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9436B1 -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 Google Patents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9436B1
KR101879436B1 KR1020170000743A KR20170000743A KR101879436B1 KR 101879436 B1 KR101879436 B1 KR 101879436B1 KR 1020170000743 A KR1020170000743 A KR 1020170000743A KR 20170000743 A KR20170000743 A KR 20170000743A KR 101879436 B1 KR101879436 B1 KR 101879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s
bar
hinge
chopstick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0414A (ko
Inventor
조숙이
문동해
이오묵
Original Assignee
조숙이
이오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숙이, 이오묵 filed Critical 조숙이
Priority to KR1020170000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9436B1/ko
Publication of KR201800804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4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9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9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021/002Table-ware collapsible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에 관한것이다. 다양한 돌출부가 형성되어 바른 젓가락질을 돕는 기존의 젓가락들은 너무 눈에 띄어 가정 밖에서는 사용을 꺼리는 경향이 있으나, 본 발명품의 경우 자연스러운 유선형으로 형성되어 가정 밖에서도 고급스럽게 연출되는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젓가락은 제1막대부(10)와 제2막대부(20)로 구성되며 힌지에 의하여 결합하여 상호간의 회동이 자유롭다. 또한, 제1막대부(10)와 제2막대부(20)가 마주하는 방향으로 홈을 형성하여 외부 돌출이 없어 심미감이 증가된다. 또한, 인체 공학적으로 엄지용 지지홈(11)과 검지용 지지홈(21)을 형성하여 손가락이 제 위치에 쉽게 안착되어 젓가락질을 바르게 할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젓가락은 하부에 집게부(40)가 끝에만 맞닿지 않고 집게부(40) 전체가 맞닿도록 형성하여 음식물을 잡을때도 더욱 쉽게 집어 올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이 구성된 젓가락은 심미감을 높으면서도 한쌍으로 결합되어있어 관리가 쉽고 고급스러운 외형을 유지하여 어디에서나 부담없이 사용이 가능한 젓가락이다.

Description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Easy-to-use chopsticks}
본 발명은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젓가락질이 서툰 어린이들과 함께 어른들도 쉽게 음식을 집을 수 있으면서 심미감이 높도록 제작된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동아시아에서는 오래전부터 식사를 하면서 젓가락을 사용하고 있다. 한 손으로 쥘 수 있도록 가늘고 길쭉한 한쌍의 막대로 이루어져 각각의 나라에서는 각기 먹는 음식의 차이에 의해서 젓가락의 길이와 모양이 제각기 발달하였다.
일본 적가락 보다 길고 중국의 젓가락 보다 짧으면서 금속계통으로 이루어진 젓가락을 사용하는 한국은 식습관에 의하여 상기의 모양이 형성 되었다.
통상적으로 젓가락은 한 개를 약손가락과 검지와 엄지 사이에 움푹 들어간 곳에 놓고 엄지로 지긋하게 잡는다. 이로써 젓가락의 하나를 고정시키게 된다. 엄지, 집게 손가락, 가운데 손가락의 각각의 끝을 사용하여 남은 젓가락을 펜과 같이 집는다. 위쪽 가락을 가만히 있는 낮은 쪽의 가락을 향해 위아래로 틀면서 젓가락질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젓가락질을 자유롭게 하기위해서는 반복적 연습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 등록실용신안20-0469696과 등록특허 10-1378515가 있으나 상기의 방법만으로는 젓가락질을 충분히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하지는 못하였다.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는 그의 저서 '미래혁명'에서 '젓가락을 사용하는 민족이 21세기 정보화 시대를 지배한다'라고 했다. 한중일 삼국이 세계 IT산업을 리드하고 있는 것이 젓가락 문화와 무관하지 않다는 것이다. 즉, 젓가락의 섬세한 움직임은 인간의 두뇌 발달에 말접한 관련이 있고, 젓가락을 사용하면 손가락에 있는 30여 개의 관절과 60여 개의 근육이 움직이고 이에 따라 손의 감각이 극대화 되어 뇌 기능이 활성화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젓가락은 다른 숟가락이나 포크에 비해 그 사용 방법이 어려워서 배우기를 쉽게 포기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젓가락을 잘 사용하지 않는 문화의 서양에서도 젓가락을 사용하기 위한 많은 시도가 이루어져 젓가락의 좀 더 쉽게 사용하면서 바르게 잡는 방법을 익혀야할 필요가 증가되고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 20-0469696(2013.10.16) 국내등록특허 10-1378515(2014.03.20)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젓가락질이 서툰 사람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젓가락에 인체 공학적인 홈이 설치되어 누구나 바른 방법으로 젓가락질을 할 수 있게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젓가락질을 도와주기 위해 디자인 되었음에도 고리와 받침부 등 외부로 돌출된 부분이 없어 고급스러움을 유지하며 가정 밖에서도 거리낌 없이 사용가능하도록 디자인된 젓가락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젓가락의 집게부가 음식을 잘 잡을 수 있도록 모두 맞닿게 사다리꼴 형태로 제작되어서 젓가락이 전체적으로 곧은 모양이 유지되어 젓가락질이 더욱 쉽게 되도록 제공하는데 있다.
