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900Y1 - 일체화(一體化)된 포크와 스푼 또는 포크 - Google Patents
일체화(一體化)된 포크와 스푼 또는 포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87900Y1 KR200387900Y1 KR20-2005-0003089U KR20050003089U KR200387900Y1 KR 200387900 Y1 KR200387900 Y1 KR 200387900Y1 KR 20050003089 U KR20050003089 U KR 20050003089U KR 200387900 Y1 KR200387900 Y1 KR 20038790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k
- spoon
- handle
- short
- lo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2—Forks; Forks with ejectors; Combined forks and spoons; Salad serv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포크(fork)와 스푼(spoon) 또는 포크(fork)와 포크(fork)를 결합시켜 다양한 기능을 가진 일체화된 식사 도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식사시에 별개로 된 포크와 스푼을 따로따로 번거롭게 사용하는 것을, 이들을 결합하여 일체화함으로써 포크, 스푼을 겸용함은 물론 젓가락과 같은 집게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식사 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손잡이가 짧고 폭이 좁은 포크(A)와 손잡이가 길고 폭이 넓은 스푼(B) 또는 포크(C)로 구성하되, 입에 들어가는 머리 부분(1)과 손잡이 부분(2)사이의 좁은 목 부분(3)에서 X자형으로 결합하였으며, 이에 따라 머리 부분(1)에서는 위에 포크, 아래에 스푼 또는 포크, 그리고 손잡이 부분(2)에서는 위에 스푼 또는 포크, 아래에 포크가 겹치게 된다. 다시 긴 스푼(B) 또는 포크(C) 손잡이의 아래쪽으로 나온 포크(A)의 짧은 손잡이 끝단 부에 수직으로 원형봉축(圓形棒軸 : 4)을 설치하되, 스푼(B) 또는 포크(C) 손잡이 부분을 관통해 결합시켜서 이를 가위와 같은 원리로 작동함으로써 포크와 스푼 또는 포크의 머리 부분(1)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안한 것이다. 이러한 장치를 통해 포크와 스푼 또는 포크가 겹친 상태에서 스푼으로 사용되고, 머리 부분(1)이 벌어진 상태에서 포크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위쪽의 포크(A)와 아래쪽의 스푼(B) 또는 포크(C)를 좁혀 젓가락질과 같은 집게로도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하고 일체화된 포크와 스푼 또는 포크가 제공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포크(A)와 스푼(B) 또는 포크(C)를 X자형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이들을 겸용하는 것은 물론 집게로도 사용할 수 있는 일체화된 포크와 스푼 또는 포크에 관한 것이다.
식사를 할 때 사용하는 포크와 스푼 및 젓가락은 그 기능을 달리하기 때문에 별개로 분리되어 사용되어 왔으나, 다양한 음식을 먹을 때 스푼과 포크 또는 스푼과 젓가락을 바꾸어 사용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급식시설에서와 같이 식사 도구를 대량으로 사용하는 경우, 학교 급식에서 학생이 식사 도구를 별도로 휴대해야 하는 경우, 도시락과 함께 간편하게 휴대할 경우, 그리고 젓가락 사용이 서툴러 포크를 사용하는 유소년(幼少年)에게 포크, 스푼 또는 젓가락을 겸용할 수 있는 일체화된 식사 도구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필요에서 스푼의 머리 부분 끝단 부에 포크를 짧게 만들어 포크겸용 스푼으로 사용되기도 하나 포크와 스푼으로서의 기능을 충족시킬 수 없을 뿐 아니라 집게 기능은 할 수 없다.
