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5159A -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 Google Patents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5159A
KR20020005159A KR1020000039159A KR20000039159A KR20020005159A KR 20020005159 A KR20020005159 A KR 20020005159A KR 1020000039159 A KR1020000039159 A KR 1020000039159A KR 20000039159 A KR20000039159 A KR 20000039159A KR 20020005159 A KR20020005159 A KR 200200051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vessel
gripping portion
main body
movable member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9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2571B1 (ko
Inventor
이상옥
Original Assignee
이상옥
주식회사 성창베네피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옥, 주식회사 성창베네피나 filed Critical 이상옥
Priority to KR10-2000-0039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2571B1/ko
Priority to JP2000313351A priority patent/JP3665889B2/ja
Publication of KR20020005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5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5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10Devices for gripping or lifting hot cooking utensils, e.g. pincers, separate pot handles, fabric or like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없는 대형 조리용기를 한 쌍을 이용하여 양측에서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파지하여 화상의 위험없이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에 관한 것으로, 이 집게는 조리용기의 운두 외주벽과 단부에서 접촉하는 고정파지부 및 하부에 형성되는 수용실을 갖는 본체; 조리용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조리용기의 운두 내주벽과 단부에서 접촉하는 가동파지부를 가지며 상기 수용실내에 수용되어 일단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스프링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파지부에 대해 전후진가능하게 상기 본체내에 배치되는 가동부재; 상기 본체 수용실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수용실로 출입되는 작동레버;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와 접촉하는 안내부재를 갖으며,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안내부재는 상호 협동하여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수용실내로 수용됨에 따라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수용실 내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가동파지부가 상기 고정파지부와 협동하여 조리용기의 운두를 파지토록 하는 동력전달기구; 및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수용실로부터 퇴실됨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안내부재의 상호 협동관계가 해제되어 상기 스프링수단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고정파지부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될 때 조리용기의 파지가 해제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Tongs for holding a cooking container}
본 발명은 예를 들어 프라이팬, 남비 등과 같은 조리용기를 파지하여 이동하기 위한 집게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게하게는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없는 대형 조리용기를 양측에서 간편하게 파지하여 이동시 가열된 조리용기를 화상의 위험없이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에 관한 것이다.
손잡이가 없거나 있더라도 조리 상황 등에 따라 파지하기 힘든 특히 가열된 조리용기나 기타 내용물이 담긴 조리용기를 이동시키기 위해 여러 가지 형태의 집게 내지 클램핑 기구가 개발되어 사용되어 오고 있다. 통상적으로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기구는 손으로 파지하기 적당한 봉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이 본체에 형성된 공간부 내외로 상하 방향으로 출입가능하게 회전식으로 설치되는 레버수단, 및 이 레버수단의 회전운동을 이용해 본체의 앞부분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하며 조리용기를 파지 또는 해제하게 되는 파지부재를 포함한다. 나아가, 레버수단이 공간부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조리용기를 확실하게 파지하기 위한 잠금수단을 더 포함하는 조리용기 파지기구도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은 구성요소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조리용기 파지기구는 양손을 사용해야 하는지 아니면 한손으로도 조작이 가능한지와 같은 사용상의 편리성, 전체적인 구조상의 복잡성, 조리용기 파지의 확실성, 그리고 잠금수단의 작용상의 확실성 등과 같은 요소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촛점을 맞추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조리용기의 파지시는 물론 해지시 파지기구를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조작할 수 있음으로써 가열된 조리용기 등을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조리용기 파지기구를 개발하기 위해서 많은 시도가 이루어져 왔으며 앞으로도 이루어질 것이다.
