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4288Y1 -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 Google Patents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4288Y1
KR200234288Y1 KR2020010001916U KR20010001916U KR200234288Y1 KR 200234288 Y1 KR200234288 Y1 KR 200234288Y1 KR 2020010001916 U KR2020010001916 U KR 2020010001916U KR 20010001916 U KR20010001916 U KR 20010001916U KR 200234288 Y1 KR200234288 Y1 KR 2002342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s
user
horizontal
support member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19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문
Original Assignee
강성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문 filed Critical 강성문
Priority to KR20200100019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2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2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288Y1/ko

Link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2개 1조의 한 쌍을 기본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에 파지하여 사용하는 젓가락에 있어서, 한 쌍의 젓가락을 서로 일정 간격 유지시키며, 수평, 수직, 사선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토록 하는 지지부재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에 파지된 일측 젓가락을 기준으로 타측 젓가락이 일정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움직이도록 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젓가락 질을 습득하고 편리하게 젓가락 질을 하도록 하기 위한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to useful chopsticks}
본 고안은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젓가락질이 서투른 사람 즉, 어린이,외국인, 그 외 젓가락질이 서투른 성인들이 젓가락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젓가락은, 수저와 한 벌을 이루는 식사용구로써, 세계적으로 주로 한국, 일본, 중국에서 사용하고 있고, 우리 나라 대부분의 식사에서는 젓가락이 없으면 음식물을 섭취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외국인에게 우리 고유의 음식물을 소개할 기회가 줄어들게 된다.
또한 서양식사에서는 스푼, 포크, 나이프가 주로 사용되는데 이들 중 포크와 나이프의 2가지 기능을 젓가락 하나로 거의 대신 한다고 볼 수 있다. 즉 젓가락의 기능에는 단순히 음식물을 집는 것 외에 자르는(찢는) 기능도 있다. 흔히 김치, 육류, 생선 등을 먹을 때는 젓가락이 서로 벌리면서 찢는 경우도 있고, 젓가락이 서로 엊갈리면서 찢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젓가락으로 젓가락질을 하기 위해 통상의 젓가락질 동작을 살펴보면, 젓가락(20)을 잡을 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젓가락(21)을 네 번째 손가락의 약지(13) 첫째 마디와 엄지(11)의 사이부(14)에 놓은 다음, 엄지(10)의 중간부로 눌러 고정시키고, 타측 젓가락(22)을 인지(11)와 중지(12)의 끝 마디 사이의 지점과 인지(11)의 끝부분에 올려 놓은 다음 엄지(10)의 끝 부위로 눌러서 잡는다. 그 후, 일측 젓가락(21)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타측 젓가락(22)을 엄지(10)의 끝 부위로 누른 지점을 기준점으로 하여 인지(11)와 중지(12)로 타측 젓가락(22)을 일정각도 아래로 회전시켜 젓가락질을 하여 음식을 집어 사용자의 입에 넣어 먹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젓가락질은, 여러 손가락으로 능숙하게 다룰 수 있는 올바른 사용법을 배우기 까지는 어려서부터 많은 훈련과 노력이 필요하며, 이를 등한시 할 경우는 성인이 되었어도 젓가락질을 제대로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사용자의 손에 파지된 일측 젓가락을 기준으로 타측 젓가락이 수평, 수직, 사선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움직이도록 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젓가락질을 할 수 있도록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젓가락은, 2개 1조의 한 쌍을 기본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에 파지하여 사용하는 젓가락에 있어서, 한 쌍의 젓가락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면서 일정 간격 유지 시키며, 사용자의 손에 파지된 일측 젓가락에 대하여 타측 젓가락이 수평, 수직, 사선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도록 하는 지지부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는 종래 젓가락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C-C'선 단면도
도 7는 본 고안 젓가락의 사용 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엄지 11; 인지
12; 중지 13; 약지
30; 젓가락 40; 지지부재
41; 고무부재 42; 볼트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6은 도 4의 C-C'선 단면도이다.
