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315U - 일체형 수저 - Google Patents

일체형 수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315U
KR20140005315U KR2020130002508U KR20130002508U KR20140005315U KR 20140005315 U KR20140005315 U KR 20140005315U KR 2020130002508 U KR2020130002508 U KR 2020130002508U KR 20130002508 U KR20130002508 U KR 20130002508U KR 20140005315 U KR20140005315 U KR 201400053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chopstick
chopsticks
projection
distal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5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용
이상석
Original Assignee
이원용
이상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용, 이상석 filed Critical 이원용
Priority to KR20201300025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5315U/ko
Priority to PCT/KR2014/001922 priority patent/WO2014163303A1/ko
Publication of KR201400053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31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체형 수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숟가락과 젓가락의 중단부에 원통형상의 회전축 돌기와 삽입홀을 구비한 결합부를 형성하여 숟가락과 젓가락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숟가락의 오목부와 젓가락의 집게부를 일체화된 곡선 모양으로 만들어서 동시에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일체형 수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숟가락과 젓가락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서 노약자나 어린이 등이 음식을 먹는데 편리하며,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젓가락이 과도하게 벌어짐으로써 발생되는 불편을 덜 수 있다.
또한 손가락 끼움부에 손가락을 끼워 젓가락을 사용하므로 사용자는 음식물을 수월하게 집을 수 있다.
또한 숟가락과 젓가락의 측면이 완전히 밀착되므로 젓가락으로 사용시 옆으로 비틀어지지 않아 음식물을 떨어뜨릴 염려가 없으며, 나물류와 같이 가늘고 긴 형태의 음식을 집을 때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일체형 수저{INTEGRATED SPOON}
본 고안은 일체형 수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숟가락과 젓가락의 중단부에 원통형상의 회전축 돌기와 삽입홀을 구비한 결합부를 형성하여 숟가락과 젓가락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숟가락의 오목부와 젓가락의 집게부를 일체화된 곡선 모양으로 만들어서 동시에 사용가능하도록 하는 일체형 수저에 관한 것이다.
숟가락과 젓가락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야외에서 식사를 하거나 단체로 행사를 하는 경우에는 일일이 수저를 배치하는 것이 어려울 때가 있다.
특히 젓가락질이 서툰 어린아이들은 젓가락을 잃어버리거나 땅에 떨어뜨리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떨어진 젓가락을 다시 씻거나 아니면 새로 수저를 가져다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런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숟가락과 젓가락을 일체형으로 만든 기술들이 개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일체형 수저의 사시도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일체형 수저(100)는 숟가락(110)과 젓가락(120)이 하나로 결합되어 있는 형상을 가지며, 숟가락(110)은 길쭉한 형상의 숟가락 손잡이(114)와 오목부(112)로 이루어진다.
오목부(112)는 손잡이(114)의 말단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대략 반타원의 형상으로 제작된다. 반타원의 곡선부는 통상적인 숟가락과 같이 곡선형태이지만, 반대편은 직선에 가까운 형태(직선부)를 띠어 젓가락과 접촉하게 된다.
젓가락(120)은 음식물과 접촉하는 집게부(122)와 집게부에서 타측으로 길게 연장된 연장부(124)로 구성된다.
연장부(124)의 일측면에는 원형의 고리(126)가 부착되는데, 고리(126)는 통상적인 사람의 검지손가락이 끼워질 수 있을 정도의 지름을 가진다.
연장부(124)의 끝단에는 힌지(128)가 형성되어 숟가락(110)과 결합되는데, 젓가락(120)은 힌지(128)를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 범위내에서 회전한다.
