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3194Y1 -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 Google Patents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3194Y1
KR200403194Y1 KR20-2005-0026171U KR20050026171U KR200403194Y1 KR 200403194 Y1 KR200403194 Y1 KR 200403194Y1 KR 20050026171 U KR20050026171 U KR 20050026171U KR 200403194 Y1 KR200403194 Y1 KR 2004031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vessel
sliding
handle
groove
slid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61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이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호 filed Critical 이상호
Priority to KR20-2005-00261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31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31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31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2Bowl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별도의 손잡이를 각종 조리용기에 간단한 조작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조를 간소화함과 함께, 사용도중 부주의로 인하여 손잡이가 조리용기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손잡이의 외형을 파지하기 위하여, 상부부재와, 상부부재에 조립되고 전단부에 단차면을 갖는 하부부재로 이루어지는 몸체부; 상기 하부부재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어 조리용기에 착탈가능하도록, 전단부에 착탈편을 갖고 후단부가 제1 탄성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슬라이딩부; 상기 상부부재의 전측에 설치되고, 그 상부부재에 형성된 원호형 홀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딩판에 형성된 종방향 안내공에 삽입 지지되는 지지편을 하부면에 구비하여 그 지지편에 의해 상기 원호형 홀을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슬라이딩판을 상기 제1 탄성 스프링의 복원과 압축에 따라 전후방 이동 가능하게 작동시키도록 하는 로터리식 작동부; 상기 상·하부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판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하되, 상기 상부부재로부터 노출되는 상태로 설치하고, 후단부가 제2 탄성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그 제2 탄성 스프링의 복원과 압축에 의해 상하 유동되면서 상기 슬라이딩판의 전후방 이동을 제어하는 핀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A Detachable Handle for Cooking Vessels}
본 고안은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손잡이를 각종 조리용기에 간단한 조작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조를 간소화함과 함께, 사용도중 부주의로 인하여 손잡이가 조리용기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너나 가스렌지 등의 가열기구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할 때 냄비, 후라이 팬 등의 조리용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조리용기에는 사용자가 가열된 조리용기를 쉽게 들 수 있고, 또한 편리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그 일측 또는 양측에 손잡이가 부착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손잡이는 조리용기에 고정된 채로 부착되어 있으므로, 가열기구를 이용하여 조리용기를 고온으로 장시간 가열하게 되면, 그 고온의 열이 손잡이로 전달될 경우가 있고, 이 상태에서 손잡이를 그대로 잡을 경우 자칫하면 손에 화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통상 행주나 두꺼운 장갑 등을 이용하여 조리용기를 들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이 경우 조리용기를 잡는 것이 불안정하여 조리용기를 떨어뜨리는 일도 빈번하게 발생된다.
또한, 이러한 조리용기는 그 손잡이가 외부로 길게 돌출된 상태로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보관시 불필요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세척시 그 손잡이에 이물질이 낄 수 있어 위생상 불결한 점이 있다.
한편, 찌개류를 조리하기 위한 조리용기, 예컨대 뚝배기와 같은 용기는 손잡이가 없기 때문에, 음식점 등에서는 이러한 용기를 운반하기 위해서 별도의 집게를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집게는 그 용기의 둘레부에 단순하게 걸쳐서 비스듬한 형태로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조리된 음식물이 수용된 용기에 집게를 올바르게 고정시키지 않는 경우 그 용기를 바로 놓칠 수가 있고, 이 때 뜨거운 음식물이 사방으로 튀어 화상을 초래할 위험성이 있다. 더욱이, 음식점 등에서 그 집게를 이용하여 조리용기를 자주 운반하다 보면, 집게를 잡고 있는 손의 악력이 저하되어 용기를 자주 떨어뜨리게 될 뿐만 아니라, 장시간 사용시에 사용자에게 무리한 힘이 전달되어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최근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 조리용기용 손잡이를 조리용기와 별도로 제작하여 필요할 때 마다 조리용기에 분리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착탈식 손잡이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그 일례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03457호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상기한 종래의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종래의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110)와, 몸체부(110)의 전단에 결합된 고정부(120)와, 몸체부(1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록킹부(130)와, 몸체부(110)의 저면에 지지핀(143)에 의해 결합된 슬라이딩부(140)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120)의 전단부에는, 하방으로 절곡된 고정판(1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록킹부(130)의 전단부에는 하방으로 절곡된 록킹판(131)이 형성되어 있고, 그 저면에는 랙(135) 및 멈춤기어(136)가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록킹부(130)의 상면에는 장공(長孔)이 형성되어 있고 이 장공에는 복귀스프링(133)이 설치된다.
