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348Y1 -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 Google Patents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348Y1
KR200484348Y1 KR2020150007867U KR20150007867U KR200484348Y1 KR 200484348 Y1 KR200484348 Y1 KR 200484348Y1 KR 2020150007867 U KR2020150007867 U KR 2020150007867U KR 20150007867 U KR20150007867 U KR 20150007867U KR 200484348 Y1 KR200484348 Y1 KR 2004843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stick portion
pedestal
food
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8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041U (ko
Inventor
문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앤지
Priority to KR20201500078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348Y1/ko
Priority to CN201611064098.2A priority patent/CN106820872A/zh
Publication of KR201700020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0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3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3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2Forks; Forks with ejectors; Combined forks and spoons; Salad servers
    • A47G21/023Forks; Forks with e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6Combined or separable sets of table-service utensils; Oyster knives with openers; Fish servers with means for removing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Abstract

본 고안은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틱부에 형성된 받침대에 상호 계합하는 돌기와 요홈이 형성되어, 사용시 스틱부가 받침대에 의해 테이블의 바닥과 접촉되지 않아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돌기와 요홈이 계합되면서 스틱부가 상호 어긋나지 않아 음식물을 용이하게 집을 수 있는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취식도구에 있어서, 돌기가 형성된 제1받침대가 중간에 형성되는 제1스틱부; 돌기에 대응되는 요홈이 형성된 제2받침대가 중간에 형성되는 제2스틱부; 제1스틱부의 일단부와 제2스틱부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시 제1스틱부와 제2스틱부가 만날 때, 돌기가 요홈에 삽입되면서 제1스틱부의 타단부와 제2스틱부의 타단부가 서로 어긋나지 않게 되되,
제1스틱부의 타단부 내측면과 제2스틱부의 타단부 내측면에는, 음식물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음식물걸림부는, 제1스틱부 및 제2스틱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더 깊게 함몰 형성된 홈이고,
제1스틱부에는, 제1받침대와 연결부의 사이에 제1거치돌기가 형성되고, 제2스틱부에는, 제2받침대와 연결부의 사이에 제2거치돌기가 형성되되,
제1거치돌기와 제2거치돌기는 서로 위치 차를 두고 형성되며, 제1거치돌기와 제2거치돌기는, 제1받침대와 제2받침대의 돌출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돌출되어, 취식도구가 테이블의 바닥면에 놓인 경우, 제1스틱부와 제2스틱부가 바닥면에 접촉되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Versatile cooking utensils with sanitary properties and ease of use}
본 고안은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틱부에 형성된 받침대에 상호 계합하는 돌기와 요홈이 형성되어, 사용시 스틱부가 받침대에 의해 테이블의 바닥과 접촉되지 않아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돌기와 요홈이 계합되면서 스틱부가 상호 어긋나지 않아 음식물을 용이하게 집을 수 있는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취식도구는 숟가락, 젓가락, 포크, 나이프 등 음식물을 먹기 위해 사용하거나, 집게, 뒤집게 등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들을 말한다.
특히, 집게, 뒤집게 등의 취식도구는 자체 탄성에 의해 벌어지게 형성되어 음식물을 집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오른손과 왼손의 구분없이 손잡이에 힘을 가하여 크기가 크고 무게가 많이 나가는 음식물을 조리할 때 주로 사용된다.
하지만 이처럼 취식도구를 청결하지 않은 식탁이나 바닥에 놓고 사용할 때 받침대를 별도로 구비하여 사용하여야 했으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취식도구에 관련된 선행 기술로 '잡기 편하고 위생적이며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다기능 젓가락(등록번호:10-1227783)'이 있다.