젓가락의 힌지 부분이 분리와 결합이 자유로워 세척이 쉽게 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 1막대부(10)와 제 2막대부(20)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젓가락기 연결되어 있으면서 인체공학적으로 설게되어 사용하도록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젓가락은 제1 막대부(10)와 제 2막대부(20)가 서로 결합하여 움직임이 가능한 힌지부(30), 상기 제1막대부(10)에 형성된 엄지용 지지홈(11), 상기 제 2막대부(20)에 형성이 되어 엄지용 지지홈(11)보다 상부 방향에 위치한 검지용 지지홈(21), 젓가락의 하부쪽에 위치하며 쉽게 집어 올릴 수 있도록 밀착하여 맞닿은 집게부(40) 로 구성되며,
상기 엄지용 지지홈(11)은 각각의 막대부가 마주 한 방향으로 둥글게 돌출된 모양으로 형성이 되도록하며, 상기 검지용 지지홈(21)음 검지 손가락익 길게 안착과 지지가 가능하도록 각각의 막대부가 마주한 방향 쪽으로 길게 유선형으로 형성하며, 상기 집게부는(40)는 제1막대부(10)와 제 2막대부(20)가 마주하는 쪽은 사다리꼴 형태로 돌출되어 밀착하며 제1막대부(10)와 제 2막대부(20)가 마주하지 않는 반대쪽은 젓가락의 상부까지 각도를 유지하며 엄지용 지지홈(11)과 검지용 지지홈(21)을 제회하고 일직선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집게부(40)는 평행하게 맞닿도록 밀착하며 상기 집게부가 끝나는 곳부터 제 1막대부와 제 2 막대부는 4 ~ 6°가 벌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집게부(40)에는 선택적으로 내부로 패인 홈이 있는 집게홈(41)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제 1막대부(10)의 힌지부(30)에 형성된 삽입홈(31), 상기 제1 막대부(10)의 삽입홈(31)에 끼워지는 제 2막대부(20)의 힌지에 형성된 끼움부(32), 상기 삽입홈(31)과 끼움부(32)를 고정할 수 있는 스텐리벳(33), 상기 막대부들이 분리되도록 힌지부(30)에 형성된 걸림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을 이용할 경우에는 젓가락질 사용이 미숙한 사람도 쉽게 젓가락질 자세를 유지하여 사용을 할 수 있다.
