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9069Y1 - 위생 젓가락 - Google Patents

위생 젓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9069Y1
KR200419069Y1 KR2020060007691U KR20060007691U KR200419069Y1 KR 200419069 Y1 KR200419069 Y1 KR 200419069Y1 KR 2020060007691 U KR2020060007691 U KR 2020060007691U KR 20060007691 U KR20060007691 U KR 20060007691U KR 200419069 Y1 KR200419069 Y1 KR 2004190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s
fitting
chopstick
bodi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6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점섭
조희지
Original Assignee
조점섭
조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점섭, 조희지 filed Critical 조점섭
Priority to KR20200600076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90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90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90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위생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젓가락질이 서툰 초보자나 외국인들도 쉽게 파지하여 음식물의 조건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 끝부분을 교체시킬 수 있어 위생상으로도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 본 고안은 젓가락몸체(1a,1b)의 내측에 끼움조립되어 서로 힌지동작되는 힌지체(3a,3b)가 형성되어 사용시 일체결합되고, 상기 젓가락몸체(1a,1b)의 외측에는 손가락이 끼워지는 끼움링(2a,2b)이 형성되며, 상기 젓가락몸체(1a,1b)의 하측단부는 일정길이 반으로 절개되어 별도의 끼움체(7a,7b)가 탈착가능하게 끼움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생 젓가락, 끼움링, 힌지체, 체결턱, 끼움체, 걸림홈

