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117Y1 - 채칼 - Google Patents

채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117Y1
KR200448117Y1 KR2020070018580U KR20070018580U KR200448117Y1 KR 200448117 Y1 KR200448117 Y1 KR 200448117Y1 KR 2020070018580 U KR2020070018580 U KR 2020070018580U KR 20070018580 U KR20070018580 U KR 20070018580U KR 200448117 Y1 KR200448117 Y1 KR 2004481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groove
support arm
blad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85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894U (ko
Inventor
이겸수
Original Assignee
이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겸수 filed Critical 이겸수
Priority to KR20200700185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117Y1/ko
Publication of KR200900048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8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1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11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7/00Household peeling, stringing, or paring implements or machines
    • A47J17/02Hand devices for scraping or peeling vegetab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24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 B26D3/26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to obtain segments other than slices, e.g. cutting pies specially adapted for cutting fruit or vegetables, e.g. for on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채칼에 관한 것으로서, 직선상의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일단으로부터 상호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한 쌍의 분기부와; 상기 한 쌍의 분기부 중 일방의 종단으로부터 상기 파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연장 형성되고, 종단영역에는 지지공이 두께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제1지지암과; 상기 한 쌍의 분기부 중 타방의 종단으로부터 상기 지지암과 나란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지지공에 대향하는 영역에는 지지홈이 연부로부터 절취 형성되어 있는 제2지지암과; 개방홈이 연부로부터 절취 형성되어 있고 폐쇄홈이 상기 개방홈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판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딩판이 상기 개방홈과 상기 지지홈이 연통하는 폐쇄위치와 상기 폐쇄홈과 상기 지지홈이 연통하는 폐쇄위치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지지암에 결합되는 잠금부와; 통과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날바디부와 상기 통과개구에 대향하도록 상기 날바디부에 형성된 절단날과 상기 날바디부의 양단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축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지지축이 각각 상기 지지홈과 상기 개방홈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칼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칼날부만을 교체할 수 있고, 칼날 상호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채칼, 잠금부, 지지암, 파지부

Description

채칼{A chef's Knife}
도1 및 도2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채칼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채칼의 분해사시도,
도4 및 도5는 각각 도1에 도시된 잠금부의 동작상태도,
도6은 도1에 도시된 칼날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7은 종래의 채칼의 평면도,
도8은 종래 채칼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111 : 파지부 12, 112 : 분기부
13, 14, 113 : 지지암 15 : 스토퍼
20 : 잠금부 21 : 슬라이딩판
22 : 스프링지지리브 23 : 복귀스프링
24 : 가압편 30, 130, 140 : 칼날부
본 고안은 채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방에서 야채, 감자, 무, 당근 등의 음식재료를 다듬을 때 사용하는 칼에 관한 것이다.
야채, 감자, 무, 당근 등은 껍질을 벗기기나 잘게 썬 상태로 취식하거나 음식재료로 제공되는 바 이를 위해 채칼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7은 종래의 채칼의 평면도이고, 도8은 종래 채칼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채칼은,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상의 파지부(111)와, 파지부(111)의 일단으로부터 상호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한 쌍의 분기부(112)와, 각 분기부(112)의 종단으로부터 파지부(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지지암(113)과, 한 쌍의 지지암(113)에 결합된 감자칼날부(130)와, 분기부(112)와 지지암(113)에 부착된 무채칼날부(140)를 갖고 있다.
감자칼날부(130)는 한 쌍의 지지암(113)에 힌지 결합된 대략 장방형상의 감자칼날바디부(131)와, 한 쌍의 지지암(113)을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감자칼날바디부(131)에 형성된 감자칼날(132)을 갖고 있다.
감자칼날바디부(131)는 감자칼날(132)의 후방영역(파지부 측 영역)에 통과개구(131a)가 형성되어 있다.
무채칼날부(140)는 감자칼날부(130)의 후방영역에서 분기부(112)와 지지암(113)에 결합된 대략 오각형상의 무채칼날바디부(141)와, 무채칼날바디부(141)에 분산 형성된 다수의 무채칼날(142)을 갖고 있다.
무채칼날바디부(141)는 각 무채칼날(142)의 후방영역(파지부 측 영역)에 통과공(141a)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채칼을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무를 썰고자 할 때는 파지부(111)를 잡고 무채칼날(142)을 무에 접촉시킨다.
