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7102Y1 - 집게형 젓가락 - Google Patents

집게형 젓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7102Y1
KR200377102Y1 KR20-2004-0033877U KR20040033877U KR200377102Y1 KR 200377102 Y1 KR200377102 Y1 KR 200377102Y1 KR 20040033877 U KR20040033877 U KR 20040033877U KR 200377102 Y1 KR200377102 Y1 KR 2003771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food
stick
portions
to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38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수
Original Assignee
윤석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석수 filed Critical 윤석수
Priority to KR20-2004-00338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71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71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71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4Use of too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젓가락 사용이 용이하면서도 젓가락질의 교정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사용이 편리하도록 젓가락 및 숟가락 기능을 함께 보유하도록 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각종 다양한 음식물의 형상에 대하여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음식물이 직접 접촉되는 파지부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편리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집게형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은 동일한 길이를 갖는 한쌍의 스틱부(11, 12)와; 상기 한쌍의 스틱부(11, 12)가 상호 평행하게 연결하도록 환형으로 이루어져 양단이 상기 스틱부(11, 12)의 일단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연결된 한쌍의 스틱부(11, 12)가 유동 가능하도록 자체 탄력을 갖는 연결부(20)와; 상기 한쌍의 스틱부(11, 12)의 중앙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안착되는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손가락 안착부(30)와; 상기 한쌍의 스틱부(11, 12) 일단에 결합되어 한쌍의 스틱부(11, 12)가 수평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40;140;240)와; 상기 한쌍의 스틱부(11, 12)의 타단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 음식물을 직접 접촉하여 파지하기 위한 한쌍의 음식물 파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집게형 젓가락{Tweezers Type Chopsticks}
본 고안은 집게형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젓가락 사용이 용이하면서도 젓가락질의 교정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집게형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이 편리하도록 젓가락 및 숟가락 기능을 함께 보유하도록 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각종 다양한 음식물의 형상에 대하여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음식물이 직접 접촉되는 파지부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편리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집게형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집어서 섭취하기 위해서 아시아 주로, 한국, 중국 및 일본 등에서는 한쌍의 스틱 형상으로 길게 이루어진 젓가락을 사용하여 왔다. 하지만 이는 식생활에 젓가락을 전통적으로 사용해 오지 않은 외국인이나 젓가락질에 익숙하지 않은 어린이의 경우에는 서로 분리된 상태의 한쌍의 젓가락을 한손에 쥔 상태로 젓가락을 움직여 음식을 집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출원한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145841호에서 한쌍의 스틱의 일단을 원환의 지지부를 통해 연결하여 한쌍의 스틱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였으며, 스틱의 중앙에는 손가락을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를 각각 형성한 집게형 젓가락을 게재한 바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젓가락은 한쌍의 스틱을 손가락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스틱의 지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스틱의 끝단을 음식물을 향해 서로 대향하는 대략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식물을 파지하게 되는데, 이 경우 종래의 스틱이 각각 분리된 일반 젓가락과 달리 음식을 파지할 때 음식을 향해 선회하는 한쌍의 스틱의 선회중심이 스틱부의 끝단에 설정되어 있어 한상의 스틱이 음식을 향해갈 수록 비틀어지거나 엇갈리는 현상이 발생함에 음식물을 제대로 파지할 수 없었고, 아울러 음식물을 파지하더라도 약하게 파지한 상태가 되어 음식물을 옮기는 중에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 젓가락을 파지하기 위해서는 엄지, 검지 및 중지를 사용하는데 반하여 상기 집게형 젓가락은 엄지와 검지만을 사용하게 되어 집게나 핀셋을 잡는 자세를 유지하기 때문에 어린이가 젓가락질을 익히기 위한 도구로 사용하는 데는 전혀 도움이 되지 못하였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53470호에 