사용자는 젓가락(120)을 숟가락(110)의 오목부(112) 및 손잡이(114)와 나란히 붙인 상태에서 숟가락(110)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젓가락(120)을 좌우로 회전시키면서 음식물을 집을 수 있게 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수저(100)는 젓가락이 힌지(128)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는데, 비교적 길쭉한 형태의 젓가락(120)이 끝부분의 힌지(128) 하나에만 고정되어 있어서 젓가락(120)이 회전하는 도중에 아래위로 흔들리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음식물을 집을 때 젓가락(120)이 숟가락 오목부(112)의 직선부와 접촉하지 않고 비틀어져 음식물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KR 20-2010-0004268 U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숟가락과 젓가락의 중단부에 원통형상의 회전축 돌기와 삽입홀을 구비한 결합부를 형성함으로써, 숟가락과 젓가락을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젓가락의 회전시에 옆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일체형 수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젓가락의 말단부에 손가락 끼움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시 조작이 편리한 일체형 수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음식을 집는 말단 부위를 숟가락 쪽으로 약간 절곡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손목을 과도하게 꺽지 않아도 음식을 쉽게 잡을 수 있도록 하는 일체형 수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은,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오목부와 손잡이로 이루어진 숟가락과, 젓가락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일체형 수저로서, 상기 숟가락은 상기 오목부와 상기 손잡이 사이에 형성된 숟가락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젓가락은 일단에 형성된 집게부와, 타단에 형성된 젓가락 말단부와, 상기 집게부와 상기 말단부 사이에 형성된 젓가락 결합부와, 상기 말단부에 체결되는 손가락 끼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젓가락 결합부의 결합면 중앙부에는 원통 형상의 회전축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숟가락 결합부의 결합면 중앙부에는 상기 회전축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의 삽입홀이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숟가락 결합부의 결합면 중앙부에는 원통형상의 회전축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젓가락 결합부의 결합면 중앙부에는 상기 회전축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형상의 삽입홀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숟가락과 상기 젓가락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젓가락이 상기 숟가락과 결합된 상태에서 일정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 돌기 외주면에는 사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 내주면에는 사이드 홈이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 홈의 폭은 상기 사이드 돌기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게부의 끝에는 상기 숟가락 방향으로 10° 내지 30°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숟가락과 젓가락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어서 노약자나 어린이 등이 음식을 먹는데 편리하며,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젓가락이 과도하게 벌어짐으로써 발생되는 불편을 덜 수 있다.
또한 손가락 끼움부에 손가락을 끼워 젓가락을 사용하므로 사용자는 음식물을 수월하게 집을 수 있다.
또한 숟가락과 젓가락의 측면이 완전히 밀착되므로 젓가락으로 사용시 옆으로 비틀어지지 않아 음식물을 떨어뜨릴 염려가 없으며, 나물류와 같이 가늘고 긴 형태의 음식을 집을 때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일체형 수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수저의 사시도.
도 3은 도 2를 반대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일체형 수저의 젓가락의 사시도.
도 5는 젓가락 끼움부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일체형 수저의 숟가락의 사시도.
도 7은 일체형 수저의 숟가락과 젓가락의 결합구조를 보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숟가락과 젓가락이 최대로 벌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수저의 사시도.
도 9b는 도 9a의 분해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일체형 수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의 사시도, 도 3은 도 2를 반대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종래 일체형 수저(100: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수저(200)의 구조상 차이점을 대략적으로 살펴본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일체형 수저(100)는 숟가락(110)과 젓가락(120)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숟가락(110)은 끝 부분에 음식을 담을 수 있게 납작하고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부(112)와, 오목부(112) 일측에서 길게 연장되는 손잡이(114)로 구성되며, 젓가락(120)은 음식물과 접촉하는 집게부(122)와, 집게부(122)에서 타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124)와, 연장부(124) 일측에 형성된 고리(126)로 구성된다. 한편 연장부(124)의 끝단에 형성된 힌지(126)에 의해 젓가락과 숟가락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수저(200)는 종래기술과 같이 숟가락(210)과 젓가락(22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데, 다만 숟가락(210)은 오목부와 손잡이 사이에 형성된 숟가락 결합부(214)를 더 포함하며, 젓가락(220)은 일단에 형성된 집게부(222)와, 타단에 형성된 말단부(226)와, 집게부(222)와 말단부(226) 사이에 형성된 젓가락 결합부(224)와, 말단부(226)에 체결되는 손가락 끼움부(2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종래기술과 차이가 있다.