특히, 대형이면서 그 내부에 많은 내용물이 저장된 조리용기를 가열하여 이동시킬 때 조리용기의 자중과 저장된 내용물의 무게 때문에 가열된 조리용기는 한 손으로 파지하기가 곤란하여 부득이 두 손으로 파지하여야 하므로 이와 같이 양손을 이용하여 조리용기를 간편하게 파지할 수 있는 집게의 개발도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한 손으로 파지할 수 없는 대형 조리용기를 한 쌍을 이용하여 양측에서 간편하면서도 견고하게 파지하여 화상의 위험없이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는 손으로 감싸 파지하기 적당한 형상을 가지며, 조리용기의 운두 외주벽과 단부에서 접촉하는 고정파지부 및 하부에 형성되는 수용실을 갖는 본체; 상기 고정파지부와의 관계에서 상기 조리용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조리용기의 운두 내주벽과 단부에서 접촉하는 가동파지부를 가지며 상기 수용실내에 수용되어 일단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스프링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파지부에 대해 전후진가능하게 상기 본체내에 배치되는 가동부재; 상기 본체 수용실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수용실로 출입되는 작동레버;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와 접촉하는 안내부재를 갖으며,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안내부재는 상호 협동하여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수용실내로 수용됨에 따라 상기 작동레버의 회전력을 상기 가동부재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상기 가동부재가상기 수용실 내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가동파지부가 상기 고정파지부와 협동하여 조리용기의 운두를 맞물어 파지토록 하는 동력전달기구; 및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수용실로부터 퇴실됨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안내부재의 상호 협동관계가 해제되어 상기 스프링수단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고정파지부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조리용기의 파지가 해제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집게가 조리용기를 양측에서 파지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집게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집게 내부에 가동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집게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4a는 작동레버가 수용실에 수용되어 조리용기를 파지한 상태 도면,
4b는 작동레버가 수용실에서 퇴실하여 조리용기를 해제한 상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집게 2 : 본체
3 : 수용실 4 : 작동레버
6 : 가동부재 9 : 고정파지부
11 : 가동파지부 14 : 스프링수단
17 : 회전부재 18 : 안내부재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게가 조리용기를 양측에서 파지한 상태를 보이고 있다. 상기 집게(1)는 도 2 내지 도 3 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적인 형상이 손으로 감싸 파지할 수 있도록 적당한 크기를 갖으며, 이 본체(2)의 하부에는 도 4 와 같이 수용실(3)이 요입되고, 상기 수용실(3) 일측단부에는 작동레버(4)가 힌지축(5)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하로 회전하면서 상기 수용실(3)을 출입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2)의 내부 상부측에는 상기 작동레버(4)의 회전작용에 의해 본체(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 가능하게 가동부재(6)가 설치되어 조리용기(7)를 파지하거나 해제하게 된다.
계속해서 도 4a,4b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본체(2)는 가동부재(6)를 사이에 두고 상하측으로 분리되는 상부부재(2a)와 하부부재(2b)로 분리,결합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상부부재(2a)는 본체(2)내에 장치되는 가동부재(6) 등 이후 설명할 각 부품의 조립 및 교체를 위해서 본체(2) 내부를 열고닫는 덮개역할을 하며, 또한 하부부재(2b)와 상호 결합하여 가동부재(6)의 전후진 운동을 원활히 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상부부재(2a)는 하부부재(2b)와 스크류(8)로 결속될 것이다.
그리고 본체(2)의 하부부재(2b)는 그 앞단에 조리용기(7) 운두의 외주벽과 맞대어지는 고정파지부(9)를 갖추고 있다. 이 때 고정파지부(9) 상부측에는 조리용기(7)의 운두 상부둘레에 외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턱형태의 테두리가 턱걸림식으로 걸쳐지게 되는 단턱(10)이 구비된다. 이러한 단턱(10)은 집게(1)로 조리용기(7)를 파지시 조리용기(7)의 테두리가 단턱(10)에 안정적으로 걸쳐진 상태에서 조리용기(7)의 운두부분을 파지하게 됨으로써 조리용기(7)가 쉽게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될 것이다.
또, 이렇게 구성되는 하부부재(2b)와 상부부재(2a)의 사이에는 본체(2)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부재(6)가 개재되는데, 이 가동부재(6)는 그 앞단에 조리용기(7) 운두의 내주벽과 접촉하게 되는 가동파지부(11)를 일체로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가동파지부(11)는 하부부재(2b)의 고정파지부(9)와 함께 작용하여 직접적으로 조리용기(7)의 운두를 파지하거나 해제하게 되는 역활을 하게 된다.