게재된 젓가락은 한쌍의 스틱이 힌지 및 연결구를 통해 일측이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젓가락질을 위한 손가락의 자세를 교정할 수 있도록 한쌍의 스틱에 각각 엄지파지구 및 검지, 중지파지구를 각각 형성하여 젓가락 사용 시 엄지, 검지 및 중지를 상기 다수의 파지구에 끼워서 사용하도록 형성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이 형성된 젓가락은 각각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음식물을 집어야 하므로, 예를 들어 식사 도중 밥이나 국을 떠먹기 위해 숟가락을 쥐기 위해서는 각각의 파지구에 끼운 손가락을 모두 빼고 젓가락을 식탁위에 놓은 후, 숟가락을 사용하고, 다시 반찬을 집기 위해서 재차 손가락을 각각의 파지구에 끼워야 하는 매우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성인에 비하여 끈기가 부족한 어린이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사용이 번거로운 교정용 젓가락을 통해 젓가락질을 교정할 경우, 젓가락질을 어렵게 느끼게 되어 오히려 젓가락을 기피하는 역효과를 불러일으키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젓가락 사용이 용이하면서도 젓가락질 교정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집게형 젓가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이 편리하도록 젓가락 및 숟가락 기능을 함께 보유하도록 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집게형 젓가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각종 다양한 음식물의 형상에 대하여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음식물이 직접 접촉되는 파지부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편리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집게형 젓가락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동일한 길이를 갖는 한쌍의 스틱부와; 상기 한쌍의 스틱부가 상호 평행하게 연결하도록 환형으로 이루어져 양단이 상기 스틱부의 일단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연결된 한쌍의 스틱부가 유동 가능하도록 자체 탄력을 갖는 연결부와; 상기 한쌍의 스틱부의 중앙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안착되는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손가락 안착부와; 상기 한쌍의 스틱부 일단에 결합되어 한쌍의 스틱부가 수평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와; 상기 한쌍의 스틱부의 타단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 음식물을 직접 접촉하여 파지하기 위한 한쌍의 파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젓가락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손가락 파지부 및 가이드부를 형성함에 따라 사용자가 올바른 자세로 신속하게 젓가락을 쥐거나 놓을 수 있도록 하여 젓가락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어린이나 외국인이 번거롭지 않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어, 젓가락질을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음식물 파지부의 형상을 숟가락 형상으로 변형하여 젓가락 및 숟가락 기능을 함께 보유토록 함에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각종 다양한 음식물의 형상에 대하여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음식물이 직접 접촉되는 파지부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함으로써 상품성 및 기능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실시예)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집게형 젓가락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집게형 젓가락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집게형 젓가락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집게형 젓가락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집게형 젓가락은 도 1과 같이 동일한 길이를 갖는 한쌍의 스틱부(11, 12)를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스틱부(11, 12)의 일단에는 한쌍의 스틱부(11, 12)가 상호 평행하게 연결되도록 환형으로 이루어진 연결부(20)가 결합돌기(11a, 12a) 및 결합구멍(21a, 21b)을 통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20)는 상기 한쌍의 스틱부(11, 12)를 통해 음식물을 파지할 수 있도록 소정 폭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가능하도록 자체 탄력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쌍의 스틱부(11, 12)의 중앙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안착되는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손가락 안착부(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부(30)는 도 2와 같이 한쌍의 스틱부(11, 12)의 일주면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엄지 및 검지가 각각 안착되는 제1 돌기(31) 및 제2 돌기(33)와, 상기 제1 및 제2 돌기(31, 33)가 형성된 스틱부(11, 12)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중지를 걸칠 수 있는 제1 및 제2 고리(35, 37)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오른손잡이인 사용자를 기준으로 할 때, 도 3과 같이 상기 제1 돌기(31)에는 검지가 안착되고, 제2 돌기(33)는 엄지가 안착되며, 제1 고리(35)에는 중지의 끝 부분이 살짝 걸친 상태로 거치된다.
