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2813B1 - 개량형 젓가락 - Google Patents

개량형 젓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2813B1
KR101012813B1 KR1020080066386A KR20080066386A KR101012813B1 KR 101012813 B1 KR101012813 B1 KR 101012813B1 KR 1020080066386 A KR1020080066386 A KR 1020080066386A KR 20080066386 A KR20080066386 A KR 20080066386A KR 101012813 B1 KR101012813 B1 KR 101012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s
rods
present
delete delete
fing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6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6242A (ko
Inventor
양건태
Original Assignee
양건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건태 filed Critical 양건태
Priority to KR1020080066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2813B1/ko
Publication of KR20100006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24Use of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4For person with a handica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량형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서, 2개의 손가락만으로도 반찬 등의 음식물을 용이하게 집을 수 있도록 하여 젓가락의 사용이 익숙치 않은 외국인 또는 손가락이 불편한 환자들도 용이하게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2개의 막대(10,20)가 쌍을 이루고 있는 젓가락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막대(10,20)는 중단에서 힌지핀(30)에 의해 상호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지고; 상기 각 막대(10,20)의 상단부에는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끼움링(11,21)이 일체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젓가락, 외국인, 환자, 개량, 손가락

Description

개량형 젓가락{A BETTERMENT TYPE CHOPSTICS}
본 발명은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젓가락의 사용이 용이하지 않은 외국인이나 환자들이 보다 자유롭게 젓가락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개량된 구조의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젓가락은, 수저와 한 벌을 이루는 식사용구로써, 세계적으로 주로 한국, 일본, 중국에서 사용하고 있고, 우리 나라 대부분의 식사에서는 젓가락이 없으면 음식물을 섭취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외국인에게 우리 고유의 음식물을 소개할 기회가 줄어들게 된다.
또한 서양식사에서는 스푼, 포크, 나이프가 주로 사용되는데 이들 중 포크와 나이프의 2가지 기능을 젓가락 하나로 거의 대신 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젓가락의 기능에는 단순히 음식물을 집는 것 외에 자르는(찢는) 기능도 있다. 흔히 김치, 육류, 생선 등을 먹을 때는 젓가락이 서로 벌리면서 찢는 경우도 있고, 젓가락이 서로 엊갈리면서 찢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젓가락으로 젓가락질을 하기 위해 통상의 젓가락질 동작을 살펴보면, 젓가락을 잡을 때 일측 막대를 네 번째 손가락의 약지 첫째 마디와 엄지의 사이부에 놓은 다음, 엄지의 중간부로 눌러 고정시키고, 타측 막대를 인지와 중지의 끝 마디 사이의 지점과 인지의 끝 부분에 올려 놓은 다음 엄지의 끝 부위로 눌러서 잡는다. 그 후, 일측 젓가락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타측 막대를 엄지의 끝 부위로 누른 지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인지와 중지로 타측 젓가락을 일정각도 아래로 회전시켜 젓가락질을 하여 음식을 집어 사용자의 입에 넣어 먹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젓가락질은, 여러 손가락으로 능숙하게 다룰 수 있는 올바른 사용법을 배우기 까지는 어려서부터 많은 훈련과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등한시 할 경우는 성인이 되었어도 젓가락질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국내를 방문한 서구 관광객이나 손가락이 자유롭지 않은 환자 또는 장애인 등에 있어서는 젓가락을 이용하여 음식을 집기가 어렵기 때문에 사용에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젓가락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젓가락의 사용이 익숙치 않은 외국인이나 환자들도 쉽게 사용이 가능한 개량형 젓가락을 제공함으로서 제품의 이용 편의성을 극대화 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2개의 막대가 쌍을 이루고 있는 젓가락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막대는 중단에서 힌지핀에 의해 상호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지고; 상기 각 막대의 상단부에는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끼움링이 