또한, 가동부재(6)의 일단의 걸림턱(12)은 본체(2)에 형성되는 리세스(recess.13)에 수용되는 스프링수단(14)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작동레버(4)가 수용실(3)로부터 퇴실되는 순간 스프링수단(14)의 복원력에 의해 가동부재(6)는 본체(2)의 전방으로 이동된다. 가동부재(6)에는 슬롯(15)이 형성되며 이 슬롯(15)내에는 이 슬롯(15)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체(16)가 형성됨으로써 가동부재(6)는 지지체(16)에 의해 슬롯(15)의 행정거리만큼 본체(2)에 대해 전후진 하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스크류가 지지체(16)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지지체(16)는 본체(2)의 상부부재(2a) 또는 하부부재(2b)로부터 돌출시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슬롯(15)의 행정은 작동레버(4)의 회전에 따른 가동부재(6)의 직선운동거리를 충분히 수용할 수 있도록 결정된다.
한편, 본체(2)의 길이방향으로 전후진하는 가동부재(6)와 본체(2)의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는 작동레버(4)는 그 운동방향이 서로 교차방향으로 이루어지면서 작동레버(4)가 본체(2)의 수용실(3) 내부로 수용되었을 때 가동부재(6)와 작동레버(4)는 서로에 대해 상하 위치에 놓여지게 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동부재(6)가 작동레버(4)의 상부에 놓이게 된다. 이와 같은 배치관계에서 가동부재(6)와 작동레버(4)의 사이에 동력전달기구가 설치되어 작동레버(4)의 회전력을 가동부재(6)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킨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작동레버(4)의 상부면 소정위치, 즉 본체(2) 수용실(3)과 가까운 측면에 회전부재(17)가 설치되며 이에 상응하여 가동부재(6)에는 상기 회전부재(17)와 접촉되어 가동부재(6)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안내부재(18)가 설치된다. 상기 회전부재(17)는 원반 형태로 구성되고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안내부재(18)는 상기 가동부재(6) 저면에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레일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레일은 상기 작동레버(4)가 수용실(3) 내부로 수용됨에 따라 가동부재(6)를 본체(2) 내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작동레버(4)가 수용실(3)에 완전히 수용될 때 조리용기(7)를 파지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부재(17)와 안내부재(18)를 상기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작동레버(4)가 수용실(3) 내부로 수용됨에 따라 작동레버(4)의 회전력은 가동부재(6)를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고, 작동레버(4)가 수용실(3)에 완전히 수용되게 됨으로써 동력전달은 종료되고 이때 가동부재(6)는 본체(2)의 고정파지부(9)에 대해 후방으로, 즉 고정파지부(9)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스프링을 압축한 상태에서 본체(2)의 고정파지부(9)와 가동부재(6)의 가동파지부(11)의 협동에 의해 조리용기(7)를 맞물어 파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레버(4)가 상기 수용실(3)에서 퇴실함에 따라 회전부재(17)는 안내부재(18)에서 점차 벗어나 완전히 벗어나게 됨과 동시에 압축된 스프링수단(14)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부재(6)는 이동하여 그의 가동파지부(11)가 본체(2)의 고정파지부(9)에서 멀어지게 되어 조리용기(7)의 파지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도 4a, 4b는 한 쌍으로 구성된 본 발명 집게(1)로 조리용기(7)를 파지하기 전후의 모습을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먼저 도 4a는 본 발명의 집게(1)를 손으로 감싸아 작동레버(4)를 들어올려 본체(2) 수용실(3)에서 수용되게 함으로써 집게(1)가 조리용기(7)를 파지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동력전달기구에 의해서 작동레버(4)측에 설치된 회전부재(17)와 가동부재(6)에 설치되어 있는 안내부재(18)가 서로 밀착된 상태이고, 이에 따라 가동부재(6)의 가동파지부(11)는 본체(2)의 고정파지부(9)측으로 끌어당겨지면서 이들 사이에 위치한 조리용기(7) 운두를 맞물어 파지하여 조리용기(7)를 견고하면서도 안정적으로 파지하게 된다.