상기한 '잡기 편하고 위생적이며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다기능 젓가락'에서는, 다기능 젓가락의 청결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스틱부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받침대를 설치하여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손으로 스틱부를 잡을시 엄지와 검지의 위치가 고정되지 않아 조작이 쉽지 않으므로 음식물을 집는 동작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스틱부로 음식물을 집을시 스틱부가 상호 엇갈려지면서 음식물을 잡는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7783호, 2013. 01. 23.자 등록.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손으로 스틱부를 잡을시 엄지와 검지의 위치를 고정시켜 조작이 쉽고, 음식물을 용이하게 집기 위한 구조를 가진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취식도구에 있어서, 돌기가 형성된 제1받침대가 중간에 형성되는 제1스틱부;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요홈이 형성된 제2받침대가 중간에 형성되는 제2스틱부; 및 상기 제1스틱부의 일단부와 상기 제2스틱부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시 상기 제1스틱부와 상기 제2스틱부가 만날 때, 상기 돌기가 상기 요홈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1스틱부의 타단부와 상기 제2스틱부의 타단부가 서로 어긋나지 않게 되되, 상기 제1스틱부의 타단부 내측면과 상기 제2스틱부의 타단부 내측면에는, 음식물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음식물걸림부는, 상기 제1스틱부 및 상기 제2스틱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더 깊게 함몰 형성된 홈이고, 상기 제1스틱부에는, 상기 제1받침대와 상기 연결부의 사이에 제1거치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스틱부에는, 상기 제2받침대와 상기 연결부의 사이에 제2거치돌기가 형성되되, 상기 제1거치돌기와 상기 제2거치돌기는 서로 위치 차를 두고 형성되며, 상기 제1거치돌기와 상기 제2거치돌기는, 상기 제1받침대와 상기 제2받침대의 돌출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돌출되어, 상기 취식도구가 테이블의 바닥면에 놓인 경우, 상기 제1스틱부와 상기 제2스틱부가 바닥면에 접촉되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음식물걸림부는, 상기 제1스틱부 및 상기 제2스틱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스틱부, 상기 제2스틱부 및 상기 연결부는, 일체로 성형되어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스틱부와 제2스틱부는, 금속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부에 인서트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부가적으로, 상기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는, 젓가락 또는 집게 또는 뒤집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참고로, 상기 연결부에는, 장식용 덮개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1스틱부와 상기 제2스틱부의 타단부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헤드부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대응되게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고안에 따른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는, 한 쌍의 받침대가 형성되어 스틱부가 테이블의 바닥면에 닿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으로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돌기와 요홈이 상호 대응하여 형성됨으로써 한 쌍의 스틱부를 상호 평행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음식물을 용이하게 집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 쌍의 거치돌기가 동일한 위치 또는 위치 차를 두고 형성되어 손으로 스틱부를 잡을시 엄지와 검지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취식도구의 조작을 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스틱부의 타단부 내측면에 홈 또는 돌기 형상의 음식물걸림부가 형성됨에 따라 면 등의 음식물을 떨어뜨리지 않고 집을 수 있는 보조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라 음식물걸림홈이 적용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라 음식물걸림돌기가 적용된 사시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라 장식용 덮개를 포함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라 헤드부가 장착된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라 음식물걸림홈(11d, 12d)이 적용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라 음식물걸림돌기(11e, 12e)가 적용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요부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사용 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틱부(10)가 젓가락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제1스틱부(11), 제2스틱부(12) 및 연결부(20)로 이루어진다.
먼저, 제1스틱부(11)와 제2스틱부(12)는 동일한 길이를 가진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손으로 힘을 가하면 유동하여 음식물을 집는 역할을 한다.
즉, 제1스틱부(11)의 일단부와 제2스틱부(12)의 일단부에 손으로 힘을 가하면, 제1스틱부(11)의 타단부와 제2스틱부(12)의 타단부가 상호 만나면서 음식물과 직접 접촉되어 음식물을 집게 된다.
