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487U -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 - Google Patents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487U
KR20120001487U KR2020100008802U KR20100008802U KR20120001487U KR 20120001487 U KR20120001487 U KR 20120001487U KR 2020100008802 U KR2020100008802 U KR 2020100008802U KR 20100008802 U KR20100008802 U KR 20100008802U KR 20120001487 U KR20120001487 U KR 2012000148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chopsticks
support
handle
chopst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8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수
Original Assignee
김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수 filed Critical 김명수
Priority to KR20201000088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1487U/ko
Publication of KR201200014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48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숟가락과 젓가락의 손잡이에 숟가락의 선측에 형성되는 음식수용부와 젓가락의 선측에 형성되는 음식파지부가 테이블면의 상부측으로 이격되도록 하는 지지부들이 더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테이블면에 숟가락과 젓가락이 각각 올려지더라도 사용자의 입속으로 인입되는 숟가락의 음식수용부와 젓가락의 음식파지부가 테이블면에 닿지 않게 되어 테이블면에 잔류하는 각종 유해균이 사용자의 입을 통해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지지부들이 숟가락지지점과 젓가락지지점에 위치 구성됨으로써 지지부들에 의한 숟가락의 음식수용부와 젓가락의 음식파지부가 테이블면의 상부측으로 이격됨이 용이하도록 한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인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은, 선측에 음식이 담겨지는 음식수용부(11)가 형성되고 음식수용부(11)의 후측으로 연장되는 숟가락손잡이(12)가 형성된 숟가락(10)과, 선측에 음식이 집어지는 음식파지부(21)가 형성되고 음식파지부(21)의 후측으로 연장되는 젓가락손잡이(22)가 형성된 젓가락(20)에 있어서, 상기 숟가락손잡이(12)와 젓가락손잡이(22)에는, 상기 숟가락(10)과 젓가락(20)이 테이블면(101)에 올려질 때 상기 숟가락(10)의 음식수용부(11)와 상기 젓가락(20)의 음식파지부(21)가 각각 테이블면(101)의 상부측으로 들어올려지는 위치의 숟가락지지점(10a)과 젓가락지지점(20a)에 각각 위치 구성되는 숟가락지지부(30)와 젓가락지지부(40)가 더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SPOON AND CHOPSTICK WITH SUPPORTING PART}
본 고안은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숟가락과 젓가락의 저면에 숟가락과 젓가락의 선측을 띄울 수 있는 지지부를 더 구성하여 사용자의 입에 들어가는 부분인 숟가락과 젓가락의 선측부가 식당테이블면에 닿지 않도록 함으로써 식당테이블면에 잔류하는 각종 유해균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사람이 사용하는 식당에는 음식이 놓아지는 테이블과 놓인 음식을 집어 먹을 수 있는 숟가락과 젓가락이 구비되어 있는 바, 테이블의 경우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관계로 항상 여러 종류의 음식이 놓아지게 되고 따라서 테이블에 흘린 음식물 찌꺼기들이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음식물 찌꺼기가 떨어짐으로써 테이블을 치울 때 테이블에 떨어진 음식물 찌꺼기도 함께 치우게 되는데 이 때 테이블에 놓인 음식물 찌꺼기를 치우기 위해 행주와 같은 것들을 이용하여 테이블을 치움에 따라 행주에 묻은 각종 유해균들이 테이블에 묻게 되어 잔류하게 된다.
