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2063A - 숟가락에 붙어있는 젓가락 - Google Patents

숟가락에 붙어있는 젓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2063A
KR20120082063A KR1020110003336A KR20110003336A KR20120082063A KR 20120082063 A KR20120082063 A KR 20120082063A KR 1020110003336 A KR1020110003336 A KR 1020110003336A KR 20110003336 A KR20110003336 A KR 20110003336A KR 20120082063 A KR20120082063 A KR 20120082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chopsticks
cutlery
presen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3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용
Original Assignee
최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용 filed Critical 최준용
Priority to KR1020110003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2063A/ko
Publication of KR20120082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0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1Accessories for grave sites, e.g. liners, covers, vault low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숟가락를 수직 방향으로 대칭되게 절개한 후 손잡이쪽 선단을 이격되게 연결하여 일체형으로 구성한 숟가락/젓가락 겸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각각이 숟가락을 수직 방향으로 절개한 반쪽의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탄성재질 반수저(1)가 구성되며, 상기 한 쌍 반수저(1)는 상단부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연결부(2)가 구성되고, 각 반수저(1)의 중단 하부에는 하향 돌출된 파지부(3)가 구성되며, 각 반수저(1)의 하단부에는 서로 맞물리는 톱니 형상의 협지부(4)가 구성되고, 각 반수저(1)의 연결부(2) 직하단 내면에는 반타원형 모양의 만곡부로 절취된 힌지홈(5)이 구성되는, 숟가락/젓가락 겸용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숟가락에 붙어있는 젓가락{The chopsticks which is sticking in the spoon}
본 발명은 숟가락과 젓가락 겸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숟가락과 젓가락 간의 전환을 별도의 작업 없이 그대로 전환할 수 있는 숟가락/젓가락 겸용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숟가락를 수직 방향으로 대칭되게 절개한 후 손잡이쪽 선단을 연결하여 구성한 숟가락/젓가락 겸용
구에 관한 것으로서, 힘이 적게 소요되고 조작이 편리하도록 구성되는 숟가락/젓가락 겸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국과 중국 및 일본을 포함하는 극동 지방의 나라들은 전 세계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식사용구인 숟가락과 함께 전통적으로 젓가락을 사용하여 왔다.
이와 같은 젓가락 문화는 최근 유럽, 미국 등 숟가락과 함께 포크와 나이프 등의 용구를 사용하는 국가들에서도 널리 전파되고 있는 양상을 보이는데, 이는 문화교류의 영향과 함께 젓가락 사용이 어린이들의 두뇌 발달에도 좋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부터이다.
그러나, 오히려 우리나라에서는 포크와 나이프를 이용하는 서양 문화의 영향으로 어린이들 사이에서 젓가락 사용의 비중이 줄어드는 추세이며, 심지어는 성인이 되어서도 젓가락을 자유자재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한편, 식사용구 분야에서는 2가지 이상의 용구를 하나의 도구로 통합하여 구성하려는 시도가 있어왔는데, 예를 들어 숟가락의 선단에 포크 구조를 형성시켜 사용하는 것은 널리 퍼져 알려진 경우이며, 우리나라에서도 종래의 숟가락과 젓가락으로 뚜렷이 구분되던 식사용구의 개념이 숟가락/젓가락 겸용구라는 것이 등장하면서 바뀌고 있다.
