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1605A - 학습용 젓가락 - Google Patents

학습용 젓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1605A
KR20140031605A KR1020120098115A KR20120098115A KR20140031605A KR 20140031605 A KR20140031605 A KR 20140031605A KR 1020120098115 A KR1020120098115 A KR 1020120098115A KR 20120098115 A KR20120098115 A KR 20120098115A KR 20140031605 A KR20140031605 A KR 20140031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groove
chopsticks
elastic
le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8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제헌
Original Assignee
한제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제헌 filed Critical 한제헌
Priority to KR1020120098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1605A/ko
Publication of KR20140031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6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용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스틱과 이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되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 탄성모드와 힌지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탄력연결부로 이루어지는 학습용 젓가락을 구성함으로써 연령대 또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적절한 모드를 선택하여 젓가락질 학습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학습용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젓가락을 구성하는 한 쌍의 스틱과; 상기 분리된 한 쌍의 스틱 상부 일측 간을 연결하되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탄력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한 쌍의 스틱은 탄력연결부의 일측 단부와 결합되는 지지스틱과, 상기 탄력연결부의 타측 단부와 결합하되 탄력연결부의 슬라이딩에 이동에 따라 강제끼움결합 및 힌지결합을 선택적으로 형성시키는 회동스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탄력연결부는 지지스틱과 결합하는 지지스틱결합부와, 회동스틱과 결합하는 회동스틱결합부 및 상기 지지스틱결합부와 회동스틱결합부 간을 연결하며 회동스틱의 회동에 따라 탄력적으로 일정부분 접혀지거나 복원되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학습용 젓가락{Chopstick for Learning}
본 발명은 학습용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스틱과 이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되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 탄성모드와 힌지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탄력연결부로 이루어지는 학습용 젓가락을 구성함으로써 연령대 또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적절한 모드를 선택하여 젓가락질 학습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학습용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음식물을 섭취하기 위하여 포크, 나이프, 젓가락, 숟가락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손으로 직접 음식물을 집어 먹는 것에 비해 위생적인 생활을 영위해 왔다.
상기 음식물을 섭취하는 도구 중 젓가락은 아시아 지역에서 많이 사용하며 특히 한국과 일본, 중국에서 주로 사용하였다.
상기 젓가락의 사용방법은 한쪽 손으로 젓가락을 잡았을 때 상기 엄지의 둘째 마디와 약지에 아래쪽에 위치하는 젓가락을 지지하고, 엄지의 첫째 마디와 인지와 중지를 이용하여 위쪽에 위치한 젓가락을 지지하여 안정되게 음식물을 집어 올려 섭취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젓가락 사용방법은 유아들이 일반적인 젓가락을 통해 습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처음 젓가락을 사용할 때 올바른 사용법을 배우지 않으면 잘못된 젓가락 사용법이 습관화되어 올바른 젓가락질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교정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올바른 젓가락 사용을 유도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학습용 젓가락이 개시되고 있으나, 형태에 따른 적절 연령층이 한정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발생된다.
