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8515B1 - 트레이닝 젓가락 - Google Patents
트레이닝 젓가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78515B1 KR101378515B1 KR1020120073693A KR20120073693A KR101378515B1 KR 101378515 B1 KR101378515 B1 KR 101378515B1 KR 1020120073693 A KR1020120073693 A KR 1020120073693A KR 20120073693 A KR20120073693 A KR 20120073693A KR 101378515 B1 KR101378515 B1 KR 10137851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d
- roller
- receiving groove
- groove
- b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4—Use of too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트레이닝 젓가락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닝 젓가락은 엄지 손가락에 의해 지지되는 제1막대와, 검지 및 중지 손가락에 의해 지지되는 제2막대와, 제1막대와 제2막대의 상단을 연결하는 힌지장치를 포함하는 트레이닝 젓가락에 있어서, 제1막대와 제2막대는 상단에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롤러부와 제2롤러부를 각각 포함하며, 힌지장치는 제1롤러부와 제2롤러부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제1롤러수용홈과 제2롤러수용홈을 포함하며, 제1롤러수용홈과 제2롤러수용홈 중 적어도 하나는 힌지장치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트레이닝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젓가락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음식물을 섭취하기 위하여 포크, 나이프, 숟가락, 젓가락 등의 도구를 사용한다.
서양에서는 음식물을 간단히 포크로 찍거나 숟가락으로 떠서 입으로 섭취하는 방식을 많이 사용하며, 아시아를 포함하는 동양에서는 음식물을 한 손으로 쥘 수 있도록 가늘고 긴 한 쌍의 막대로 이루어진 젓가락(chopsticks) 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통상적으로 올바른 젓가락의 사용방법은 엄지로 한 쌍의 막대 중 하나를 지지하고 검지와 중지로 다른 하나의 막대를 지지하여 막대의 끝부분이 서로 접촉하도록 손가락을 움직여 음식을 집는 것이다. 이러한 젓가락 사용 방법은 다른 음식물 섭취 도구에 비해 익히기가 쉽지 않으며, 익히는 과정 중 파지 방법이 다양하게 변형되기도 한다.
어렸을 때부터 올바른 젓가락 사용 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시중에는 다양한 형태의 어린이용 트레이닝 젓가락들이 시판되고 있다. 어린이용 트레이닝 젓가락은 한 쌍의 젓가락 막대를 회동 가능한 힌지장치로 연결한 것으로, 대략 4 ~ 6세의 일정 시기만 사용할 수 있을 뿐 그 시기를 지난 어린이들은 작아서 사용하지 못한다. 사용 시기가 지난 어린이들은 연결장치가 없는 성인용 형태로 크기만 좀 작은 젓가락을 사용한다.
또한, 젓가락 문화를 접해보지 못한 외국인들이 동양식 식사를 할 경우, 대부분의 음식점에서 제공되는 젓가락은 한 쌍의 긴 막대로 이루어지는 일반 젓가락이기 때문에, 젓가락을 처음 사용해보는 외국인들을 위한 트레이닝 젓가락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닝 젓가락은 초심자나 어린이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닝 젓가락은 구조를 단순화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트레이닝 젓가락은 엄지 손가락에 의해 지지되는 제1막대와, 검지 및 중지 손가락에 의해 지지되는 제2막대와, 제1막대와 제2막대의 상단을 연결하는 힌지장치를 포함하는 트레이닝 젓가락에 있어서, 제1막대와 제2막대는 상단에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롤러부와 제2롤러부를 각각 구비하고, 힌지장치는 제1롤러부와 제2롤러부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제1롤러수용홈과 제2롤러수용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롤러수용홈과 제2롤러수용홈은 제1막대와 제2막대가 동일 평면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제1막대와 제2막대 중 적어도 하나는 제1롤러수용홈 또는 제2롤러수용홈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막대가 제1롤러수용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막대는 제1롤러부의 외주면에 동일 원주 상에 일렬로 이격 마련되는 복수의 회전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롤러수용홈은 상기 복수의 돌기에 대응하도록 내주면에 레일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막대는 제2롤러수용홈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롤러수용홈과 제2롤러수용홈의 원주 둘레는 πr을 초과하며, 상기 제1롤러수용홈과 제2롤러수용홈 중 적어도 하나는 원주 둘레 중 개구된 롤러수용홈의 양 단부 사이의 간격으로 제1막대와 제2막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막대와 제2막대는 하단에 집게부를 포함하며, 상기 집게부는 연질의 집게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막대와 제2막대는 하단에 각각 집게부를 포함하며, 상기 집게부는 마주보는 접촉 면에 요철 형상의 집게 면을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닝 젓가락은 젓가락을 잘 사용하지 못하는 초심자나 어린이 등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집게부에 요철 형상의 집게 면이나 연질의 집게 캡을 마련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닝 젓가락은 접착제나 나사 없이 분해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및 세척이 용이하고, 제1막대와 제2막대가 동일 평면상에서만 회전하기 때문에 사용 중 뒤틀림이나 꼬임이 없어 음식물 잡기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닝 젓가락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닝 젓가락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도 1의 Ⅲ-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b)는 도 1의 Ⅲ-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닝 젓가락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집게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닝 젓가락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도 1의 Ⅲ-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b)는 도 1의 Ⅲ-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닝 젓가락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집게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닝 젓가락을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2는 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트레이닝 젓가락은 엄지 손가락에 의해 지지되는 제1막대(10)와, 검지 및 중지 손가락에 의해 지지되는 제2막대(20)와, 제1막대(10)와 제2막대(20)를 연결하는 힌지장치(30)를 포함한다.