즉 본 고안의 일체형 수저(200)는 종래기술(10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는 점에서 일치하나, 숟가락(210)과 젓가락(220)의 결합부 위치가 다르며 그에 따라 결합부의 구성이나 작동원리에 차이가 발생한다. 또한 손가락 끼움부(228)의 위치나 체결구조에 있어서도 차이가 존재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 효과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는 일체형 수저의 젓가락의 사시도, 도 5는 손가락 끼움부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일체형 수저의 숟가락의 사시도, 도 7은 일체형 수저의 숟가락과 젓가락의 결합구조를 보이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숟가락과 젓가락이 최대로 벌어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젓가락(220)은 집게부(222), 젓가락 결합부(224), 말단부(2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집게부(222)는 음식물을 집을 때 음식물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집게부(222)의 끝에는 숟가락 방향으로 10° 내지 30° 절곡된 절곡부(222a)가 형성된다. 절곡부(222a)는 오른손잡이를 기준으로 하여 사용자 쪽으로 젓가락(220)이 절곡되도록 하여 음식을 집을 때, 과도하게 손목을 꺽어야 하는 불편이 생기지 않도록 해준다. 절곡부(222a)의 절곡된 각도는 20°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젓가락 결합부(224)는 젓가락 결합면(224c)의 중앙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회전축 돌기(224a)와 사이드 돌기(224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숟가락 결합부(214)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젓가락 결합부(224)는 결합면(224c)을 위쪽 방향으로 하였을 때 대략 ┗━┛형태를 가지며, 절곡되어 형성된 면인 젓가락 결합면(224c)에 숟가락 결합부(214)가 안착된다. 그 결과 젓가락(220)과 숟가락(21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젓가락(220)의 집게부(222)는 숟가락(210)의 오목부(212) 측면과 접촉하게 되고 서로 어긋나지 않게 된다. 또한 외관상으로도 숟가락(210)과 젓가락(220)의 일체감을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 젓가락 결합부(224)와 숟가락 결합부(214)는 서로 대응되는 부분이므로 다 같이 ┗━┛형태를 가지거나, 둘 중 하나만 ┗━┛형태를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다.
회전축 돌기(224a)는 숟가락의 삽입홀(214a)에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을 띠며, 외주면에는 숟가락의 사이드 홈(214b)에 삽입될 수 있도록 사이드 돌기(224b)가 형성된다. 여기서 사이드 돌기(224b)는 등 간격으로 두 개 내지 세 개로 형성됨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젓가락 말단부(226)에 체결되는 손가락 끼움부(228)는 고리(228a)와, 고리(228)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리 체결부(228b)와, 고리 체결부(228b)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체결홀(228c)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젓가락의 말단부(226)의 끝단에는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 말단돌기(226a)가 형성된다.
말단돌기(226a)는 고리체결부(228b)의 체결홀(228c)에 삽입되는데, 이 과정에서 체결홀(228c) 내주면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돌기(228d)가 말단돌기(226a) 일측에 형성된 고정홈(226b)에 끼워지게 된다. 말단돌기(226a)의 끝단에 형성된 돌기턱(226c)은 말단 돌기(226a)에 체결된 고리 체결부(228b)가 쉽게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
고정돌기(228d)가 고정홈(226b)에 끼워짐으로써 손가락 끼움부(228)는 말단부(226)에 체결된 상태에서 좌우로 회전하지 않고 말단부(226)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젓가락으로 사용할 때 손가락이 상하로 움직이면서 고리(228a)가 옆으로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손가락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안정감을 줄 수 있다.
고리(228a)는 손가락을 끼우는 부분이므로 원형이 바람직하며, 손가락을 끼웠을 때 느낌이나 조작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고무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숟가락(210)은 오목부(212), 손잡이(216) 및 숟가락 연결부(214)를 포함한다.
오목부(212)는 일반적인 숟가락에서 음식을 담는 부분과 유사하게 타원형으로 형성되지만, 일측이 대략 직선형상으로 깍여있는 형태가 된다. 직선형상의 측면은 젓가락(220)의 집게부(222)가 접촉하면서 음식물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한다.
손잡이(216)는 숟가락 연결부(214)에서 오목부(212)의 반대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손잡이(216) 일측면에는 수저(200)를 사용할 때 엄지 손가락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요철부(218)가 형성된다.
그리고 손잡이(210)의 일단에는 수저를 조리기구 걸이에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작은 홀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젓가락 말단부(226)가 수용될 수 있도록 절곡된 구조가 형성된다.
숟가락 결합부(214)는 숟가락 결합면(214c)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삽입홀(214a)과, 삽입홀(214a) 내주면의 일측에 형성되는 사이드 홈(214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삽입홀(214a)에는 젓가락 연결부(224)의 회전축 돌기(224a)가 삽입되는데 이때 숟가락 결합면(214C)은 젓가락 결합면(224C)과 접촉된다. 젓가락(220) 회전시 젓가락 연결부(224)는 숟가락 연결부(214)와 동일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숟가락 결합면(214c) 위에서 회전하게 된다.