또한, 복잡하고 돌출된 구조들로 되어 있는 기존에 젓가락질 교정 젓가락 보다 중심 바깥쪽으로는 돌출부가 없어 심미감이 증가한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심미감을 증가 시키기 위해서 젓가락의 집게부는 맞닿도록 되어도 상부로 갈수록 자연스럽게 벌어져 손에 쥐기 쉽도록 하여 내부로만 돌출홈을 형성하여 손에 젓가락을 쥐었을 때에도 자연스러운 일반 젓가락 형태여서 가정 밖에서도 거부감 없이 어른들도 사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젓가락의 힌지 결합부분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젓가락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젓가락의 집게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의한 젓가락을 분리해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젓가락에 손으로 잡는 부분방향쪽을 상부라 하고 반대쪽 음식을 움켜 쥐는 부분을 하부라 명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 및 도면은 오른손잡이용 왼손잡이용 겸용을 기술하고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은 한 쌍의 젓가락이 힌지부(30)에 의하여 연결이 되어 있어 항상 셋트를 이룬다. 상기 힌지부(30)에 의하여 움직이는 젓가락은 집게홈(41)이 형성되어 쉽게 잡아 올리는 것이 가능한 집게부(40)와, 자연스럽게 손의 안착이 가능한 엄지용 지지홈(11)과 검지용 지지홈(21)에 의해서 젓가락질을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젓가락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젓가락은 제1막대부(10)와 제 2막대부(20)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젓가락으로 힌지부(3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각각의 막대부(10,20)에는 젓가락을 올바르게 잡을 수 있는 형태로 홈을 형성하여 자연스럽게 손에 쥐고 힌지부(30)에 의해 상호 회동하여 젓가락이 일정한 방향으로 움직임이 가능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힌지에 의하여 회동하는 젓가락은 맞닿는 부분이 일정하도록 젓가락은 항상 움켜쥐게 되는 끝 부분의 면이 똑같기 때문에 상기의 맞닿은 위치에 좀 더 쉽게 움켜쥐는 작용이 가능하도록 구조의 형성이 가능하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약간의 홈을 집게 모양으로 구성하여 좀더 쉽게 움켜 쥘 수 있는 집게부(40)가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젓가락의 힌지부(30)는 스텐리벳(33)에 의하여 고정하여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각 막대부에서 상호 결합되는 힌지부(30)는 서로 일치하는 구멍에 스텐리벳(33)을 고정하여 힌지부(30)는 움직임이 자유롭고 부드러워 한손으로 하는 젓가락질에 많은 힘이 들어가지 않아 어린이도 쉽게 움켜 쥐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힌지 결합하여 분리를 하지 않는 젓가락은 도 5와 같이 구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 도 6과 같이 힌지부(30)는 막대부 일측에는 삽입 힌지측(31)과 반대쪽 막대부에는 수용 힌지측(32)이 있어서 삽입 힌지측(31)이 수용 힌지측(32)에 끼워져 결합이 가능하여 상호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삽입 힌지측(31)과 수용 힌지측(32)은 150도 이상 젓가랏을 벌릴 경우 각 힌지부(30)의 결합 구멍으로 빠져서 젓가락이 상호 분리가 되며, 결합을 하기위해서도 같은 방법으로 힌지를 중심으로 150도 이상 벌려서 삽입 힌지측(31)과 수용 힌지측(32)을 결합하여 일자로 모으게 되면 다시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분리가 가능한 힌지부(30)를 같은 젓가락의 경우에는 젓가락이 과도하게 벌어지거나 젓가락 분리를 위해서 벌릴 경우 젓가락의 상부가 서로 겹쳐져 분리를 막지 않도록 젓가락의 상부만 얇게 제작하고 일정하게 150도 까지만 벌어지도록 걸림부(34)가 설치 되도록 한다
쉽게 분리가 가능한 젓가락은 위생적으로 세척이 가능하며 간혹 한쪽만 이상이 생기면 이상이 생긴 부분만 교환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도 3에는 어려운 젓가락질을 도우면서도 어린이용 젓가락과 같이 고리를 사용하지 않고 젓가락 몸체가 휘어지도록 홈을 형성하여 젓가락질을 쉽게 하도록 젓가락을 잡은 모식도이다.
상기와 같은 홈은 젓가락질을 인체 공학적으로 손가락이 지지되는 부위에 형성하도록 하였다. 대부분 젓가락질을 돕기위한 어린이용 젓가락의 경우 손가락 근육의 발달이 완전하지 않아서 유연한 고리를 설치하여 젓가릭질을 하게 되지만, 본 발명은 어린이에 한정하지 않은 젓가락으로 막대부에 구성된 인체 공학적인 자연스러운 홈은 어린이나 연습용으로만 사용하지 않은 고급스러운 곡선으로 보인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젓가락을 잡게 되면 손가락이 안착된 홈은 가려지지 않아 미관상으로도 거부감 없이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젓가락질은 제1막대부(10)에 엄지와 검지사이 깊숙이 안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젓가락의 중심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안착이 가능하도록 제 1막대부(10)에는 힌지가 위치한 곳의 하부쪽에 엄지용 지지홈(11)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엄지용 지지홈(11)은 반원형태로 생긴 홈으로 엄지 손가락이 위치하기 쉬운 형태이다.
