그립퍼(20)의 기단부에는 스프링 결합편이 구비되어, 그립퍼(20)의 스프링 결합편에 코일 스프링 구조의 릴리스 탄성체(28)가 결합됨과 동시에 손잡이 바디(10)의 릴리스 탄성체 결합홈(18a)에 안착된 구조를 취하고 있어서,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의 내부로 후퇴하여 수납될 때에는 릴리스 탄성체(28)가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 록킹 부재(70)가 그립퍼(20)의 록킹홀(60)에서 이탈될 때에 릴리스 탄성체(28)가 자체의 탄성 복원력으로 그립퍼(20)를 밀어서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에서 완전 인출되도록 탄지하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내부에 캠결합홈(14a)과 록킹 부재 승강홈(16a) 및 릴리스 탄성체 결합홈(18a)에 각각 캠(30)과 록킹 부재(70) 및 릴리스 탄성체(28)를 결합하고 손잡이 바디(10) 내부의 그립퍼(20) 슬라이드 가이드홈에 그립퍼(20)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상측 바디부(10B)와 하측 바디부(10A)의 볼트 삽입홀과 볼트홀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본 발명의 착탈식 용기 손잡이를 조립하게 되는데, 상기 상측 바디부(10B)의 전방측 볼트 삽입홀과 하측 바디부(10A)의 전방측 볼트홀에 결합되는 볼트는 그립퍼(20)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장공 형상의 인출 스톱핑홀(21)에 동시에 끼워진 상태가 되어서 그립퍼(20)가 상기 볼트에 걸려서 손잡이 바디(10)에서 완전히 빠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인출 스톱퍼 기능을 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와 도 1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에서 완전히 인출된 릴리스 상태를 보여준다. 도 12와 도 13의 릴리스 상태에서는 캠(30) 하부측의 그립 캠 포션(50)을 구성하는 제2캠면(54)이 그립퍼(20)에 형성된 그립 작동홀(40)의 제4캠(30)홈면에 접촉되고 그립 캠 포션(50)의 제3캠면(56)의 일부가 그립 작동홀(40)의 한쪽(도 13을 기준으로 좌측) 제3캠홀면(46)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가 되며, 상기 그립퍼(20) 선단부의 그립핑 피스(22)는 손잡이 바디(10) 전단부의 그립핑면(10s)과 완전 이격되어, 용기(2)(조리 용기(2) 등)를 파지하지 않은 상태가 되고, 캠(30)에 결합(구체적으로, 캠(30)의 상부측 레버 결합부(34)에 결합)되어 있는 레버(36)는 그립퍼(20)의 길이 방향과 대략 직각 방향으로 회동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도 12와 도 13의 릴리스 상태에서 캠(30)에 결합되어 있는 레버(36)를 안쪽 방향(도 15를 기준으로 우측 방향)으로 1차로 돌려주면, 상기 캠(30)과 그립 캠 포션(50)이 회전하는데, 이러한 회전에 따라 그립 캠 포션(50)의 제2캠면(54)이 그립 작동홀(40)의 제4캠홀면(48)을 밀어주어서 그립퍼(20)가 1차로 손잡이 바디(10)의 내부로 후퇴하는 한편 상기 록킹 부재(70)에 구비된 록킹 돌기(72)가 그립퍼(20)에 형성되어 있는 록킹홀(60)로 진입하여 록킹 지지편(61)에 걸려지며 동시에 그립퍼(20) 선단부의 그립핑 피스(22)와 손잡이 바디(10) 전단부의 그립핑면(10s) 사이의 간격이 더 좁아져서 상기 그립퍼(20)의 그립핑 피스(22)와 손잡이 바디(10)의 그립핑면(10s) 사이에 용기(2)를 1차로 파지할 수 있는 1차 그립 상태가 된다. 