슬라이딩부(140)는 전체적으로 바(bar) 형태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랙(135)과 상호 작용하는 기어(14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110)에는 판면방향을 따라 회동 가능하도록 쐐기 형태의 스토퍼(151)가 결합되어 있고, 스토퍼(151)의 꼬리부를 사이에 두고 몸체부(110)에 결합되는 스프링(153)과 해제핀(152)이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해제핀(152)은 외부로부터 누름 조작할 수 있도록 몸체부(110)에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는 조리용기에 사용하기 위해서, 먼저 손잡이를 조리용기의 상측으로 접근시켜 고정판(121)과 록킹판(131)사이에 조리용기의 둘레부 즉, 턱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한다.
그 다음에 슬라이딩부(140)의 손잡이(142)를 후방으로 가압하면, 록킹부(130)의 랙(135)과 슬라이딩부(140)의 기어(141)가 상호 작용하여 록킹판(131)이 고정판(121)을 향해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슬라이딩부(140)의 가압동작은 록킹판(131)과 고정판(121)에 의해 조리용기의 턱이 압착될 때까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슬라이딩부(140)의 가압동작이 완료되면, 스토퍼(151)의 전단과 록킹부(130)의 멈춤기어(136) 사이의 맞물림(이 맞물림 상태는 스프링에 의해 유지됨) 동작에 의해 록킹판(131)과 고정판(121)의 압착동작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이에 의해 손잡이가 조리용기에 부착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해제핀(152)을 가압하면, 스프링(153)이 압축되면서 스토퍼(151)의 전단과 록킹부(130)의 멈춤기어(136)사이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상기 스토퍼(151)의 전단과 록킹부(130)의 멈춤기어(136)사이의 맞물림이 해제되면, 록킹부(130)에 설치된 복귀스프링(131)의 탄성력에 의해 록킹판(131)은 원위치로 복귀하고, 이에 의해 손잡이가 조리용기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에 의하면, 조리용기의 둘레부 두께에 대응하여 고정판(121)과 록킹판(131) 사이의 이격거리를 적절히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로, 고정판(121)과 록킹판(131) 사이의 이격거리는 슬라이딩부(140)에 형성된 기어(141)의 톱니 피치만큼씩 단계적으로 변화되기 때문에, 고정판(121)과 록킹판(131)사이의 이격거리에 대응하지 않는 둘레부 두께를 갖는 조리용기에는 안정되게 사용할 수 없다.
둘째로, 둘레부 두께가 두꺼운 조리용기에 사용할 때, 손잡이가 그 두꺼운 둘레부에 꽉 물려질 수 있고, 이 경우, 해제핀(152)의 가압동작에 의해서도 손잡이를 조리용기로부터 분리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긴다.
셋째로, 해제핀(152)이 몸체부(110)의 측방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조리용기에 부착된 손잡이를 파지할 때 또는 올바르게 파지한 상태에서 부주의에 의해 해제핀(152)이 가압될 염려가 있고, 이 경우 조리용기가 손잡이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짐으로써 뜨거운 음식물이 사방으로 튀어서 화상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
넷째로, 손잡이의 작동을 위하여 록킹부(130)와 슬라이딩부(142)에 랙과 기어수단을 채용하는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손잡이를 각종 조리용기에 간단한 조작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조를 간소화함과 함께, 사용도중 부주의로 인하여 손잡이가 조리용기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용기에 착탈가능한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외형을 파지하기 위하여, 상부부재와, 상부부재에 조립되고 전단부에 상기 상부부재의 전단부보다 돌출되는 단차면을 갖는 하부부재로 이루어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부재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어 조리용기에 착탈가능하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슬라이딩판과, 슬라이딩판 전단부에 하방으로 절곡형성된 착탈편과, 그 후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제1 탄성 스프링 일단을 끼우기 위한 끼움부와, 상기 슬라이딩판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양측부가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형성된 단차부를 갖는 슬라이딩부;
상기 몸체부의 상부부재의 전측에 설치되고, 그 상부부재에 형성된 원호형 홀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딩판에 형성된 종방향 안내공에 삽입 지지되는 지지편을 하부면에 구비하여 그 지지편에 의해 상기 원호형 홀을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슬라이딩판을 상기 제1 탄성 스프링의 복원과 압축에 따라 전후방 이동 가능하게 작동시키도록 하는 로터리식 작동부;
상기 몸체부의 상·하부부재와 상기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판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하되, 상기 상부부재로부터 노출되는 상태로 설치하고, 후단부가 제2 탄성 스프링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그 제2 탄성 스프링의 복원과 압축에 의해 상하 유동되면서 상기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판의 전후방 이동을 제어하는 핀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핀 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상부부재에 형성된 제1 핀홀의 하단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제1 핀홀로부터 상부부재의 상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1 핀홀의 하단부측에 걸리는 환형 걸림턱을 갖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상기 하부부재에 형성된 제2 핀홀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그 외주에 상기 제2 탄성 스프링이 설치되는 지지부와, 상기 누름부와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횡방향 안내공에 삽입되어 상기 제2 횡방향 안내공의 내주면에 끼워지는 요홈부와, 상기 요홈부의 하단측에 원주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횡방향 