또한 하나의 행주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테이블을 닦아냄으로써 식당에 구비되어 있는 테이블 전체에 각종 유해균들이 번지게 되고, 이와 같이 테이블에 잔류하는 각종 유해균은 테이블에 놓여지는 숟가락이나 젓가락을 통해 사용자의 입으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를 위해, 행주를 청결하게 삶거나 또는 숟가락이나 젓가락의 위생을 철저하게 하고는 있으나, 이러한 것만으로는 테이블에 잔류하는 각종 유해균이 사용자의 입을 통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더욱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숟가락이나 젓가락의 경우 테이블에 놓일 경우 사용자의 입속으로 들어가는 부분인 선측부가 그대로 테이블면과 접하기 때문에, 테이블에 잔류하는 각종 유해균이 상기 테이블면과 접촉되는 숟가락과 젓가락의 선측부에 그대로 묻게 되어 사용자의 입을 통해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숟가락이나 젓가락이 테이블면에 닿게 되어 위생상 좋지 않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숟가락과 젓가락을 거치하는 거치구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거치구는 테이블면에 놓여져 거치구에 숟가락이나 젓가락의 선측부를 올려 놓으면 숟가락과 젓가락의 선측부가 거치구의 높이에 의해 테이블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거치구의 경우에는 고가로 생산되어 판매되기 때문에, 많은 사용자가 왕래하는 식당 등에서 거치구를 대량으로 구입할 때 비용이 가중되어 사용하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거치구를 따로 구비하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있다.
또한, 숟가락의 선측부가 테이블면에 닿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종이로 형성된 커버를 숟가락의 선측부에 덮어 사용하고는 있으나, 이러한 종이재질의 커버로 숟가락의 선측부를 덮을 경우 사용하기 전의 숟가락 선측부가 테이블면에 직접적으로 닿는 것은 방지할 수 있다 하더라도, 숟가락을 사용하기 위해 종이재질의 커버를 숟가락으로부터 분리한 후에는 계속적으로 숟가락을 사용하는 도중에 테이블면에 숟가락이 올려질 경우 숟가락의 선측부가 그대로 테이블면에 접촉되기 때문에 테이블에 잔류하는 각종 유해균이 사용자의 입을 통해 전달되는 것을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종래 숟가락과 젓가락의 선측부가 테이블면에 닿게 됨으로써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숟가락과 젓가락의 선측부에 지지부를 더 구성하여 숟가락과 젓가락이 테이블면에 놓이더라도 숟가락과 젓가락의 선측부가 지지부에 의해 테이블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숟가락과 젓가락의 선측부와 테이블면과의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테이블면에 잔류하는 각종 유해균이 사용자의 입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은, 선측에 음식이 담겨지는 음식수용부가 형성되고 수용부의 후측으로 연장되는 숟가락손잡이가 형성된 숟가락과, 선측에 음식이 집어지는 음식파지부가 형성되고 음식파지부의 후측으로 연장되는 젓가락손잡이가 형성된 젓가락에 있어서, 상기 숟가락손잡이와 젓가락손잡이에는 상기 숟가락과 젓가락이 테이블면에 올려질 때 상기 숟가락의 음식수용부와 상기 젓가락의 음식파지부가 각각 테이블면의 상부측으로 들어올려지는 위치의 숟가락지지점과 젓가락지지점에 각각 위치 구성되는 숟가락지지부와 젓가락지지부가 더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은, 숟가락과 젓가락의 손잡이에 숟가락의 선측에 형성되는 음식수용부와 젓가락의 선측에 형성되는 음식파지부가 테이블면의 상부측으로 이격되도록 하는 지지부들이 더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테이블면에 숟가락과 젓가락이 각각 올려지더라도 사용자의 입속으로 인입되는 숟가락의 음식수용부와 젓가락의 음식파지부가 테이블면에 닿지 않게 되어 테이블면에 잔류하는 각종 유해균이 사용자의 입을 통해 전달되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지지부들이 숟가락지지점과 젓가락지지점에 위치 구성됨으로써 지지부들에 의한 숟가락의 음식수용부와 젓가락의 음식파지부가 테이블면의 상부측으로 이격됨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고안인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지지부가 구비된 젓가락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이 테이블면에 각각 올려진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인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의 구성요부인 