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0171A - 오뚝이 숟가락 - Google Patents

오뚝이 숟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0171A
KR20200020171A KR1020180095551A KR20180095551A KR20200020171A KR 20200020171 A KR20200020171 A KR 20200020171A KR 1020180095551 A KR1020180095551 A KR 1020180095551A KR 20180095551 A KR20180095551 A KR 20180095551A KR 20200020171 A KR20200020171 A KR 20200020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curved portion
hemisphere
connector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0667B1 (ko
Inventor
장유정
Original Assignee
장유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유정 filed Critical 장유정
Priority to KR1020180095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667B1/ko
Publication of KR20200020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뚝이 숟가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더라도 자동으로 수평이 유지되면서 기울어짐이 복원되도록 하는 오뚝이 숟가락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음식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헤드부; 헤드부의 단부에 상향으로 볼록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1만곡부; 제1만곡부의 단부에 하향으로 오목하게 굴곡지다가 상향으로 경사진 제2만곡부; 제1만곡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반구형의 반구체와, 반구체의 내저면에 적재되는 무게중심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반구체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더라도 무게중심체로 인하여 자동으로 수평이 유지되면서 숟가락의 기울어짐이 복원되도록 하는 오뚝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뚝이 숟가락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오뚝이 숟가락{Roly poly spoon}
본 발명은 오뚝이 숟가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더라도 자동으로 수평이 유지되면서 기울어짐이 복원되도록 하는 오뚝이 숟가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숟가락은 움푹하게 함몰된 헤드부분을 이용하여 음식을 먹을 때 사용하는 것으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를 잡고 헤드부분에 음식을 안정적으로 담아 입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숟가락은 성인들이 사용하기에 적합하기는 하나, 생후 1년부터 만 6세까지의 어린아이를 의미하는 유아는 손이 작아 숟가락을 직접 들고 음식물을 먹을 때 서투른 숟가락질에 의해 숟가락이 테이블 등의 바닥에 낙하되면서 주변이 더러워지거나 숟가락에도 오염이 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말하자면, 대부분의 유아는 성인들처럼 숟가락을 손가락 사이에 넣고 안정적으로 잡지 못하기 때문에 숟가락을 테이블에 떨어뜨리기 일쑤고, 이와 같은 습관으로 국이나 밥을 제대로 떠먹을 수 없어서 밥을 먹는 것에 대한 흥미를 잃게 되는 문제점이 초래되는 것이다.
특히 유아는 위생관념에 대한 의식이 많이 낮기 때문에 숟가락을 사용하고 테이블에 내려놓을 때 아무렇게나 놓는 행동을 하게 되므로. 입에 들어가는 헤드부분이 테이블의 바닥과 접촉하게 되어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해보고자,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공개번호: 20-2012-0001487)'에서는 숟가락과 젓가락이 테이블 면에 올려질 때 숟가락의 음식수용부와 젓가락의 음식파지부가 각각 테이블면의 상부측으로 들어올려지는 위치의 숟가락지지점과 젓가락지지점에 각각 위치 구성되는 숟가락지지부와 젓가락지지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기술을 제시한 바 있다.
하지만 상술된 특허에 제시된 숟가락지지부와 젓가락지지부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어떠한 방향으로 놓아도 자동 정방향으로 놓이지않아 위생상 좋지 못한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런 문제점들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상술된 바를 해결할 수 있는 근접 기술들이 미미한 상태이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개념의 숟가락에 대한 기술개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1487호, 2012.03.06.자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더라도 자동으로 수평이 유지되면서 기울어짐이 복원되도록 하는 오뚝이 숟가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숟가락에 있어서, 음식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단부에 상향으로 볼록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1만곡부; 상기 제1만곡부의 단부에 하향으로 오목하게 굴곡지다가 상향으로 경사진 제2만곡부; 및 상기 제1만곡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반구형의 반구체와, 상기 반구체의 내저면에 적재되는 무게중심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반구체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무게중심체로 인하여 자동으로 수평이 유지되면서 상기 숟가락의 기울어짐이 복원되도록 하는 오뚝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뚝이 숟가락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만곡부는, 상기 제1만곡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만곡부의 1.1~1.4/3인 지점에서 40~50°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뚝이수단은, 상기 제1만곡부의 하면에 설치된 결합부재에 의해 체결되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만곡부의 하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편과, 상기 볼록편의 둘레를 따라 하향으로 수직 절곡되는 제1절곡편과, 상기 제1절곡편의 단부에 내측방향으로 수직 절곡되는 제2절곡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뚝이수단은, 상기 반구체의 상부에 상기 반구체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절곡편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연결체; 및 상기 제1연결체의 상부에 상기 제1연결체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고, 상기 반구체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결합부재의 내부에 안착되는 제2연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게중심체는, 상기 반구체의 무게 대비 1~5배의 중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오뚝이 숟가락은, 유아가 숟가락을 테이블에 아무렇게나 내려놓는 행동을 하여 숟가락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더라도 자동으로 수평이 유지되면서 기울어짐이 복원됨으로써, 위생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유아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뚝이수단의 상세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뚝이 숟가락은 헤드부(100), 제1만곡부(200), 제2만곡부(300) 및 오뚝이수단(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해 보고자 한다.