여기서 제1스틱부(11)와 제2스틱부(12)의 중간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받침대(11a)와 제2받침대(12a)가 각각 형성되는데, 이는 취식도구가 테이블에 놓였을 때 스틱부(10)가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말하자면, 제1받침대(11a)와 제2받침대(12a)는 취식도구를 위생적으로 청결하지 않은 테이블의 바닥면에 놓을시 별도의 받침대를 사용할 필요가 없도록 제1스틱부(11)와 제2스틱부(12)보다 더 돌출 형성되어, 스틱부(10)를 테이블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제1스틱부(11)와 제2스틱부(12)가 만날 때, 제1받침대(11a)와 제2받침대(12a)가 상호 접촉하면서, 스틱부(10)로 음식물을 집을시 비틀어지거나 엇갈리는 현상을 1차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1받침대(11a)와 제2받침대(12a)의 내측면에는 돌기(11b)와 요홈(12b)이 더 형성되는데, 이는 제1스틱부(11)와 제2스틱부(12)가 만나면서 음식물을 집을시 상호 계합되어 스틱부(10)가 비틀어지거나 엇갈리는 현상을 2차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취식도구를 오므려 제1스틱부(11)의 타단부와 제2스틱부(12)의 타단부가 상호 대응하여 만날 때, 돌기(11b)가 요홈(12b)에 삽입되면서 제1스틱부(11)의 타단부와 제2스틱부(12)의 타단부가 서로 어긋나지 않도록 평행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돌기(11b)와 요홈(12b)이 상호 계합되어 지지력을 발휘함에 따라 제1스틱부(11)의 타단부와 제2스틱부(12)의 타단부를 평행하게 고정시켜 음식물을 떨어뜨리지 않고 용이하게 집을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제1스틱부(11)의 타단부 내측면과 제2스틱부(12)의 타단부 내측면에 음식물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이 미끄러지지 않고 많은 양의 음식물을 집기에 용이하도록, 제1스틱부(11)의 타단부 내측면과 제2스틱부(12)의 타단부 내측면에 음식물걸림부(음식물걸림홈(11d, 12d) 또는 음식물걸림돌기(11e, 12e))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첫째, 음식물걸림홈(11d, 12d)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스틱부(11) 및 제2스틱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더 깊게 함몰 형성된 홈 형태인 것으로, 면 등의 음식물을 집을시 제1스틱부(11)의 타단부 내측에 함몰 형성된 음식물걸림홈(11d)과, 제2스틱부(12)의 타단부 내측에 함몰 형성된 음식물걸림홈(12d)의 공간에 음식물이 걸리게 됨에 따라, 취식도구의 조작에 의해 음식물이 흘러내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음식물걸림홈(11d, 12d)이 스틱부(10)의 타단부 내측면에 단지 원형 또는 다각 형태로 함몰 형성된 홈 형태에 불과하다면, 취식도구의 조작에 따라 음식물이 끊길 우려가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스틱부(10)의 타단부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더 깊게 함몰 형성시킴에 따라, 이러한 우려를 미연에 방지 가능함을 의미한다.
둘째, 음식물걸림돌기(11e, 12e)는 제1스틱부(11) 및 제2스틱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돌기 형태인 것으로, 요철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첫째 경우와 마찬가지로, 음식물걸림돌기(11e, 12e) 역시 취식도구의 조작에 의해 음식물이 흘러내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1스틱부(11)의 타단부 내측면에 하나 이상의 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음식물걸림돌기(11e)와, 제2스틱부(12)의 타단부 내측면에 하나 이상의 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 음식물걸림돌기(12e)의 사이사이에 음식물이 걸림에 따라 음식물을 용이하게 집을 수 있다.
다음으로, 연결부(20)는 제1스틱부(11)의 일단부와 제2스틱부(12)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것으로, 제1스틱부(11)의 타단부와 제2스틱부(12)의 타단부가 음식물에 닿도록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연결부(20)는 제1스틱부(11)와 제2스틱부(12)의 일단부에 일체로 성형되어, 제1스틱부(11)와 제2스틱부(12)가 각각 외측에서 내측으로 유동된 후 원상태로 복귀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진 것이라 할 수 있다. 단, 연결부(20)는 탄성력이 효과적으로 발휘되도록 환 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연결부(20)는 제1스틱부(11)와 제2스틱부(12)의 일단부에 일체로 성형될 수도 있으나, 제1스틱부(11)와 제2스틱부(12)는 플라스틱제의 연결부(20)와 달리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스틱부(11)와 제2스틱부(12)가 금속재질로 구성된 경우, 제1스틱부(11)와 제2스틱부(12)는 연결부(20)에 인서트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받침대(11a)와 연결부(20)의 사이에 제1거치돌기(11c)가 더 형성되고, 제2받침대(12a)와 연결부(20)의 사이에 제2거치돌기(12c)가 더 형성되는데, 제1거치돌기(11c)와 제2거치돌기(12c)는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사용의 편리성을 위해서 위치 차를 두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거치돌기(11c)와 제2거치돌기(12c)는 손으로 스틱부(10)를 잡았을시 엄지와 검지의 끝단과 엄지의 중간의 위치를 잡아줌으로써, 엄지와 검지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해주는 것이다.
이에 따라 취식도구를 사용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거치돌기(11c)와 제2거치돌기(12c)에 엄지와 검지가 걸쳐지면서 손이 미끄러지지 않게 지지해 줄 뿐만 아니라 제2거치돌기(12c)에 의해 엄지와 검지가 움켜쥐는 힘을 보충하게 된다.
아울러, 제1거치돌기(11c)와 제2거치돌기(12c)는 취식도구가 테이블의 바닥 면에 놓였을 때 제1받침대(11a)와 제2받침대(12a)에 의해 스틱부(10)가 테이블에 접촉되지 않도록, 제1받침대(11a)와 제2받침대(12a)의 돌출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1받침대(11a)와 제1거치돌기(11c)는 제1스틱부(11)로부터 별도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다.