도 4b는 조리용기(7)를 파지하기 전의 모습 또는 파지한 상태에서 해제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즉 감싸고 있던 집게(1)를 놓게 되면 본체(2)의 수용실(3)로부터 작동레버(4)가 퇴실됨에 따라 동력전달기구의 회전부재(17)와 안내부재(18)는 맞물림이 서서히 해제되어 마침내 완전히 맞물림 상태가 해제되면 스프링수단(14)의 신장력에 의해 가동부재(6)는 본체(2)의 전방방향으로 이동되고, 따라서 본체(2)의 고정파지부(9)측으로 끌어당어져 있던 가동파지부(11)는 고정파지부(9)로부터 멀어지게 됨으로써 파지하고 있던 조리용기(7)를 놓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음식을 조리하기 위해 가열된 대형의 조리용기를 양측에서 파지하는 것으로, 집게를 파지할 때 상부로 회전하는 작동레버가 본체의 저면에 구비된 수용실에 삽입됨에 따라 동력전달기구의 회전부재와 안내부재의 마찰에 의해 가동부재가 직선이동하여 본체의 고정파지부와 가동부재의 가동파지부가 그 사이에 위치한 조리용기를 견고하게 고정하게 되어 파지된 조리용기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 조리용기의 파지시 조리용기 운두 상부 둘레에 외향으로 구비되는 테두리가 집게의 본체 고정파지부에 구비시킨 걸림턱에 턱걸림식으로 걸어맞춰지게 됨으로써, 대형 조리용기를 양측에서 두 손으로 가일층 안정되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손으로 감싸 파지하기 적당한 형상을 가지며, 조리용기의 운두 외주벽과 단부에서 접촉하는 고정파지부 및 하부에 형성되는 수용실을 갖는 본체;
    상기 고정파지부와의 관계에서 상기 조리용기를 파지할 수 있도록 상기 조리용기의 운두 내주벽과 단부에서 접촉하는 가동파지부를 가지며 상기 수용실내에 수용되어 일단이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스프링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파지부에 대해 전후진가능하게 상기 본체내에 배치되는 가동부재;
    상기 본체 수용실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수용실로 출입되는 작동레버;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와 접촉하는 안내부재를 갖으며,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안내부재는 상호 협동하여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수용실내로 수용됨에 따라 상기 작동레버의 회전력을 상기 가동부재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수용실 내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가동파지부가 상기 고정파지부와 협동하여 조리용기의 운두를 맞물어 파지토록 하는 동력전달기구; 및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수용실로부터 퇴실됨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와 상기 안내부재의 상호 협동관계가 해제되어 상기 스프링수단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동부재가 상기 고정파지부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조리용기의 파지가 해제되는 것;을 포함하는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상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 사이에서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동력전달기구의 회전부재가 상기 수용실로 수용됨에 따라 상기 고정파지부에 대해 상기 가동부재는 후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동력전달기구가 상기 수용실로부터 퇴실됨에 따라 상기 고정파지부에 대해 상기 가동부재는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는 상기 본체 대해 상하방향으로 상기 수용실 내외로 출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기구를 이루는 상기 회전기구는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원반이고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수용실내로 점차적으로 수용됨에 따라 상기 원반을 안내하는 경사면을 갖는 레일이며,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본체의 수용실내로 수용됨에 따라 상기 원반이 회전하면서 상기 레일상에서 점차적으로 상기 수용실 내부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원반과 상기 레일이 협동하여 상기 작동레버의 회전력을 상기 가동부재의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 상기 가동부재와 상기 고정파지부가 협동하여 상기 조리용기의 운두를 파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원반은 상기 작동레버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레일은 상기 가동부재에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레일의 경사면은 상기 수용실의 입구에서 내부로 향하면서 상부로 경사짐으로써 상기 작동레버가 상기 수용실내로 수용됨에 따라 상기 원반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KR10-2000-0039159A 2000-07-08 2000-07-08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KR100372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159A KR100372571B1 (ko) 2000-07-08 2000-07-08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JP2000313351A JP3665889B2 (ja) 2000-07-08 2000-10-13 調理容器把持用ニッパ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9159A KR100372571B1 (ko) 2000-07-08 2000-07-08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5159A true KR20020005159A (ko) 2002-01-17