즉 유아의 경우에는 손가락 사용이 서툴러 눌렀다 폈다하는 동작만으로 젓가락질이 이루어지도록 학습용 젓가락이 형성되어야 하며 어린이의 경우 이보다 난이도가 높은 형태로 손가락을 굽혔다 폈다하는 동작으로 젓가락질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유아에게는 유아에 맞는 학습용 젓가락이 필요하고, 어린이에게는 어린이에 맞는 학습용 젓가락이 필요하여 구입비용의 증가와 사용시 선택의 번거로움이 발생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지지스틱과 회동스틱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 스틱과 이를 탄력적으로 연결하되 사용자의 연령에 따라 탄성모드와 힌지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는 탄력연결부로 이루어지는 학습용 젓가락을 구성함으로써 연령대 또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적절한 모드를 선택하여 젓가락질 학습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학습용 젓가락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젓가락을 구성하는 한 쌍의 스틱과; 상기 분리된 한 쌍의 스틱 상부 일측 간을 연결하되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탄력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한 쌍의 스틱은 탄력연결부의 일측 단부와 결합되는 지지스틱과, 상기 탄력연결부의 타측 단부와 결합하되 탄력연결부의 슬라이딩에 이동에 따라 강제끼움결합 및 힌지결합을 선택적으로 형성시키는 회동스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탄력연결부는 지지스틱과 결합하는 지지스틱결합부와, 회동스틱과 결합하는 회동스틱결합부 및 상기 지지스틱결합부와 회동스틱결합부 간을 연결하며 회동스틱의 회동에 따라 탄력적으로 일정부분 접혀지거나 복원되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지지스틱결합부는 지지스틱의 외연을 일정부분 감싸도록 일측이 절개되어 개방되며 상,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회동스틱결합부는 회동스틱의 외연을 일정부분 감싸도록 일측이 절개되어 개방되며 상,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동스틱결합부의 내측 상, 하부 벽면에는 회동스틱의 홈부에 형상적으로 대응되어 결합되는 돌출부가 내측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동스틱의 홈부는 회동스틱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2개소가 형성되며 상기 2개소의 홈부 간을 연결하는 홈로가 더 형성되며, 상기 2개소의 홈부는 회동스틱결합부의 돌출부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는 힌지홈부와, 상기 힌지홈부로부터 일정간격 하부측으로 이격된 지점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되 홈부 일측벽이 일정부분 돌출되어 이와 결합하는 돌출부를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강제끼움홈부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힌지홈부와 강제끼움홈부 및 이를 연결하는 홈로의 외측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이들의 외측을 일정부분 에워싸는 탄성홈로가 더 형성되며, 상기 강제끼움홈부와 상기 탄성홈로 상에는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홈로가 더 형성되며, 상기 회동스틱의 강제끼움홈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의 상부면상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스틱결합부의 하단부 상부측에는 상기 끼움돌기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는 끼움절개홈이 형성되어 회동스틱결합부의 돌출부가 강제끼움홈부에 위치될 경우 상기 끼움절개홈이 끼움돌기에 끼움결합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회동스틱 또는 지지스틱 중 어느 하나의 하단부는 포크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른 어느 하나의 하단부는 내측벽에 목적물 파지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파지돌기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이하게 젓가락질 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어 유아 또는 어린이는 물론 젓가락질에 서툰 외국인의 경우에도 손쉽게 젓가락질을 할 수 있고 배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력연결부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탄력연결부가 회동스틱과 힌지결합 또는 고정결합으로 이루어져 연령대 또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결합상태를 선택할 수 있다.
아울러 지지스틱 또는 회동스틱 중 일측 하단부에는 포크형상으로 이루어져 목적물을 쉽게 포킹하여 집어 올릴 수 있으며, 타측 하단부 내측벽에는 내측방향으로 파지돌기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젓가락질 수행시 보다 용이하게 목적물을 파지할 수 있으며, 두부와 같은 미끄러운 음식물의 파지도 훨씬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젓가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회동스틱과 탄력연결부 간의 결합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스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력연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젓가락에 대해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학습용 젓가락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회동스틱과 탄력연결부 간의 결합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스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탄력연결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젓가락(100)은 크게 젓가락을 구성하는 한 쌍의 스틱(10)과, 상기 분리된 한 쌍의 스틱(10)에서 상부 일측 간을 연결하되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탄력연결부(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스틱(10)은 젓가락을 구성하여 사용자가 특정 목적물을 파지하도록 구비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스틱(10)에는 이들 간을 탄력적으로 연결하는 탄력연결부(20)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이러한 탄력연결부(20)와 스틱(10) 간의 연결구성인데, 탄력연결부(20)와 회동스틱(12) 간이 결합시 상, 하로 일정 길이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고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 힌지모드 또는 강제끼움모드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모드는 탄력연결부(20)와 회동스틱(12)이 힌지결합되어 회동스틱(12)의 힌지 회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며, 강제끼움모드는 탄력연결부(20)와 회동스틱(12)이 강제끼움방식으로 결합되어 회동스틱(12)이 탄력연결부(20)의 탄성력만으로 회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힌지모드 및 강제끼움모드는 각각 학습용 젓가락으로서 장단점이 있는데, 힌지모드의 경우 사용자의 작은 힘으로도 회동스틱(12)의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어느 정도 정확한 젓가락 그리핑이 이루어지고 해당 손가락의 운동이 이루어져야 젓가락질이 원활해지는 단점이 있어 그리핑이 어려운 유아 등이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모드이며 유아 보다 성장한 어린이가 사용하기에 적합한 모드이다. .
