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038B1 -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 - Google Patents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038B1
KR102035038B1 KR1020170159371A KR20170159371A KR102035038B1 KR 102035038 B1 KR102035038 B1 KR 102035038B1 KR 1020170159371 A KR1020170159371 A KR 1020170159371A KR 20170159371 A KR20170159371 A KR 20170159371A KR 102035038 B1 KR102035038 B1 KR 102035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neck
spoon
bar
chopsti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1232A (ko
Inventor
문현만
Original Assignee
문현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현만 filed Critical 문현만
Priority to KR1020170159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038B1/ko
Publication of KR20190061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6Combined or separable sets of table-service utensils; Oyster knives with openers; Fish servers with means for removing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021/002Table-ware collapsible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는 오목 형태를 가지며 제1헤드와 제2헤드로 분할 가능하게 마련되는 헤드부와, 파지를 위해 바 형태로 마련되는 바디부와, 헤드부와 바디부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네크부를 포함하고, 네크부는 제1헤드와 제2헤드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적으로 회전하여 서로 결합되거나 이격되도록 하는 찹동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Dining Tool integrated spoon and chopstick}
본 발명은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숟가락과 젓가락으로 모두 사용 가능한 식사 전용구에 관한 것이다.
숟가락과 젓가락은 아시아, 특히 한국 사람이 어려서부터 익혀온 식습관이기 때문에 평상 시 번거러움을 느끼지 못하고 사용하고 있지만, 막상 생각해보면 불편과 번거로움이 이루 말할 수 없다.
예를 들면, 하루 세끼를 먹는 전통적인 식단을 보면 숟가락과 젓가락을 일일이 매회 준비해야 하며, 또한 윗사람과 아랫사람을 구분해서 정중하고 공손하게 챙겨놓아야 한다. 또한, 밥 한 그릇을 먹기 위해 숟가락과 젓가락을 번갈아 사용해야 하므로 불편하고, 나아가 세척하고 정리하기도 번거려우며 야외 소지시 사용 후 분실 가능성이 매우 높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122630호(2014.10.20) 상기한 문헌과 같이 종래의 숟가락과 젓가락 겸용 일체형 식기는 대부분 한쪽은 숟가락으로 사용하고 다른 쪽은 가위 형태의 힌지 동작을 이용하여 젓가락으로 사용하는 형태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숟가락과 젓가락을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식사 전용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오목 형태를 가지며 제1헤드와 제2헤드로 분할 가능하게 마련되는 헤드부와, 파지를 위해 바 형태로 마련되는 바디부와, 헤드부와 바디부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네크부를 포함하고, 네크부는 제1헤드와 제2헤드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적으로 회전하여 서로 결합되거나 이격되도록 하는 찹동작부를 포함하는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찹동작부는 상기 제1헤드에 마련되는 제1네크바와, 상기 제2헤드에 상기 제1네크바와 나란하게 마련되는 제2네크바와, 상기 바디부에 마련되는 스위치와, 상기 제1네크바와 제2네크바 중 하나를 회전시키기 위해 네크바와 스위치를 연결하는 태엽 형태의 판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은 제1,2네크바 중 하나에 권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헤드와 제2헤드는 상호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치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스프링이 제1,2네크바 중 하나에 권취되면 상기 제1헤드와 제2헤드는 이격되고, 상기 판스프링이 제1,2네크바 중 하나로부터 권출되면 상기 제1헤드와 제2헤드는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일체로 마련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에 따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는 숟가락의 음식을 담는 헤드가 분할 가능하게 마련되어 닫혔을 때는 숟가락으로 사용하고 음식을 담을 수 있으며 분할 개방했을 때는 젓가락으로 사용하여 음식을 잡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는 바디부에 마련된 스위치를 간편하게 업다운함으로써 헤드를 분할하고 그 사이로 음식을 집는 젓가락 동작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어린이는 물론 외국인도 손 쉽게 젓가락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를 도시한 결합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의 헤드부를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를 숟가락으로 사용할 때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를 젓가락으로 사용할 때의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이하 식사 전용구라 함)를 도시한 결합도이고, 도 2는 그 분해도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식사 전용구는 음식을 담기 위한 헤드부(10)와,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는 바디부(20)와, 헤드부(10)와 바디부(20)를 연결하는 네크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부(10)는 통상의 숟가락과 마찬가지로 음식을 담을 수 있도록 중심이 오목하게 형성된 라운드 형태를 가진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식사 전용구는 헤드부(10)가 두 개로 분리 마련되어 결합되어 있을 때는 숟가락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분리되어 있을 때는 젓가락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헤드부(10)는 음식물을 담길 수 있는 반 오목 형태의 제1헤드(11) 및 제2헤드(13)와, 헤드부(10)와 바디부(20)를 연결하는 네크연결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헤드(11)와 제2헤드(13)의 분기된 내측 단면에는 음식을 집을 수 있도록 톱니 형태의 헤드톱(12, 14)가 마련될 수 있다.