Description

위생 젓가락 {A health chopsticks}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파지가 용이하고 위생적인 젓가락의 결합상태 및 분리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젓가락질 교정이 가능한 젓가락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a,1b : 젓가락몸체 2a,2b : 끼움링
3a,3b : 힌지체 4a : 체결턱
4b : 체결홈 5a,5b : 하측단부
6a : 걸림턱 6b : 걸림홈
7a,7b : 끼움체
본 고안은 파지가 용이하면서 위생적인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 기로는 젓가락질이 서툰 초보자나 외국인들도 쉽게 파지하여 음식물의 조건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 끝부분을 교체시킬 수 있어 위생상으로도 안전성을 높인 위생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젓가락은 세계적으로 가장 편리한 식사용구 중의 하나이지만 어린이나 초보자, 특히 서구인들에게는 음식을 찝는 끝부분의 맞춤이 힘들어 장기간의 연습이 필요하며, 이로 인하여 젓가락의 사용을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가정용 또는 식당용으로 통상 쇠젓가락이 많이 사용되고는 있지만 위생상 문제가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쇠젓가락은 국수나 해삼과 같이 비교적 미끄러운 음식을 집기에는 불편한 점이 많다.
이러한 이유로 대중음식점에서는 나무재질의 1회용 젓가락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1회용 나무젓가락은 한번 사용 후 그대로 폐기되므로 처리비용이 많이 들고 자원의 낭비를 심화시킨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한 종래의 기술로는 도 1에 예시한 실용신안등록 제20-0242011호를 들 수 있다. 좌우 1조로 분리된 두 개로 이루어진 젓가락(1:1a,1b)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젓가락(1:1a,1b) 소정 위치에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홈(1c)과 가이드홈(1d)이 각각 형성되고, 두 개의 지지바(2,3) 중앙부위에 형성된 핀(3a)과 조립공을 통해 X자형으로 조립됨과 동시에 두 개의 지지바(2,3) 상단이 연결바(4)로 연결되어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구성된 버팀대(X)가 상기 고정홈(1c)과 가이드홈을 통해 삽입 조립되어 두 개의 젓가락(1:1a,1b)을 상호 구속하며, 젓가락질 할 때 버팀대(X)의 상단 연결바(4)에 인해 두 젓가락의 간격이 일정간격을 유지하 면서 버팀대(X)를 중심으로 일정각도로 회동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개선된 상기의 젓가락은 끝부분을 자연스럽게 맞출 수 있어 다소간 젓가락질이 용이하게 되지만, 파지의 어려움은 여전하여 젓가락질이 서툰 사람이 바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과 위생적이지 못하다는 전통적인 젓가락의 문제점은 여전히 가진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들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위생적임과 동시에 파지가 용이한 젓가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아가 쓰레기 발생량과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젓가락을 제공함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젓가락몸체의 내측에 끼움조립되어 서로 힌지동작되는 힌지체가 형성되어 사용시 일체결합되고, 상기 젓가락몸체의 외측에는 손가락이 끼워지는 끼움링이 형성되며, 상기 젓가락몸체의 하측단부는 일정길이 반으로 절개되어 별도의 끼움체가 탈착가능하게 끼움조립된다. 특히 상기 끼움체는 전체가 톱밥과 같은 목재가루로 형성되거나 또는 표면만 목재가루로 형성된 것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위생 젓가락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관계 및 작용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의 결합상태와 도 2의 분리상태 및 도 3의 사용상태 예시도면에서 보는 것처럼, 본 고안의 위생 젓가락은 젓가락질이 서툰 초보자나 외국인들도 손가락(통상 엄지와 검지)을 끼워 넣어 파지동작이 용이해질 수 있도록 젓가락몸체(1a,1b)의 외측으로 각각 끼움링(2a,2b)이 돌출 형성되고, 아울러 이들 한쌍의 젓가락몸체(1a,1b)는 서로 힌지체(3a,3b) 매개로 힌지동작될 수 있도록 일체 구조화됨으로서 분리된 각각의 젓가락을 한손으로 파지하였던 통상의 젓가락 구조가 가졌던 파지동작을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젓가락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우선, 한쌍을 이루는 2개의 젓가락몸체(1a,1b)의 외측 중간부분에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끼움링(2a,2b)이 형성되면서 이들 젓가락몸체(1a,1b)가 일체구조로서 힌지동작될 수 있도록 상기 끼움링(2a,2b)의 위치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내측 상부쪽에 서로 끼움결합되어 힌지동작되는 힌지체(3a,3b)가 형성된다. 즉, 분리되었던 2개의 젓가락몸체(1a,1b)가 힌지체(2a,2b)에 의하여 결합된다.
특히, 한쌍의 젓가락몸체(1a,1b)에 서로 끼움결합되게 형성되는 끼움체(3a,3b)는 한쪽의 젓가락몸체(1a)에 형성된 끼움체(3a)의 경우, 다른 한쪽의 끼움체(3b)와 서로 끼움조립되어 이탈되지않고 걸림고정될 수 있도록 체결부위 중앙쪽에 체결턱(4a)이 돌출형성되며, 아울러 다른 한쪽의 끼움체(3b)에는 상기 체결턱(4a)이 삽입안착는 체결홈(4b)이 요홈 형성된다.
즉, 양쪽의 끼움체(3a,3b)는 체결턱(4a)과 체결홈(4b)의 결합으로 서로 이탈 되지 않고 자유롭게 회전동작될 수 있다. 물론 서로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이들 양쪽의 끼움체(3a,3b)는 체결턱(4a)과 체결홈(4b) 이외에 회전동작이 가능한 조립관계로서 다양하게 변경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특히 한쪽의 끼움체(3a)가 양측으로 체결턱(4a)이 형성될 경우 다른 한쪽의 끼움체(3b)는 상기 단일개로 돌출된 한쪽의 끼움체(3a)와 달리 복수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끼움체(3a)가 상기 복수개의 끼움체(3b) 사이로 삽입끼움되는 조립구조를 기본으로 한다.
한편, 음식물이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젓가락몸체(1a)(1b)의 하측단부(5a,5b)는 도 2의 원안 확대도면에서 보는 것과 같이, 한번 사용후 분리시켜 별도 구성된 깨끗한 끼움체(7a,7b)를 착탈시켜 위생상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일정길이 반으로 절개되며, 특히 일정길이 반으로 절개된 상기 하측단부(5a,5b)에 대해 해당 끼움체(7a,7b)가 길이방향으로 끼움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하측단부(5a,5b)의 중앙으로는 걸림턱(6a)이 돌출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끼움체(7a,7b)의 중앙으로는 걸림홈(6b)이 각각 요홈되어 서로 더브테일 조립구조로서 슬라이딩 끼움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젓가락몸체(1a,1b)의 재질은 금속이거나 플라스틱이거나 상관없으나, 상기 젓가락몸체의 하측단부(5a,5b)에 조립구성되는 끼움체(7a,7b)는 1회용이므로 금속은 곤란하며, 플라스틱 또는 재활용 펄프 등이 적절하다. 특히 플라스틱은 인체에 유해하지 않는 한 재활용품의 사용도 가능하며, 펄프 재질은 목재소에서 발생하는 톱밥 등을 전분과 같은 인체에 무해한 접착제로 접착한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끼움체(7a,7b)가 펄프 재질로 전체 형성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서는 표면만 목재가루로 코팅처리된 구조로서도 적용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위생 젓가락은 도 3에서 보는 것처럼, 사용시 한쌍으로 분리되었던 2개의 젓가락몸체(1a,1b)를 서로 힌지체(3a,3b)로서 회전동작 가능하게 끼움결합시키는 한편, 상기 하측단부(5a,5b)에도 별도 구성품인 끼움체(7a,7b)를 끼움결합시켜 정상적인 젓가락 형태를 만든 다음, 상기 젓가락몸체(1a,1b)에 돌출된 끼움링(2a,2b)으로 손가락을 끼우고 상기 젓가락몸체(1a,1b)를 파지하면 젓가락질이 서툰 사람이라도 쉽게 정상적인 젓가락질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젓가락을 사용하고 난 후에는 젓가락몸체(1a,1b)의 하측단부(5a,5b)에서 사용되고 더러워진 끼움체(7a,7b)를 분리시키고 새 것의 깨긋한 끼움체로서 교체 사용하면 항상 깨끗한 젓가락 사용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젓가락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힌지체(3a,3b)로 서로 회전가능하게 끼움조립된 양쪽의 젓가락몸체(1a,1b)를 간단히 분리시켜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위생 젓가락은 젓가락질이 서툰 초보자나 외국인들도 쉽게 파지하여 음식물의 조건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젓가락몸체에 탈착가능하게 끼움조립되는 끼움체의 교체 사용을 통해 항상 깨끗한 젓가락 사용도 가능하므로 1회용 젓가락이 갖는 비경제성도 줄일 수 있는 등의 편리성과 경제성을 함께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2)