도 14와 도 15에 1차 그립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그립퍼(20)가 캠(30)과 그립 캠 포션(50)의 회전에 따라 후진하는 도중에는 록킹 부재(70) 상단부의 록킹 돌기(72)에 형성된 테이퍼부에 의해 록킹 부재(70)가 원활하게 하강하고 그립퍼(20)는 원활하게 후진하며, 동시에 록킹 부재(70)를 상향 탄지하는 탄성체(76)는 압축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그립퍼(20)가 계속 손잡이 바디(10)의 내부로 후진하다가 록킹 부재(70)의 록킹 돌기(72)가 그립퍼(20)의 록킹홀(60)에 도달하면 상기 탄성체(7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록킹 부재(70)가 상승하면서 록킹 돌기(72)가 그립퍼(20)에 형성된 록킹 지지편(61)에 걸려지므로, 상기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에 1차로 후진하여 용기(2)를 1차로 파지할 수 있는 1차 그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1차 그립 상태에서 레버(36)를 다시 안쪽 위치로 더 회전(그립퍼(20)의 전후진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캠(30) 하부측의 그립 캠 포션(50)에서 제2캠면(54)과 제3캠면(56) 사이의 경계부에서 접촉되어 있던 부분이 회전하면서 그립퍼(20)의 그립 작동홀(40)의 제4캠홀면(48)에 제3캠면(56)의 원호형 곡면부가 제4캠홀면(48)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에서 캠(30)과 그립 캠 포션(50)이 계속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3캠면(56)이 제4캠홀면(48)을 계속하여 밀어주기 때문에, 그립퍼(20)가 계속하여 손잡이 바디(10)의 안쪽으로 후퇴하며, 상기 그립 캠 포션(50)의 제2캠면(54)이 그립퍼(20)의 그립 작동홀(40)을 구성하는 제1캠홀면(42)에 접촉되는 위치까지 회전 완료되면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의 내부로 완전 후퇴한 상태가 되고, 그립퍼(20) 선단부의 그립핑 피스(22)와 손잡이 바디(10) 전단부의 그립핑면(10s) 사이의 간격이 1차 그립 상태에 비하여 더 가까워지므로, 용기(2)를 완전히 파지할 수 있는 상태(즉, 상기 용기(2)를 완전히 파지하는 상태가 2차 그립 상태)가 된다. 도 16과 도 17에는 용기(2)의 2차 그립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중요한 것은 그립퍼(20)의 그립 작동홀(40)을 구성하는 제4캠홀면(48)은 상기 그립퍼(20)의 전후진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캠(30)의 하부측 그립 캠 포션(50)을 회전 작동시킬 때에 손잡이 바디(10) 전단부의 그립핑면(10s)과 그립퍼(20)의 그립핑 피스(22) 사이에 확보되는 그립 스페이스의 범위를 최대화함으로써 용기(2)의 다양한 두께에 대응하여 용기(2)를 그립할 수 있다는 점이다. 즉, 그립퍼(20)의 그립 작동홀(40)을 구성하는 제4캠홀면(48)의 한쪽이 다른 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그립퍼(20)의 선단부 방향으로 더 나아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구조를 취하고 있어서, 상기 캠(30)의 그립 캠 포션(50)의 원호형 제3캠면(56)이 제4캠홀면(48)에 접촉되어 회전하면서 그립퍼(20)를 전후진 작동시킬 수 있는 원주 거리(유효 거리(CA))를 보다 넓혀줄 수 있고, 이처럼 캠(30)의 그립 캠 포션(50)에서 그립퍼(20)의 전후진 작동을 하는 부분인 원호형 제3캠면(56)이 그립퍼(20)의 제4캠홀면(48)과 접촉되어 그립퍼(20)를 당겨주는 원주 유효 거리(CA)를 늘려줌으로써 그립퍼(20)의 전후진 거리 범위를 보다 확장시키고 그립퍼(20) 선단부의 그립핑 피스(22)와 손잡이 바디(10) 전단부의 그립핑면(10s) 사이에서의 용기(2) 그립용 스페이스의 거리 범위를 보다 넓게 조절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모든 두께의 용기(2)를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는 점이 본 발명에서 가지는 주요 특징이라 할 것이다. 