아울러 강제끼움모드는 탄력연결부(20)의 탄성력만으로 회동스틱(12)의 회동이 이루어져 젓가락질 수행시 가해지는 사용자의 힘은 힌지모드 보다 증대되나, 가압하는 것만으로 어느 정도 목적물의 파지가 이루어져 젓가락의 정확한 그리핑이 어려운 유아가 사용하기에 적합한 모드이다.
즉, 본 발명은 학습용 젓가락의 주사용연령대인 유아 및 어린이 등이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범용 학습용 젓가락을 제공하기 위해 유아 및 어린이 각각에게 적합한 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물론 유아 또는 어린이 중 발육상황 또는 개인적 취향에 따라 선택적으로 혼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젓가락(100)은 자연스럽게 단계적으로 젓가락질 학습이 이루어져 최종적으로 원활한 젓가락 수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학습용 젓가락(100)의 스틱(10)과 탄력연결부(20)를 살펴보면, 우선 스틱(10)은 한 쌍으로 구비되되, 탄력연결부(20)의 일측 단부와 결합되는 지지스틱(11)과, 상기 탄력연결부(20)의 타측 단부와 결합하되 탄력연결부(20)의 슬라이딩에 이동에 따라 강제끼움결합 및 힌지결합을 선택적으로 형성시키는 회동스틱(1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스틱(11)은 탄력연결부(20)와 결합되어 젓가락질 수행시 회동하지 않고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회동스틱(12)은 탄력연결부(20)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젓가락질 수행시 지지스틱(11) 측으로 회동함으로써 파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오른손잡이가 젓가락질을 수행하는 경우, 오른손 엄지와 검지사이의 상부면상에 좌측, 우측으로 한 쌍의 젓가락이 놓여지고 좌측의 젓가락은 엄지에 의해 가압되어 거의 움직이지 않고 고정된다.
즉, 우측의 젓가락이 중지의 상부측에 놓여져 중지와 검지의 동작에 의해 회동이 이루어짐에 따라 좌측의 젓가락 하단부와 우측의 젓가락 하단부가 서로 접촉 지지하여 목적물을 파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스틱(11) 또한 오른손잡이용일 경우 좌측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일반적인 좌측 젓가락과 같이 고정되어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회동스틱(12)은 탄력연결부(20)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일반적인 우측 젓가락과 같이 회동함에 따라 목적물을 파지하도록 구비되는데, 이러한 회동스틱(12)과 탄력연결부(20)의 회동결합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크게 힌지결합과 강제끼움결합으로 나뉜다.
이러한 힌지결합구성과 강제끼움결합구성이 가능하도록 회동스틱(12)에는 2개소의 홈부, 즉 힌지홈부(12a)와 강제끼움홈부(12b) 및 이들을 연결하는 홈로(12c)가 형성되고 탄력연결부(20) 중 회동스틱(12)과 결합되는 회동스틱결합부(22)에는 상기 힌지홈부(12a) 및 강제끼움홈부(12b)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돌출부(22a)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홈부(12a)는 회동스틱결합부(22)의 돌출부(22a)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도록 그 크기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22a)가 힌지홈부(12a)에 위치되어 결합될 경우에는 회동스틱(12)이 힌지 회동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강제끼움홈부(12b)는 상기 힌지홈부(12a)로부터 일정간격 하부측으로 이격된 지점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22a)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되 힌지홈부(12a)를 구성하는 일측벽이 일정부분 돌출되어 이와 결합하는 돌출부(22a)를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22a)가 강제끼움홈부(12b)에 위치되어 결합될 경우에는 회동스틱(12)이 탄력연결부(20)의 가압 및 가압력 해제에 따른 탄성력만으로 회동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홈로(12c)는 힌지홈부(12a)와 강제끼움홈부(12b)와 연결함으로써 돌출부(22a)가 홈로(12c)를 통해 힌지홈부(12a)와 강제끼움홈부(12b) 중 어느 하나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해준다.