이때, 상기 제2 돌기(33)는 도 2와 같이 제1 돌기(31)에 비하여 스틱부(11)의 좀 더 상측에 위치되고, 또한 제1 돌기(31)가 스틱부(11)의 상면으로 돌출된데 비하여 외측으로 약 45ㅀ 정도 비스듬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스틱부(11, 12) 일단에는 도 1과 같이 결합돌기(45) 및 결합구멍(23)을 통해 가이드부(4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부(40)는 음식물을 집을 때 한쌍의 스틱부(11, 12)가 수평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해, 타단이 개방되며 상기 연결부(20)를 통해 연결된 상태의 스틱부(11, 12) 일단의 폭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스틱부(11, 12)의 상/하면을 수평으로 평행하게 커버하는 상태로 중앙이 절곡된 한쌍의 가이드편(41, 43)을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파지할 경우, 한쌍의 스틱부(11, 12)를 움직일 때, 스틱부(11, 12)가 비틀어지지 않고 상기 가이드부(40)를 따라 수평으로 유동하게 되어 음식물을 정확하고 손쉽게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손가락 파지부(30) 및 가이드부(40)를 형성함에 따라 사용자가 올바른 자세로 신속하게 젓가락을 쥐거나 놓을 수 있으므로, 어린이의 경우에도 번거롭지 않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어 젓가락질을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을 왼손잡이 사용자가 사용할 경우에는 한쌍의 스틱부(11, 12)를 연결부(20)로부터 분리시킨 후, 그 위치를 서로 바꿔 연결부(20)에 각각 일단을 삽입하고, 상기 가이드부(40)를 스틱부(12)에서 분리시켜 다른 스틱부(11)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집게형 젓가락의 손가락 안착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을 사용하여 점차적으로 젓가락질이 교정된 사용자를 위해 도 4와 같이 중지가 거치되는 제1 및 제2 고리(35, 37)를 없앤 상태의 손가락 안착부(3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아울러 사용자가 일반 분리형 젓가락 사용에 익숙하게 할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제1 및 제2 돌기(31, 33)가 제거된 상태의 본 고안의 젓가락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한쌍의 스틱부(11, 12)의 타단에는 도 1과 같이 음식물을 직접 접촉하여 파지하기 위한 음식물 파지부(51, 53)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음식 파지부(51, 53)는 음식물의 파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측에 각각 널링(55)이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집게형 젓가락의 가이드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에서 스틱부(11, 12)가 수평방향으로 유동시키기 위해 형성된 클립형 가이드부(40)와 달리 돌기형 가이드부(140)를 형성하였다.
상기 가이드부(140)는 도 5와 같이 연결부(20) 양단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에 형성되고, 연결부(20) 측에서 스틱부(11, 12) 측으로 갈수록 만곡면(141, 143)을 이루면서 점차적으로 낮은 경사각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한쌍의 스틱부(11, 12)로 음식물을 집기 위해서는 파지부(51, 53)를 집고자 하는 음식물을 향해 대향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한쌍의 만곡면(141, 143)이 연결부(20) 측에서부터 스틱부(11, 12)측으로 연속적으로 소정의 압력으로 상호 가압 접촉되면서 스틱부(11, 12)가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집게형 젓가락의 가이드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6과 같이 가이드부(240)는 연결부(20)의 양단에 서로 대향하는 내측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된 돌기(241)를 구비하고, 연결부(20)의 나머지 내측에 상기 돌기(241)가 삽입되는 슬롯부(243)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한쌍의 스틱부(11, 12)로 음식물을 집을 경우, 음식물 파지부(51, 53)를 대향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돌기(241)가 슬롯부(243)에 수평방향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스틱부(11, 12)가 비틀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연결부(20)가 스틱부(11, 12)에 착탈 가능하게 설명하였으나, 스틱부(11, 12)와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집게형 젓가락의 음식물 파지부가 착탈식으로 이루어지는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집게형 젓가락의 음식물 파지부의 다양한 변형예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집게형 젓가락은 도 1과 같이 음식물 파지부(51, 53)가 스틱부(11, 12)의 타단에 일체로 연장 형성된 예를 들었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탈식으로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음식물 파지부(51, 53)를 착탈식으로 형성할 경우, 도 8∼도 15와 같이 파지하고 하는 음식물의 형상에 따라 음식물 파지부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각각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음식물 파지부의 제1 변형예
도 8b와 같이 음식물 파지부(151, 153)가 대향측이 서로 맞닿을 때 스푼형상을 형성하도록 중앙이 오목하게 대칭 형성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음식물 파지부(151, 153)는 젓가락 용도로 사용 시 음식물을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대향측단의 선단에 상호 요철 결합되는 요철부(155, 157)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숟가락으로 사용 시 지속적으로 숟가락형상을 유지하도록 도 8a와 같이 음식물 파지부(151, 153)의 내측 대향면에 결합돌기(158) 및 결합돌기(158)에 대응하는 결합구멍(159)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젓가락과 숟가락의 기능을 함께 겸비함에 따라 하나의 집게형 젓가락으로 밥 및 국을 뜨거나 반찬을 손쉽게 파지할 수 있다.