안내공의 원형 홀의 내경과 상응하는 외경을 가짐으로써 상기 슬라이딩부의 착탈편이 조리용기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2 탄성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횡방향 안내공의 원형 홀 내주면에 걸쳐져서 슬라이드판의 전방 이동을 방지하는 환형 턱부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핀 부재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착탈편이 조리용기에 결합되는 상태에 있을 때, 그 상면이 상기 가압부의 반구형 돌출부에 의해 가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식 작동부는, 상기 몸체부의 상부부재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상부부재에 형성된 체결공과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도록 그 중앙부에 관통홀을 갖는 대략 원판형의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상면 일측부로부터 타측부를 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상부부재의 상면과 이격되는 상태로 그 타측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일측부에 상기 가압부와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반구형 돌출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식 작동부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착탈편이 조리용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가압부에 가압력을 가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초기 위치에서 시계방향으로 15°정도 까지는 자유회전되고, 그 이후로는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식 작동부는, 그 가압부가 시계방향으로 15°정도 회전된 위치에서 노출되는 핀 부재의 누름부를 눌렀을 때만 그 이상의 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의 착탈편의 결합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하부부재는, 상기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판을 수용하여 안착시키기 위한 일정 깊이의 수용홈을 구비하고 있고, 이 수용홈은 상기 슬라이딩판의 일측부에 형성된 단차부에서 타측부에 형성된 단차부 까지의 의 폭 치수에 상응하는 폭 치수를 갖고, 상기 단차부의 형성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제1 홈과 제1 홈의 후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홈보다 폭이 좁은 제2 홈을 갖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은, 상기 로터리식 작동부의 지지핀 단부가 상기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판에 형성된 종방향 안내공을 통하여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제1 홈에 상기 상부부재의 원호형 홀에 대응하고 상기 제1 홈의 깊이보다 깊은 원호형 홈과, 이 원호형 홈의 일측부로부터 상기 제2 홈의 형성 방향으로 상기 제2 홈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탄성 스프링이 설치되는 설치홈을 갖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부부재의 하면은, 상기 원호형 홀의 일측부로부터 상기 상부부재의 후단부쪽으로 상기 설치홈에 대응하는 홈이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판은, 상기 종방향 안내공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에 각각 일정 길이를 갖는 제1 횡방향 안내공과 제2 횡방향 안내공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슬라이딩판은, 상기 상·하부부재의 전측에 각각 형성된 체결공과 상기 제1 횡방향 안내공을 통하여 삽입되어 체결된 체결수단과, 상기 제2 횡방향 안내공을 통하여 삽입된 핀 부재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횡방향 안내공의 형성방향을 따라 전후방 이동가능하게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2 횡방향 안내공은, 전측에 대략 원형의 홀을 갖고, 이 원형 홀과 연통되도록 원형 홀의 후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원형 홀보다 폭이 좁은 안내홀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의 착탈편의 내외측면에는, 실리콘 수지로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하부부재는, 그 전단부측의 하부면이 두꺼운 두께로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후단부측으로 라운딩하게 굴곡 형성되는 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사용상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상부부재를 생략한 상태에서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에서의 핀 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1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를 갖고 외형이 인체공학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손잡이(10)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된 몸체부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몸체부는, 상호 분할 형성된 상부부재(11)와 하부부재(12)를 맞댄 후에 그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형성된 체결공(12f, 12g)을 통하여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13, 14)을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조립된 구조이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부부재(11)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형성된 체결공은 상기 하부부재(12)의 각 체결공(12f, 12g)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여 위치되며, 완전히 관통되지 않고 그 하면에서 일정 깊이까지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되는 몸체부의 하부부재(12)에는,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배치되어 조리용기에 착탈가능한 금속재질의 슬라이딩부(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20)는, 