다음에 파지부(111)를 잡아당긴다.
파지부(111)를 잡아당기면 무채칼날(142)에 의해 무는 썰어지고, 썰어진 무조각은 통과공(141a)을 통과하면서 분리된다.
한편 감자의 껍질을 벗기고자 할 때는 파지부(111)를 잡고 감자칼날(132)을 감자에 접촉시킨다.
다음에 파지부(111)를 잡아당긴다.
파지부(111)를 잡아당기면 감자칼날(132)에 의해 감자껍질은 벗겨지고, 벗겨진 감자껍질은 통과개구(131a)를 통과하면서 분리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채칼은 2006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187호(고안의 명칭 : 다기능 야채칼)에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채칼에 따르면, 감자칼날부(130) 또는 무채칼날부(140)를 착탈가능하게 분리하는 구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감자칼날부(130) 또는 무채칼날부(140)만을 분리하여 교체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감자칼날(132)과 무채칼날(142)이 인접되어 있기 때문에 칼날상호간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감자의 껍질을 벗길 때 무채칼날에 의해 감자가 잘게 썰어질 염려가 있음)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칼날부만을 교체할 수 있고, 칼날 상호간의 간섭 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채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직선상의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일단으로부터 상호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한 쌍의 분기부와; 상기 한 쌍의 분기부 중 일방의 종단으로부터 상기 파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연장 형성되고, 종단영역에는 지지공이 두께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제1지지암과; 상기 한 쌍의 분기부 중 타방의 종단으로부터 상기 지지암과 나란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지지공에 대향하는 영역에는 지지홈이 하단으로부터 절취 형성되어 있는 제2지지암과; 개방홈이 하단으로부터 절취 형성되어 있고 폐쇄홈이 상기 개방홈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판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딩판이 상기 개방홈과 상기 지지홈이 연통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폐쇄홈과 상기 지지홈이 연통하는 폐쇄위치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지지암에 결합되는 잠금부와; 통과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날바디부와 상기 통과개구에 대향하도록 상기 날바디부에 형성된 절단날과 상기 날바디부의 양단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축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지지축이 각각 상기 지지홈과 상기 개방홈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칼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칼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잠금부의 구조를 간단해지도록, 상기 제2지지암은 상단에 전방턱과 후방턱을 갖는 스프링홈이 절취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스프링홈에 진입하도록 상기 슬라이딩판의 상기 분기부측 종단에 형성된 스프링지지리브와, 양단이 상기 스프링지지리브의 내표면과 상기 전방턱에 각각 지지되도록 설치된 복귀스 프링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칼날부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날바디부의 상측 영역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지지암으로부터 상기 제2지지암을 향해 돌출 형성된 스토퍼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슬라이딩판을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잠금부는 상기 슬라이딩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지지암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가압편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및 도2는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채칼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채칼의 분해사시도이고, 도4 및 도5는 각각 도1에 도시된 잠금부의 동작상태도이며, 도6은 도1에 도시된 칼날부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채칼은,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상의 파지부와, 파지부(11)의 일단으로부터 상호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한 쌍의 분기부(12)와, 각 분기부(12)의 종단으로부터 파지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연장 형성된 제1지지암(13) 및 제2지지암(14)과, 제2지지암(14)에 결합되는 잠금부(20)와, 제1지지암(13)과 제2지지암(14)에 결합된 칼날부(30)와, 제1지지암(13)에 형성된 스토퍼(15)를 갖고 있다.
제1지지암(13)은 종단영역에 지지공(13a)이 두께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제2지지암(14)은 지지공(13a)에 대향하는 영역에 지지홈(14a)이 하단으로부터 절취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지지암(14)은 상단에 스프링홈(14b)이 절취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스프링홈(14b)은 전방턱(14c)과 후방턱(14d)을 갖도록 형성된다.
잠금부(20)는 "U"자 형상 종단면을 갖는 슬라이딩판(21)과, 슬라이딩판(21)에 형성된 스프링지지리브(22)와, 스프링홈(14b)에 수용되도록 설치된 복귀스프링(23)과, 슬라이딩판(21)의 외측면(제1지지암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측면)으로부터 제1지지암(13)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판면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가압편(24)을 갖고 있다.