숟가락지지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인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의 구성요부인 숟가락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인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의 구성요부인 숟가락지지부의 또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고안인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의 구성요부인 젓가락지지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8은 본 고안인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의 구성요부인 젓가락지지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인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의 구성요부가 포크에 적용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은, 선측에 음식이 담겨지는 음식수용부(11)가 형성되고 음식수용부(11)의 후측으로 연장되는 숟가락손잡이(12)가 형성된 숟가락(10)과, 선측에 음식이 집어지는 음식파지부(21)가 형성되고 음식파지부(21)의 후측으로 연장되는 젓가락손잡이(22)가 형성된 젓가락(20)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숟가락손잡이(12)와 젓가락손잡이(22)에는 상기 숟가락(10)과 젓가락(20)이 테이블면(101)에 올려질 때 상기 숟가락(10)의 음식수용부(11)와 상기 젓가락(20)의 음식파지부(21)가 각각 테이블면(101)의 상부측으로 들어올려지는 위치의 숟가락지지점(10a)과 젓가락지지점(20a)에 각각 위치 구성되는 숟가락지지부(30)와 젓가락지지부(40)가 더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숟가락(10)과 젓가락(20)에 각각 숟가락지지부(30) 및 젓가락지지부(40)가 더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사용자의 입속으로 유입되는 숟가락(10)의 음식수용부(11)와 젓가락(20)의 음식파지부(21)가 테이블면(101)의 상면에 올려지더라도 테이블면(101)의 상부측으로부터 들어올려지게 됨으로써 테이블면(11)에 잔류하는 각종 유해균이 숟가락과 젓가락을 통해 사용자의 입속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숟가락지지부(30)가 숟가락(10)의 음식수용부(11)가 테이블면(101)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점인 숟가락지지점(10a)에 위치 구성되고, 또한 젓가락지지부(40)가 젓가락(20)의 음식파지부(21)가 테이블면(101)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점인 젓가락지지점(20a)에 위치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숟가락(10)과 젓가락(20)의 무게중심이 각각 후방측으로 이동되어 숟가락의 음식수용부(11)와 젓가락(20)의 음식파지부(21)가 테이블면(101)에 떨어지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숟가락지지부(30)는, 상기 숟가락지지점(10a)이 위치되는 상기 숟가락손잡이(12)의 저면으로부터 숟가락손잡이(12)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숟가락(10)이 올려지는 테이블면(101)과 접촉되는 하면이 넓어지도록 외측으로 테이퍼진 상협하광(上峽下廣)형으로 형성되는 숟가락지지돌기(31)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숟가락지지점(10a)의 하부측에 상기 숟가락지지돌기(31)가 위치 구성됨으로써 숟가락(10)의 음식수용부(11)가 테이블면(101)에 닿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숟가락지지돌기(31)가 하면이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외측으로 테이퍼진 상협하광(上峽下廣)형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숟가락(10)의 음식수용부(11)가 테이블면(101)으로부터 들어올려진 상태에서의 견고한 지지성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숟가락지지부(30)는, 상기 숟가락지지점(10a)이 위치되는 상기 숟가락손잡이(12)의 하부측으로 절곡형성되는 절곡부(32)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절곡부(32)로 형성되는 숟가락지지부(30)의 외측에는 숟가락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논슬립패킹(33)이 더 끼움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숟가락(10)을 제작할 때 상기 숟가락지지부(30)가 형성되는 위치의 숟가락손잡이(12)를 하부측으로 숟가락(10)과 일체로 절곡형성함으로써 제작성의 용이함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논슬립패킹(33)에 