이와 같은 숟가락/젓가락 겸용구는 원래 젓가락 사용이 익숙치 않은 외국인이나 어린이, 손의 사용이 불편한 노약자 등을 위하여 제안된 것이었으나, 상기와 같이 근래 젓가락 사용자가 줄어드는 추세를 막고 식사시, 특히 어린이들에게 편리함과 함께 재미, 즉 유희감을 줌으로써 젓가락 사용법을 훈련시켜 두뇌를 개발시킴과 시에 고유한 전통을 지켜내는 데에도 일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숟가락/젓가락 겸용구에 대한 기술을 특허/실용신안 상의 선행기술에서도 종종 찾아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22251호에 보면 숟가락의 손잡이부를 결합,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숟가락의 식음부를 절개하여 벌어질 수 있도록 하며, 분리된 식음부의 앞에는 젓가락의 역할을 감당하는 젓가락부가 형성되어 숟가락과 젓가락의 기능을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숟가락/젓가락 겸용구에 대해 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1994-0029181호에는,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숟가락을 수직 절개하여 구성하고, 상단 머리 부분을 회동 가능하도록 조립하여 개폐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젓가락 기능도 수행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일측의 중단부에 검지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고리를 구성하여 젓가락으로 사용시 젓가락질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숟가락/젓가락 겸용구에 대해 개시된 바 있다.
이와 같은 특허/실용신안 상의 선행기술들은 수직 방향으로 절개된 숟가락 양 반쪽의 각 상단부를 연결하여 구성된다는 공통점이 있고 이에 따라 실제 젓가락으로의 사용시 아래의 음식을 집는 부분은 넓은 반면 상단부는 붙어 있는 삼각형 형태를 취하게 된다.
그러나, 이는 일반적인 젓가락 사용시 아래의 음식을 집는 부분은 좁은 반면 상단부는 넓게 벌리는 역삼각형의 형태를 취하게 되는 것과는 반대되는 것으로서, 이렇게 아래가 넓고 위가 붙은 삼각형 형태로 젓가락을 사용하는 것은 기존의 젓가락을 능숙하게 사용하던 사람에게는 어색하고 불편하여 결국 사용이 꺼려지게 하는 요인이 될 뿐만 아니라, 오래 사용할 경우 젓가락을 사용하는 기술이 퇴보하는 역기능을 가져올 우려도 있었다.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한 것으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80042호에 보면,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음식물협지부가 각각 숟가락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맞닿았을 때 하나의 숟가락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며, 음식물을 협지하지 않는 상부 선단이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 연결된 일체형의 탄성 재질로 구성되는 숟가락/젓가락 겸용구에 대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부 선단이 서로 이격되어 구성되는 380042호 겸용구의 경우 쥐는 힘에 의해 양 협지부가 휘어져 어긋
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강한 탄력, 즉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 재질을 사용할 필요성이 있는데, 이렇게 강한
재질을 사용하게 되면 다시 사용이 불편할 정도로 쥐는 힘을 강하게 주어야 숟가락 부분이 사용 가능하게 밀착하게 됨으로써 사용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0322251호 및 실용신안공개 제1994-0029181호와 같이 약한 쥐는 힘으로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실용신안등록 제0380042호젓가락으로 사용시 위는 넓고 아래는 좁은 역삼각형의 일반 젓가락과 같은 형태를 취할 수 있는 새로운 숟가락/젓가락 겸용구의 출현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약한 쥐는 힘으로도 용이하
게 양 반쪽을 밀착시켜 숟가락으로 사용할 수 있는 숟가락/젓가락 겸용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젓가락으로의 사용시 위는 넓고 아래는 붙는 역삼각형을 이룸과 동시에 밀착하는 양 협지부가 휘
어져 어긋나지 않도록 강한 탄성 재질을 사용하면서도 약한 힘으로 불편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숟가락/젓가락 겸용구를 제
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밖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과제와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숟가락를 수직 방향으로 대칭되게 절개한 후 손잡이쪽 선단을 이격되게 연결하여 일체형으로 구성한 숟가락/젓가락 겸용구에 관한 것으로서, 힘이 적게 소요되고 조작이 편리하도록 구성되는 숟가락/젓가락 겸용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한 쌍의 숟가락 수직 방향 반쪽 형상이, 상단부가 이격되어 연결된 일체형으로 구성되고, 중단 하부에는 겸용구를 더 작은 힘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파지구가 구성되며, 양 반쪽의 숟가락 형상 선단에는 서로 맞물리는 톱니 형상이 구성되며, 연결부 직하단에는 힘이 적게 소요되도록 하기 위한 힌지점이 구성되는 숟가락/젓가락 겸용구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첨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현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되는 본 발명의 숟가락/젓가락 겸용구에서 겸용구의 재질 등 본 발명의 실질적 내용 및 효과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부분에 대한 상세하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되었는 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한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여도 관계없음을 밝혀둔다.