슬라이딩판(21)은 개방홈(21a)이 하단으로부터 절취 형성되어 있고, 폐쇄홈(21b)이 개방홈(21a)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판(21)은 하단에 한 쌍의 이탈방지돌기(21c)가 형성되어 있다. 이탈방지돌기(21c)는 제2지지암(14)에 결합된 슬라이딩판(21)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각 이탈방지돌기(21c)의 양측에는 절취홈(21d)이 형성되어 있다. 절취홈(21d)에 의해 슬라이딩판(21)을 제2지지암(14)에 결합한 후 이탈방지돌기(21c)를 절곡시킬 수 있게 된다.
스프링지지리브(22)는 스프링홈(14b)에 진입하도록 슬라이딩판(21)의 분기부측 종단에 형성된다.
복귀스프링(23)은 양단이 스프링지지리브(22)의 내표면과 전방턱(14c)에 각각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가압편(24)은 원기둥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잠금부(20)의 동작을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귀스프링(23)에 의해 슬라이딩판(21)은 초기에 폐쇄홈(21b)과 지지홈(14a)이 연통하는 폐쇄위치에 있게 된다.
다음에 가압편(24)을 제2지지암(14)의 자유단을 향해 가압하여 슬라이딩판(21)을 이동시킨다.
여기서 가압편(24)의 가압동작은 슬라이딩판(21)이 개방홈(21a)과 지지홈(14a)이 연통하는 개방위치에 도달하도록 이루어진다(도4 참조).
슬라이딩판(21)이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복귀스프링(23)에는 탄성력이 축적된다.
그리고 가압편(24)에 대한 가압동작을 해제하면 복귀스프링(23)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딩판(21)은 폐쇄위치로 이동하게 된다(도5 참조).
칼날부(30)는 대략 장방형상의 칼날바디부(31)와, 제1지지암(13)과 제2지지암(14)을 연결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칼날바디부(31)에 형성된 칼날(32)과, 칼날바디부(31)의 양단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축(33)을 갖고 있다.
칼날바디부(31)는 칼날(32)의 후방영역(파지부 측 영역)에 통과개구(31a)가 형성되어 있다. 칼날바디부(31)의 상면에는 보호커버(16)가 결합되어 있다.
칼날(32)은 통과개구(31a)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칼날부(30)는 칼날 기능(써는 기능, 껍질벗기는 기능)과 형태(써는 기능을 공유하면서 썰어지는 조각의 크기가 달라지도록 형태를 변경함)를 달리하여 세트로 준비할 수 있다(도6 참조).
그리고 칼날부(30)는 음식재료에 맞추어 하나를 선택한 다음,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설치된다.
먼저 슬라이딩판(21)을 개방위치로 이동시킨다(도4 참조).
다음에 한 쌍의 지지축(33)을 지지공(13a)과 지지홈(14a)에 각각 삽입한다(도4 참조).
다음에 슬라이딩판(21)을 폐쇄위치로 이동시킨다(도5 참조).
스토퍼(15)는 칼날바디부(31)의 상측 영역에 배치되도록 제1지지암(13)으로부터 제2지지암(14)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채칼을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감자의 껍질을 벗기기 위한 칼날부(30)가 제1지지암(13)과 제2지지암(14)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파지부(11)를 잡고 칼날(32)을 감자에 접촉시킨다.
다음에 파지부(11)를 잡아당긴다.
파지부(11)를 잡아당기면 칼날(32)에 의해 감자껍질은 벗겨지고, 벗겨진 감자껍질은 통과개구(31a)를 통과하면서 분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지지암(14)의 하단으로부터 절취하여 지지홈(14a)을 형성하는 한편 지지홈(14a)에 대한 칼날부(30)의 지지상태를 해제하고 잠금할 수 있는 잠금부(20)를 마련함으로써, 칼날부(30)만을 교체할 수 있고, 칼날 상호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2지지암(14)에 스프링홈(14b)을 형성하고 스프링홈(14b)을 이용하여 잠금부(20)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잠금부(20)의 구조가 간단해진다.