도 4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길이와 두께를 갖는 슬라이딩판(21)과, 상기 슬라이딩판(21) 전단부에 하방으로 절곡형성된 착탈편(22)과, 그 후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제1 탄성 스프링(24) 일단을 끼우기 위한 끼움부(23)와, 상기 슬라이딩판(21)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양측부가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형성된 단차부(21a-1, 21a-2)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판(21)의 후단부에 설치된 제2 탄성 스프링(24)은 슬라이딩판(21)의 후단부를 항시 전방으로 밀어주는 탄성작용을 하며, 상기 착탈편(22)은 조리용기(50)의 둘레부 내측면에 밀착되어 몸체부의 하부부부재(11)의 단차면(12c)와 함께 조리용기(5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착탈편(22)과 단차면(12c)은 조리용기(50)에 대한 결합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소정 각도로 경사진 구조로 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슬라이딩판(21)에는, 그 단차부(21a-1, 21a-2)가 형성된 판면 일측에 일정 길이를 갖는 종방향 안내공(21b) 및, 이 종방향 안내공(21b)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에 각각 일정 길이를 갖는 제1 횡방향 안내공(21c)과 제2 횡방향 안내공(21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횡방향 안내공(21d)은 전측에 대략 원형의 홀(hole, 21d-1, 도 6a 참조)을 갖고, 이 원형 홀(21d-1)과 연통하도록 원형 홀(21d-1)의 후측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원형 홀(21d-1) 보다 폭이 좁은 안내홀(21d-2)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의 상부부재(11)의 전측에는, 사용자가 몸체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슬라이딩판(21)의 전후방 이동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작동시키기 위한 로터리식(rotary-type) 작동부(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로터리식 작동부(30)는, 상기 몸체부의 상부부재(11)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부부재에 형성된 체결공(11c)과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체결수단(35)에 의해 체결되도록 그 중앙부에 관통홀(31a)을 갖는 대략 원판형의 회전부(31)와, 상기 회전부의 상면 일측부로부터 타측부를 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상부부재(11)의 상면과 이격되는 상태로 그 타측부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가압부(32)와, 상기 회전부(31)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상부부재(11)에 형성된 원호형 홀(11a-1)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딩판(21)의 종방향 안내공(21b)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핀(33)을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지지핀(33)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로터리식 작동부(30)의 회전시 그 외주면의 마모방지를 위하여 부시(bush, 34)에 수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가 본 고안에 의한 손잡이의 몸체부를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예컨대, 손등이 손잡이의 우측방을 향하게 파지한 상태 또는 손등이 손잡이의 상방을 향하게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많은 힘을 가함이 없이 상기 가압부(32)를 시계방향으로 밀거나 반시계방향으로 당기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슬라이딩부(20)의 착탈편(22)을 조리용기에 결합시키거나 분리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로터리식 작동부(30)의 가압부(32)에 가압력을 가하게 되면, 상기 작동부(30)의 회전부(31)는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슬라이딩판(21)의 종방향 안내공(21c)에 지지된 지지편(33)에 의해 체결수단(35)을 지점으로 하여 상기 원호형 홀(11a-1)을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90°까지 회전되면서 상기 슬라이딩판(21)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식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판(21)이 상기 하부부재(12)에서 전후방으로의 슬라이딩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상기 하부부재(12)는,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슬라이딩판(21)을 수용하여 안착시키기 위한 일정 깊이의 수용홈(12a-1, 12a-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수용홈(12a-1, 12a-2)은, 상기 슬라이딩판(21)의 일측부에 형성된 단차부(21a-1)에서 타측부에 형성된 단차부(21a-2) 까지의 폭 치수에 상응하는 폭 치수를 갖고, 상기 단차부(21a-1, 21a-2)의 형성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제1 홈(12a-1)과, 상기 제1 홈(12a-1)의 후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홈(12a-1) 보다 폭이 좁은 제2 홈(12a-2)을 갖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수용홈(12a-1, 12a-2)은, 상기 로터리식 작동부(30)의 지지핀(33) 단부가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슬라이딩판(21)에 형성된 종방향 안내공(21b)을 통하여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제1 홈(12a-1)에 상기 상부부재(11)의 원호형 홀(11a-1)에 대응하고 상기 제1 홈(12a-1)의 깊이보다 깊은 원호형 홈(12b-1)과, 이 원호형 홈(12b-1)의 일측부로부터 상기 제2 홈(12a-2)의 형성 방향으로 상기 제2 홈(12a-2)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 형성된 설치홈(12b-2)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설치홈(12b-2)에는 상기 제1 탄성 스프링(24)이 설치된다.