용기(2)의 두께가 1mm, 2mm, 3mm, 4mm와 같이 다양한 두께를 가지도록 용기(2)가 제작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그립퍼(20)의 그립 작동홀(40)의 구성인 제4캠홀면(48)에 접촉되어 그립퍼(20)를 당겨줄 수 있는 캠(30)의 그립 캠 포션(50)의 원주형 제3캠면(56)의 유효 원주 길이를 최대한 늘려줄 수 있는 것이라서, 상기와 같이 모든 두께의 용기(2)를 원활하면서도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1차 그립 상태에서 캠(30)과 그립 캠 포션(50)의 계속되는 회전에 의해 그립 캠 포션(50)의 제3캠면(56)은 점 A로 표시된 점에서 넘어가서 도 15에 표시된 유효 거리(CA) 범위만큼 확장된 원주 거리로 접촉되면서 그립퍼(20)를 당겨주고, 이로 인하여 그립퍼(20)의 전후 이동 거리 범위가 H로 표시된 거리만큼 최대한 확장되므로, 상기와 같이 두께가 1mm, 2mm, 3mm, 4mm와 같이 어떠한 두께를 가진 용기(2)라 하더라도 용기(2)를 원활하면서도 안정적으로 파지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큰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그립 캠 포션(50)의 제1캠면(52)에는 캠(30)과 그립 캠 포션(50)의 회전에 의해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로 1차로 후퇴되어 록킹 부재(70)에 의한 1차 록킹 상태로 전환될 때에 제2캠홀면(44)에 접촉되는 원호형 곡면 블록 형상의 구배부(52a)가 더 구비되어 있어서,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에 완전 인출된 릴리스 상태에서 그립 작동홀(40)의 제1캠홀면(42)과 그립 캠 포션(50)의 제1캠면(52)이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한편, 상기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의 내부로 1차로 후퇴하여 1차 그립 상태가 되면, 상기 그립 캠 포션(50)의 제2캠면(54)과 제3캠면(56) 사이의 연결부가 그립 작동홀(40)의 제4캠홀면(48)에 접촉되는 동시에 그립 캠 포션(50)의 제1캠면(52)에 상대적으로 원호형 블록 형태의 살을 더 두껍게 확보한 형태의 원호형 구배부(52a)는 그립 작동홀(40)의 제2캠홀면(44)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라서, 그립퍼(20) 선단부의 그립핑 피스(22)가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 그립핑면(10s)에 근접하여 1차로 용기(2)를 파지하는 1차 그립 상태에서 그립퍼(20)가 전후로 유동될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견고하게 잡아주는 구조가 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그립퍼(20)의 그립핑 피스(22)와 손잡이 바디(10)의 그립핑면(10s) 사이에 용기(2)를 끼워서 1차로 그립한 상태에서 그립퍼(20)가 전후로 요동되면서 용기(2)가 떨어져 버리는 불안정 요소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캠(30)과 그립 캠 포션(50)을 더 회전시켜서 상기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의 내부로 완전 후퇴하여 용기(2)의 완전 그립 상태가 되면, 상기 그립 캠 포션(50)의 제2캠면(54)은 그립 작동홀(40)의 제1캠홀면(42)에 접촉되고 제3캠홀면(46)의 상사점은 그립 작동홀(40)의 제4캠홀면(48)에 접촉되고 동시에 제1캠면(52)에 상대적으로 원호형 블록 형태의 살을 더 두껍게 확보한 형태의 원호형 구배부(52a)는 그립 작동홀(40)의 제2캠홀면(44)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라서 그립퍼(20) 선단부의 그립핑 피스(22)가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 그립핑면(10s)과 가장 가까운 위치로 접근한 완전 그립 상태에서 그립퍼(20)가 전후로 유동될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견고하게 잡아주는 구조가 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그립퍼(20)의 그립핑 피스(22)와 손잡이 바디(10)의 그립핑면(10s) 사이에 용기(2)를 끼워서 그립한 상태에서 그립퍼(20)가 전후로 요동되면서 용기(2)가 떨어져 버리는 불안정 요소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이점에서 상기 캠(30)의 그립 캠 포션(50)을 구성하는 제1캠면(52)에 살을 더 붙이는 식의 구배부(52a)를 구비한 것의 의미가 있다.