제1막대(10)는 바 형태로 마련되며,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진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일단에는 음식물을 잡기 위한 집게부(10A)가 마련되고, 두께가 두꺼운 타단에는 힌지장치(30)에 조립하기 위한 원통 형상의 제1롤러부(14)가 마련된다. 제1롤러부(14)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제1막대(10)는 엄지용 지지구(15)를 포함할 수 있다. 엄지용 지지구(15)는 일측이 개방된 원호나 원 형태의 링이 가능하다. 도 1에 도시한 일측이 개방된 원호 형상의 엄지용 지지구(15)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쉽게 꼈다 뺄 수 있기 때문에, 링 형상의 지지구가 갖는 조임성이나 손가락 굵기에 따른 사용자의 제한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엄지용 지지구(15)는 제1막대(10)와 일체로 사출 성형 되거나 또는 제1막대(10)에 착탈되도록 설치 가능하며, 손가락이 잘 들어가도록 제1막대(10)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한다.
제2막대(20)는 제1막대(10)와 마찬가지로 바 형태로 마련되며,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진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일단에는 음식물을 잡기 위한 집게부(22)가 마련되고, 두께가 두꺼운 타단에는 힌지장치(30)에 조립하기 위한 원통 형상의 제2롤러부(24)가 마련된다.
또한, 제2막대(20)는 검지용 지지구(26)와 중지용 지지구(28)를 포함할 수 있다. 중지용 지지구는 검지용 지지구(26) 보다 하측에 마련된다. 검지용 지지구(26)와 중지용 지지구(28)는 도면과 같이 링 형상으로 마련되거나 제2막대로부터 양방향으로 연장된 원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지지구(26,28)는 실리콘과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재 또는 ABS 등의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손가락이 잘 들어가도록 제2막대(20)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한다.
힌지장치(30)는 제1,2막대(10,20)의 두께가 두꺼운 타단(상단)을 연결하도록 마련되며, 제1막대(10)와 제2막대(20) 사이를 이격시켜 제1막대(10) 및 제2막대(20)와 힌지장치(30)가 전체적으로 삼각형 형상을 갖도록 한다. 도면에서 힌지장치(30)의 외형은 버섯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힌지장치(3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막대(10)의 상단에 마련되는 제1롤러부(14)와 결합하는 제1롤러수용홈(32)과, 제2막대(20)의 제2롤러부(24)와 결합하는 제2롤러수용홈(34)을 포함한다.
제1롤러수용홈(32)과 제2롤러수용홈(34)은 제1롤러부(14)와 제2롤러부(24)가 결합될 수 있도록 각각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며, 조립 후 빠지지 않도록 롤러수용홈의 원주 둘레는 적어도 πr을 초과해야 한다(r:반지름). 롤러수용홈의 원주 둘레 중 개구된 롤러수용홈의 양 단부 사이의 간격은 젓가락의 동작 각도를 제한하므로 당업자가 적절히 조절한다.
