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7514Y1 - 교정용 젓가락 - Google Patents

교정용 젓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7514Y1
KR200357514Y1 KR20-2004-0011210U KR20040011210U KR200357514Y1 KR 200357514 Y1 KR200357514 Y1 KR 200357514Y1 KR 20040011210 U KR20040011210 U KR 20040011210U KR 200357514 Y1 KR200357514 Y1 KR 20035751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ring
chopsticks
finger
thu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12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근
최병만
Original Assignee
김봉근
최병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근, 최병만 filed Critical 김봉근
Priority to KR20-2004-00112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751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75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751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젓가락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젓가락 사용법을 교정하여 올바른 젓가락질이 가능하도록 교육하는 교정용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 제1막대와 제2막대가 한쌍을 이루는 젓가락에 있어서, 상기 제1막대에는 엄지가 끼워지는 고리형상으로서 그 일부가 단락되어 소정의 신축성을 갖는 엄지끼움고리와, 이 엄지끼움고리의 하방으로 약지가 밀착되도록 성형된 약지안착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막대에는 검지가 끼워지는 고리형상으로서 그 일부가 단락되어 소정의 신축성을 갖는 검지끼움고리와, 이 검지끼움고리의 하방으로 중지가 밀착되도록 성형된 중지안착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막대와 제2막대의 상단이 각각 힌지부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어서, 손가락의 근력을 통해 상기 제1막대 및 제2막대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호 회동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교정용 젓가락{Correcting chopsticks}
본 고안은 젓가락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젓가락 사용법을 교정하여 올바른 젓가락질이 가능하도록 교육하는 교정용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식사도구로써의 젓가락의 활용은 전세계적으로 매우 드문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써, 우리나라가 갖는 특유한 식문화로 자리매김하였다.
이러한 젓가락의 활용은 아동기 때부터 일반적으로 시작되어 꾸준한 손근육의 움직임을 통해 뇌세포에 자극을 주게된다. 그 결과 우리나라 어린이들의 두뇌발달 정도가 타국 어린이들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고 있으며, 이 조사결과는 이미 과학적으로 입증된 바 있다.
하지만, 다소 까다로운 젓가락 사용법과 더불어 서양의 식문화인 포크의 이용이 증가되면서 아이들을 중심으로 젓가락 이용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사용방법도 정도에서 크게 벗어난 잘못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고유의 식문화가 훼손 됨은 물론, 우리나라 어린이들의 두뇌발달에도 도움을 주지 못하는 문제를 일으켰다.
따라서, 올바른 젓가락 사용법을 제대로 습득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도 1은 젓가락의 올바른 사용법을 도시한 도면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젓가락을 올바르게 사용하는 손가락의 위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와 검지 사이에 젓가락을 구성하는 한 쌍의 막대들 중 하나를 끼운 후 그 하단부는 약지의 측부로 지지한다. 또한 다른 막대 하나는 엄지의 단부와 검지의 중부 사이에 포개어 고정한 후 그 하단부는 검지의 단부 및 중지의 단부 사이에 포갠다. 이러한 방법으로 일단 젓가락을 이루는 한쌍의 상기 막대들을 손가락으로 쥐고, 상기 검지와 중지를 움직여 막대를 동작시킴으로서 음식물과 같은 물체가 한쌍의 상기 막대의 각 하단부에 겹쳐져 고정되도록 된다.