더욱이, 상기 몸체부의 상부부재(11)의 하면은, 상기 원호형 홀(11a-1)의 일측부로부터 상기 상부부재(11)의 후단부쪽으로 상기 설치홈(12b-2)에 대응하는 홈(11a-2, 도 7a 및도 7b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핀 부재(40)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의 상부부재(11)에 형성된 제1 핀홀(11b)의 하단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제1 핀홀(11b)로부터 상부부재(11)의 상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핀홀(11b)의 하단부측에 걸리는 환형 걸림턱(40a-1)을 갖는 누름부(40a)와, 상기 누름부(40a)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40a)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상기 하부부재(12)에 형성된 제2 핀홀(12d)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그 외주에 상기 제2 탄성 스프링(41)이 설치되는 지지부(40b)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더욱이, 상기 누름부(40a)와 지지부(40b) 사이에는, 상기 슬라이딩판(21)의 제2 횡방향 안내공(21d)에 삽입되어 상기 제2 횡방향 안내공(21d)의 내주면에 끼워지는 요홈부(40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요홈부(40c)의 하단측에는, 원주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횡방향 안내공(21d)의 원형 홀(21d-1)의 내경과 상응하는 외경을 가짐으로써, 상기 로터리식 회전부(3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착탈편(22)이 조리용기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2 횡방향 안내공(21d)의 원형 홀(21d-1) 내주면에 걸쳐져서 슬라이드판(21)의 전방 이동을 방지하는 환형 턱부(40d)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핀 부재(40)는,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착탈편(22)이 조리용기(50)에 결합되었을 때, 슬라이딩부(20)의 슬라이딩판(21)이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멈추게 하는 스토퍼(stopper)로서 작용을 하여 착탈편(22)이 조리용기(5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핀 부재(40)는,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착탈편(22)이 조리용기(50)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결합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핀으로서도 작용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손잡이를 사용하지 않을 때, 즉, 로터리식 작동부(30)의 가압부(32)가 몸체부의 길이방향에 수직하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슬라이드판(21) 후단부에 탄성적으로 지지된 제1 탄성 스프링(24)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드판(21)의 단차부(21a-1, 21a-2)가 하부부재(12)의 제1 홈(12a-1)의 전단부에 걸쳐져 있으므로,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착탈편(22)은 상기 하부부재(12)의 단차면(12c)과 이격되는 상태로 전방으로 돌출되는 위치에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핀 부재(40)는, 도 6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형성된 요홈부(40c)에 의해 슬라이드판(21)의 제2 횡방향 안내공 중 후측의 안내홀(21d-2) 끝단에 걸려지는 상태로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본 고안에 의한 손잡이를 조리용기(50)에 적용하기 위해, 다시 말해서 슬라이딩부(20)의 착탈편(22)을 조리용기(50)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도 8 참조), 상기 로터리식 회전부(30)의 가압부(32)를 반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키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30)의 하부면에 형성된 지지핀(33)은 상·하부부재(11, 12)에 각각 형성된 원호형 홀(11a-1)과 원호형 홈(12a-1)을 따라 상기 종방향 안내공(21b)의 일측벽을 후방으로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탄성 스프링(24)이 압축되면서 슬라이딩판(21)이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 때, 상기 슬라이딩판(21)은 상기 체결수단(13)과 상기 핀 부재(40)의 요홈부(40c)에 의해 각각 제1 횡방향 안내공(21c)과 제2 횡방향 안내공의 안내홀(21d-2)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는 도중에 제2 횡방향 안내공의 원형 홀(21d-1)이 상기 제2 핀 부재(40)의 외주면에 접촉되면서 상기 원형 홀(21d-1)과 핀 부재(40)가 수직으로 정렬된다. 이에 의해, 상기 핀 부재(40)는 그 후단부에 설치된 제2 탄성 스프링(41)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d)만큼 상승되면서 걸림 소리의 발생과 함께 핀 부재(40)의 환형 턱부(40d) 외주면이 상기 원형 홀(21d-1)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판(21)은 상기 핀 부재(40)의 환형 턱부(40d)와 원형 홀(21d-1)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그 위치에 고정되게 되므로, 전방으로 이동되는 일이 없게 되고, 그 결과 슬라이딩부(20)의 착탈편(22)이 조리용기(50)에 확실하고 안전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더욱이, 이와 같은 결합 상태에서는, 상기 핀 부재(4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식 회전부(30)의 가압부(32) 일측부에 돌출 형성된 반구형 돌출부(32d)에 의해 가려져 있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하여 핀 부재(40)를 건드릴 위험성이 전혀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의도적으로도 핀 부재(40)를 가압할 수 없는 상태에 있게 되고, 이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은 결합 상태를 보다 안전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착탈편(22)이 조리용기(50)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로터리식 작동부(30)의 가압부(32)를 가압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대략 15°정도 까지 회전(도 6c 참조)시키더라도 그 결합 상태가 해제되지 않는다. 즉, 상기 로터리식 작동부(30)는 상기 슬라이딩판(21)의 종방향 안내공(21b)과 제2 횡방향 안내공(21d)의 치수공차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대략 15°정도 까지 회전되더라도, 핀 부재(40)가 상기 제2 횡방향 안내공의 원형 홀(21d-1)의 위치에 고정되는 상태로 자유회전된다.