젓가락 연결부(224)가 약간만 회전을 한 경우에도 젓가락(220)이 비교적 길기 때문에 집게부(222)의 끝부분과 오목부(212)의 끝부분 사이에는 비교적 큰 틈이 생기게 된다.
한편 회전축 돌기(224a)가 삽입홀(214a)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젓가락 결합부(224)의 사이드 돌기(224b)는 사이드 홈(214b)에 삽입된다. 이때 사이드 홈(214b)의 폭은 사이드 돌기(224b)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삽입된 상태에서 젓가락(220)이 회전축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젓가락(220)은 일정 각도만큼 회전한 후에는 사이드 돌기(224b)가 사이드 홈(214b)에 구속되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젓가락 말단부(226)에 위치한 손가락 끼움부(228)는 손가락을 끼우지 않은 상태에서도 항상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거리에 위치하게 되고, 숟가락을 잠시 놓은 상태에서 다시 사용하고자 할 때 손가락을 바로 손가락 끼움부(228)에 끼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젓가락(220)이 과도하게 벌어져 발생되는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회전축 돌기(224a)가 삽입홀(214a)에 삽입되면 회전축 돌기(224a)의 중앙에 형성된 정공(미도시)에 마개(224d)가 삽입된다. 마개(224d)는 젓가락(220)과 숟가락(21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9a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수저의 사시도, 도 9b는 도 9a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수저(300)는 숟가락(310)과 젓가락(32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숟가락(310)은 오목부(312), 숟가락 결합부(314) 및 손잡이(316)를 포함하며, 젓가락(320)은 집게부(322), 젓가락 결합부(324) 및 말단부(326)를 포함한다.
숟가락(310)의 오목부(312)와 손잡이(316) 및 젓가락(320)의 집게부(322)와 말단부(326)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수저(200)와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한다.
숟가락 결합부(314)는 결합면의 중앙부에 돌출되어 형성된 원통형상의 회전축 돌기(314a)와 회전축 돌기(314a)의 외주면에 형성된 사이드 돌기(314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젓가락 결합부(324)는 결합면의 중앙부에 형성된 삽입홀(324a)과 삽입홀(324a) 내주면에 형성된 사이드 홈(324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숟가락 결합부(314)의 회전축 돌기(314a)는 젓가락(320)의 삽입홀(324a)에 삽입되며, 이 과정에서 사이드 돌기(314b)는 사이드 홈(324b)에 삽입된다. 이때 사이드 홈(324b)의 폭은 사이드 돌기(314b)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젓가락(320)은 숟가락(31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결합된 상태에서 동일한 회전축을 따라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정한 각도만큼만 회전하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일체형 수저 210: 숟가락
212: 오목부 214: 숟가락 결합부
216: 손잡이 220: 젓가락
222: 집게부 224: 젓가락 결합부
226: 말단부 228: 손가락 끼움부

Claims (6)

  1.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오목부(212)와 손잡이(216)로 이루어진 숟가락(210)과, 젓가락(22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일체형 수저(200)로서,
    상기 숟가락(220)은 상기 오목부(212)와 상기 손잡이(216) 사이에 형성되는 숟가락 결합부(21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젓가락(220)은 일단에 형성되는 집게부(222)와, 타단에 형성되는 젓가락 말단부(226)와, 상기 집게부(222)와 상기 말단부(226) 사이에 형성되는 젓가락 결합부(224)와, 상기 말단부(226)에 체결되는 손가락 끼움부(228)를 포함하며,
    상기 젓가락 결합부(224)의 결합면 중앙부에는 원통 형상의 회전축 돌기(224a)가 형성되고, 상기 숟가락 결합부(214)의 결합면 중앙부에는 상기 회전축 돌기(224a)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의 삽입홀(214a)이 형성되어, 상기 숟가락(210)과 상기 젓가락(22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수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젓가락(220)이 상기 숟가락(210)과 결합된 상태에서 일정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 돌기(224a) 외주면에는 사이드 돌기(224b)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214a) 내주면에는 사이드 홈(214b)이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 홈(214b)의 폭은 상기 사이드 돌기(224b)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수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222)의 끝에는 상기 숟가락(210) 방향으로 10° 내지 30° 절곡된 절곡부(22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수저.