본 발명의 헤드부(100)는 음식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구성이다.
말하자면 헤드부(100)는 숟가락의 선단부를 구성하는 부분인바, 통상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음식이 담길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됨으로써, 중앙이 오목하게 형성된 상면에 국이나 밥 등의 음식물이 담기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여기서 헤드부(100)의 형상은 통상적인 숟가락과 유사하지만, 유아의 입이 작기 때문에 그에 맞추어 용이하게 떠먹을 수 있도록 선단이 상향으로 들려있는 형태로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헤드부(100)는 당업계에서 용이하게 도출 가능한 자명한 구성이므로 더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만곡부(200)는 헤드부(100)의 단부에 상향으로 볼록하게 연장 형성되는 구성이다.
즉 제1만곡부(200)는 헤드부(100)의 단부에 상향으로 굴곡지게 연장 형성됨으로써, 그 하부에 오뚝이수단(400)이 안정적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내용인즉 제1만곡부(200)는 헤드부(100)의 끝단에 상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됨으로써, 유아가 테이블 상에 숟가락을 어떠한 방향으로 떨어뜨리면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더라도 숟가락이 자동으로 수평이 유지되면서 숟가락의 기울어짐이 복원되도록 하는 오뚝이수단(400)이 하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이 마련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가 무수한 실험을 해본 결과에 의하면, 제1만곡부(200)가 상향으로 라운드진 형상이 아닌 길이방향으로 편평한 형상을 가지는 경우, 오뚝이수단(400)이 설치되더라도 숟가락이 수평을 이루지 못하고 헤드부(100)가 테이블의 표면에 닿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헤드부(100)와 제2만곡부(3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만곡부(200)가 상향으로 골곡 또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만곡부(300)는 제1만곡부(200)의 단부에 하향으로 오목하게 굴곡지다가 상향으로 경사진 구성이다.
상세하게는, 제2만곡부(300)는 제1만곡부(200)의 단부에 하향으로 오목하게 굴곡지다가 다시 상향으로 경사진 형상을 이룸으로써, 오뚝이수단(400)에 의해 헤드부(100)와의 수평을 안정적으로 이루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특히 제2만곡부(300)의 단부는 제2만곡부(300)의 최저점(도 2의 β)으로부터 40~50° 상향 경사진 각도(도 1 및 도 2의 α)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제2만곡부(300)의 단부가 제2만곡부(300)의 최저점(β)으로부터 40° 미만의 경사각도를 이루면 숟가락이 테이블 상에 놓일 때 제2만곡부(300) 측으로 상대적으로 더 기울어지는 현상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제2만곡부(300)의 최저점(β)으로부터 50°를 초과하는 경사각도를 이루면 숟가락이 테이블 상에 놓일 때 헤드부(100) 측으로 상대적으로 더 기울어져 테이블 상에 헤드부(100)가 접촉되기 때문에 헤드부(100)의 오염이 불가피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이유로, 제2만곡부(300)의 단부는 제2만곡부(300)의 최저점(β)으로부터 40~50° 상향 경사진 각도(α)로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아울러 제2만곡부(300)의 최저점(β)은 제1만곡부(200)의 단부로부터 시작하여 제2만곡부(300)의 1.1~1.4/3인 지점에서 40~50° 상향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말은 즉, 제2만곡부(300)의 1.1~1.4/3인 지점이 되는 곳이 제2만곡부(300)의 최저점(β)을 의미하는데, 1.1/3 지점 미만인 부분에 최저점이 형성될 경우 숟가락이 어떠한 방향으로 기울어지든 헤드부(100)가 테이블 상에 접촉되어 숟가락의 수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1.4/3 지점을 초과한 부분에 최저점이 형성될 경우 이역시 숟가락이 어떠한 방향으로 기울어지든 헤드부(100)가 테이블 상에 접촉되어 숟가락의 수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에 제2만곡부(300)의 최저점(β)이 제1만곡부(200)의 단부로부터 1.1~1.4/3인 