본 고안이 적용되는 젓가락은, 2개 1조의 한 쌍을 기본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에 파지하여 사용하는 젓가락에 있어서, 상단부 일 측면에 서로 직각방향으로형성된 홈을 가지는 젓가락(30)이 구비되고, 상기 젓가락(30)의 상단을 일정 간격 유지시키며, 수평 , 수직, 사선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하는 타측 젓가락(32)을 지지하는 지지부재(40)가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젓가락(30)은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며, 일 측면에 수평 홈(311)이 형성된 일측 젓가락(31)이 구비되고, 이 일측 젓가락(31)의 타측에 형성되며 일 측면에 수직 홈(321)이 형성된 타측 젓가락(32)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재(40)는, 일정모양으로 형성되어 일측 젓가락(31)의 수평 홈(311)과 만나는 돌출부(401) 및 타측 젓가락(32)의 수직 홈(321)과 만나는 돌출부(402)가 형성 되어 있으며, 또한 양측 젓가락(31)(32)을 양 방향으로 눌러서 양측 젓가락(31)(32)을 제 위치에 유지 시키는 고무부재(41) 및 이 고무부재(41)를 지지부재(40)에 고정 및 분해시키기 위한 볼트(42)로 구성된다.
상기 젓가락(30), 지지부재(40)의 재질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 진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결합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젓가락(31)(32)을 지지부재(40)의 안쪽으로 넣어 끼운다. 이때, 일측 젓가락(31)의 수평 홈(311)은 지지부재(40)의 돌출부(401)에 일치하게, 타측 젓가락(32)의 수직 홈(321)은 지지부재(40)의 돌출부(402)에 일치하게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에 고무부재(41)를 지지부재(40)의 안쪽으로 삽입시켜 고무부재(41)의 탄성에 의하여 젓가락(31)(32)을 바깥 방향으로 탄성력이 가해지게 하고. 최종적으로볼트(42)로 고무부재(41)를 지지부재(40)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 시킨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결합된 젓가락의 사용 과정을 살펴보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젓가락(30)의 상부를 엄지(10)와 인지(11)의 사이부(14)로 파지하게 되면, 엄지(10)에 의하여 일측 젓가락(31)이 지지되고, 인지(11)와 중지(12)에 의해 타측 젓가락(32)이 지지된다.
이렇게 지지된 젓가락(30)은 타측 젓가락(32)을 잡은 인지(11)와 중지(12)에 의해 타측 젓가락(32)을 움직이게 되며, 상기 인지(11)와 중지(12)에 의해 움직이는 타측 젓가락(32)은 상부가 벌려져 있는 상태에서 타측 젓가락(32)의 하측이 움직이게 되어 손쉽게 젓가락(30)을 사용 가능하게 된다. 이때, 타측 젓가락(32)의 수직홈(321)과 지지부재(40)의 타측 돌출부(402)가 맞물려 힌지 역할을 하여 원하는 수평이동 각도로 타측 젓가락(32)을 움직일 수 있는 것이다(도 6 참조).
또한, 본 젓가락의 다른 실시 예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사용자의 손에 파지된 젓가락(30)으로, 김치, 육류, 생선류 등을 찢을 때는 일측 젓가락(31)의 수평 홈(311)과 지지부재(40)의 일측 돌출부(401)가 맞물려 힌지 역할을 하여 그 결과 일측 젓가락(31)은 원하는 각도로 수직 상하 이동이 가능해 진다(도 5 참조). 그러나 이때, 일측 젓가락(31)은 사용자의 엄지(10)와 약지(13)에 의해 움직일 수 없는 상태이므로 그 결과 지지부재(40)가 미세하게 일측 젓가락(31)에 대하여 상대 회전이 일어나고 이러한 지지부재(40)의 상대 회전의 결과는 바로 타측 젓가락(32)의 수직 상하 방향의 움직임도 가능하게 해준다.