종래에는 이상 상술된 올바른 젓가락 사용법이 강제적으로 실시되도록 하기 위해, 하나의 막대에는 상기 엄지가 끼워지는 방향으로 고리부를 1개 형성시키고, 다른 막대에는 검지 및 중지가 끼워지는 방향으로 2개의 고리부를 형성시켰다. 하지만, 이렇게 형성된 종래 고리부는 이곳으로 삽입되는 손가락의 두께에 관계없이 일괄된 직경으로 형성되어서 성장발육이 빠른 어린이들에게 있어 그 적용이 적절하지 못하였고, 특히, 검지 및 중지가 끼워지는 2개의 고리부의 방향은 전혀 다르게 형성되어야 하므로 현실적으로 그 제작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검지 및 중지가 끼워지는 고리부의 경우에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는 고리부와 막대와의 일체성형이 곤란하여 종래에는 상기 고리부와 막대를 별품으로 제작하여 상호 착탈시키는 방식이 적용되었다. 하지만, 이는 젓가락을 구성하는 요소의 가지수를 늘리면서 젓가락의 생산단가를 불필요하게 증가시키는 원인이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손가락의 위치를 강제로 유도할 목적으로 상기 고리부에 불가피하게 요구되는 신축성 없는 견고함으로 인해, 이 고리부로 평균치 이상 또는 이하의 손가락이 끼워질 경우 손가락이 너무 꽉 끼거나 헐거워서 젓가락의 사용이 불편하게 되던 종래 교정용 젓가락의 문제를 해소하는 한편, 제작 시 그 제조단가를 가능한한 낮춰 보다 널리 활용될 수 있도록 된 교정용 젓가락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젓가락의 올바른 사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젓가락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힌지부의 분해된 단면과 결합된 단면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한쌍의 막대부의 동작모습을 순차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젓가락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 10' ; 제1막대 11 ; 엄지끼움고리
12 ; 약지안착홈 20, 20' ; 제2막대
21 ; 검지끼움고리 22 ; 중지안착홈
30 ; 제1힌지편 31 ; 축끼움구멍
41, 42 ; 제2힌지편 41a, 42a ; 축끼움구멍
50 ; 힌지축 51 ; 관통구멍
52, 53 ; 돌기 61, 62 ; 금속막대
61a ; 고정돌기 61b, 62b ; 열변색성 부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제1막대와 제2막대가 한쌍을 이루는 젓가락에 있어서,
상기 제1막대에는 엄지가 끼워지는 고리형상으로서 그 일부가 단락되어 소정의 신축성을 갖는 엄지끼움고리와, 이 엄지끼움고리의 하방으로 약지가 밀착되도록 성형된 약지안착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막대에는 검지가 끼워지는 고리형상으로서 그 일부가 단락되어 소정의 신축성을 갖는 검지끼움고리와, 이 검지끼움고리의 하방으로 중지가 밀착되도록 성형된 중지안착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막대와 제2막대의 상단이 각각 힌지부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어서, 손가락의 근력을 통해 상기 제1막대 및 제2막대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호 회동되도록 된 교정용 젓가락이다.
본 고안은 상기 교정용 젓가락에 있어서, 상기 제1막대와 제2막대는 고분자 합성수지재로 되고,
상기 제1막대와 제2막대의 하단에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결합된 금속막대가 더 포함되는 교정용 젓가락이다.
본 고안은 상기 교정용 젓가락에 있어서, 상기 금속막대에는 열에 의해 색상이 변하는 열변색성 부재가 도포된 교정용 젓가락이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젓가락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젓가락은 한쌍의 막대를 이루는 제1막대(10)와 제2막대(20)로 구성되며, 상기 막대부(이하에서 제1막대와 제2막대를 통칭함)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이하에서 제1힌지편(30)과 제2힌지편(41, 42)을 통칭함)로 크게 구성된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은 오른손잡이용 젓가락을 기준으로 기술 및 도시된 것이다.
상기 제1막대(10)는 엄지와 검지 사이의 깊숙한 부분에 끼워지며, 약지에 의해 하방이 지지되면서 부동하게 쥐어지는 것으로, 엄지의 강제적인 위치설정을 위해 제1막대(10)의 소정위치에는 엄지끼움고리(1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엄지끼움고리(11)는 엄지가 삽입/관통될 수 있는 원형으로 그 일부가 단락되면서 개구부(11a)를 형성시킨다. 이렇게 형성된 개구부(11a)를 통해 상기 엄지끼움고리(11)는 그 형상에 있어서 견고하면서도 얼마간의 신축성을 갖게된다.