지점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의 오뚝이수단(400)은 제1만곡부(200)의 하부에 설치됨으로써, 반구체(410)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더라도 무게중심체(420)로 인하여 자동으로 수평이 유지되면서 숟가락의 기울어짐이 복원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우선 본 발명의 숟가락에 오뚝이수단(400)을 적용한 이유는, 유아가 서툰 숟가락질에 의해 숟가락이 기울어져 테이블 상에 숟가락의 헤드부(100)가 접촉되면 위생상 좋지 않기 때문에, 이를 해소해볼 뿐만 아니라 유아에게 흥미를 유발하기 위한 새로운 수단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뚝이수단(400)의 상세도이다. 즉 도 3은 도 1에 표기된 A 부분의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제1만곡부(200)와 반구체(410)를 안정적으로 체결하기 위한 결합부재(450)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오뚝이수단(400)의 반구체(410), 무게중심체(420), 제1연결체(430) 및 제2연결체(440)를 나타낸 것이며, 도 3-(c)는 도 3-(a)와 도 3-(b)를 체결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말하자면, 오뚝이수단(400)은 반구체(410), 무게중심체(420), 제1연결체(430), 제2연결체(440), 결합부재(450) 및 받침대(460)로 이루어짐으로써, 숟가락이 어떠한 방향으로 기울어지더라도 수평이 유지되도록 하면서 기울어짐이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첫째, 반구체(410)는 반구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오뚝이수단(400)의 오뚝이 동작이 가능하도록 제1만곡부(200)의 하부에 결합부재(450)에 의해 결합되는 구성이다.
말하자면 반구체(410)는 오뚝이수단(400)의 메인 프레임을 형성하는 것으로, 제1만곡부(200)의 하부에 무게중심체(420)가 내장된 상태로 결합되어 반구체(410) 하면의 반구 형상에 의해 오뚝이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내용인즉 반구체(410)는 반구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숟가락의 오뚝이 동작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무게중심체(420)는 반구체(410)의 내저면에 적재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무게중심체(420)는 반구체(410)보다 상대적으로 큰 중량을 가진 무거운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반구체(410)의 내부 하단에 고정됨으로써 숟가락이 오뚝이 동작을 할 수 있도록 무게중심을 잡아주는 작용을 한다.
즉 무게중심체(420)는 반구체(410)의 내부 중앙의 최하단에 고정된 상태로 숟가락의 무게중심을 잡아줄 수 있게 됨으로써, 숟가락이 테이블 상에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거나 쓰러질 때 자동으로 수평이 유지되면서 기울어짐이 원상태로 복원되어 오뚝이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무게중심체(420)는 반구체(410)의 무게 대비 1~5배의 중량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무게중심체(420)가 반구체(410)의 무게 대비 1배 미만이면 숟가락의 무게중심을 안정적으로 잡아주지 못하여 테이블 상에 숟가락이 어떠한 방향으로 기울어지더라도 숟가락의 수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5배를 초과하면 보다 탁월한 구조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무게중심체(420)는 반구체(410)의 무게 대비 1~5배의 중량을 가지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숟가락의 다양한 구조적인 형상에 따라 무게중심체(420)의 무게 변화는 반구체(410)의 무게에 대비하여 1~5배 사이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셋째, 제1연결체(430)는 반구체(410)의 상부에 반구체(410)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돌출 형성되어 제2절곡편(453)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제1연결체(430)는 반구체(410)의 상면에 반구체(410)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돌출 형성됨으로써, 결합부재(450)의 제2절곡편(453)이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 작용을 한다.