물론 상기 홈로(12c)의 폭은 돌출부(22a)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돌출부(22a)가 홈로(12c) 경로 상에 안정적으로 위치되지 않고 힌지홈부(12a)와 강제끼움홈부(12b)에 위치될 경우 홈로(12c) 측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힌지홈부(12a)와 강제끼움홈부(12b) 및 이를 연결하는 홈로(12c)의 외측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이들의 외측을 일정부분 에워싸는 탄성홈로(12d)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탄성홈로(12d)는 유아 또는 어린이가 슬라이딩 이동시에 적은 힘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돌출부(22a) 이동에 대한 가압력을 줄이기 위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강제끼움홈부(12b)와 상기 탄성홈로(12d) 상에는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홈로(12e)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연결홈로(12e) 또한 상기 탄성홈로(12d)와 같이 돌출부(22a)가 강제끼움홈부(12b)에 위치되었다가 홈로(12c) 상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가압력이 적게 작용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지지스틱(11) 및 회동스틱(12)과 결합하여 슬라이딩 됨에 따라 힌지 회동 또는 탄력 회동시키는 탄력연결부(20)는 지지스틱(11)과 결합하는 지지스틱결합부(21)와, 회동스틱과 결합하는 회동스틱결합부(22) 및 상기 지지스틱결합부(21)와 회동스틱결합부(22) 간을 연결하며 회동스틱(12)의 회동에 따라 탄력적으로 일정부분 접혀지거나 복원되는 탄성부(2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지스틱결합부(21)는 지지스틱(11)의 외연을 일정부분 감싸도록 일측이 절개되어 개방되며 상,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지지스틱결합부(21)와 지지스틱(11)의 결합은 일정 가압력을 통한 끼움결합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끼워진 경우에는 일정 가압력 이상이 작용하지 않을 경우 분리되지 않도록 지지스틱결합부(21)의 일측 절개부측 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로(21a)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스틱(11)에는 상기 돌출로(21a)와 형상적으로 대응되어 결합되는 결합홈로(11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동스틱결합부(22)는 회동스틱(12)의 외연을 일정부분 감싸도록 일측이 절개되어 개방되며 상,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동스틱결합부(22)의 내측 상, 하부 벽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동스틱(12)의 홈부(12a, 12b)에 형상적으로 대응되어 결합되는 돌출부(22a)가 내측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부(22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상, 하부 벽면 상에 분리되어 각각 돌출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 하부측이 하나로 결합된 형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회동스틱(12)의 강제끼움홈부(12b)로부터 하부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의 상부면상 및 저부면에는 끼움돌기(12f)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스틱결합부(22)의 상, 하부측 하단부에는 상기 끼움돌기(12f)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는 끼움절개홈(22b)이 형성되는데, 이는 회동스틱결합부(22)의 돌출부(22a)가 강제끼움홈부(12b)에 위치될 경우 상기 끼움절개홈(22b) 또한 끼움돌기(12f)에 끼움결합되도록 위치적으로 대응되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강제끼움홈부(12b)에 돌출부(22a)가 위치될 경우 강제끼움홈부(12b)의 일측벽 돌출에 따른 가압력과 상기 끼움절개홈(22b)과 끼움돌기(12f)의 결합에 따른 회동저지로 인해 탄력연결부(20)의 탄성력만으로 회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회동스틱 또는 지지스틱 중 어느 하나의 하단부는 포크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른 어느 하나의 하단부는 내측벽에 목적물 파지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파지돌기(11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포크 형상은 도 1에서 2개소 돌출창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3개소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파지돌기(11b)는 2~3개소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스틱(11) 및 회동스틱(12)의 중간부측에는 고무재질의 마찰부재(13)가 결합되어 젓가락질 수행시 적절한 마찰력에 의해 원활한 손가락 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스틱 11 : 지지스틱
12 : 회동스틱 13 : 마찰부재
20 : 탄력연결부 21 : 지지스틱결합부
22 : 회동스틱결합부 100 : 학습용 젓가락

Claims (7)

  1. 젓가락을 구성하는 한 쌍의 스틱과;
    상기 분리된 한 쌍의 스틱 상부 일측 간을 연결하되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탄력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한 쌍의 스틱은
    탄력연결부의 일측 단부와 결합되는 지지스틱과, 상기 탄력연결부의 타측 단부와 결합하되 탄력연결부의 슬라이딩에 이동에 따라 강제끼움결합 및 힌지결합을 선택적으로 형성시키는 회동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젓가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연결부는
    지지스틱과 결합하는 지지스틱결합부와, 회동스틱과 결합하는 회동스틱결합부 및 상기 지지스틱결합부와 회동스틱결합부 간을 연결하며 회동스틱의 회동에 따라 탄력적으로 일정부분 접혀지거나 복원되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젓가락.