도 2는 본 발명 숟가락/젓가락 겸용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숟가락/젓가락 겸용구의 일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숟가락/젓가락 겸용구의 힌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숟가락/젓가락 겸용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숟가락/젓가락 겸용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젓가락 겸용구는, 각각이 숟가락을 수직 방향으로 절개한 반쪽의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탄성재질 반수저(1)가 구성되며, 상기 한 쌍 반수저(1)는 상단부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연결부(2)가 구성되고, 각 반수저(1)의 중단 하부에는 하향 돌출된 파지부(3)가 구성되며, 각 반수저(1)의 하단부에는 서로 맞물리는 톱니 형상의 협지부(4)가 구성되고, 각 반수저(1)의 연결부(2) 직하단 내면에는 반타원형 모양의 만곡부로 절취된 힌지홈(5)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숟가락/젓가락 겸용구에서 상기 각 반수저(1)는 상단의 연결부(2) 방향으로 갈수록 상하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각 반수저(1)가 연결되는 연결부(2)의 내면은 만곡부(6)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각 반수저(1)를 이격시킨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한 쌍의 반수저(1)가 각각의 상단이 이격되어 일체형으로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은 젓가락 내지는 집게로 사용함으로써 음식물을 집어들고자 할 때, 일반적인 젓가락으로 음식물을 집어들 때와 마찬가지로 윗부분은 넓고 아래 부분은 접하는 역삼각형 형상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은 기존의 개별적인 젓가락과 최대한 동일한 사용 효과를 얻고 이에 따라 젓가락을 능숙하게 사용하던 사람에게도 어색하거나 불편한 느낌을 주지 않고, 오래 사용할 경우에도 젓가락을 사용하는 기술이 퇴보하는 등의 우려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각 반수저(1)의 중단 하부에 하향 돌출되어 구성되는 상기 파지부(3)는 손가락을 쥐는 동작이 편하고 안락하게 될 수 있도록 해주는 구조로서, 파지시 손가락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겸용구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협지부(4)에 구성되는 톱니 형상은 음식물을 집을 때 미끄러지지 않고 용이하게 집을 수 있도록 하기 위
한 것으로서, 상기 파지부(3)가 손으로부터 겸용구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용도였다면, 협지부(4)는 음식물이 겸용구로
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숟가락/젓가락 겸용구는 탄성 재질로 구성되며, 이때, 쥐는 힘에 의해 양 협지부가 휘어
져 어긋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강한 탄력, 즉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 재질을 사용할 필요성이 있는데, 이렇게
강한 재질을 사용하게 되면 오히려 사용이 불편할 정도로 쥐는 힘을 강하게 주어야 숟가락 부분이 사용 가능하게 밀착하게
됨으로써 사용이 용이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겸용구 사용을 위해 쥐는 힘을 적용할 때 각 반수저(1)의 상단부에서 굽힘점(Vending Point)으로 작용하여
소요되는 힘을 크게 줄여줄 수 있는 힌지홈(5)을 구성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였으며, 또한, 이와 같은 힌지홈(5)을 각 반수저(1)의 가장 상단, 즉 연결부(2) 직하단에 구비하여 쥐는 부분으로부터 최대한 원거리에 구성함으로써 지렛대 원리에 의해 역시 소요되는 힘을 더 한층 줄여줄 수 있게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숟가락/젓가락 겸용구에서 상기 각 반수저(1)가 상단의 연결부(2) 방향으로 갈수록 상하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은, 탄성 재질로 구성된다는 특성상 각 반수저(1)의 좁힘과 넓힘 동작 이외에 쥐는 힘에 의해 상하 변동이 올 수도 있는데, 이에 의해 숟가락 형태로 정합시 정합부가 어긋날 소지를 없애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각 반수저(1)가 연결되는 연결부(2)의 내면이 만곡부(6)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2개의 반수저(1)를 이격시켜 연결한다는 특성상 만곡부로 탄성 구조를 형성시킴으로써 동작에 소요되는 힘을 줄여주고 반복 동작시 연결부
(2) 재질이 쉽게 노후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숟가락/젓가락 겸용구의 기술적 사상은 다른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데, 이하, 본 발명에 따라 구현 가능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쥠 동작시 굽힘점 및 지렛점 역할을 할 수 있는 힌지홈이 2개 이상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숟가락/젓가락 겸용구는, 각각이 숟가락을 수직 방향으로 절개