넷째, 제2연결체(440)는 제1연결체(430)의 상부에 제1연결체(430)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고, 반구체(410)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돌출 형성됨으로써, 결합부재(450)의 내부에 안착되는 구성이다.
말하자면, 제2연결체(440)는 제1연결체(43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결합부재(450) 내부의 제2끼움공간(S2)에 끼움방식으로 체결되는 작용을 한다.
이때 제2연결체(440)의 직경이 제1연결체(430)의 직경보다는 크지만 반구체(410)의 직경보다는 작기 때문에, 반구체(410)와 제2연결체(440) 사이의 제1연결체(430) 외측 둘레를 따라 제2절곡편(453)이 끼움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는 제1끼움공간(S1)이 형성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섯째, 결합부재(450)는 제1만곡부(200)의 하부에 반구체(410)를 안정적으로 체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결합부재(450)는 제1만곡부(200)의 하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편(451)과, 볼록편(451)의 둘레를 따라 하향으로 수직 절곡되는 제1절곡편(452)과, 제1절곡편(452)의 단부에 내측방향으로 수직 절곡되는 제2절곡편(45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볼록편(451), 제1절곡편(452) 및 제2절곡편(453)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450)의 내부에는 제2연결체(440)가 삽입될 수 있는 제2끼움공간(S2)이 형성됨으로써, 숟가락에 오뚝이수단(400)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여섯째, 받침대(460)는 반구체(410)의 하부를 받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즉 받침대(460)는 숟가락을 사용하지 않을 때 오뚝이수단(400)의 오염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받침대(460)는 반구체(410)가 안정적으로 자리잡을 수 있는 오목한 형태의 recess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헤드부(100), 제1만곡부(200) 및 제2만곡부(300)의 전체 거리비를 설명해 보자면, 헤드부(100), 제1만곡부(200) 및 제2만곡부(300)는 4~5 : 1~2 : 6~8의 길이비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a, b, c 참조)
만약 헤드부(100)가 4 길이비율 미만이면 음식물을 수용하기에 부족한 길이를 가지고, 5 길이비율을 초과하면 헤드부(100)의 길이가 너무 길어져 유아가 음식물을 섭취할 때 불편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헤드부(100)는 4~5의 길이비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만곡부(200)가 1 길이비율 미만이면 오뚝이수단(400)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기 어렵고, 2 길이비율을 초과하면 제1만곡부(200)의 길이가 너무 길어져 오뚝이수단(400)을 설치하더라도 숟가락을 테이블에 놓았을 때 헤드부(100) 또는 제2만곡부(300) 방향으로 편향되어 기울어질 위험이 있으므로, 제1만곡부(200)는 1~2 길이비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제2만곡부(300)가 6 길이비율 미만이면 헤드부(100)와의 균형을 이루지 못하여 오뚝이수단(400)이 구비되어 있더라도 테이블에 숟가락을 놓으면 헤드부(100) 쪽으로 편향되어 기울어지기 마련이고, 8 길이비율을 초과하면 이역시 오뚝이수단(400)이 구비되어 있더라도 헤드부(100)와의 균형을 안정적으로 이루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제2만곡부(300)는 6~8의 길이비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다양한 실험에 따라 헤드부(100), 제1만곡부(200) 및 제2만곡부(300)는 4~5 : 1~2 : 6~8의 길이비율을 가질 때 오뚝이수단(400)의 역할을 가장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헤드부(100), 제1만곡부(200), 제2만곡부(300) 및 오뚝이수단(400)을 포함하는 숟가락은 스테인리스(stainless)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스테인리스 소재의 경우, 경질의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유아가 사용할 때 치아에 숟가락이 부딪히는 현상이 발생함에 따라 입 안에 상처가 생길 우려가 있다. 이러한 우려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숟가락의 표면에 실리콘 코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헤드부
200: 제1만곡부
300: 제2만곡부
400: 오뚝이수단
410: 반구체
420: 무게중심체
430: 제1연결체
440: 제2연결체
450: 결합부재
451: 볼록편
452: 제1절곡편
453: 제2절곡편
460: 받침대
S1: 제1끼움공간
S2: 제2끼움공간

Claims (5)

  1. 숟가락에 있어서,
    음식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단부에 상향으로 볼록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1만곡부;
    상기 제1만곡부의 단부에 하향으로 오목하게 굴곡지다가 상향으로 경사진 제2만곡부; 및