2) 음식물 파지부의 제2 변형예
또한, 음식물 파지부(251, 253)의 제2 변형예는 도 9와 같이 상호 대칭되게 타원형판(255, 257)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한쌍의 타원형판의 외주에는 다수의 포크(259)가 형성되어 있다.
3) 음식물 파지부의 제3 변형예
음식물 파지부(351, 353)의 제3 변형예는 도 10과 같이 상호 대칭되게 직사각판(355, 357)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한쌍의 직사각판(355, 357)의 대향면에 다수의 미끄럼방지홈(359)이 형성되어 있다.
4) 음식물 파지부의 제4 변형예
음식물 파지부(451, 453)의 제4 변형예는 도 11과 같이 상호 대칭되게 직사각판(455, 457)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한쌍의 직사각판(455, 457)의 외주에 다수의 포크(459)가 형성되어 있다.
5) 음식물 파지부의 제5 변형예
음식물 파지부(551, 553)의 제5 변형예는 도 12와 같이 외측단부에 삼각형상의 돌기(558)를 형성한 직사각판(555, 557)을 상호 대칭되게 각각 형성하고 상기 한쌍의 직사각판의 대향면에 미끄럼방지홈(559)이 형성되어 있다.
6) 음식물 파지부의 제6 변형예
음식물 파지부(651, 653)의 제6 변형예는 도 13과 같이 상호 대칭되게 직사각판(655, 657)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한쌍의 직사각판(655, 657)에 다수의 통공(659)이 형성되어 있다.
7) 음식물 파지부의 제7 변형예
음식물 파지부(751, 753)의 제7 변형예는 도 14와 같이 외주에 다수의 돌기(758)를 형성하고 중앙에 각각 원형구멍(759)을 갖는 집게판(755, 757)으로 이루어진다.
8) 음식물 파지부의 제8 변형예
음식물 파지부(851, 853)의 제8 변형예는 도 15와 같이 상호 대칭되게 반구판(855, 857)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한쌍의 반구판(855, 857)의 하측에 다수의 포크(859)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음식물 파지부를 제1∼제8 변형예와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룰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변형예에서는 음식물 파지부가 스틱부(11, 12)에 각각 착탈 가능한 상태로 설명하였으며, 상기 음식물 파지부가 상기 스틱부(11, 12)에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손가락 파지부 및 가이드부를 형성함에 따라 사용자가 올바른 자세로 신속하게 젓가락을 쥐거나 놓을 수 있도록 하여 젓가락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어린이나 외국인이 번거롭지 않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어, 젓가락질을 효과적으로 교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음식물 파지부의 형상을 숟가락 형상으로 변형하여 젓가락 및 숟가락 기능을 함께 보유토록 함에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아울러 각종 다양한 음식물의 형상에 대하여 쉽게 파지할 수 있도록 음식물이 직접 접촉되는 파지부의 형상을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함으로써 상품성 및 기능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집게형 젓가락을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집게형 젓가락을 나타내는 결합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집게형 젓가락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집게형 젓가락의 손가락 안착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집게형 젓가락의 가이드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집게형 젓가락의 가이드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집게형 젓가락의 음식물 파지부가 착탈식으로 이루어진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a∼도 15는 본 고안에 따른 집게형 젓가락의 음식물 파지부의 다양한 변형예를 각각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 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12: 스틱부 11a, 12a, 45, 158: 결합돌기
20: 연결부 21a, 21b, 23, 159: 결합구멍
30: 손가락 파지부 31: 제1 돌기
33: 제2 돌기 35: 제1 고리
37: 제2 고리 40, 140, 240: 가이드부
41, 43: 가이드편
51, 53, 151, 153, 251, 253, 351, 353, 451, 453, 551, 553, 651, 653, 751, 753, 851, 853: 음식물 파지부 55: 널링
141, 143: 만곡면 155, 157: 요철부
241, 558, 758: 돌기 243: 슬롯부
255, 257: 타원형판 259, 459, 859: 포크
355, 357, 455, 457, 555, 557, 655, 657: 직사각판
359, 559: 미끄럼방지홈 558: 삼각형상 돌기
659: 통공 755, 757: 집게판
759: 원형구멍 855, 857: 반구판

Claims (18)

  1. 동일한 길이를 갖는 한쌍의 스틱부(11, 12)와;
    상기 한쌍의 스틱부(11, 12)가 상호 평행하게 연결하도록 환형으로 이루어져 양단이 상기 스틱부(11, 12)의 일단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연결된 한쌍의 스틱부(11, 12)가 유동 가능하도록 자체 탄력을 갖는 연결부(20)와;
    상기 한쌍의 스틱부(11, 12)의 중앙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안착되는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손가락 안착부(30)와;
    상기 한쌍의 스틱부(11, 12)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 결합되어 한쌍의 스틱부(11, 12)가 수평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40;140;240)와;