한편, 도 19와 도 20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그립퍼(20)의 그립 작동홀(40)의 변형된 실시예의 구조와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로서, 도 19와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그립 작동홀(40)의 제3캠홀면(46)은 그립퍼(20)의 전후진 방향과 나란한 직선 연장형 캠홀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4캠홀면(48)은 제3캠홀면(46)과 나란한 직선 방향에 대해 외측으로 일정 각도 더 벌어지도록 형성된 경사형 캠홀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9와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 16과 도 17의 경우에 비하여 가상의 직선(VL)과 상기 경사형 캠홀면인 제4캠홀면(48) 사이의 각도만큼 캠(30)과 그립 캠 포션(50)의 회전 각도를 제3캠홀면(46)과 나란한 직선 방향인 경우에 비하여 보다 더 많이 확장시킬 수 있으므로, 도 16과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에 비하여 상기 그립퍼(20)의 그립핑 피스(22)와 손잡이 바디(10)의 그립핑면(10s) 사이의 용기(2) 그립 스페이스 거리 범위를 보다 더 늘려줄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용기(2)를 파지할 수 있는 범위를 그만큼 더 늘려줄 수 있는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의 착탈식 용기 손잡이로 파지하여 옮길 수 있는 용기(2)의 규격 범위를 더욱더 늘려서 용기(2)에 채용되는 사용상의 호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f1은 캠(30)의 그립 캠 포션(50)에 의해 그립퍼(20)를 고정하는 힘(물어주는 힘)의 방향이고, f2는 그립 캠 포션(50)의 제3캠면(56)이 그립퍼(20)의 슬라이드 작동홀의 제4캠홀면(48)에서 미끄러지려는 힘의 방향을 의미하는데, sinθ = f1/f2로서 f2가 0으로 수렴되면 f1은 무한대로 수렴되므로, 궁극적으로 캠(30)의 그립 캠 포션(50)에 의해 그립퍼(20)를 고정하는 힘(물어주는 힘) f1이 무한대가 되어서 캠(30)과 함께 그립 캠 포션(50)을 사용자가 일부로 회전시키지 않는 이상 캠(30)과 그립 캠 포션(50)에 의해 그립퍼(20)를 고정하는 상태가 해제되는 일은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되며, 이처럼 안정적으로 그립퍼(20)를 후진시켜서 용기(2)를 두께에 따라 그립할 수 있는 사용 호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를 용기(2)의 그립 두께 범위를 극대화시키면서도 가장 안정적으로 그립할 수 있는 저크 포지션이라고 할 수 있겠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해 용기(2)를 파지하여 이동시키는 등의 일을 한 다음에는 용기(2)를 다시 릴리스시켜야 되는데, 상기 용기(2)를 그립퍼(20)의 그립핑 피스(22)와 손잡이 바디(10)의 그립핑면(10s)으로 완전 그립한 상태에서 레버(36)를 좌측 방향(즉, 상기 레버(36)를 용기(2)를 파지하기 위한 상태로 돌려주었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다시 돌려주면, 캠(30)과 그립 캠 포션(50)이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방향(즉, 용기(2)를 파지하기 위한 상태로 캠(30)을 돌려주었던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립퍼(20)와 그립핑 피스(22)는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로 다시 인출되어 1차 그립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록킹 부재(70)의 록킹 돌기(72)는 그립퍼(20)의 록킹홀(60)을 구성하는 록킹 지지편(61)에 걸려진 상태가 된다.