  3. 제2항에 있어서,
    지지스틱결합부는 지지스틱의 외연을 일정부분 감싸도록 일측이 절개되어 개방되며 상,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회동스틱결합부는 회동스틱의 외연을 일정부분 감싸도록 일측이 절개되어 개방되며 상, 하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동스틱결합부의 내측 상, 하부 벽면에는 회동스틱의 홈부에 형상적으로 대응되어 결합되는 돌출부가 내측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젓가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스틱의 홈부는
    회동스틱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2개소가 형성되며 상기 2개소의 홈부 간을 연결하는 홈로가 더 형성되며,
    상기 2개소의 홈부는
    회동스틱결합부의 돌출부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는 힌지홈부와, 상기 힌지홈부로부터 일정간격 하부측으로 이격된 지점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되 홈부 일측벽이 일정부분 돌출되어 이와 결합하는 돌출부를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강제끼움홈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젓가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홈부와 강제끼움홈부 및 이를 연결하는 홈로의 외측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이들의 외측을 일정부분 에워싸는 탄성홈로가 더 형성되며,
    상기 강제끼움홈부와 상기 탄성홈로 상에는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홈로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젓가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스틱의 강제끼움홈부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지점의 상부면 및 저부면 상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스틱결합부의 상, 하부측 하단부에는 상기 끼움돌기와 형상적으로 대응되는 끼움절개홈이 형성되어 회동스틱결합부의 돌출부가 강제끼움홈부에 위치될 경우 상기 끼움절개홈이 끼움돌기에 끼움결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젓가락.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스틱 또는 지지스틱 중 어느 하나의 하단부는 포크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른 어느 하나의 하단부는 내측벽에 목적물 파지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파지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젓가락.
KR1020120098115A 2012-09-05 2012-09-05 학습용 젓가락 KR201400316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115A KR20140031605A (ko) 2012-09-05 2012-09-05 학습용 젓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8115A KR20140031605A (ko) 2012-09-05 2012-09-05 학습용 젓가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605A true KR20140031605A (ko) 2014-03-13

Family

ID=50643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8115A KR20140031605A (ko) 2012-09-05 2012-09-05 학습용 젓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160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0935A (zh) * 2018-03-14 2019-08-23 孙盼 一种新型儿童益智学习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50935A (zh) * 2018-03-14 2019-08-23 孙盼 一种新型儿童益智学习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6004290A1 (en) Chopsticks
KR101081909B1 (ko) 젓가락
AU2006200217B1 (en) A Teaching Aid for Correct Use of Cutlery by Children
JP2007532231A (ja)
CN104825028B (zh) 食物夹取装置
KR20140031605A (ko) 학습용 젓가락
JP3194983U (ja) トレーニング箸
KR101879436B1 (ko)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CN207532255U (zh) 多用筷子
KR101108589B1 (ko) 숟가락이 구비된 원터치 젓가락
KR102092594B1 (ko) 젓가락
KR200377102Y1 (ko) 집게형 젓가락
KR101012813B1 (ko) 개량형 젓가락
KR20070026555A (ko) 이쑤시개가 장착된 젓가락
KR200234288Y1 (ko)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KR101378515B1 (ko) 트레이닝 젓가락
KR102035038B1 (ko) 숟가락 및 젓가락 겸용 식사 전용구
KR20140005315U (ko) 일체형 수저
KR20110102104A (ko) 학습 교정용 젓가락
GB2512090A (en) An item of cutlery
TWM522657U (zh) 學習餐具結構
KR200233449Y1 (ko)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KR20130128259A (ko) 캐릭터 교체형 유아젓가락
KR102198098B1 (ko) 위생 숟가락
KR200307040Y1 (ko) 젓가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