이는 제1받침대(11a) 및 제1거치돌기(11c)와는 서로 다른 재질(예컨대, 나무(대나무 포함) 재질)의 제1스틱부(11)와도 결합 가능함을 의미한다. 즉, 제1받침대(11a) 및 제1거치돌기(11c)는 이들과는 서로 다른 재질의 다용도 취식도구(100)와도 결합이 가능하므르, 사용의 용이성을 달성할 수 있다.
제1받침대(11a) 및 제1거치돌기(11c)와 마찬가지로, 제2받침대(12a)와 제2거치돌기(12c)도 제2스틱부(12)로부터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다.
제2받침대(12a) 및 제2거치돌기(12c) 역시, 이들과는 서로 다른 재질인 나무로 이루어진 제2스틱부(12)와도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즉, 제2받침대(12a) 및 제2거치돌기(12c)는 나무와 같은 또 다른 재질의 다용도 취식도구(100)와 결합하여 사용의 용이성을 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의 변형 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5에서는 스틱부(10)를 뒤집게로 실시하였고 도 6에서는 집게로 실시하였다. 이 외에도 취식도구를 용도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를 레저 등의 용도에 부합되도록 구성한 것으로써, 제1거치돌기(11c)와 제2거치돌기(12c)를 없애 크기를 소형화한 형태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따라 장식용 덮개(30)를 포함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장식용 덮개(30)는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의 외관을 미려하게 보일 수 있게 구성한 것임을 알 수 있다.
내용인즉, 연결부(20)에 장식용 덮개(3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장식용 덮개(30)는 어린이들에게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캐릭터 형상이거나, 꽃, 동물 등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6실시예에 따라 헤드부(40)가 장착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스틱부(10)의 타단부에 음식물을 수용하거나 집을 수 있는 구성인 헤드부(40)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말하자면, 제1스틱부(11)와 제2스틱부(12)의 타단부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헤드부(40)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대응되게 끼워맞춤되는 방식으로써, 영유아 및 어린이들의 호기심을 자극함으로써, 식습관 개선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스틱부(11)의 타단부와 제2스틱부(12)의 타단부가 모아지도록 오므린 후, 헤드부(40)의 상부에 함몰 형성된 삽입홈을 통하여 스틱부(10)와 헤드부(40)를 상호 연결하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 이처럼 스틱부(10)와 헤드부(40)의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여 영유아 및 어린이들의 흥미를 유발하여 식습관의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단, 본 고안의 명세서상에서는 헤드부(40)를 숟가락 모양으로 도시하였으나, 헤드부(40)가 숟가락 형상에만 한정되는 것만은 아니고, 포크 등 음식물을 수용하거나 집을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느 것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는, 스틱부(10)의 타단부가 테이블의 바닥면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아 위생적으로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틱부(10)를 평행하게 고정시킴으로써 음식물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집을 수 있다.
더불어 스틱부(10)의 타단부 내측면에 홈 또는 돌기 형상의 음식물걸림부를 형성시킴에 따라 음식물이 흘러내리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음식물을 용이하게 집을 수 있도록 보조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스틱부
11: 제1스틱부
11a: 제1받침대
11b: 돌기
11c: 제1거치돌기
11d: 음식물걸림홈
11e: 음식물걸림돌기
12: 제2스틱부
12a: 제2받침대
12b: 요홈
12c: 제2거치돌기
12d: 음식물걸림홈
12e: 음식물걸림돌기
20: 연결부
30: 장식용 덮개
40: 헤드부
100: 다용도 취식도구

Claims (9)

  1. 취식도구에 있어서,
    돌기(11b)가 형성된 제1받침대(11a)가 중간에 형성되는 제1스틱부(11);
    상기 돌기(11b)에 대응되는 요홈(12b)이 형성된 제2받침대(12a)가 중간에 형성되는 제2스틱부(12); 및
    상기 제1스틱부(11)의 일단부와 상기 제2스틱부(12)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시 상기 제1스틱부(11)와 상기 제2스틱부(12)가 만날 때, 상기 돌기(11b)가 상기 요홈(12b)에 삽입되면서 상기 제1스틱부(11)의 타단부와 상기 제2스틱부(12)의 타단부가 서로 어긋나지 않게 되되,
    상기 제1스틱부(11)의 타단부 내측면과 상기 제2스틱부(12)의 타단부 내측면에는, 음식물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음식물걸림부는,
    상기 제1스틱부(11) 및 상기 제2스틱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더 깊게 함몰 형성된 홈이고,
    상기 제1스틱부(11)에는, 상기 제1받침대(11a)와 상기 연결부(20)의 사이에 제1거치돌기(11c)가 형성되고, 상기 제2스틱부(12)에는, 상기 제2받침대(12a)와 상기 연결부(20)의 사이에 제2거치돌기(12c)가 형성되되,
    상기 제1거치돌기(11c)와 상기 제2거치돌기(12c)는 서로 위치 차를 두고 형성되며,
    상기 제1거치돌기(11c)와 상기 제2거치돌기(12c)는,