다음,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상부로 노출된 버튼 부분(록킹 부재(7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상측 바디부(10A)의 버튼홀(16b) 위로 노출된 부분)을 눌러주면, 록킹 부재(70)가 하강하면서 록킹 부재(70)의 록킹 돌기(72)가 그립퍼(20)에 형성되어 있는 록킹 지지편(61)에서 이탈되면서 그립퍼(20)의 후진으로 인해 압축되어 있던 릴리스 탄성체(28)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그립퍼(20)를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 방향으로 밀어주고,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 방향으로 밀리는 순간에는 캠(30)과 그립 캠 포션(50)도 그립퍼(20)의 그립 작동홀(40) 부분이 전진함에 따라 회전 중심부(즉, 캠(30)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그립퍼(20)와 그립핑 피스(22)가 손잡이 바디(10)에서 완전 인출되어 용기(2)의 파지 상태를 해제하는 릴리스 상태(도 13과 도 14의 상태)가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손잡이 바디(10)를 구성하는 하측 바디부(10A)와 상측 바디부(10B)를 상호 고정하기 위해 체결된 전방측의 볼트가 그립퍼(2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인출 스톱핑홀(21)에 결합되어 있어서,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로 완전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에 그립퍼(20)의 인출 스톱핑홀(21)이 걸려지므로,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에서 이탈되어 버리는 현상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록킹 부재(70)의 록킹 돌기(72)는 그립퍼(20)의 록킹 지지편(61) 후방 위치에 형성된 보조 록킹홀(62)에 걸려서 그립퍼(20)를 한번 더 지지하게 된다. 즉, 손잡이 바디(10)를 구성하는 하측 바디부(10A)와 상측 바디부(10B)를 고정하기 위한 전방측의 볼트가 그립퍼(20)를 손잡이 바디(10)에서 빠져버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스톱퍼 기능을 하는 것이라 할 수 있고, 록킹 부재(70)도 그립퍼(20)의 릴리스 상태에서 그립퍼(20)를 손잡이 바디(10)에서 빠져버리는 현상을 보조적으로 수행하는 보조 록킹 수단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록킹 부재(70)를 상향 탄지하기 위한 탄성체(76)는 코일 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록킹 부재(70)의 하단부에는 결합핀부(74)가 구비되어, 록킹 부재(70)의 결합핀부(74)에 탄성체(76)가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손잡이 바디(10)의 승강홈과 록킹 부재(70)의 사이에 탄성체(76)가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록킹 부재(70)의 하단으로 돌출된 결합핀부(74)에 코일 스프링 구조의 탄성체(76)를 끼운 상태에서는 탄성체(76)가 록킹 부재(70)에 결합된 상태에서 쉽게 빠지지 않게 되므로, 상기 탄성체(76)와 함께 록킹 부재(70)를 손잡이 바디(10)의 승강홈(즉, 록킹 부재(70)의 승강을 위한 홈이라 할 수 있음)에 끼우는 작업이 보다 신속하고 수월해져서 조립 작업성 등에서 보다 우수하다. 물론, 상기 록킹 부재(70)의 하단부에 오목한 결합홈부를 구비하여, 이 결합홈부에 코일 스프링 형태의 탄성체(76)를 끼운 상태에서 손잡이 바디(10)의 승강홈에 록킹 부재(70)와 탄성체(76)를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록킹 부재(70)의 결합홈부의 직경이 탄성체(76)의 직경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아서 탄성체(76)가 록킹 부재(70)의 결합홈부에 약간 억지 끼움식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럴 경우에는 록킹 부재(70)의 결합홈에 탄성체(76)가 끼워진 상태에서 쉽게 빠지지 않으므로, 역시 조립 작업 등에서 수월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 11에서와 같이 손잡이 바디(10)는 승강홈의 상부 위치에 외표면으로 연통된 버튼홀(16b)이 구비되고, 상기 록킹 부재(70)는 상단부에 손잡이 바디(10)의 버튼홀(16b)에 끼워져서 손잡이 바디(10)의 외측으로 노출된 버튼이 구비되고, 상기 버튼의 양쪽 위치에는 록킹 돌기(72)가 하나 씩 구비되어 록킹 돌기(72)가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며, 상기 그립퍼(20)는 록킹 부재(70)의 록킹 돌기(72)에 대응되도록 록킹홀(60)이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됨과 동시에 록킹홀(60)의 후방 위치에는 그립퍼(20)가 손잡이 바디(10)에서 완전 인출된 상태에서 록킹 부재(70)의 록킹 돌기(72)가 걸려지는 보조 록킹홀(62)이 더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록킹홀(60)과 보조 록킹홀(62) 사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록킹 부재(70)의 버튼(78)이 결합되는 슬라이드 가이드홀(64)이 구비되며, 상기 록킹홀(60)과 보조 록킹홀(62) 사이에 이어진 록킹 지지편(61)은 슬라이드 가이드홀(64)의 양측면까지 이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 부재(70)의 록킹 돌기(72)가 걸려지게 되는 록킹 지지편(61)의 슬라이드 가이드홀(64)의 양측면까지 