의해 테이블면(101)에 올려진 숟가락(10)의 밀림 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논슬립패킹(33)의 상면에 다양한 식당의 로고 등을 더 인쇄표현함으로써 고급화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숟가락지지부(30)는, 상기 숟가락지지점(10a)이 위치되는 숟가락손잡이(12)의 상면을 감싸고 일측에 탄성록킹편(34a)이 형성된 상부체(34)와, 상기 상부체(34)의 타측에 연장형성되고 상기 숟가락손잡이(12)의 하면을 감싸며 상기 상부체(34)의 탄성록킹편(34a)이 록킹되도록 상기 탄성록킹편(34a)과 대응되는 위치에 록킹돌기(35a)가 형성된 하부체(35)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부체(34)와 하부체(35)로 상기 숟가락지지부(30)가 구성될 경우에는 상기 숟가락(10)의 숟가락지지점(10a)에 상기 상부체(34)와 하부체(35)로 구성된 숟가락지지부(30)를 탈착할 수 있음에 따라, 세척이 용이하고 청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으며, 숟가락(10)은 계속 세척하여 사용하고 상/하부체(34)(35)로 구성된 숟가락지지부(30)만을 새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어 사용성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 젓가락지지부(40)는, 상기 젓가락지지점(20a)이 위치되는 상기 젓가락손잡이(22)의 둘레에 젓가락손잡이(22)와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젓가락지지돌기(41)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젓가락지지점(20a)의 하부측에 상기 젓가락지지부(40)를 구성하는 젓가락지지돌기(41)가 위치 구성됨으로써 젓가락(20)의 음식파지부(21)가 테이블면(101)에 닿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젓가락지지돌기(41)로 구성되는 젓가락지지부(40)를 젓가락(20)의 제작시에 젓가락과 일체로 구성할 수 있어 생산성에 대한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젓가락지지부(40)는, 상기 젓가락지지점(20a)이 위치되는 상기 젓가락손잡이(22)의 둘레에 끼워지는 끼움지지구(4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끼움지지구(42)에 의해 젓가락지지부(40)가 구성되면 젓가락(20)은 계속 세척하여 사용하고 끼움지지구(42)로 구성되는 젓가락지지부(40)만을 새 것으로 교체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위생 및 청결성이 더욱 향상된다.
이 때, 상기 젓가락지지부(40)를 구성하는 끼움지지구(42)는, 상기 젓가락(10)의 젓가락지지점(20a)에 끼워짐이 용이하도록 실리콘 패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젓가락지지돌기(41)와 끼움지지구(42)는 원형 또는 육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젓가락(20)이 테이블면(101)에 올려진 상태에서 굴러가지 않도록 하는 다각형 형상이면 모두 포함된다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인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의 구성요부인 숟가락지지부(30)와 젓가락지지부(40)들에 다양한 색상을 더 표현할 경우에는 가족단위에서의 자신이 사용하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구분할 수 있어 사용성이 더욱 향상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고안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 : 숟가락 10a : 숟가락지지점
11 : 음식수용부 12 : 숟가락손잡이
20 : 젓가락 20a : 젓가락지지점
21 : 음식파지부 22 : 젓가락손잡이
30 : 숟가락지지부 31 : 숫가락지지돌기
32 : 절곡부 33 : 논슬립패킹
34 : 상부체 34a : 탄성록킹편
35 : 하부체 35a : 록킹돌기
40 : 젓가락지지부 41 : 젓가락지지돌기
42 : 끼움지지구 50 : 포크

Claims (8)

  1. 선측에 음식이 담겨지는 음식수용부(11)가 형성되고 음식수용부(11)의 후측으로 연장되는 숟가락손잡이(12)가 형성된 숟가락(10)과,
    선측에 음식이 집어지는 음식파지부(21)가 형성되고 음식파지부(21)의 후측으로 연장되는 젓가락손잡이(22)가 형성된 젓가락(20)에 있어서,
    상기 숟가락손잡이(12)와 젓가락손잡이(22)에는,