한 반쪽의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탄성재질 반수저(1)가 구성되며, 상기 한 쌍 반수저(1)는 상단부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연결부(2)가 구성되고, 각 반수저(1)의 중단 하부에는 하향 돌출된 파지부(3)가 구성되며, 각 반수저(1)의 하단부에는 서로 맞물리는 톱니 형상의 협지부(4)가 구성되고, 각 반수저(1)의 연결부(2) 직하단 내면에는 반타원형 모양으로 절취된 만곡부로 이루어지는 힌지홈(5) 2개가 연접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2개의 힌지홈(5)이 구성될 경우 더 약한 쥐는 힘으로도 숟가락/젓가락 겸용구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역으로, 같은 쥐는힘으로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더 내구성이 크고 단단한 재질로 숟가락/젓가락 겸용구를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 숟가락/젓가락 겸용구에서 상기 파지부(3)는 겸용구 사용 방법 또는 습관에 따라 식기 등이 걸려 넘어지는 등의 장애물로 작용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하기의 제3실시예로서 파지구를 없애는 대신 안착돌기(6)를 구성하였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제3실시예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이 숟가락을 수직 방향으로 절개한 반쪽의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탄성재질 반수저(1)가 구성되며, 상기 한 쌍 반수저(1)는 상단부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연결부(2)가 구성되고, 각 반수저(1)의 하단의 하부에는 하향 돌출된 안착돌기(7)가 구성되며, 각 반수저(1)의 하단부에는 서로 맞물리는 톱니 형상의 협지부(4)가 구성되고, 각 반수저(1)의 연결부(2) 직하단 내면에는 반타원형 모양의 만곡부로
절취된 힌지홈(5)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3실시예에서 상기 안착돌기(6)는 식사중이나 보관중에 겸용구를 편평한 면에 놓아 둘 때 숟가락 부분이 면에 닿아 오염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없애 준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실시예들의 숟가락/젓가락 겸용구의 용도가 반드시 숟가락과 젓가락 기능을 겸하는 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숟가락 기능과 집게 기능을 겸하여 수행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숟가락/젓가락 겸용구는 이상과 같이 상술한 구현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구현예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변형에 의해 본 발명의 상기한 기술적 사상이 전혀 훼손되지 않을 수 있음이 주지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완성됨으로써, 각각이 숟가락을 수직 방향으로 절개한 반쪽의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탄성재질 반수저(1)가 구성되며, 상기 한 쌍 반수저(1)는 상단부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연결부(2)가 구성되고, 각 반수저(1)의 중단 하부에는 하향 돌출된 파지부(3)가 구성되며, 각 반수저(1)의 하단부에는 서로 맞물리는 톱니 형상의 협지부(4)가 구성되고, 각 반수저(1)의 연결부(2) 직하단 내면에는 반타원형 모양의 만곡부로 절취된 힌지홈(5)이 구성되는, 숟가락/젓가락 겸용구가 제공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이 완성됨으로써, 약한 쥐는 힘으로도 용이하게 양 반쪽을 밀착시켜 숟가락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젓가락으로의 사용시 위는 넓고 아래는 붙는 역삼각형을 이룸과 동시에 밀착하는 양 협지부가 휘어져 어긋나지 않도록 강한 탄성 재질을 사용하면서도 약한 힘으로 불편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숟가락/젓가락 겸용구를 제공 제공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구현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a-도 1c는 종래 숟가락/젓가락 겸용구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숟가락/젓가락 겸용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숟가락/젓가락 겸용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숟가락/젓가락 겸용구의 힌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숟가락/젓가락 겸용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숟가락/젓가락 겸용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숟가락과 젓가락을 같이 사용할 수 있다.