    상기 한쌍의 스틱부(11, 12)의 타단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 음식물을 직접 접촉하여 파지하기 위한 한쌍의 음식물 파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젓가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안착부(30)는 한쌍의 스틱부(11, 12)의 일주면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엄지 및 검지가 각각 안착되는 제1 돌기(31) 및 제2 돌기(33)와, 상기 제1 및 제2 돌기(31, 33)가 형성된 스틱부(11, 12)의 반대측에 형성되어 선택적으로 중지를 걸칠 수 있는 제1 및 제2 고리(35, 3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젓가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40)는 한쌍의 스틱부(11, 12) 중 어느 하나의 일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개방되며, 상기 연결부(20)를 통해 연결된 상태의 스틱부(11, 12) 일단의 폭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스틱부(11, 12)의 상/하면을 커버하는 상태로 중앙이 절곡되어 한쌍의 가이드편(41, 43)이 각각 상/하로 평행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젓가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40)는 연결부(20)의 양단 내측에 각각 연결부(20) 측에서 스틱부(11, 12) 측으로 갈수록 만곡면(141, 143)을 이루면서 점차적으로 낮은 경사각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어, 한쌍의 스틱부(11, 12)로 음식물을 집기 위해 파지부(51, 53)를 대향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한쌍의 만곡면(141, 143)이 연결부(20) 측에서부터 스틱부(11, 13)측으로 가면서 연속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젓가락.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240)는 연결부(20)의 양단 내측 중 어느 하나에 돌출 형성된 돌기(241)와, 한쌍의 스틱부(11, 12)로 음식물을 집기 위해 음식물 파지부(51, 53)를 대향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돌기(241)가 수평으로 삽입되도록 연결부(20)의 양단 내측 중 나머지 한곳에 상기 결합부(241)에 대응 형성되는 슬롯부(24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젓가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음식물 파지부는 한쌍의 스틱부(11, 12)의 타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젓가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음식물 파지부(51, 53)는 소정 두께를 갖는 타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대향면에 너얼링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젓가락.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파지부(151, 153)는 대향측을 서로 맞닿을 때 스푼형상을 갖도록 중앙이 오목하게 대칭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젓가락.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음식물 파지부(151, 153)는 대향측 선단에 음식물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상호 요철 결합되는 요철부를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젓가락.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음식물 파지부(151, 153)는 대향측 후단에 스푼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호 결합되는 결합구멍 및 결합돌기를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젓가락.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음식물 파지부(251, 253)는 상호 대칭되게 타원형판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한쌍의 타원형판의 외주에 다수의 포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젓가락.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음식물 파지부(351, 353)는 상호 대칭되게 직사각판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한쌍의 직사각판의 대향면에 다수의 미끄럼방지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젓가락.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음식물 파지부(451, 453)는 상호 대칭되게 직사각판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한쌍의 직사각판의 외주에 다수의 포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젓가락.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음식물 파지부(551, 553)는 외측단부에 삼각형상의 돌기를 형성한 직사각판을 상호 대칭되게 각각 형성하고 상기 한쌍의 직사각판의 대향면에 미끄럼방지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젓가락.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음식물 파지부(651, 653)는 상호 대칭되게 직사각판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한쌍의 직사각판에 다수의 통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젓가락.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음식물 파지부(751, 753)는 외주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고 중앙에 각각 원형구멍을 갖는 집게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젓가락.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음식물 파지부(851, 853)는 상호 대칭되게 반구판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한쌍의 반구판의 하측에 다수의 포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젓가락.