또한, 상기 엄지끼움고리(11)의 하방에는 약지안착홈(12)이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막대(10)는 엄지와 검지 및 약지에 의해 단단히 지지되는데, 특히 상기 약지는 엄지와 검지에 의해 고정된 제1막대(10)가 흔들리지 않도록 후방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본 고안에서는 제1막대(10)에서 상기 약지가 위치될 곳을 알려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제2막대(20)는 엄지의 단부와 검지 사이에 끼워지면서 고정되고, 검지의 단부를 중심으로 상기 검지 및 약지의 근력에 의해 회동되도록 쥐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제2막대(20)에는 검지의 강제적인 위치설정을 위해 검지끼움고리(21)가 형성되며, 상기 중지의 단부가 밀착되는 중지안착홈(22) 또한 상기 검지끼움고리(21)의 하방으로 소정위치에 형성된다. 이때도 역시 상기 검지끼움고리(21)는 검지가 삽입/관통될 수 있는 원형으로 그 일부가 단락되면서 개구부(21a)를 형성시킨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손가락 두께에 상관없이 상기 엄지 및 검지는 상기 엄지끼움고리(11)와 검지끼움고리(21)로 긴밀하게 끼워져서 젓가락 사용법을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젓가락 사용법에서의 검지와 중지의 다른 배치방향에 상관없이 상기 중지안착홈(22)과 검지끼움고리(21) 간의 이격거리 및 형성 위치만을 고려하여 상기 막대부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에 따른 젓가락의 제작 단가를 크게 낮출 수 있어 널리 보급시키는데 유리하게 된다.
상기 힌지부는 제1막대(10)에 고정되는 제1힌지편(30)과 제2막대(20)에 고정되는 제2힌지편(4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힌지편(30)과 제2힌지편(40)을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축(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힌지부의 분해된 단면과 결합된 단면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한쌍의 막대부의 동작모습을 순차 도시한 도면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힌지부에서 상기 제2힌지편(41, 42)은 그 사이에 상기 제1힌지편(30)이 삽입되는 이격공간을 갖는 한쌍으로 되어서 제1막대(10) 및 제2막대(20)가 항시 일직선 상에 위치되도록 될 수 있다. 또한, 각 힌지편(30, 40)에는 상기 힌지축(50)이 관통/고정되면서 힌지편(30, 40)이 힌지축(50)을 중심으로 상호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편(30, 40)에는 힌지축(50)이 관통될 수 있는 축끼움구멍(31, 41a, 42a)이 각각 형성되며, 이를 위해 상기 축끼움구멍(31, 41a, 42a)은 일렬로 연통될 수 있도록 된다.
계속해서, 상기 힌지축(50)은 상기 축끼움구멍(31, 41a, 42a)을 순차적으로 관통되면서 상기 힌지편(30, 40)이 각각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힌지축(50)에도 소정 내경의 관통구멍(51)이 형성되어서 벽걸이 및 이외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도 있다.
이상 상술된 내용에 따라 상기 힌지부는 막대부의 상단부에 배치되면서 상기 막대부의 조작 시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되며, 젓가락 이용 시 상기 제1막대(10) 및 제2막대(20)의 상호 동작으로 손으로 쥔 막대부의 방향이 뒤틀리거나 상호간의 이격거리가 멀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엄지끼움고리(11), 약지안착홈(12), 검지끼움고리(21) 및 중지안착홈(22)에 맞물린각 손가락이 상기 각 부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잡아주게 된다.