KR100372571B1 KR100372571B1 (ko) 2003-02-17

Family

ID=19677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9159A KR100372571B1 (ko) 2000-07-08 2000-07-08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665889B2 (ko)
KR (1) KR1003725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25013A (zh) * 2010-08-13 2011-10-26 文济求 用于搬动烹饪容器的可拆卸的把手
KR101300211B1 (ko) * 2010-07-06 2013-08-26 주식회사 패트론 조리 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220020503A (ko) * 2020-08-12 2022-02-21 양원준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2719B1 (fr) * 2002-07-24 2005-02-11 Seb Sa Dispositif amovible de prehension en toute securite
FR2842718B1 (fr) * 2002-07-24 2005-02-11 Seb Sa Dispositif de prehension amovible et adaptable a differentes epaisseurs de recipient
FR2842717B1 (fr) * 2002-07-24 2005-02-11 Seb Sa Dispositif amovible de prehension sans changement de prise de main
FR2937237B1 (fr) 2008-10-16 2011-03-25 Tele Shopping Dispositif de prehension amovible d'un recipient culinaire et recipient culinaire pourvu d'un tel dispositif.
CN105078312B (zh) * 2015-09-02 2017-07-28 浙江苏泊尔股份有限公司 一种炊具的手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39772B1 (fr) * 1995-10-17 1997-12-26 Seb Sa Dispositif de prehension amovible pour recipient
KR100339966B1 (ko) * 1999-07-06 2002-06-10 이상옥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0211B1 (ko) * 2010-07-06 2013-08-26 주식회사 패트론 조리 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CN102225013A (zh) * 2010-08-13 2011-10-26 文济求 用于搬动烹饪容器的可拆卸的把手
KR20220020503A (ko) * 2020-08-12 2022-02-21 양원준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665889B2 (ja) 2005-06-29
KR100372571B1 (ko) 2003-02-17
JP2002034804A (ja) 2002-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1323B2 (ja) 改善された制御装置を有する、圧力下で食品を調理するための調理器具
KR101671826B1 (ko) 조리 용기용 착탈 가능한 그리핑 장치 및 이와 같은 장치를 수반하는 조리 용기를 포함하는 조리 어셈블리
JP3651631B2 (ja) 容器用の取外し可能なハンドル
KR101098131B1 (ko) 물림 부재의 개방 수단을 포함하는 착탈식 손잡이 장치
JP4685167B2 (ja) 調理容器用着脱式取っ手
RU2126224C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открытием и закрытием запирающих зажимов для сосуда, предпочтительно под давлением, и сосуд, содержащий это устройство
JP5250543B2 (ja) 係止/係止解除兼用制御部材を有する圧力調理器具
KR100984907B1 (ko) 상이한 두께의 용기에 적용할 수 있는 착탈 가능한 파지 핸들 장치
KR101017496B1 (ko) 안전한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
KR100372571B1 (ko)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RU96106902A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открытием и закрытием запирающих зажимов сосуда под давлением
US6318776B1 (en) Tongs for holding cooking container
RU2565658C2 (ru) Электробыт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пищи, содержащее емкость, в которой находится режущий инструмент, приводимый во вращение двигателем
JP2001251396A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KR101300211B1 (ko) 조리 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0339966B1 (ko) 조리용기 파지를 위한 집게
JP2018134391A (ja) 枢動ボタン付きの開放システムを備える脱着可能なハンドル
EP2623003B1 (en) Detachable handle
KR101105791B1 (ko) 조리용기의 탈착식 손잡이
KR100520344B1 (ko) 조리기구용 분리형 손잡이
KR102264350B1 (ko) 결착식 분리형 손잡이를 갖는 조리용기
JP3079168B1 (ja) 加熱された調理容器の把持のためのニッパー
KR200321313Y1 (ko) 조리기구용 분리형 손잡이
JP3756453B2 (ja) 蓋体開閉機構
KR101217844B1 (ko) 탈착식 자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