상기에서 언급한 타측 젓가락(32)의 수평, 수직 움직임을 동시에 조합 시에는 사선 방향으로의 움직임도 가능하여, 이 경우 타측 젓가락(32)을 사용자의 손 내측으로 회전시키면 타측 젓가락(32)이 일측 젓가락(31)의 위를 지나 두 젓가락(31)(32)이 서로 엊 갈리게 된다. 이러한 동작으로 음식물을 자르거나 찢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은, 사용자의 손에 파지된 일측 젓가락을 기준으로 타측 젓가락이 수평, 수직, 사선 방향으로 원하는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하여 젓가락 질이 미숙한 사용자가 용이하게 젓가락질을 할 수 있게 하고, 잘못된 젓가락질을 교정하여 편리하게 젓가락을 사용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2개 1조의 한 쌍을 기본으로 하여 사용자가 손에 파지하여 사용하는 젓가락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며, 일 측면에 수평 홈(311)이 형성된 일측 젓가락(31)이 구비되고, 이 일측 젓가락(31)의 타측에 형성되며 일 측면에 수직 홈(321)이 형성된 타측 젓가락(32)이 구비된 젓가락(30)과;
    상기 젓가락(30)을 지지하고, 상단을 일정 간격 유지시키며, 타측 젓가락(32)을 수평, 수직, 사선 방향으로 일정각도 회전 가능토록 하는 지지부재(4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40)는
    일정 모양으로 형성되어 일측에는 일측 젓가락(31)의 수평 홈(311)과 맞물리는 수평 돌출부(401)가, 타측에는 타측 젓가락(32)의 수직 홈(321)과 맞물리는 수직 돌출부(40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지지부재(40)에 삽입된 젓가락(30)을 탄성력을 가하여 제 위치를 유지시키는 고무부재(41) 및 이 고무부재(42)를 고정, 분해하기 위한 볼트(4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KR2020010001916U 2001-01-26 2001-01-26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KR2002342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916U KR200234288Y1 (ko) 2001-01-26 2001-01-26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916U KR200234288Y1 (ko) 2001-01-26 2001-01-26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288Y1 true KR200234288Y1 (ko) 2001-09-25

Family

ID=73095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916U KR200234288Y1 (ko) 2001-01-26 2001-01-26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28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52864A2 (en) * 2010-06-02 2011-12-08 Keller Robin O Training chopsticks
US8600884B2 (en) 2005-07-06 2013-12-03 Duzon Das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ayment receipt using 2D cod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00884B2 (en) 2005-07-06 2013-12-03 Duzon Das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ayment receipt using 2D code
WO2011152864A2 (en) * 2010-06-02 2011-12-08 Keller Robin O Training chopsticks
WO2011152864A3 (en) * 2010-06-02 2012-04-12 Keller Robin O Training chopstick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86347C (zh) 用于夹取和夹持食物的工具
US4787663A (en) Chopstick holder
US20040051327A1 (en) Choptstick of the pincers type
KR200234288Y1 (ko)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CA2729354C (en) Adjustable, rotational, spoon and fork utensil
KR20060061308A (ko) 집게형 젓가락
KR200377102Y1 (ko) 집게형 젓가락
KR101879436B1 (ko)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KR200233449Y1 (ko)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KR20070026555A (ko) 이쑤시개가 장착된 젓가락
KR102193287B1 (ko) 국수용 집게 기능이 있는 다기능 숟가락
KR101012813B1 (ko) 개량형 젓가락
CN2156775Y (zh) 多功能取餐器
KR200307040Y1 (ko) 젓가락
KR200322251Y1 (ko) 일체형 숟가락과 젓가락 겸용 수저
KR20140031605A (ko) 학습용 젓가락
KR200322198Y1 (ko) 1회용 접이식 집게형 종이 젓가락
KR20140004057U (ko) 숟가락 겸용 젓가락
JP2004073310A (ja) 料理用鋏
JPH05507855A (ja) 手の障害者及び一般人のための食器
KR200419069Y1 (ko) 위생 젓가락
KR101378515B1 (ko) 트레이닝 젓가락
KR870001959Y1 (ko) 젖가락(箸)
KR20130006341U (ko) 젓가락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트레이닝 젓가락
KR200394596Y1 (ko) 위생 젓가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