미설명부호 "B"는 상기 힌지부와 막대부 간의 결합 시 적용되는 결합수단으로서, 막대부와 힌지부를 일체형으로 하거나, 본드와 같은 접착제로 부착시키거나, 땜질과 같은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미설명부호 "52" 및 "53"은 돌기로써, 상기 힌지축(50)과 힌지편(30, 41, 42) 간의 결합방식이 핀방식일 경우, 상기 축끼움구멍(31, 41a, 42a)으로 압입되는 힌지축(50)이 외력에 의해 상기 축끼움구멍(31, 41, 42a)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저지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 힌지부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젓가락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막대부는 제작의 편의와 이를 사용하는 대상이 아동들이라는 점에 입각하여 다양한 형상 및 색상을 용이하게 표현할 수 있는 고분자 합성수지재로 되는 것이 좋지만,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젓가락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음식물과 직접 접촉되고 아이들의 입으로 들어가게 되는 막대부의 하단부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재질로 된 금속막대(61, 62)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재질이 다른 상기 막대부와 금속막대(61, 62) 간의 단단한 결속을 위해 상기 막대부와 직접적으로 맞닿는 금속막대(61, 62)의 일면에는 상기 막대부로 끼워지는 고정돌기(61a)가 형성되어서 막대부와 금속막대(61, 62) 간의 단단한 결속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교정용 젓가락은 음식물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상기 금속막대(61, 62)에 열에 의해 변색되는 열변색성 부재(61b, 62b)를 도포하여 어린이들이 뜨거운 음식을 시각적으로 쉽게 지각할 수 있도록 된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엄지 및 검지가 관통/삽입되는 고리부의 일부가 단락되면서 견고한 고리부 자체에 손가락의 두께에 상응하여 확장될 수 있는 다소간의 신축성이 생기게 되고, 각 막대에 하나의 고리부만이 형성되면서 젓가락의 제작이 보다 수훨해지면서 상대적으로 제조단가를 낮추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3)

  1. 제1막대와 제2막대가 한쌍을 이루는 젓가락에 있어서,
    상기 제1막대에는 엄지가 끼워지는 고리형상으로서 그 일부가 단락되어 소정의 신축성을 갖는 엄지끼움고리와, 이 엄지끼움고리의 하방으로 약지가 밀착되도록 성형된 약지안착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막대에는 검지가 끼워지는 고리형상으로서 그 일부가 단락되어 소정의 신축성을 갖는 검지끼움고리와, 이 검지끼움고리의 하방으로 중지가 밀착되도록 성형된 중지안착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막대와 제2막대의 상단이 각각 힌지부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어서, 손가락의 근력을 통해 상기 제1막대 및 제2막대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호 회동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젓가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막대와 제2막대는 고분자 합성수지재로 되고,
    상기 제1막대와 제2막대의 하단에는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결합된 금속막대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젓가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막대에는 열에 의해 색상이 변하는 열변색성 부재가 도포된 것을특징으로 하는 교정용 젓가락.
KR20-2004-0011210U 2004-04-22 2004-04-22 교정용 젓가락 KR2003575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210U KR200357514Y1 (ko) 2004-04-22 2004-04-22 교정용 젓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210U KR200357514Y1 (ko) 2004-04-22 2004-04-22 교정용 젓가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7514Y1 true KR200357514Y1 (ko) 2004-07-30

Family

ID=49434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210U KR200357514Y1 (ko) 2004-04-22 2004-04-22 교정용 젓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751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436B1 (ko) * 2017-01-03 2018-07-18 조숙이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436B1 (ko) * 2017-01-03 2018-07-18 조숙이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57514Y1 (ko) 교정용 젓가락
JP2014097047A (ja) 装飾性直状握り柄
KR100720828B1 (ko) 집게형 젓가락
KR200359824Y1 (ko) 젓가락
KR200377102Y1 (ko) 집게형 젓가락
KR20090001430U (ko) 젓가락
KR200473993Y1 (ko) 숟가락 겸용 젓가락
EP1958547A1 (en) Assemblable eating utensil
CN203776600U (zh) 一种筷子学习器
KR20130003870U (ko) 트레이닝 젓가락
KR200387991Y1 (ko) 미끄러짐 방지구조를 갖는 젓가락
KR200471973Y1 (ko) 젓가락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트레이닝 젓가락
CN219920797U (zh) 矫正筷
KR200380913Y1 (ko) 젓가락질 훈련용 젓가락
CN218338152U (zh) 儿童学习筷
JP3195237U (ja) 組み立て式食器構造
KR200331316Y1 (ko) 사랑의 열매 브로우치
CN210471807U (zh) 一种适于初学者使用的筷子构造
CN212698453U (zh) 一种训练筷
CN204092837U (zh) 一种一次性纹身设备的针嘴结构
KR200170065Y1 (ko) 스프링이부설된젓가락
CN209788703U (zh) 一种可拆合戒指
CN2899630Y (zh) 筷子助用夹
KR200434855Y1 (ko) 아동용 젓가락
KR20130006341U (ko) 젓가락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트레이닝 젓가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