이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록킹 부재(70)의 록킹 돌기(72)가 록킹 지지편(61)에 걸려진 상태에서 버티는 힘을 보다 강하게 할 수 있으므로, 작동상의 신뢰성 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손잡이 바디(10)는 그립퍼(20)의 그립핑 피스(22)의 안쪽면과 마주하는 상기 그립핑면(10s)에 마찰부재(80)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 손잡이 바디(10)의 그립핑면(10s) 중앙부에 오목홈을 더 형성하고, 오목홈의 안쪽면에는 고정돌기홀이 더 형성되며, 상기 마찰부재(80)는 오목홈과 마주하는 단부측에 고정돌기 형성홈을 기준으로 구비된 고정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돌기를 오목홈 안쪽면의 고정돌기홀에 끼워주면 상기 고정돌기 형성홈에 의해 조성된 걸림단턱이 고정돌기홀 주위벽부에 걸려지므로, 마찰부재(80)가 손잡이 바디(10)의 그립핑면(10s)에 형성된 오목홈에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마찰부재(80)는 물체의 표면에 마찰력을 가할 수 있는 재질이면 모두 채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마찰부재(80)를 내열성을 가지면서 적절한 물체 표면의 마찰력을 충분히 가할 수 있는 실리콘으로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그립퍼(20)의 그립핑 피스(22)와 손잡이 바디(10)의 그립핑면(10s) 사이에 개재된 용기(2)를 물어주는 힘으로 용기(2)를 파지하는 것에 더하여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그립핑면(10s)에 추가로 구비된 마찰부재(80)에 의해 용기(2)의 표면(특히, 용기(2)의 외표면)에 보다 높은 파지력과 마찰력을 가해줄 수 있으므로, 용기(2)가 이동되는 등의 취급중에 그립퍼(20)의 그립핑 피스(22)와 손잡이 바디(10)의 그립핑면(10s)에서 이탈되어 용기(2)가 바닥으로 떨어지는 등의 안전 사고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 용기 10. 손잡이 바디
10A. 하측 바디부 10B. 상측 바디부
16. 슬라이딩 가이드홈 20. 그립퍼
21. 인출 스톱핑홀 28. 릴리스 탄성체
30. 캠 32. 캠축
34. 레버 결합부 36. 레버
40. 그립 작동홀 42. 제1캠홀면
44. 제2캠홀면 46. 제3캠홀면
48. 제4캠홀면 50. 그립 캠 포션
52. 제1캠면 52a. 구배부
54. 제2캠면 56. 제3캠면
60. 록킹홀 61. 록킹 지지편
62. 보조 록킹홀 64. 슬라이드 가이드홀
70. 록킹 부재 72. 록킹 돌기
74. 결합핀부 76. 탄성체
78. 버튼 80. 마찰부재

Claims (10)

  1. 전단부에 용기(2)를 그립하도록 그립핑면(10s)이 구비된 손잡이 바디(10)와;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에서 상대 전후진되도록 상기 손잡이 바디(10) 내부에 결합되며 선단부에는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상기 그립핑면(10s)과의 사이에 용기(2)를 그립할 수 있는 그립 스페이스를 형성하는 그립핑 피스(22)를 구비한 그립퍼(20)와;
    상기 손잡이 바디(10)에 정역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캠(30)과;
    상기 그립퍼(20)의 전후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일측의 제1캠홀면(42)과, 상기 제1캠홀면(42)과 이어지면서 상기 그립퍼(20)의 전후 이동 방향과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캠홀면(44)과, 상기 제2캠홀면(44)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이어지면서 상기 그립퍼(20)의 전후 이동 방향으로 연장된 제3캠홀면(46)과, 상기 제1캠홀면(42) 및 상기 제3캠홀면(46)과 이어지면서 상기 그립퍼(20)의 전후 이동 방향과는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캠홀면(44)보다 후방 위치에 배치된 제4캠홀면(48)을 포함하도록 상기 그립퍼(20)에 형성된 그립 작동홀(40)과;
    상기 캠(30)의 회전 중심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서로 벌어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그립퍼(20)가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에 완전 인출된 릴리스 상태에서 상기 그립 작동홀(40)의 상기 제1캠홀면(42)과 상기 제4캠홀면(48)에 각각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제1캠면(52) 및 제2캠면(54)과, 상기 제1캠면(52) 및 상기 제2캠면(54)과 이어지는 원호형으로 이루어져 상기 그립퍼(20)가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에 완전 인출된 릴리스 상태에서 상기 그립 작동홀(40)의 상기 제3캠홀면(46)과 마주하는 제3캠면(56)을 포함하도록 상기 캠(30)에 구비된 그립 캠 포션(50)과;
    상기 그립 작동홀(40)의 외측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그립퍼(20)에 구비된 록킹홀(60)과;