식사 도구로 동양에서는 스푼과 젓가락을 사용하고 서양에서는 스푼과 포크를 사용한다. 각 도구의 기능은 음식물을 퍼담아서 먹는 스푼, 집어서 먹는 젓가락, 찍어서 먹는 포크와 같이 각각 다르며, 이들은 별개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별개의 도구가 갖는 퍼담아서, 집어서, 찍어서 먹을 수 있는 기능을 함께 가진 일체화된 식사 도구를 만든다면 매우 효용성이 클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목적은 포크(A)와 스푼(B) 또는 포크(C))의 일체화된 결합 장치에 의하여 포크와 스푼 및 젓가락의 기능을 모두 갖게 하여 어떠한 종류의 음식물을 먹는 것은 물론 관리와 휴대하기에도 매우 편리하고 효율적인 식사 도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손잡이가 짧고 폭이 좁은 포크(A)와 손잡이가 길고 폭이 넓은 스푼(B) 또는 포크(C)를 목 부분(3)에서 X자형으로 결합시켜서, 입에 들어가는 머리 부분(1)에는 위에 포크(A), 아래에 스푼(B) 또는 포크(C), 그리고 손잡이 부분(2)에는 위에 스푼(B) 또는 포크(C), 아래에 포크(A)의 손잡이로 구성한다. 이 짧은 포크(A) 손잡이의 끝단 부에 수직으로, 위쪽의 스푼(B) 또는 포크(C) 손잡이를 관통시킨 원형봉축(圓形棒軸 : 4)을 설치하여, 이것으로 가위의 원리에 따라 머리 부분(1)을 개폐할 수 있도록 고안된 일체화된 포크와 스푼 또는 포크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포크(A)와 스푼(B)이 결합된 도시이고, 도2는 포크(A)와 포크(C)가 결합된 도시로서, 포크와 스푼은 입에 들어가는 머리 부분(1)과 손잡이 부분(2), 그리고 이 머리 부분에서 손잡이 부분으로 이행되는 좁은 목 부분(3)으로 구성되며, 이 목 부분(3)에서 포크(A)와 스푼(B) 또는 포크(A)와 포크(C)가 X자형으로 결합한다. 포크(A)와 스푼(B) 또는 포크(A)와 포크(C)의 X자형 결합은, 손잡이가 길고 폭이 넓은 스푼(B) 또는 포크(C)에 손잡이가 짧고 폭이 좁은 포크(A)가 겹쳐 박힐 수 있도록 프레스를 하되, 그 목 부분(3)에서 머리 부분(1)은 아래로, 손잡이 부분(2)은 위로 상반되게 가하여, 이로 인해 생긴 목 부분(3)의 절삭(切削)된 구멍에 짧은 포크(A)의 좁은 손잡이를 삽입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프레스를 해서 포크(A)와 스푼(B) 또는 포크(A)와 포크(C)를 밀착시킬 때 머리 부분(1)은 포크(A)와 스푼(B)의 결합 경우, 포크가 스푼 바닥에 들어가 박혀 본래의 스푼(B) 바닥 면이 되고, 포크(A)와 포크(C)의 결합 경우, 아래 포크(C)의 날 사이로 위의 포크(A)의 날이 삽입되어 역시 스푼과 같은 바닥 면을 갖게 되며, 손잡이 부분(2)은 스푼(B) 또는 포크(C)의 폭 넓은 손잡이가 포크(A)의 짧고 좁은 손잡이 부분만큼 부풀려 올라 오게된다. 또한 이와 상반되게 짧은 포크(A)와 긴 포크(C)의 위치를 바꾸어 결합하면 머리 부분(1)에서 긴 포크(C)의 날 사이로 아래에서 짧은 포크(A)의 날이 삽입되며, 손잡이 부분(2)에서 폭 넓은 포크(C)의 손잡이에 짧고 좁은 포크(A)의 손잡이가 위에서 박히게 된다. 그리고 포크(A)의 짧은 손잡이 끝단 부에 한편에 십자(十字) 홈과 다른 편에 숫나사를 구비한 원형봉축(圓形棒軸 : 4)을 스푼(B) 또는 포크(C)의 손잡이를 관통하여 수직으로 설치한다. 