힌지장치(30)의 제1롤러수용홈(32)과 제2롤러수용홈(34)은 제1막대(10)와 제2막대(20)가 동일 평면상에서 회전하도록 나란히 배치된다. 즉, 제1막대(10)와 제2막대(20)는 '11'자 형태로 힌지장치(30)에 나란히 결합하며, 이때 원통 형상의 제1롤러부(14)와 제2롤러부(24)는 동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조립된다.
제1막대(10)와 제2막대(20) 중 적어도 하나는 롤러수용홈에 롤러부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하, 본 실시 예에서는 엄지 손가락이 지지되는 제1막대(10)는 힌지장치(30)의 제1롤러수용홈(32)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검지 및 중지 손가락에 의해 지지되는 제2막대(20)는 힌지장치(30)의 제2롤러수용홈(3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당업자가 적절히 수정 및 변형하여 제1,2막대(10,20)를 모두 힌지장치(3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제1막대(10)가 힌지장치(30)에 고정 결합되도록 제1롤러부(14)는 외주면에 고정돌기(16)를 구비하며, 제1롤러수용홈(32)은 제1롤러부(14)의 고정돌기(16)가 끼워지도록 내주면에 고정홈(36)을 구비한다. 고정돌기(16)와 고정홈(36)은 서로 반대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제2막대(10)가 힌지장치(30)에 회전 결합하도록 제2롤러부(24)는 외주면에 동일 원주 상에 일렬로 이격 마련되는 복수의 회전돌기(25)를 구비하며, 제2롤러수용홈(34)은 제2롤러부(24)의 회전돌기(25)가 끼워지도록 내주면에 레일홈(38)을 구비한다. 회전돌기(25)와 레일홈(38)은 서로 반대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고정홈(36)은 제1막대(10)의 회전을 제한하고, 레일홈(38)은 제2막대(20)의 회전을 가이드하므로, 도 3 및 도 4의 각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수용홈에 마련되는 레일홈(38)의 길이는 고정홈(36)의 길이보다 길다.
또한, 힌지장치(30)의 개구된 제1롤러수용홈(32)과 제2롤러수용홈(34) 전방 또는 후방(회전방향과 직각방향)에는 제1롤러부(14)와 제2롤러부(24)를 힌지장치(30)에 강제 압입할 수 있도록 끼움홈(39)이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자세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힌지장치(30)의 상부에는 다양한 캐릭터, 인형 등이 마련된 헤드(40)가 설치될 수 있다. 헤드(40)는 힌지장치(30)의 상부에 강제 끼움 또는 접착되거나 또는 힌지장치(30)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으며, 나아가 스프링이나 고무 등을 이용하여 흔들리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헤드는 LED를 내장하여 발광하거나 멜로디, 진동 기능을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흥미를 유발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레이닝 젓가락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집게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제1막대(10)와 제2막대(20)의 집게부(12,22)에 요철 형상의 집게 면(11,21)을 마련한 것이다. 마주하는 울퉁불퉁한 집게 면(11,21)은 접촉 시 상호 치합하면서 음식물을 집기 때문에 면류를 잡는데 용이하다. 도 5의 (b)는 제1막대(10)와 제2막대의 집게부(12,22)에 연질의 집게 캡(13,23)을 마련한 것이다.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재의 젓가락은 표면이 잘 미끄러져 음식물을 잡기 어려우므로, 실리콘과 같은 연질의 집게 캡(13,23)을 설치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10,20..제1막대, 제2막대 12,22..집게부
14,24..제1롤러부,제2롤러부 16,26,28..지지구
30..힌지장치 32,34..제1,2롤러수용홈
36..고정홈 38..레일홈
14,24..제1롤러부,제2롤러부 16,26,28..지지구
30..힌지장치 32,34..제1,2롤러수용홈
36..고정홈 38..레일홈
Claims (7)
- 삭제
- 엄지 손가락에 의해 지지되는 제1막대와, 검지 및 중지 손가락에 의해 지지되는 제2막대와, 제1막대와 제2막대의 상단을 연결하는 힌지장치를 포함하는 트레이닝 젓가락에 있어서,
상기 제1막대와 제2막대는 상단에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1롤러부와 제2롤러부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힌지장치는 제1롤러부와 제2롤러부를 각각 강제 압입으로 수용하기 위한 제1롤러수용홈과 제2롤러수용홈을 구비하며,
상기 제1롤러수용홈과 제2롤러수용홈은 제1막대와 제2막대가 동일 평면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제1막대와 제2막대 중 적어도 하나는 제1롤러수용홈 또는 제2롤러수용홈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트레이닝 젓가락.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막대가 제1롤러수용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막대는 제1롤러부의 외주면에 동일 원주 상에 일렬로 이격 마련되는 복수의 회전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1롤러수용홈은 상기 복수의 돌기에 대응하도록 내주면에 레일홈을 구비하는 트레이닝 젓가락.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막대는 제2롤러수용홈에 고정 결합되는 트레이닝 젓가락. -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수용홈과 제2롤러수용홈의 원주 둘레는 πr을 초과하며,