    상기 제1만곡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반구형의 반구체와, 상기 반구체의 내저면에 적재되는 무게중심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반구체가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지더라도 상기 무게중심체로 인하여 자동으로 수평이 유지되면서 상기 숟가락의 기울어짐이 복원되도록 하는 오뚝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뚝이 숟가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만곡부는,
    상기 제1만곡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제2만곡부의 1.1~1.4/3인 지점에서 40~50°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뚝이 숟가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뚝이수단은,
    상기 제1만곡부의 하면에 설치된 결합부재에 의해 체결되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만곡부의 하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편과, 상기 볼록편의 둘레를 따라 하향으로 수직 절곡되는 제1절곡편과, 상기 제1절곡편의 단부에 내측방향으로 수직 절곡되는 제2절곡편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뚝이 숟가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뚝이수단은,
    상기 반구체의 상부에 상기 반구체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절곡편이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연결체; 및
    상기 제1연결체의 상부에 상기 제1연결체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고, 상기 반구체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결합부재의 내부에 안착되는 제2연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뚝이 숟가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중심체는,
    상기 반구체의 무게 대비 1~5배의 중량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뚝이 숟가락.
KR1020180095551A 2018-08-16 2018-08-16 오뚝이 숟가락 KR102210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551A KR102210667B1 (ko) 2018-08-16 2018-08-16 오뚝이 숟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551A KR102210667B1 (ko) 2018-08-16 2018-08-16 오뚝이 숟가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171A true KR20200020171A (ko) 2020-02-26
KR102210667B1 KR102210667B1 (ko) 2021-02-02

Family

ID=69637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551A KR102210667B1 (ko) 2018-08-16 2018-08-16 오뚝이 숟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6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677Y1 (ko) * 2004-02-10 2004-06-22 주식회사 태평양 마스카라 용기 구조
KR20120001487U (ko) 2010-08-24 2012-03-06 김명수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
KR20130122873A (ko) * 2012-05-01 2013-11-11 윤석수 파지가 용이한 식사도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677Y1 (ko) * 2004-02-10 2004-06-22 주식회사 태평양 마스카라 용기 구조
KR20120001487U (ko) 2010-08-24 2012-03-06 김명수 지지부가 구비된 숟가락과 젓가락
KR20130122873A (ko) * 2012-05-01 2013-11-11 윤석수 파지가 용이한 식사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0667B1 (ko) 2021-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15208A1 (en) Cookware including lid having handle with utensil rest
US20120000915A1 (en) Food plate with beverage container receiving portion
US8220655B2 (en) Hanging tray for single open beverage
US10966557B1 (en) Utensil retention organizer
KR20200020171A (ko) 오뚝이 숟가락
CN210354164U (zh) 一种望月果盘
US20070029276A1 (en) Drinking vessel
CN213882751U (zh) 一种餐盘托架套装
CN204908934U (zh) 卫生餐具
US11026526B2 (en) Adjustable bowl receptacle
KR102232729B1 (ko) 유아용 식기 보관함
CN201595694U (zh) 可站立锅盖
CN208388488U (zh) 具有不倒结构的饭勺
US20230276966A1 (en) Adjustable bowl receptacle
CN215532909U (zh) 一种园林适老型多功能桌椅
KR102198098B1 (ko) 위생 숟가락
CN201211072Y (zh) 卫生勺子
CN210407981U (zh) 一种便于收纳的防烫茶杯套装
JP5078292B2 (ja) 安定自助食器
CN201612540U (zh) 不倒翁调料瓶
CN208463511U (zh) 一种可拆分、叠套的餐具
KR20180000188U (ko) 숟가락
AU2015255653B2 (en) Spoon head device for use with chopsticks
CN203814806U (zh) 一种两用杯型餐具
CN105747731A (zh) 一种儿童餐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