이와 같이, 손잡이를 조리용기(50)에 결합한 상태에서 그 결합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1차적으로 로터리식 작동부(30)의 가압부(32)를 반시계방향으로 15°정도 까지 회전시키고 나서, 그 회전에 의해 노출되는 핀 부재(40)를 누른다. 이에 의해, 핀 부재(40)에 의해 고정되었던 슬라이딩판(21)이 유동되게 되므로, 이 때, 2차적으로 상기 로터리식 작동부(30)의 가압부(32)를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된다. 따라서, 손잡이가 조리용기(50)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한, 손잡이가 조리용기(50)로부터 분리되는 일이 전혀 없게 되고, 그 결합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 2단계의 조작을 취해야 하므로, 종래에 비하여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치수공차에 의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손잡이의 비사용 상태에서 도 6b에 도시된 사용상태로 전환할 때, 상기 로터리식 작동부(30)의 가압부(32)를 반시계방향으로 대략 75°정도만 회전하더라도, 핀 부재(40)가 상기 슬라이딩판(21)의 제2 횡방향 안내공의 원형 홀(21d-1)에 완전히 걸리게 되어 그 결합상태를 안전하고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20)의 착탈편(22)이 조리용기(50)에 결합될 때, 버너나 가스렌지 등의 가열기구에 의한 고온의 열이 착탈편(22)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함과 함께, 상기 조리용기(50)에 대한 결합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상기 착탈편(22)의 내외측면에는 실리콘 수지(22a, 도 8 참조)로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할 때, 가열기구에 의해 가열된 조리용기측으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상기 하부부재(12)의 전단부측의 하부면은 두꺼운 두께로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후단부측으로 라운딩하게 굴곡 형성된 턱부(12e)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손잡이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둘레부에 턱이 형성된 조리용기(50)를 이용하여 각종 음식물을 조리할 때, 손잡이를 분리한 상태로 조리하고, 조리가 완료된 후에는 손잡이를 조리용기에 결합한다. 이 때, 손잡이의 몸체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간격이 벌어져 있는 손잡이의 단차면(12c)과 착탈편(22) 사이로 조리용기(50)의 둘레부를 삽입한 다음에, 몸체부의 상부부재(11)에 설치된 로터리식 작동부(30)의 가압부(32)를 엄지 손가락으로써 반시계방향으로 당기게 밀게 되면, 그 가압력에 의해 슬라이딩부(20)가 그 후단부에 설치된 제1 탄성 스프링(24)을 압축하면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부(20)의 착탈편(22)은 조리용기(50)의 둘레부에 밀착되면서 몸체부의 하부부재(12) 전단부에 형성된 단차면(12c)과 함께 상호 작용하여 조리용기(50)의 둘레부에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가열된 조리용기를 가열기구로부터 안전하게 꺼내어 식탁 등의 원하는 장소로 옮긴 후에, 로터리식 작동부(30)의 가압부(32)를 엄지 손가락에 의해 1차적으로 반시계방향으로 대략 15°정도 밀어낸다. 이 경우, 손잡이의 결합상태는 여전히 유지된 채로 있게 되고, 상기 가압부(32)의 반구형 돌출부(32a)에 의해 가려졌던 핀 부재(40)가 노출되게 된다. 이 때, 핀 부재(40)의 누름부(40a)를 가압하게 되면, 핀 부재(40)의 환형 턱부(40d)에 의해 고정되었던 슬라이딩부(20)가 유동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2차적으로 로터리식 작동부(30)의 가압부(32)를 상기와 같은 방향으로 완전히 밀어내면, 슬라이딩부(20)가 제1 탄성 스프링(24)의 복원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착탈편(22)과 단차면(12c) 사이를 벌어지게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손잡이가 분리된 조리용기를 식탁 위에 안전하게 올려 놓을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손잡이를 작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손잡이 상면에 로터리식 작동부를 채용하고, 이를 조리용기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착탈편을 갖는 슬라이딩부에 연결시키는 간단한 구성으로 함으로써, 손잡이를 한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로터리식 작동부를 엄지 손가락만을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과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딩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핀 부재가 상기 손잡이의 상면측에 형성되어 있고, 손잡이가 조리용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핀 부재의 상면이 상기 로터리식 회전부에 형성된 반구형 돌출부에 의해 가려져 있게 되므로, 손잡이를 조리용기에 결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핀 부재를 가압하는 일이 전혀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종래에 빈번하게 발생되었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어, 종래의 경우보다 안정적으로 조리용기를 취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분해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상부부재를 생략한 상태에서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7a 및 도 7b는,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에서의 핀 부재 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상부부재 11a-1 : 원호형 홀
11b : 제1 핀홀(pin hole) 12 : 하부부재
12a-1, 12a-2 : 수용홈 12b-1 : 원호형 홈
12b-2 : 설치홈 12c : 단차면
20 : 슬라이딩부 21 : 슬라이딩판
21a-1, 21a-2 : 단차부 21b : 종방향 안내공
21c : 제1 횡방향 안내공 21d : 제2 횡방향 안내공
21d-1 : 원형 홀 21d-2 : 안내홀
22 : 착탈편 24 : 제1 탄성 스프링
30 : 로터리식 회전부 31 : 회전부
32 : 가압부 32a : 돌출부
33 : 지지핀 40 : 핀 부재
40a : 누름부 40b : 지지부
40c : 요홈부 40d : 환형(環刑) 턱부
41 : 제2 탄성 스프링 50 : 조리용기

Claims (13)