상기 제1롤러수용홈과 제2롤러수용홈 중 적어도 하나는 원주 둘레 중 개구된 롤러수용홈의 양 단부 사이의 간격으로 제1막대와 제2막대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 각도를 제한하는 트레이닝 젓가락.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막대와 제2막대는 하단에 집게부를 포함하며,
상기 집게부는 연질의 집게 캡을 더 포함하는 트레이닝 젓가락.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막대와 제2막대는 하단에 각각 집게부를 포함하며
상기 집게부는 마주보는 접촉 면에 요철 형상의 집게 면을 마련하는 트레이닝 젓가락.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3693A KR101378515B1 (ko) | 2012-07-06 | 2012-07-06 | 트레이닝 젓가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73693A KR101378515B1 (ko) | 2012-07-06 | 2012-07-06 | 트레이닝 젓가락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6525A KR20140006525A (ko) | 2014-01-16 |
KR101378515B1 true KR101378515B1 (ko) | 2014-03-27 |
Family
ID=50141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73693A KR101378515B1 (ko) | 2012-07-06 | 2012-07-06 | 트레이닝 젓가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378515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142167U (ko) * | 1987-03-12 | 1988-09-19 | ||
KR200377102Y1 (ko) * | 2004-11-30 | 2005-03-08 | 윤석수 | 집게형 젓가락 |
KR101012813B1 (ko) * | 2008-07-09 | 2011-02-08 | 양건태 | 개량형 젓가락 |
KR101130130B1 (ko) * | 2011-09-08 | 2012-03-28 | 엄영식 | 교육용 젓가락 |
-
2012
- 2012-07-06 KR KR1020120073693A patent/KR10137851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142167U (ko) * | 1987-03-12 | 1988-09-19 | ||
KR200377102Y1 (ko) * | 2004-11-30 | 2005-03-08 | 윤석수 | 집게형 젓가락 |
KR101012813B1 (ko) * | 2008-07-09 | 2011-02-08 | 양건태 | 개량형 젓가락 |
KR101130130B1 (ko) * | 2011-09-08 | 2012-03-28 | 엄영식 | 교육용 젓가락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6525A (ko) | 2014-0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40232128A1 (en) | Chopsticks indicating finger acupuncture points stimulating brain | |
KR200469596Y1 (ko) | 트레이닝 젓가락 | |
KR101879436B1 (ko) |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 |
KR101378515B1 (ko) | 트레이닝 젓가락 | |
KR101081909B1 (ko) | 젓가락 | |
KR20090001430U (ko) | 젓가락 | |
US20110169286A1 (en) | Chopstick retaining device | |
KR20140031605A (ko) | 학습용 젓가락 | |
KR20130006341U (ko) | 젓가락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트레이닝 젓가락 | |
CN201806423U (zh) | 持筷连杆装置 | |
KR200471973Y1 (ko) | 젓가락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트레이닝 젓가락 | |
KR102092594B1 (ko) | 젓가락 | |
KR101012813B1 (ko) | 개량형 젓가락 | |
CN202341567U (zh) | 一种旋转碗 | |
KR200234288Y1 (ko) |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 |
KR200233449Y1 (ko) |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 |
KR200387991Y1 (ko) | 미끄러짐 방지구조를 갖는 젓가락 | |
JP3158497U (ja) | フォーク | |
KR102284048B1 (ko) | 교정용 젓가락 | |
CN218338152U (zh) | 儿童学习筷 | |
JP5856040B2 (ja) | 串物食品の指当て | |
KR200450867Y1 (ko) | 학습용 젓가락 | |
KR200420382Y1 (ko) | 젓가락 | |
KR102035038B1 (ko) |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 | |
KR102198098B1 (ko) | 위생 숟가락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1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