일체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개량형 젓가락은, 2개의 손가락만으로도 반찬 등의 음식물을 용이하게 집을 수 있기 때문에 젓가락의 사용이 익숙치 않은 외국인 또는 손가락이 불편한 환자나 장애인들도 용이하게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엄지와 검지 또는 엄지와 중지만으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좌,우 양손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일 실시 예에 따른 젓가락의 구조를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살펴보면, 2개의 막대(10,20)가 중단에서 힌지핀(30)에 의해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각각의 막대(10,20) 상단부에는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끼움링(11,21)이 일체로 구성되어져 있다.
특히, 상기 막대(10,20)는 상호 길이(L1,L2)를 달리함으로 끼움링(11,21)의 높이(h)가 상이하게 구비됨이 바람직 한데, 이는 음식을 집기 위하여 힘을 가했을 때 끼움링(11,21) 상호간에 간섭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각각의 막대(10,20) 하단부에는 상호간에 면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판형태의 집게부(12,22)가 구비됨으로서, 양측 평판면(12a,12b)간 면접촉이 이루어지면서 음식물이 안정적으로 파지되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면접촉을 위한 집게부(12,22)의 응용예로서 도 5에서와 같이 일측 집게부(12)는 돌출형 곡률면(12b)을 이루고, 타측 집게부(22)는 요입형 곡률면(22b)을 형성시킬 수도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본 발명 개량형 젓가락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끼움링(11,21)에 엄지와 검지 또는 엄지와 중지를 끼워 넣은 상태에서 끼움링(11,21) 상호간에 근접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면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양측 막대(10,20)가 힌지핀(30)을 중심으로 수직방향으로 회동되어지게 됨으로서 양측 집게부(12,22)가 면접촉되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즉 이때에는, 양측 집게부(12,22)가 면접촉이 이루어짐으로서 음식물을 집을 수 있게 되며, 특히 도 4a,b에서와 같이 양측 집게부(12,22)에는 평판면(12a,22a) 이 구비되어져 있기 때문에 미끄러운 음식물도 한층 용이하게 집을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양측 집게부(12,22)가 곡률면(12b,22b)을 이루는 경우에도 평판형태에 비해 보다 용이하게 음식물을 집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양측 막대(10,20) 상호간에 회동각(θ)을 제한하기 위한 회동각 제한수단인 스프링(40)이 구성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자칫 사용시 양측 막대(10,20)가 너무 과다하게 벌어지게 되면 끼움링(11,21)에서 손가락이 쉽게 빠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 막대(10,20)를 스프링(40)으로 연결 구성시킴으로서 막대(10,20)가 일정 회동각(θ) 이상 벌어지는 것이 방지되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7a,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양측 막대(10,20)의 회동각(θ)을 제한하기 위한 고정편(13) 및 안내돌기(24)가 구성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막대(10)에는 고정편(13)을 고정 구성하되, 고정편(13)에는 곡선형상의 가이드홈(14)을 형성하였으며, 이와 대응되는 타측 막대(20)에는 안내돌기(24)를 돌출시켜 가이드홈(14)에 삽입되어지도록 구성시킨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양측 막대(10,20)간의 각도조절 기능 외에도 사용시 막대(10,20)의 회동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 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량형 젓가락 구조에 의하며 젓가락의 사용이 서투른 외국인이나 손가락이 불편한 장애인 등이 본 발명의 젓가락을 이용하여 반찬을 용이하게 집을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젓가락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젓가락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젓가락의 펼친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젓가락의 접힌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젓가락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젓가락의 집게부를 나타낸 것으로서,
4a는 가압전 상태도.
4b는 가압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집게부의 응용된 형태도.
도 6은 본 발명 젓가락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젓가락의 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7a는 펼친 상태도.
7b는 접힌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 막대 11,21 : 끼움링
12,22 : 집게부 12a,22a: 평판면
12b:22b: 곡률면 13 : 고정편
14 : 가이드홈 24 : 안내돌기
30 : 힌지핀 40 : 스프링

Claims (8)