이 원형봉축(4)을 한편으로 누르면 포크(A)가 스푼(B) 또는 포크(C)로부터 벌어지고, 반대로 누르면 포크(A)가 스푼(B) 또는 포크(C)에 밀착된다. X자형 결합구(結合口)에 삽입하는 포크(A)의 짧은 손잡이는 결합구의 위쪽과 아래쪽의 폭을 달리하면 이탈을 방지하여 그 자체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포크(A)의 손잡이 폭을 같게 하여 결합구에서 바깥쪽 스푼(B) 또는 포크(C)의 목 부분(3)과 안쪽 포크(A)의 목 부분(3) 측면을 관통하는 지지봉축(支持棒軸 : 5)을 구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포크(A)와 스푼(B) 또는 포크(A)와 포크(C)의 손잡이가 밀착되었을 때, 짧은 포크(A)의 끝단부에 수직으로 설치한 원형봉축(4)을 스푼(B) 또는 포크(C) 손잡이를 관통하여 나온 지점에서 꺽을 수 있는 꺽임 구조(6)를 구비하여 돌출된 원형봉축(4)으로 인한 관리와 휴대상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여기에 원형봉축(4)의 꺽임구조(6)는 숫나사쪽 부분을 요부(凹部), 십자 홈이 있는 부분을 철부(凸部)로 만들어 이 양 부분을 끼워 측면에서 이들을 관통하는 핀으로 결합시키되, 철부(凸部)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꺽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포크(A)의 짧은 손잡이 끝단 부에 설치되는 원형봉축(4)은 스푼(B) 또는 포크(C)를 관통하여 돌출한 부분에 원통형 스프링(7)을 장착하기도 하여 이에 가하는 힘에 따라 개폐를 조정할 수 있고, 힘을 가하지 않을 시 포크(A)와 스푼(B) 또는 포크(C)는 밀착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된 포크(A)와 스푼(B) 또는 포크(C)는 가위와 같은 원리로 짧은 포크(A)의 손잡이 끝단 부에 설치된 원형봉축(4)으로 포크(A)와 스푼(B) 또는 포크(C)의 머리 부분(1)을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기능을 갖게된다. 이러한 장치를 통해 포크(A)와 스푼(B) 또는 포크(C)가 겹친 상태에서 스푼으로 사용되고, 머리 부분(1)이 벌어진 상태에서 포크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위쪽의 포크(A)와 아래의 스푼(B) 또는 포크(C)를 좁혀 젓가락질과 같은 집게로도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한 식사 도구가 제공된다.
본 고안은 포크(A)와 스푼(B) 또는 포크(C)를 가위 원리와 같이 X자형으로 결합시킨 장치로서, 이와 같이 일체화된 식사 도구는 퍼담아서(스푼 기능), 찍어서(포크 기능), 집어서(젓가락 기능) 먹을 수 있는 효용성이 크기 때문에 어떠한 종류의 음식물이든 손쉽게 먹을 수 있고, 여러 도구를 번갈아 가면서 사용하는 번거로움을 없애주며, 또한 그 관리 및 휴대하기에 매우 편리함을 제공한다. 특히 급식 시설에서와 같이 식사 도구를 대량으로 사용하는 경우, 군대 급식이나 학교 급식에서 식사 도구를 별도로 휴대해야 하는 경우, 도시락과 함께 간편하게 휴대할 경우, 그리고 젓가락 사용이 서툴러 포크를 사용하는 유소년(幼少年)에게 일체화된 식사 도구로서 다양한 기능을 가진 것을 필요하게 된다.
도 1은 포크와 스푼의 결합도
도 2는 포크와 포크의 결합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포크(짧은 손잡이) B. 스푼(긴 손잡이)
C. 포크(긴 손잡이)
1. 머리 부분 2. 손잡이 부분
3. 목 부분 4. 원형봉축(圓形棒軸)
5. 지지봉축(支持棒軸) 6. 꺽임 구조
7. 스프링
Claims (3)
- 손잡이가 짧고 폭이 좁은 포크(A)와 손잡이가 길고 폭이 넓은 스푼(B)으로 구성하는 데, 스푼(B)에 포크(A)가 겹쳐 박힐 수 있도록 프레스를 하되, 목 부분(3)에서부터 머리 부분(1)은 위에서 아래로, 손잡이 부분(2)은 아래에서 위로 상반되게 가하여, 이로 인해 스푼(B)의 목 부분(3)에 생긴 절삭된 구멍에 짧고 좁은 포크(A)의 손잡이를 삽입하여 X자형으로 결합하고, 아래쪽으로 들어간 포크(A)의 짧은 손잡이 끝단부에 수직으로 숫나사를 구비한 원형봉축(圓形棒軸 :4)을 장착하되, 위쪽 스푼(B)의 손잡이를 관통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화된 포크와 스푼.