또한, 제 2막대부(20)의 경우 엄지로 지긋이 누르고 검지와 중지에 의해서 움직임을 이룬다. 이때 힌지가 돌아가면서 젓가락질이 되어 음식을 집는데 상기 검지가 닿는 곳은 엄지용 지지홈(11)의 위치보다 젓가락의 하부쪽 방향에 형성되는 검지용 지지부(21)에 의해서 2막대부(20)에 유선형으로 휘어진 홈을 형성하여 검지 손가락이 끝부분이 편안히 안착하여 눌러주듯이 편안히 잡을 수 있는 형태이다. 상기 홈은 검지손가락이 안착되는 곳으로 검지용 지지홈(21)이 되어 손에 힘을 많이 넣지 않아도 쉽게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과 같은 홈이 있는 젓가락은 두드러지게 휘어지거나 튀어나온 돌기를 형성하고 좀 더 사용이 어려운 어린이들 용으로는 유연한 고리가 형성되어 있어 대부분이 심미감이 감소되어 있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젓가락은 심미감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부의 집게부를 지나서 자연스럽게 각도가 벌어져서 힌지가 있는 안쪽으로만 돌출이 되고 젓가락의 외부 방향으로는 돌출부위가 없어 더욱 고급스러운 느낌으로 심미감을 높였다.
각 막대부(10, 20)는 집게부(40)를 중심으로 4 ~ 6도의 각도로 벌어지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크기는 젓가락질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쥘 수 있는 각도이다.
도 4와 같이 구성된 젓가락의 집게부(40)는 완전히 맞닿게 접하도록 하여 음식을 집을 때 좀 더 많은 부분이 음식에 닿아 움켜 쥐는 것이 쉬워지게 되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와 같이 맞닿은 부분에 홈을 형성하여 더욱 편안한 젓가락질이 가능하다.
상기의 집게부(40)에 형성된 홈은 심미감을 높이기 위해서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집게부(40)는 맞닿도록 구성되도 집게부가 끝나는 부분에서부터 각도를 형성하여 상부까지 벌어지도록 구성된 특징으로 본 발명의 젓가락은 움직임이 쉽게 이루어 지면서도 집게부(40)에서 음식을 더 넓은 면으로 잡음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본 구성의 젓가락은 젓가락질이 서툰 어린이만을 한정으로 하지 않고 어른들도 교정 젓가락의 이미지가 아닌 편안한 젓가락의 느낌으로 집 밖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합성수지, 옥수수 전분, 사기, 나무, 자연석과 같이 다양한 제질과 크기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식당에서는 위생적으로 한 쌍으로 구성하여 손님께 제공함으로써 한 개씩 따로 있는 젓가락에 비하여 관리가 수월하다.
상기와 같이 다양한 음식점에서 활용이 가능하도록 중식당에 어울리는 긴 젓가락은 각도를 좁혀서 제작하여 사용이 쉬우면서도 고급스러운 이미지가 가능하며, 일식당 분위기와 어울리도록 짧은 길이로 젓가락을 제작하고 움직임이 편안하도록 각도를 조금 넓혀서 제작하면 사용이 편리하고 식당에 어울리게 놓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제1막대부
11 : 엄지용 지지홈
20 : 제2막대부
21 : 검지용 지지홈
30 : 힌지부
31 : 삽입 힌지측
32 : 수용 힌지측
33 : 스텐리벳
34 : 걸림부
40 : 집게부
41 : 집게홈

Claims (4)

  1. 제 1막대부(10)와 제 2막대부(20)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젓가락에 있어서,
    상기 제1 막대부(10)와 제 2막대부(20)가 서로 결합하여 회동이 가능하게 하는 힌지부(30),
    상기 제1막대부(10)에 형성된 엄지용 지지홈(11),
    상기 제 2막대부(20)에 형성이 되어 엄지용 지지홈(11)보다 하부 방향에 위치한 검지용 지지홈(21),
    젓가락의 하부쪽에 위치하며 쉽게 집어 올릴 수 있도록 밀착하여 맞닿은 집게부(40)로 구성하며,
    상기 엄지용 지지홈(11)은 각각의 막대부가 마주 한 방향으로 반원형으로 돌출된 모양이 형성되며,
    상기 검지용 지지홈(21)음 검지 손가락익 길게 안착과 지지가 가능하도록 각각의 막대부가 마주한 방향 쪽으로 길게 유선형 홈으로 형성하며,
    상기 집게부는(40)는 제1막대부(10)와 제 2막대부(20)가 마주하는 쪽은 사다리꼴 형태로 돌출되어 밀착하며 제1막대부(10)와 제 2막대부(20)가 마주하지 않는 반대쪽은 젓가락의 상부까지 각도를 유지하지만, 엄지용 지지홈(11)과 검지용 지지홈(21)만이 직선상에서 이탈되고 상부 끝까지는 유지된 각도록 구성된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부(40)는 평행하게 맞닿도록 밀착하며 상기 집게부(40)가 끝나는 곳부터 제 1막대부(10)와 제 2 막대부(20)는 4 ~ 6°가 벌어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집게부(40)에는 선택적으로 내부로 패인 홈이 있는 집게홈(41)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3. 제 1항에 있어서 힌지부(30)는,