  1. 음식물을 조리하는 조리용기에 착탈가능한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외형을 파지하기 위하여, 상부부재(11)와, 상부부재(11)에 조립되고 전단부에 상기 상부부재(11)의 전단부보다 돌출되는 단차면을 갖는 하부부재(12)로 이루어지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부부재(12)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어 조리용기에 착탈가능하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슬라이딩판(21)과, 슬라이딩판(21) 전단부에 하방으로 절곡형성된 착탈편(22)과, 그 후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제1 탄성 스프링 일단을 끼우기 위한 끼움부(23)와, 상기 슬라이딩판(21)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양측부가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형성된 단차부를 갖는 슬라이딩부(20);
    상기 몸체부의 상부부재(11)의 전측에 설치되고, 그 상부부재(11)에 형성된 원호형 홀(11a-1)을 통하여 상기 슬라이딩판(21)에 형성된 종방향 안내공(21b)에 삽입 지지되는 지지편(33)을 하부면에 구비하여 그 지지편(33)에 의해 상기 원호형 홀(11a-1)을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슬라이딩판(21)을 상기 제1 탄성 스프링(24)의 복원과 압축에 따라 전후방 이동 가능하게 작동시키도록 하는 로터리식 작동부(30);
    상기 몸체부의 상·하부부재(11, 12)와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슬라이딩판(21)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하되, 상기 상부부재(11)로부터 노출되는 상태로 설치하고, 후단부가 제2 탄성 스프링(41)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그 제2 탄성 스프링(41)의 복원과 압축에 의해 상하 유동되면서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슬라이딩판(21)의 전후방 이동을 제어하는 핀 부재(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 부재(40)는, 상기 몸체부의 상부부재(11)에 형성된 제1 핀홀(11b)의 하단부를 통하여 삽입되어 상기 제1 핀홀(11b)로부터 상부부재(11)의 상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1 핀홀(11b)의 하단부측에 걸리는 환형(環刑) 걸림턱(40a-1)을 갖는 누름부(40a)와, 상기 누름부(40a)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40a)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고 상기 하부부재(12)에 형성된 제2 핀홀(12d)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그 외주에 상기 제2 탄성 스프링(41)이 설치되는 지지부(40b)와, 상기 누름부(40a)와 지지부(40b)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횡방향 안내공(21d)에 삽입되어 상기 제2 횡방향 안내공(21d)의 내주면에 끼워지는 요홈부(40c)와, 상기 요홈부(40c)의 하단측에 원주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횡방향 안내공(21d)의 원형 홀(21d-1)의 내경과 상응하는 외경을 가짐으로써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착탈편(22)이 조리용기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2 탄성 스프링(41)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 횡방향 안내공의 원형 홀 내주면에 걸쳐져서 슬라이드판의 전방 이동을 방지하는 환형 턱부(40d)를 갖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식 작동부(30)는, 상기 몸체부의 상부부재(11)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상부부재(11)에 형성된 체결공(11c)과 체결수단(35)에 의해 체결되도록 그 중앙부에 관통홀(31a)을 갖는 대략 원판형의 회전부(31)와, 상기 회전부(31)의 상면 일측부로부터 타측부를 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상부부재(11)의 상면과 이격되는 상태로 그 타측부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돌출 연장되는 가압부(32)와, 상기 가압부(32)의 일측부에 상기 가압부(32)와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반구형 돌출부(32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 부재(40)는,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착탈편(22)이 조리용기에 결합되는 상태에 있을 때, 그 상면이 상기 가압부(32)의 반구형 돌출부(32a)에 의해 가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식 작동부(30)는,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착탈편(22)이 조리용기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 가압부(32)에 가압력을 가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초기 위치에서 시계방향으로 15°정도 까지는 자유회전되고, 그 이후로는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식 작동부(30)는, 그 가압부(32)가 시계방향으로 15°정도 회전된 위치에서 노출되는 핀 부재(40)의 누름부(40a)를 눌렀을 때만 그 이상의 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착탈편(22)의 결합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하부부재(12)는,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슬라이딩판(21)을 수용하여 안착시키기 위한 일정 깊이의 수용홈(12a-1, 12a-2)을 구비하고 있고, 이 수용홈(12a-1, 12a-2)은 상기 슬라이딩판(21)의 일측부에 형성된 단차부(21a-1)에서 타측부에 형성된 단차부(21a-2) 까지의 의 폭 치수에 상응하는 폭 치수를 갖고, 상기 단차부(21a-1, 21a-2)의 형성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제1 홈(12a-1)과 제1 홈(12a-1)의 후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홈(12a-1)보다 폭이 좁은 제2 홈(12a-2)을 갖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12a-1, 12a-2)은, 상기 로터리식 작동부(30)의 지지핀(33) 단부가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슬라이딩판(21)에 형성된 종방향 안내공(21b)을 통하여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제1 홈(12a-1)에 상기 상부부재(11)의 원호형 홀(11a-1)에 대응하고 상기 제1 홈(12a-1)의 깊이보다 깊은 원호형 홈(12b-1)과, 이 원호형 홈(12b-1)의 일측부로부터 상기 제2 홈(12a-2)c의 형성 방향으로 상기 제2 홈(12a-2)의 길이보다 길게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탄성 스프링(24)이 설치되는 설치홈(12b-2)을 갖는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9. 