네크부(30)의 내부에 수용되는 네크연결부(15)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헤드(11)에 연장 마련되는 제1네크바(16)와, 제2헤드(13)에 마련되는 제2네크바(17)를 포함한다. 제1네크바(16)와 제2네크바(17)는 원통 형태로 마련되며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또한, 제1헤드(11)와 제2헤드(13)의 네크연결부 측에는 제1헤드(11)의 회전 시 제2헤드(13)도 연동될 수 있도록 치합부(18)가 마련될 수 있다.
치합부(18)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헤드(11)와 제2헤드(13)가 서로 맞물리는 톱니기어 형태로 마련되어 제헤드(11)와 제2헤드(13) 중 하나가 회전하면 다른 하나가 같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치합부(18)는 제1헤드(11)에 마련되는 제1헤드기어(18a)와 제2헤드(13)에 마련되는 제2헤드기어(18b)를 포함한다.
바디부(20)는 식사 전용구를 한 손으로 파지하여 헤드부(10)를 조작하기 위한 부분으로 바 형태로 길게 마련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그립부(21)와 네크결합부(22)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립부(21)는 바디부(20)의 중간 정도를 기준으로 헤드부(10)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네크결합부(22)는 헤드부(10) 측에 위치한다. 또한, 네크결합부(22)의 그립부(21) 측에는 헤드부(10)를 숟가락 또는 젓가락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기능을 가변하는 스위치(25)가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반대편에는 헤드부(10)가 결합된다. 스위치(25)는 실질적으로 바디부(20)의 중간 정도에 마련되어 파지 시 엄지를 통해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위치 고정을 위해 내측에는 바디부(22)의 스토퍼홈(28)에 대응되는 스토퍼(26)가 마련될 수 있다. 미설명된 참조부호 29는 결합핀이다.
네크부(30)는 사용자가 불편 없이 식사 전용구를 이용할 수 있도록 소정 각도로 밴딩하여 연결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약 20도 정도 경사졌을 때 사용이 편리한다.
네크부(3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부(20)의 헤드부(10) 측 상부에 결합되는 네크 커버(31)와, 네크 커버(31) 내부에 마련되어 헤드부(10)의 형태를 가변하기 위한 찹동작부를 포함한다.
네크 커버(31)는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장공(32)을 구비하며, 장공(32)에는 스위치(25)가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찹동작부는 상술한 제1,2네크바(16, 17) 중 하나와 스위치(25)를 양 단부에서 연결하는 것으로, 본 실시 예에서는 길이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판스프링(33)을 포함할 수 있다.
판스프링(33)의 일단은 제1네크바(16)과 제2네크바(17) 중 하나(본 실시 예에서는 제1네크바(16))를 태엽 형태로 권취하여 자체 탄성력을 이용하여 네크바에 회전력을 부여할 수 있으며, 타단은 스위치(25)에 고정되어 길이방향 즉 장공(32)을 따라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제1네크바(16)는 판스프링(33)의 단부를 결합하기 위한 천공(16a)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판스프링(33)은 폭의 두께가 일부 다르게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스위치(25)와 연결되는 일단은 대직경(33a)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네크바(16)와 연결되는 타단은 상대적으로 소직경(33b)으로 마련할 수 있다. 소직경의 판스프링(33)은 헤드부(10)의 회전을 보다 원활히 할 수 있다.
네크 커버(31)가 결합되는 바디부(20)의 네크결합부(22) 헤드측에는 제1네크바(16)와 제2네크바(17)의 길이방향 조립 및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24)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찹동작부는 스위치(25)를 바디부(20) 끝단 측으로 당기면 제1헤드(11)와 제2헤드(13)가 접촉하여 숟가락 형태를 가지도록 하고, 스위치(25)를 헤드부(10) 측으로 밀면 제1헤드(11)와 제2헤드(13)가 벌어져 음식을 집을 수 있는 준비 상태가 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의 동작을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식사 전용구를 숟가락으로 사용할 경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0)의 제1헤드(11)와 제2헤드(13)가 결합되며, 스위치(25)는 바디부(20)의 끝단측에 위치한다. 이때 스위치(25)는 판스프링(33)의 탄성복원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네크결합부(22)의 스토퍼홈(28)에 스토퍼(26)가 안착되어 있다.
식사 전용구를 젓가락으로 사용할 경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가 스위치(25)를 바디부(20)의 하단에서 헤드부(10) 측인 상단으로 밀어낸다. 그러면 스위치(25)는 스토퍼(26)가 스토퍼홈(28)에 안착된 상태에서 스토퍼홈(28)을 이탈하게 되고, 이어서 판스프링(3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판스프링(33)의 탄성복원력은 제1네크바(1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헤드(11)가 제2헤드(13)로부터 멀어지도록 하며, 이와 같이 벌어진 상태의 제1헤드(11)와 제2헤드(13) 사이에는 음식물이 들어갈 수 있다.