    상기 제1받침대(11a)와 상기 제2받침대(12a)의 돌출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돌출되어, 상기 취식도구가 테이블의 바닥면에 놓인 경우, 상기 제1스틱부(11)와 상기 제2스틱부(12)가 바닥면에 접촉되지 않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걸림부는,
    상기 제1스틱부(11) 및 상기 제2스틱부(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된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틱부(11), 상기 제2스틱부(12) 및 상기 연결부(20)는,
    일체로 성형되어 탄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틱부(11)와 제2스틱부(12)는,
    금속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부(20)에 인서트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는,
    젓가락 또는 집게 또는 뒤집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0)에는,
    장식용 덮개(30)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틱부(11)와 상기 제2스틱부(12)의 타단부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헤드부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대응되게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KR2020150007867U 2015-12-02 2015-12-02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KR2004843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867U KR200484348Y1 (ko) 2015-12-02 2015-12-02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CN201611064098.2A CN106820872A (zh) 2015-12-02 2016-11-28 卫生性和易用性兼备的多功能取食用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867U KR200484348Y1 (ko) 2015-12-02 2015-12-02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041U KR20170002041U (ko) 2017-06-12
KR200484348Y1 true KR200484348Y1 (ko) 2017-08-28

Family

ID=59093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867U KR200484348Y1 (ko) 2015-12-02 2015-12-02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84348Y1 (ko)
CN (1) CN106820872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207Y1 (ko) * 1999-05-25 2000-05-15 김광석 위생수저
KR200377102Y1 (ko) * 2004-11-30 2005-03-08 윤석수 집게형 젓가락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8714A (ja) * 2000-03-16 2001-09-25 Hidenori Ichinokawa 足上げ箸
KR200380042Y1 (ko) * 2004-11-18 2005-03-28 윤석수 음식물 협지구
CN201542318U (zh) * 2009-11-23 2010-08-11 内蒙古科技大学 休闲食品卫生夹具
KR20110136010A (ko) * 2010-06-14 2011-12-21 강성남 취식구
KR101227783B1 (ko) 2012-08-27 2013-01-29 문영민 잡기 편하고 위생적이며 다용도로 사용하기 위한 다기능 젓가락
CN204445207U (zh) * 2015-03-18 2015-07-08 潘琴丽 一种防滑筷子
CN204600092U (zh) * 2015-04-29 2015-09-02 陈灏 一种改进的筷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207Y1 (ko) * 1999-05-25 2000-05-15 김광석 위생수저
KR200377102Y1 (ko) * 2004-11-30 2005-03-08 윤석수 집게형 젓가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820872A (zh) 2017-06-13
KR20170002041U (ko) 2017-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73909A1 (en) All-in-one multipurpose eating utensil adapted to be separated into pieces
US20140373862A1 (en) Implement with a handle for a user having an impaired hand grip
USD531860S1 (en) Spoon
JP2007014714A (ja) 衛生的な一体型匙と箸
KR102181150B1 (ko) 파스타면 감김부가 구비된 다기능 젓가락
KR200484348Y1 (ko)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US20070131697A1 (en) Plate with utensil pocket
US20190208940A1 (en) Elevated utensil
KR200449275Y1 (ko) 일회용 이쑤시개 겸용 식사도구 받침대
JP5356846B2 (ja) 鍋等用箸置き具
KR101311373B1 (ko) 결합형 조리및식사도구 세트
JP3177408U (ja) 麺類フォーク
KR102223747B1 (ko) 헤드업 위생 젓가락
KR200322251Y1 (ko) 일체형 숟가락과 젓가락 겸용 수저
KR200242082Y1 (ko) 식사도구용 손잡이
KR200245989Y1 (ko) 위생 수저 받침대
KR200378909Y1 (ko) 손잡이부에 지퍼를 구비한 젓가락
KR20180000188U (ko) 숟가락
KR200287246Y1 (ko) 위생 수저 받침대
JP3150212U (ja) 乳幼児の食事に適する米飯成型器
KR200488061Y1 (ko) 냄비 손잡이 겸용 수저받이
KR200181207Y1 (ko) 위생수저
KR200484638Y1 (ko) 청결유지가 가능한 양식기
KR20130011009A (ko) 수저 좌대그릇
AU2015255653B2 (en) Spoon head device for use with chopsti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