  1. 2개의 막대(10,20)가 쌍을 이루고 있는 젓가락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막대(10,20)는 중단에서 힌지핀(30)에 의해 상호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지고;
    상기 각 막대(10,20)의 상단부에는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끼움링(11,21)이 일체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2개의 막대(10,20) 하단부에는 상호간에 면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판형태의 집게부(12,22)가 구비되고;
    상기 젓가락의 중단에는 2개의 막대(10,20) 상호간에 회동각(θ)을 제한하기 위한 회동각 제한수단으로서, 양측 막대(10,20) 상호간에 스프링(40)이 연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젓가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80066386A 2008-07-09 2008-07-09 개량형 젓가락 KR101012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386A KR101012813B1 (ko) 2008-07-09 2008-07-09 개량형 젓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386A KR101012813B1 (ko) 2008-07-09 2008-07-09 개량형 젓가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242A KR20100006242A (ko) 2010-01-19
KR101012813B1 true KR101012813B1 (ko) 2011-02-08

Family

ID=41815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6386A KR101012813B1 (ko) 2008-07-09 2008-07-09 개량형 젓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28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515B1 (ko) * 2012-07-06 2014-03-27 라온상사 주식회사 트레이닝 젓가락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580B1 (ko) 2020-02-06 2021-12-13 전남대학교병원 전기 자극을 이용한 젓가락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4082U (ko) * 1975-09-22 1977-03-29
JPH0639698Y2 (ja) * 1989-10-28 1994-10-19 利雄 近藤 障害者用箸
KR20030002015A (ko) * 2001-06-30 2003-01-08 한국화학연구원 벤젠 및 1,3-시클로헥사디엔이 배위결합된 루테늄 착화합물의 제조방법
KR200302015Y1 (ko) * 2002-10-10 2003-01-24 정진익 젓가락
KR20050032991A (ko) * 2003-10-02 2005-04-08 임석재 파지가 용이한 젓가락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44082U (ko) * 1975-09-22 1977-03-29
JPH0639698Y2 (ja) * 1989-10-28 1994-10-19 利雄 近藤 障害者用箸
KR20030002015A (ko) * 2001-06-30 2003-01-08 한국화학연구원 벤젠 및 1,3-시클로헥사디엔이 배위결합된 루테늄 착화합물의 제조방법
KR200302015Y1 (ko) * 2002-10-10 2003-01-24 정진익 젓가락
KR20050032991A (ko) * 2003-10-02 2005-04-08 임석재 파지가 용이한 젓가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8515B1 (ko) * 2012-07-06 2014-03-27 라온상사 주식회사 트레이닝 젓가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242A (ko) 2010-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2813B1 (ko) 개량형 젓가락
KR100720828B1 (ko) 집게형 젓가락
KR200377102Y1 (ko) 집게형 젓가락
JP6296705B2 (ja) 手で使用する挟み具のための連結具
CN204683239U (zh) 食物夹取装置
US20210212489A1 (en) Chopsticks
CN201806423U (zh) 持筷连杆装置
KR100729951B1 (ko) 음식물 협지구
KR20130122873A (ko) 파지가 용이한 식사도구
CN204862447U (zh) 夹钳形餐具
CN104856534B (zh) 具有限位功能的一种可快拆式筷子
KR20120082063A (ko) 숟가락에 붙어있는 젓가락
CN213488234U (zh) 新型筷子
KR20060127518A (ko) 숟가락/젓가락 겸용구
US20200170428A1 (en) Flatware structured to avoid table contact
KR200450867Y1 (ko) 학습용 젓가락
KR200470810Y1 (ko) 배식용 위생 집게
KR200233449Y1 (ko)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RU199849U1 (ru) Столовый прибор для европейской и азиатской кухни
KR200234288Y1 (ko)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JP3158497U (ja) フォーク
JP6892980B2 (ja) 食事用具
JP3187183U (ja) 骨付き鳥料理に使用する食事用器具
JP3145450U (ja) 洋食器
KR20140148252A (ko) 손가락 끼움식 젓가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