음식물을 잡기 위해서 사용자는 스위치(25)를 바디부(20)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당기며, 이로 인해 판스프링(33)은 제1네크바(16)로부터 권출되면서 제1네크바(16)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즉, 판스프링(33)의 탄성력은 제1네크바(16)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헤드(11)가 제2헤드(13)에 근접하도록 하며, 이와 같이 간격이 좁아진 상태의 제1헤드(11)와 제2헤드(13) 사이에 들어있는 음식물은 흘러내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잡히게 된다.
이상, 상기에서는 스위치(25)를 밀어 올리면 제1헤드(11)와 제2헤드(13)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젓가락으로 사용되고, 잡아 당기면 제1헤드(11)와 제2헤드(13)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숟가락으로 사용되도록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변형이나 수정을 통해 그 반대로 동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에서는 치합부(18)를 이용하여 제1헤드(11)와 제2헤드(13) 중 하나가 회전할 경우 연동하여 다른 하나도 같이 회전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변형 및 수정을 통해 제1,2헤드(11, 13) 중 하나만 회전하여 두 헤드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도록 하거나 좁혀지도록 하여 숟가락 및 젓가락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10..헤드부 11..제1헤드
12..제2헤드 16..제1네크바
17..제2네크바 18..치합부
20..바디부 21..그립부
22..네크결합부 25..스위치
26..스토퍼 28..스토퍼홈
30..네크부 31..네크 커버
32..장공 33..판스프링

Claims (5)

  1. 오목 형태를 가지며 제1헤드와 제2헤드로 분할 가능하게 마련되는 헤드부와,
    파지를 위해 바 형태로 마련되는 바디부와,
    상기 헤드부와 바디부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네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네크부는 상기 제1헤드와 제2헤드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적으로 회전하여 서로 결합되거나 이격되도록 하는 찹동작부를 포함하고,
    상기 찹동작부는
    상기 제1헤드에 마련되는 제1네크바와,
    상기 제2헤드에 상기 제1네크바와 나란하게 마련되는 제2네크바와,
    상기 바디부에 마련되는 스위치와,
    상기 제1네크바와 제2네크바 중 하나를 회전시키기 위해 네크바와 스위치를 연결하는 태엽 형태의 판스프링을 포함하는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제1,2네크바 중 하나에 권취하도록 마련되는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
  4. 제 1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헤드와 제2헤드는 상호 연동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치합부를 포함하는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이 제1,2네크바 중 하나에 권취되면 상기 제1헤드와 제2헤드는 이격되고,
    상기 판스프링이 제1,2네크바 중 하나로부터 권출되면 상기 제1헤드와 제2헤드는 결합되는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
KR1020170159371A 2017-11-27 2017-11-27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 KR102035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371A KR102035038B1 (ko) 2017-11-27 2017-11-27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371A KR102035038B1 (ko) 2017-11-27 2017-11-27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232A KR20190061232A (ko) 2019-06-05
KR102035038B1 true KR102035038B1 (ko) 2019-10-22

Family

ID=66845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371A KR102035038B1 (ko) 2017-11-27 2017-11-27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038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9951B1 (ko) * 2006-02-01 2007-06-21 윤석수 음식물 협지구
KR20140005315U (ko) * 2013-04-04 2014-10-14 이원용 일체형 수저
KR20140122630A (ko) 2013-04-10 2014-10-20 유가은 직립 숟가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232A (ko)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7112B2 (en) Utensil with grip feature
US7185436B2 (en) Multi-position peeler apparatus
JP2008520334A (ja) 飲食物挟持具
US20090243317A1 (en) Serving tongs
JP3204333U (ja) ヒンジ機構付き箸
KR102035038B1 (ko)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
JP2008501417A (ja) 楊枝付き箸
KR200469596Y1 (ko) 트레이닝 젓가락
KR20200085549A (ko) 파스타면 감김부가 구비된 다기능 젓가락
KR101879436B1 (ko)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KR102193287B1 (ko) 국수용 집게 기능이 있는 다기능 숟가락
KR20140005315U (ko) 일체형 수저
CN219920797U (zh) 矫正筷
KR20130105481A (ko) 락킹수단을 갖는 젓가락
KR20140031605A (ko) 학습용 젓가락
KR200322251Y1 (ko) 일체형 숟가락과 젓가락 겸용 수저
KR200233444Y1 (ko) 소아 식사용 젓가락
KR20120082063A (ko) 숟가락에 붙어있는 젓가락
KR200387900Y1 (ko) 일체화(一體化)된 포크와 스푼 또는 포크
JPH11332720A (ja)
KR20110102104A (ko) 학습 교정용 젓가락
KR200484348Y1 (ko)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KR20130006341U (ko) 젓가락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트레이닝 젓가락
KR200163103Y1 (ko) 학습용 젓가락
KR200315113Y1 (ko) 조작이 용이한 젓가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