  4.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오목부(312)와 손잡이(316)로 이루어진 숟가락(310)과, 젓가락(32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일체형 수저(300)로서,
    상기 숟가락(310)은 상기 오목부(312)와 상기 손잡이(316) 사이에 형성되는 숟가락 결합부(314)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젓가락(320)은 일단에 형성되는 집게부(322)와, 타단에 형성되는 젓가락 말단부(326)와, 상기 집게부(322)와 상기 말단부(326) 사이에 형성되는 젓가락 결합부(324)와, 상기 말단부(326)에 체결되는 손가락 끼움부(328)를 포함하며,
    상기 숟가락 결합부(314)의 결합면 중앙부에는 원통 형상의 회전축 돌기(314a)가 형성되고, 상기 젓가락 결합부(324)의 결합면 중앙부에는 상기 회전축 돌기(314a)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통 형상의 삽입홀(324a)이 형성되어, 상기 숟가락(310)과 상기 젓가락(32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수저.
  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젓가락(320)이 상기 숟가락(310)과 결합된 상태에서 일정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 돌기(324a) 외주면에는 사이드 돌기(324b)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314a) 내주면에는 사이드 홈(314b)이 형성되며,
    상기 사이드 홈(314b)의 폭은 상기 사이드 돌기(324b)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수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322)의 끝에는 상기 숟가락(310) 방향으로 10° 내지 30° 절곡된 절곡부(322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수저.
KR2020130002508U 2013-04-04 2013-04-04 일체형 수저 KR20140005315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508U KR20140005315U (ko) 2013-04-04 2013-04-04 일체형 수저
PCT/KR2014/001922 WO2014163303A1 (ko) 2013-04-04 2014-03-10 일체형 수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508U KR20140005315U (ko) 2013-04-04 2013-04-04 일체형 수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315U true KR20140005315U (ko) 2014-10-14

Family

ID=51658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508U KR20140005315U (ko) 2013-04-04 2013-04-04 일체형 수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40005315U (ko)
WO (1) WO201416330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232A (ko) * 2017-11-27 2019-06-05 문현만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
KR20200085550A (ko) 2019-01-07 2020-07-15 주식회사 윤진 국수용 집게 기능이 있는 다기능 숟가락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6614U (ko) * 1993-12-07 1995-07-20 이현수 젓가락겸용 숟가락
KR200233444Y1 (ko) * 2000-12-08 2001-09-25 이장우 소아 식사용 젓가락
KR101081909B1 (ko) * 2004-03-31 2011-11-09 주식회사 영우 젓가락
KR200399002Y1 (ko) * 2005-07-28 2005-10-18 김성덕 숟가락 겸용 젓가락
KR20100004268U (ko) * 2008-10-16 2010-04-26 이원용 일체형 수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232A (ko) * 2017-11-27 2019-06-05 문현만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
KR20200085550A (ko) 2019-01-07 2020-07-15 주식회사 윤진 국수용 집게 기능이 있는 다기능 숟가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63303A1 (ko) 2014-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0887B1 (ko) 젓가락
JP2008520334A (ja) 飲食物挟持具
KR20140005315U (ko) 일체형 수저
US20130098933A1 (en) Food container assembly
US20050034257A1 (en) Support for interdental brushes and similar instruments for oral hygiene
KR100720828B1 (ko) 집게형 젓가락
CA2729354C (en) Adjustable, rotational, spoon and fork utensil
KR200469596Y1 (ko) 트레이닝 젓가락
KR200359824Y1 (ko) 젓가락
KR200377102Y1 (ko) 집게형 젓가락
US20180055258A1 (en) Finger-mountable utensils and related methods
US9636281B2 (en) Bottle holder
KR102035038B1 (ko)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
KR20130105481A (ko) 락킹수단을 갖는 젓가락
KR20180080414A (ko)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KR20100004268U (ko) 일체형 수저
CN219920797U (zh) 矫正筷
KR100693015B1 (ko) 젓가락
KR20140000663U (ko) 일체형 수저
KR20110102104A (ko) 학습 교정용 젓가락
KR200174546Y1 (ko) 주방용 집게.
KR20100006242A (ko) 개량형 젓가락
KR101378515B1 (ko) 트레이닝 젓가락
KR20140031605A (ko) 학습용 젓가락
CN217013494U (zh) 一种儿童训练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