1: 반수저 2: 연결부
3: 파지부 4: 협지부
5: 힌지홈 6: 만곡부
7: 안착돌기

Claims (3)

  1. 각각이 숟가락을 수직 방향으로 절개한 반쪽의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탄성재질 반수저(1)가 구성되며, 상기 한 쌍 반수저(1)는 상단부에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연결부(2)가 구성되고, 각 반수저(1)의 중단 하부에는 하향
    돌출된 파지부(3)가 구성되며, 각 반수저(1)의 하단부에는 서로 맞물리는 톱니 형상의 협지부(4)가 구성되고, 각 반수저(1)의 연결부(2) 직하단 내면에는 반타원형 모양의 만곡부로 절취된 힌지홈(5)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숟가락/젓가락 겸용구.
  2. 제 1항에 있어서, 각 반수저(1)는, 상단의 연결부(2) 방향으로 갈수록 상하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젓가락 겸용구.
  3. 제 1항에 있어서, 각 반수저에서 힌지홈(5)은 2개가 연접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젓가락 겸용구.

KR1020110003336A 2011-01-13 2011-01-13 숟가락에 붙어있는 젓가락 KR201200820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336A KR20120082063A (ko) 2011-01-13 2011-01-13 숟가락에 붙어있는 젓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336A KR20120082063A (ko) 2011-01-13 2011-01-13 숟가락에 붙어있는 젓가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063A true KR20120082063A (ko) 2012-07-23

Family

ID=46713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3336A KR20120082063A (ko) 2011-01-13 2011-01-13 숟가락에 붙어있는 젓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20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5550A (ko) 2019-01-07 2020-07-15 주식회사 윤진 국수용 집게 기능이 있는 다기능 숟가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5550A (ko) 2019-01-07 2020-07-15 주식회사 윤진 국수용 집게 기능이 있는 다기능 숟가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8563B2 (en) Combination chopstick utensil
CN100586347C (zh) 用于夹取和夹持食物的工具
CA2896119C (en) Chopsticks
KR100720828B1 (ko) 집게형 젓가락
KR102181150B1 (ko) 파스타면 감김부가 구비된 다기능 젓가락
KR20120082063A (ko) 숟가락에 붙어있는 젓가락
JP6296705B2 (ja) 手で使用する挟み具のための連結具
JP5713384B2 (ja) 飲食用具
KR20060127518A (ko) 숟가락/젓가락 겸용구
KR101012813B1 (ko) 개량형 젓가락
KR20070026555A (ko) 이쑤시개가 장착된 젓가락
KR101879436B1 (ko)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CN201806423U (zh) 持筷连杆装置
KR100729951B1 (ko) 음식물 협지구
JP6050875B1 (ja) 飲食用具
CN104957944A (zh) 手握式筷子柄
CN219920797U (zh) 矫正筷
KR200450867Y1 (ko) 학습용 젓가락
JPH05507855A (ja) 手の障害者及び一般人のための食器
KR200484348Y1 (ko)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JP3012863U (ja) 飲食用具
JP3061045U (ja)
KR20110088863A (ko) 손가락 삽입형 식기도구
KR200410341Y1 (ko) 사용이 편리한 젓가락
JP2002085486A (ja) 介護用グリ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