    상기 손잡이 바디(10)에 구비되어 상기 캠(30)과 상기 그립 캠 포션(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그립퍼(20)가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내부로 후퇴한 상태에서 상기 그립퍼(20)의 상기 록킹홀(60)에 결합되어 상기 그립퍼(20) 선단부의 상기 그립핑 피스(22)와 상기 손잡이 바디(10) 전단부의 상기 그립핑면(10s)에 의해 상기 용기(2)를 1차로 그립한 상태를 유지하는 록킹 부재(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용기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퍼(20)의 상기 그립 작동홀(40)을 구성하는 상기 제4캠홀면(48)은 상기 캠(30)의 상기 그립 캠 포션(50)의 회전 작동시 상기 손잡이 바디(10) 전단부의 상기 그립핑면(10s)과 상기 그립퍼(20)의 상기 그립핑 피스(22) 사이에 확보되는 그립 스페이스의 범위를 최대화하도록 상기 그립퍼(20)의 전후진 방향에 대해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용기 손잡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작동홀(40)의 상기 제4캠홀면(48)은 상기 그립 작동홀(40)의 상기 제2캠홀면(44)에 대해 둔각으로 벌어지고 상기 제1캠홀면(42)에 대해서는 예각으로 벌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그립퍼(20)가 상기 손잡이 바디(10)에서 완전 인출된 릴리스 상태에서 상기 제4캠홀면(48)에 상기 그립 캠 포션(50)의 상기 제2캠면(54)이 접촉되고, 상기 제4캠홀면(48)에 이어지면서 상기 그립퍼(20)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 제3캠홀면(46)에는 상기 그립 캠 포션(50)을 구성하도록 상기 제2캠면(54)에 이어지는 원호형의 제3캠면(56)의 일부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용기 손잡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캠 포션(50)의 상기 제1캠면(52)은 상기 그립퍼(20)가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전단부에 완전 인출된 릴리스 상태에서 상기 그립 작동홀(40)의 상기 제1캠홀면(42)과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캠면(52)에는 상기 캠(30)과 상기 그립 캠 포션(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그립퍼(20)가 상기 손잡이 바디(10)로 1차로 후퇴되어 상기 록킹 부재(70)에 의한 1차 록킹 상태로 전환될 때에 상기 제2캠홀면(44)에 접촉되는 원호형 곡면 블록 형상의 구배부(52a)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용기 손잡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 작동홀(40)의 상기 제3캠홀면(46)은 상기 그립퍼(20)의 전후진 방향과 나란한 직선 연장형 캠홀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4캠홀면(48)은 상기 제3캠홀면(46)과 나란한 직선 방향에 대해 외측으로 일정 각도 더 벌어지도록 형성된 경사형 캠홀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그립퍼(20)의 상기 그립핑 피스(22)와 상기 손잡이 바디(10) 전단의 상기 그립핑면(10s) 사이의 그립 스페이스 범위를 상대적으로 더 확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용기 손잡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부재(70)는, 상기 그립퍼(20)의 상기 록킹홀(60)에 끼워지는 록킹 돌기(72)를 구비하며, 상기 록킹 부재(70)를 탄지하는 탄성체(76)에 의해 상기 록킹 부재(70)의 상기 록킹 돌기(72)가 상기 그립퍼(20)의 상기 록킹홀(60)에 결합되면서 상기 그립퍼(20)의 1차 그립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용기 손잡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부재(70)는, 상기 손잡이 바디(10)에 형성된 승강홈에 끼워져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상기 승강홈과 상기 록킹 부재(70)의 하단부 사이에는 상기 탄성체(76)가 개재되어, 상기 탄성체(7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록킹 부재(70)의 상기 록킹 돌기(72)가 상기 그립퍼(20)의 상기 록킹홀(60)에 걸려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용기 손잡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76)는 코일 스프링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록킹 부재(70)의 하단부에는 결합핀부(74)가 구비되어, 상기 록킹 부재(70)의 상기 결합핀부(74)에 상기 탄성체(76)가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상기 승강홈과 상기 록킹 부재(70)의 사이에 상기 탄성체(76)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용기 손잡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바디(10)는 상기 승강홈의 상부 위치에 외표면으로 연통된 버튼홀(16b)이 구비되고, 상기 록킹 부재(70)는 상단부에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상기 버튼홀(16b)에 끼워져서 상기 손잡이 바디(10)의 외측으로 노출된 버튼(78)이 구비되고, 상기 버튼(78)의 양쪽 위치에는 상기 록킹 돌기(72)가 하나 씩 구비되어 상기 록킹 돌기(72)가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되며, 상기 그립퍼(20)는 상기 록킹 부재(70)의 상기 록킹 돌기(72)에 대응되도록 상기 록킹홀(60)이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록킹홀(60)의 후방 위치에는 상기 그립퍼(20)가 상기 손잡이 바디(10)에서 완전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록킹 부재(70)의 상기 록킹 돌기(72)가 걸려지는 보조 록킹홀(62)이 더 구비되고, 상기 록킹홀(60)과 상기 보조 록킹홀(62) 사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록킹 부재(70)의 상기 버튼(78)이 결합되는 슬라이드 가이드홀(64)이 구비되며, 상기 록킹홀(60)과 상기 보조 록킹홀(62) 사이에 이어진 록킹 지지편(61)은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홀(64)의 양측면까지 이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용기 손잡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바디(10)는 상기 그립퍼(20)의 상기 그립핑 피스(22)의 안쪽면과 마주하는 상기 그립핑면(10s)에 마찰부재(8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용기 손잡이.