또한 제1지지암(13)에 스토퍼(15)를 형성함으로써, 칼날부(30)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칼날(32)에 의해 상처를 입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압편(24)을 포함하도록 잠금부(20)를 구성함으로써, 슬라이딩판(21)을 용이하게 가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제2지지암에 하단으로부터 절취하여 지지홈을 형성하는 한편 지지홈에 대한 칼날부의 지지상태를 해제하고 잠금할 수 있는 잠금부를 마련함으로써, 칼날부만을 교체할 수 있고, 칼날 상호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삭제
  2. 직선상의 파지부와;
    상기 파지부의 일단으로부터 상호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한 쌍의 분기부와;
    상기 한 쌍의 분기부 중 일방의 종단으로부터 상기 파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연장 형성되고, 종단영역에는 지지공이 두께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제1지지암과;
    상기 한 쌍의 분기부 중 타방의 종단으로부터 상기 지지암과 나란하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지지공에 대향하는 영역에는 지지홈이 하단으로부터 절취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 전방턱과 후방턱을 갖는 스프링홈이 절취 형성되어 있는 제2지지암과;
    개방홈이 하단으로부터 절취 형성되어 있고 폐쇄홈이 상기 개방홈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딩판과 상기 스프링홈에 진입하도록 상기 슬라이딩판의 상기 분기부측 종단에 형성된 스프링지지리브와 양단이 상기 스프링지지리브의 내표면과 상기 전방턱에 각각 지지되도록 설치된 복귀스프링을 가지고, 상기 슬라이딩판이 상기 개방홈과 상기 지지홈이 연통하는 개방위치와 상기 폐쇄홈과 상기 지지홈이 연통하는 폐쇄위치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지지암에 결합되는 잠금부와;
    통과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날바디부와 상기 통과개구에 대향하도록 상기 날바디부에 형성된 절단날과 상기 날바디부의 양단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축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지지축이 각각 상기 지지홈과 상기 개방홈에 삽입되도록 설치되는 칼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날바디부의 상측 영역에 배치되도록 상기 제1지지암으로부터 상기 제2지지암을 향해 돌출 형성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슬라이딩판의 외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지지암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가압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채칼.
KR2020070018580U 2007-11-19 2007-11-19 채칼 KR2004481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580U KR200448117Y1 (ko) 2007-11-19 2007-11-19 채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8580U KR200448117Y1 (ko) 2007-11-19 2007-11-19 채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894U KR20090004894U (ko) 2009-05-22
KR200448117Y1 true KR200448117Y1 (ko) 2010-03-18

Family

ID=41300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8580U KR200448117Y1 (ko) 2007-11-19 2007-11-19 채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11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0768Y1 (ko) * 2011-12-30 2014-01-27 대한민국 과수나무 주간용 환상박피 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9002A (ja) * 1989-10-13 1991-06-03 Kazuo Naka 端部をジグソー形状とした鉄道用レール
KR20090021237A (ko) * 2007-08-25 2009-03-02 도명환 다용도 채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9002A (ja) * 1989-10-13 1991-06-03 Kazuo Naka 端部をジグソー形状とした鉄道用レール
KR20090021237A (ko) * 2007-08-25 2009-03-02 도명환 다용도 채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894U (ko) 200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5882B2 (en) Low-waste peeler
US6619194B1 (en) Omni-bearing peeler
US20100000423A1 (en) Peeling apparatus
KR200448117Y1 (ko) 채칼
EP3184006B1 (en) Food processing device
WO2010021466A1 (ko) 식재료 절단용 가위
US5893596A (en) Kitchen utensil
KR100576240B1 (ko) 국자
EP1401309B1 (en) A garlic cutter
JP5613355B1 (ja) 切込み刃を備えた調理器具
JP3189679U (ja) 切込み刃を備えた調理器具
JP3190072U (ja) 切込み刃を備えた調理器具
KR102173967B1 (ko) 과채 절단기
JP4669078B1 (ja) 野菜おろし器とおろし補助板フック
US20130206622A1 (en) Sleeve including a storage tray
KR200405930Y1 (ko) 절단용 주방용구
JP3111491U (ja) 調理補助具
JP6209701B2 (ja) 切込み刃を備えた調理器具
JP2004073310A (ja) 料理用鋏
KR200381162Y1 (ko) 칼 겸용 가위
CN106625787B (zh) 一种多功能剪刀
KR100674489B1 (ko) 칼 겸용 가위
CN207415441U (zh) 一种薯条切割器
KR200227093Y1 (ko) 마늘 절단기
KR200402950Y1 (ko) 조리용 칼의 가이드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