    상기 숟가락(10)과 젓가락(20)이 테이블면(101)에 올려질 때 상기 숟가락(10)의 음식수용부(11)와 상기 젓가락(20)의 음식파지부(21)가 각각 테이블면(101)의 상부측으로 들어올려지는 위치의 숟가락지지점(10a)과 젓가락지지점(20a)에 각각 위치 구성되는 숟가락지지부(30)와 젓가락지지부(40)가 더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숟가락지지부(30)는, 상기 숟가락지지점(10a)이 위치되는 상기 숟가락손잡이(12)의 저면으로부터 숟가락손잡이(12)와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숟가락(10)이 올려지는 테이블면(101)과 접촉되는 하면이 넓어지도록 외측으로 테이퍼진 상협하광(上峽下廣)형으로 형성되는 숟가락지지돌기(31)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숟가락지지부(30)는, 상기 숟가락지지점(10a)이 위치되는 상기 숟가락손잡이(12)의 하부측으로 절곡형성되는 절곡부(32)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32)로 형성되는 숟가락지지부(30)의 외측에는 숟가락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논슬립패킹(33)이 더 끼움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숟가락지지부(30)는, 상기 숟가락지지점(10a)이 위치되는 숟가락손잡이(12)의 상면을 감싸고 일측에 탄성록킹편(34a)이 형성된 상부체(34)와;
    상기 상부체(34)의 타측에 연장형성되고 상기 숟가락손잡이(12)의 하면을 감싸며 상기 상부체(34)의 탄성록킹편(34a)이 록킹되도록 상기 탄성록킹편(34a)과 대응되는 위치에 록킹돌기(35a)가 형성된 하부체(35)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젓가락지지부(40)는, 상기 젓가락지지점(20a)이 위치되는 상기 젓가락손잡이(22)의 둘레에 젓가락손잡이(22)와 일체로 돌출형성되는 젓가락지지돌기(41)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젓가락지지부(40)는, 상기 젓가락지지점(20a)이 위치되는 상기 젓가락손잡이(22)의 둘레에 끼워지는 끼움지지구(42)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
  8. 청구항 6항 또는 청구항 7항에 있어서,
    상기 젓가락지지돌기(41)와 끼움지지구(42)는 원형 또는 육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
KR2020100008802U 2010-08-24 2010-08-24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 KR2012000148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802U KR20120001487U (ko) 2010-08-24 2010-08-24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802U KR20120001487U (ko) 2010-08-24 2010-08-24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487U true KR20120001487U (ko) 2012-03-06

Family

ID=46173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802U KR20120001487U (ko) 2010-08-24 2010-08-24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148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189U (ko) * 2017-01-09 2018-07-18 최보규 위생 및 보관 식별이 용이한 수저세트
KR20200020171A (ko) 2018-08-16 2020-02-26 장유정 오뚝이 숟가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189U (ko) * 2017-01-09 2018-07-18 최보규 위생 및 보관 식별이 용이한 수저세트
KR20200020171A (ko) 2018-08-16 2020-02-26 장유정 오뚝이 숟가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515625A (ja) 障害者向けの食器
KR20120001487U (ko)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
US20190208940A1 (en) Elevated utensil
KR101903942B1 (ko) 숟가락 반지
CN103494482A (zh) 一种食堂用餐盘
KR20160004073U (ko) 수저 받침대
KR20130006657U (ko) 접시
KR200457212Y1 (ko) 탈부착의 냄비용 국물배출기
JP3118634U (ja) 食卓用品
KR20080003443U (ko) 위생 숟가락
CN210783806U (zh) 一种便于码放堆叠的不锈钢餐具
US20180140121A1 (en) Multi-purpose cutlery kit
KR20140002574A (ko) 수저 고정홈을 구비한 밥 그릇
KR100937551B1 (ko) 밥주걱
CN215874182U (zh) 餐具
CN216628155U (zh) 一种多功能餐具
JP3131375U (ja) S字型柄をもつ家庭用具
KR200181207Y1 (ko) 위생수저
JP3094030U (ja) 食べ物皿の補助具
KR20110136010A (ko) 취식구
KR200287246Y1 (ko) 위생 수저 받침대
KR200382199Y1 (ko) 넘어지지않는 음료용기
KR20230159976A (ko) 받침대가 구성된 수저,젓가락,포크
JP3181025U (ja) 穴あきお盆
JP2006051167A (ja) 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