KR1020120073578A 2012-07-06 2012-07-06 착탈식 용기 손잡이 KR101423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578A KR101423704B1 (ko) 2012-07-06 2012-07-06 착탈식 용기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578A KR101423704B1 (ko) 2012-07-06 2012-07-06 착탈식 용기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647A KR20140005647A (ko) 2014-01-15
KR101423704B1 true KR101423704B1 (ko) 2014-07-31

Family

ID=50141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578A KR101423704B1 (ko) 2012-07-06 2012-07-06 착탈식 용기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37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194Y1 (ko) 2005-09-12 2005-12-09 이상호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0944983B1 (ko) 2009-07-15 2010-03-03 박회숙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100054770A (ko) * 2010-04-02 2010-05-25 서정덕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110137493A (ko) * 2010-06-17 2011-12-23 양원준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194Y1 (ko) 2005-09-12 2005-12-09 이상호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0944983B1 (ko) 2009-07-15 2010-03-03 박회숙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100054770A (ko) * 2010-04-02 2010-05-25 서정덕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110137493A (ko) * 2010-06-17 2011-12-23 양원준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647A (ko) 201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6380B1 (en) Utility knife with retractable blade
KR101671826B1 (ko) 조리 용기용 착탈 가능한 그리핑 장치 및 이와 같은 장치를 수반하는 조리 용기를 포함하는 조리 어셈블리
KR101037656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0566137B1 (ko) 식품 조리용기, 특히, 프라이팬용 손잡이 장치
US8950621B2 (en) Cooking utensil with rotatable handle
KR101248661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528452B1 (ko) 탈착식 손잡이
KR101241745B1 (ko) 착탈식 용기 손잡이
US6318776B1 (en) Tongs for holding cooking container
KR101140398B1 (ko)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KR101423704B1 (ko) 착탈식 용기 손잡이
KR101409024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양수 손잡이
US9016515B2 (en) Removable gripping device for a cooking vessel without indexing
CN215548278U (zh) 工具接杆
CN101711653A (zh) 具有可拆卸把手或柄部件的烹饪容器
KR101423701B1 (ko) 안전 기능을 강화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
KR101554480B1 (ko) 안전 기능을 강화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
CN110384557B (zh) 组合定位机构、采用其的器械夹持手及外科手术机器人
KR101457788B1 (ko) 용기 그립 호환성을 향상시킨 착탈식 용기 손잡이
KR101379336B1 (ko) 착탈식 용기 손잡이
CN211155427U (zh) 可折叠手柄及锅具
KR101593377B1 (ko) 주방용기용 탈착식 손잡이
KR100339966B1 (ko)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KR20020005159A (ko)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US20030041741A1 (en) Separable handle for cooking vessel and cooking ves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