- 손잡이가 짧고 폭이 좁은 포크(A)와 손잡이가 길고 폭이 넓은 포크(C)로 구성하는 데, 긴 포크(C)의 날 사이에 짧은 포크(A)의 날이 겹쳐 박힐 수 있도록 프레스를 하되, 목 부분(3)에서부터 머리 부분(1)은 위에서 아래로, 손잡이 부분(2)은 아래에서 위로 상반되게 가하여, 이로 인해 긴 포크(C)의 목 부분(3)에 생긴 절삭된 구멍에 짧고 좁은 포크(A)의 손잡이를 삽입하여 X자형으로 결합하고, 아래쪽으로 들어간 포크(A)의 짧은 손잡이 끝단부에 수직으로 숫나사를 구비한 원형봉축(圓形棒軸 : 4)을 장착하되, 위쪽 긴 포크(C)의 손잡이를 관통하도록 설치하거나, 또는 이와 동일한 구조·장치로써 짧은 포크(A)와 긴 포크(C)의 위치를 바꾸어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화된 짧은 포크와 긴 포크
- 청구항 1과 청구항 2에 있어서 포크(A)의 짧은 손잡이 끝단부에 수직으로 장착되는 원형봉축(圓形棒軸 : 4)은 스푼(B) 또는 포크(C)를 관통하여 나온 지점에서 꺽을 수 있도록 요철(凹凸)로 결합된 꺽임 구조(6)를 구비하고, 이 원형봉축에는 스푼(B) 또는 포크(C)를 관통하여 돌출한 부분에 원통형 스프링(7)을 장착하여 관리와 휴대 및 작동에 편리하도록 일체화된 포크와 스푼 또는 포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3089U KR200387900Y1 (ko) | 2005-02-01 | 2005-02-01 | 일체화(一體化)된 포크와 스푼 또는 포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5-0003089U KR200387900Y1 (ko) | 2005-02-01 | 2005-02-01 | 일체화(一體化)된 포크와 스푼 또는 포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87900Y1 true KR200387900Y1 (ko) | 2005-06-27 |
Family
ID=43689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5-0003089U KR200387900Y1 (ko) | 2005-02-01 | 2005-02-01 | 일체화(一體化)된 포크와 스푼 또는 포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87900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85551A (ko) * | 2019-01-07 | 2020-07-15 | 주식회사 윤진 | 스파게티용 집게 기능이 있는 다기능 포크 |
-
2005
- 2005-02-01 KR KR20-2005-0003089U patent/KR20038790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85551A (ko) * | 2019-01-07 | 2020-07-15 | 주식회사 윤진 | 스파게티용 집게 기능이 있는 다기능 포크 |
KR102193288B1 (ko) * | 2019-01-07 | 2020-12-22 | 주식회사 윤진 | 스파게티용 집게 기능이 있는 다기능 포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87112B2 (en) | Utensil with grip feature | |
AU2009100480A4 (en) | 5 in 1 eating utensil | |
US20150150396A1 (en) | Eating utensil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 |
WO2007103663A3 (en) | A multi-purpose eating utensil | |
CA2797793A1 (en) | Multipurpose eating utensil assembley | |
EP3691500A1 (en) | Camping utensil kit | |
USD530987S1 (en) | Fork | |
KR200387900Y1 (ko) | 일체화(一體化)된 포크와 스푼 또는 포크 | |
US20100301620A1 (en) | Multi-Function Chopsticks | |
KR101987621B1 (ko) | 칼날이 바닥면에 닿지 않는 주방용 가위 | |
USD501770S1 (en) | Can opener | |
CN205338752U (zh) | 折叠式砧板 | |
JPH0545272Y2 (ko) | ||
KR200368577Y1 (ko) | 다기능 스푼셋트 | |
KR200322251Y1 (ko) | 일체형 숟가락과 젓가락 겸용 수저 | |
KR200448117Y1 (ko) | 채칼 | |
CN201609282U (zh) | 一种筷子 | |
CN201299484Y (zh) | 防滑菜板 | |
CN201104731Y (zh) | 刺刀筷子 | |
USD541104S1 (en) | Grip for cooking utensils | |
JP3089366U (ja) | 挟む」「摘む」「刺す」「切る」「掬う」の5機能を併せ持ったユニバーサル食事用機器 | |
JP3141704U (ja) | 指掛けリング付き包丁 | |
KR910006716Y1 (ko) | 집게를 겸할수 있는 스프운과 포오크 | |
KR102035038B1 (ko) |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 | |
CN200957036Y (zh) | 一种折合式砧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426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