    상기 제 1막대부(10)의 힌지부(30)에 형성된 삽입 힌지측(31),
    상기 제1 막대부(10)의 삽입 힌지측(31)에 끼워지는 제 2막대부(20)의 힌지에 형성된 수용 힌지측(32),
    상기 삽입 힌지측(31)과 수용 힌지측(32)은 150도 가 되도록 벌어지면 삽입힌지측(31) 과 수용힌지측(32)의 걸리는 부분인 일치하여 분리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막대부들이 쉽게 분리되도록 각각의 막대부(10,20)의 상부에 형성된 얇은 걸림부(34)로 구성된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4. 제 1항에 있어서 힌지부(30)는,
    각각의 막대부(10, 20)서 일치되는 힌지부(30)가 스텐리벳(33)에 의하여 상호 결합하고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KR1020170000743A 2017-01-03 2017-01-03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KR1018794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743A KR101879436B1 (ko) 2017-01-03 2017-01-03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743A KR101879436B1 (ko) 2017-01-03 2017-01-03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414A KR20180080414A (ko) 2018-07-12
KR101879436B1 true KR101879436B1 (ko) 2018-07-18

Family

ID=62919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743A KR101879436B1 (ko) 2017-01-03 2017-01-03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94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8828A (ko) 2021-09-13 2023-03-21 진광재 파지부에 대한 가압력 해제시 피대상물 파지가 가능한 집게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514Y1 (ko) * 2004-04-22 2004-07-30 김봉근 교정용 젓가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514Y1 (ko) * 2004-04-22 2004-07-30 김봉근 교정용 젓가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8828A (ko) 2021-09-13 2023-03-21 진광재 파지부에 대한 가압력 해제시 피대상물 파지가 가능한 집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414A (ko) 2018-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64209B2 (ja) 手動操作式器具用万能把っ手
US2751683A (en) Baby spoon
US20080178471A1 (en) Novel handle and hand held utensils
US8672377B2 (en) Eating utensil
JP2008520334A (ja) 飲食物挟持具
US20110003273A1 (en) teaching aid for correct use of cutlery by children
WO2005099527A1 (en) Chopsticks
KR101879436B1 (ko)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JP3175233U (ja) 第二付勢部を設けた箸、トングなどの挟み具
KR100720828B1 (ko) 집게형 젓가락
JPH07502906A (ja) 手に障害のある者が使用する食事用具
JP3194983U (ja) トレーニング箸
US20170215613A1 (en) Children's training utensils promoting the proper use thereof
KR200377102Y1 (ko) 집게형 젓가락
CN201806423U (zh) 持筷连杆装置
KR20140031605A (ko) 학습용 젓가락
CN219920797U (zh) 矫正筷
JP3108532U (ja) 箸の使い方練習用箸
GB2512090A (en) An item of cutlery
JP2005013567A (ja) 自己使用食具
JP5922354B2 (ja) 幼児用の練習用箸
JP2002085486A (ja) 介護用グリップ
JP3143230U (ja) 波形取手の飲食用スプーン
KR20120082063A (ko) 숟가락에 붙어있는 젓가락
JP3061045U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