  1. 젓가락몸체(1a,1b)의 내측에 끼움조립되어 서로 힌지동작되는 힌지체(3a,3b)가 형성되어 사용시 일체결합되고, 상기 젓가락몸체(1a,1b)의 외측에는 손가락이 끼워지는 끼움링(2a,2b)이 형성되며, 상기 젓가락몸체(1a,1b)의 하측단부는 일정길이 반으로 절개되어 별도의 끼움체(7a,7b)가 탈착가능하게 끼움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젓가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체(7a,7b)는 전체가 톱밥과 같은 목재가루로 형성되거나 또는 표면만 목재가루로 형성된 것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젓가락.
KR2020060007691U 2006-03-22 2006-03-22 위생 젓가락 KR2004190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691U KR200419069Y1 (ko) 2006-03-22 2006-03-22 위생 젓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691U KR200419069Y1 (ko) 2006-03-22 2006-03-22 위생 젓가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9069Y1 true KR200419069Y1 (ko) 2006-06-16

Family

ID=41768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691U KR200419069Y1 (ko) 2006-03-22 2006-03-22 위생 젓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90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440Y1 (ko) 2014-05-14 2014-09-17 조재경 미숙련자용 젓가락 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440Y1 (ko) 2014-05-14 2014-09-17 조재경 미숙련자용 젓가락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22581C (en) Combination chopstick utensil
CN1984587A (zh) 用于夹取和夹持食物的工具
WO2007103663A3 (en) A multi-purpose eating utensil
KR200419069Y1 (ko) 위생 젓가락
KR100720828B1 (ko) 집게형 젓가락
KR200377102Y1 (ko) 집게형 젓가락
KR101879436B1 (ko)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KR101012813B1 (ko) 개량형 젓가락
CN104856534B (zh) 具有限位功能的一种可快拆式筷子
KR200450867Y1 (ko) 학습용 젓가락
KR200362878Y1 (ko) 젓가락용 그립홀더
KR200220872Y1 (ko) 다기능 젓가락
CN101984885A (zh) 指套夹
KR200322251Y1 (ko) 일체형 숟가락과 젓가락 겸용 수저
KR200234288Y1 (ko)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JP2011019884A (ja) 寿司挟持器具
KR20160119946A (ko) 두 몸체로 구성되는 식품취급도구
KR200484348Y1 (ko)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KR200233449Y1 (ko)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KR200307040Y1 (ko) 젓가락
KR200345203Y1 (ko) 집게용 젓가락
TWM413426U (en) Tableware set
KR20090009083U (ko) 집게형 젓가락
JP3061045U (ja)
TWM580925U (zh) Multifunctional tableware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0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