  18. 동일한 길이를 갖는 한쌍의 스틱부(11, 12)와;
    상기 한쌍의 스틱부(11, 12)가 상호 평행하게 연결하도록 환형으로 이루어져 양단이 상기 스틱부(11, 12)의 일단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연결된 한쌍의 스틱부(11, 12)가 유동 가능하도록 자체 탄력을 갖는 연결부(20)와;
    상기 한쌍의 스틱부(11, 12)의 중앙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안착되는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손가락 안착부(30)와;
    상기 한쌍의 스틱부(11, 12)의 타단에 각각 연장 형성되어 음식물을 직접 접촉하여 파지하기 위한 한쌍의 음식물 파지부(51, 5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형 젓가락.
KR20-2004-0033877U 2004-11-30 2004-11-30 집게형 젓가락 KR2003771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877U KR200377102Y1 (ko) 2004-11-30 2004-11-30 집게형 젓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3877U KR200377102Y1 (ko) 2004-11-30 2004-11-30 집게형 젓가락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1426A Division KR100720828B1 (ko) 2006-02-02 2006-02-02 집게형 젓가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7102Y1 true KR200377102Y1 (ko) 2005-03-08

Family

ID=43678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3877U KR200377102Y1 (ko) 2004-11-30 2004-11-30 집게형 젓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7102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005B1 (ko) 2006-11-10 2008-07-23 주식회사 영우 완구용 착탈식 기능성 젓가락
KR101149947B1 (ko) 2010-05-20 2012-06-11 한국과학기술원 아동용 식사도구
KR101227783B1 (ko) * 2012-08-27 2013-01-29 문영민 잡기 편하고 위생적이며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다기능 젓가락
KR101351443B1 (ko) * 2012-07-25 2014-01-17 엄소연 집게형 삼지창 젓가락
KR101378515B1 (ko) * 2012-07-06 2014-03-27 라온상사 주식회사 트레이닝 젓가락
KR20170002041U (ko) * 2015-12-02 2017-06-12 주식회사 이앤지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KR20200085551A (ko) * 2019-01-07 2020-07-15 주식회사 윤진 스파게티용 집게 기능이 있는 다기능 포크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005B1 (ko) 2006-11-10 2008-07-23 주식회사 영우 완구용 착탈식 기능성 젓가락
KR101149947B1 (ko) 2010-05-20 2012-06-11 한국과학기술원 아동용 식사도구
KR101378515B1 (ko) * 2012-07-06 2014-03-27 라온상사 주식회사 트레이닝 젓가락
KR101351443B1 (ko) * 2012-07-25 2014-01-17 엄소연 집게형 삼지창 젓가락
KR101227783B1 (ko) * 2012-08-27 2013-01-29 문영민 잡기 편하고 위생적이며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다기능 젓가락
KR20170002041U (ko) * 2015-12-02 2017-06-12 주식회사 이앤지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KR200484348Y1 (ko) * 2015-12-02 2017-08-28 주식회사 이앤지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KR20200085551A (ko) * 2019-01-07 2020-07-15 주식회사 윤진 스파게티용 집게 기능이 있는 다기능 포크
KR102193288B1 (ko) * 2019-01-07 2020-12-22 주식회사 윤진 스파게티용 집게 기능이 있는 다기능 포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9435A (en) Eating utensil
US20090322108A1 (en) Opposed fork food grasping device
US11253091B2 (en) Spoon
KR100720828B1 (ko) 집게형 젓가락
US20070205619A1 (en) Multi-purpose eating utensil
US20080224490A1 (en) Eating Utensil
KR200377102Y1 (ko) 집게형 젓가락
KR200380042Y1 (ko) 음식물 협지구
US20220212318A1 (en) Grasping tool
US20160358512A1 (en) Training Utensil for Utensil Handling Practice
JPH07502906A (ja) 手に障害のある者が使用する食事用具
JP3194983U (ja) トレーニング箸
JP6296705B2 (ja) 手で使用する挟み具のための連結具
KR101012813B1 (ko) 개량형 젓가락
KR101879436B1 (ko)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CN219920797U (zh) 矫正筷
KR20110002908A (ko) 손가락 집게
KR100729951B1 (ko) 음식물 협지구
GB2512090A (en) An item of cutlery
KR200399708Y1 (ko) 집게형 젓가락
KR200450867Y1 (ko) 학습용 젓가락
KR200383885Y1 (ko) 세 개의 다리를 가진 취식도구
KR200359790Y1 (ko) 다용도 젓가락
JP2011019884A (ja) 寿司挟持器具
KR20160119946A (ko) 두 몸체로 구성되는 식품취급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