제1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부부재(11)의 하면은, 상기 원호형 홀(11a-1)의 일측부로부터 상기 상부부재(11)의 후단부쪽으로 상기 설치홈(12b-2)에 대응하는 홈(11a-2)이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10. 제1항, 제7항 또는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슬라이딩판(21)은, 상기 종방향 안내공(21b)을 기준으로 전후방향에 각각 일정 길이를 갖는 제1 횡방향 안내공(21c)과 제2 횡방향 안내공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슬라이딩판(21)은, 상기 상·하부부재(11, 12)의 전측에 각각 형성된 체결공(12f)과 상기 제1 횡방향 안내공(21c)을 통하여 삽입되어 체결된 체결수단(13)과, 상기 제2 횡방향 안내공(21d)을 통하여 삽입된 핀 부재(40)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횡방향 안내공(21c, 21d)의 형성방향을 따라 전후방 이동가능하게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횡방향 안내공(21d)은, 전측에 대략 원형의 홀(21d-1)을 갖고, 이 원형 홀(21d-1)과 연통되도록 원형 홀(21d-1)의 후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원형 홀(21d-1)보다 폭이 좁은 안내홀(21d-2)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착탈편(22)의 내외측면에는, 실리콘 수지(22a)로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하부부재(12)는, 그 전단부측의 하부면이 두꺼운 두께로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후단부측으로 라운딩하게 굴곡 형성되는 턱부(12e)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2005-0026171U 2005-09-12 2005-09-12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04031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171U KR200403194Y1 (ko) 2005-09-12 2005-09-12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6171U KR200403194Y1 (ko) 2005-09-12 2005-09-12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84506A Division KR100716595B1 (ko) 2005-09-12 2005-09-12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3194Y1 true KR200403194Y1 (ko) 2005-12-09

Family

ID=43704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171U KR200403194Y1 (ko) 2005-09-12 2005-09-12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319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656B1 (ko) * 2010-04-02 2011-05-27 서정덕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WO2011122863A2 (ko) * 2010-04-02 2011-10-06 Seo Jung Duk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110037B1 (ko) 2009-05-06 2012-02-29 박회숙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423704B1 (ko) 2012-07-06 2014-07-31 주식회사 나토얀 착탈식 용기 손잡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037B1 (ko) 2009-05-06 2012-02-29 박회숙 주방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037656B1 (ko) * 2010-04-02 2011-05-27 서정덕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WO2011122863A2 (ko) * 2010-04-02 2011-10-06 Seo Jung Duk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WO2011122863A3 (ko) * 2010-04-02 2012-03-01 Seo Jung Duk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423704B1 (ko) 2012-07-06 2014-07-31 주식회사 나토얀 착탈식 용기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6595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JP3169455U (ja) 調理器具用取手
KR101248661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0971872B1 (ko) 조리용기의 탈부착형 손잡이
KR200403194Y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US6220477B1 (en) Flip-handle cookware
KR20110137493A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037656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JP2010167250A (ja) 着脱斜め把手の片手鍋。
KR101409024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양수 손잡이
KR101388894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120004039A (ko) 조리 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JP5853247B2 (ja) 着脱式容器取っ手
KR101918605B1 (ko) 인덱싱 없는 조리 용기용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
JP3172513U (ja) 圧力調理器の蓋及びそれを用いた圧力調理器
EP2623003B1 (en) Detachable handle
KR101046866B1 (ko) 조리용기의 탈부착형 손잡이
KR20060108597A (ko) 조리용기용 간이 손잡이
KR101083126B1 (ko) 간격조절이 가능한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1598300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20140021868A (ko) 안전 기능을 강화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
KR101554480B1 (ko) 안전 기능을 강화한 착탈식 용기 손잡이
KR102409582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JP6542391B2 (ja) 調理容器用着脱式取っ手
KR20130095916A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3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