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0188U - 숟가락 - Google Patents

숟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0188U
KR20180000188U KR2020160003947U KR20160003947U KR20180000188U KR 20180000188 U KR20180000188 U KR 20180000188U KR 2020160003947 U KR2020160003947 U KR 2020160003947U KR 20160003947 U KR20160003947 U KR 20160003947U KR 20180000188 U KR20180000188 U KR 201800001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spoon
head portion
handle
n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39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경천
Original Assignee
유경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경천 filed Critical 유경천
Priority to KR20201600039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0188U/ko
Publication of KR201800001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18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Abstract

본 고안은 숟가락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을 뜨는 오목한 오목부와 반대편의 볼록부가 형성된 헤드부(10); 손으로 잡기 위한 헤드부 반대편의 손잡이부(20); 및 헤드부와 손잡이부를 연결하는 목부(30);를 포함하는 숟가락에 있어서, 상기 목부는 헤드부의 볼록부와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되어 상기 헤드부의 오목부가 바닥면을 향한 상태로 상기 바닥면에 맞닿는 맞닿음부(31)가 마련되되, 상기 맞닿음부가 바닥면에 맞닿았을 때 상기 헤드부가 바닥면(40)에서 일정간격 상향 이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목부에 헤드부의 볼록부와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되는 맞닿음부가 마련되되, 상기 맞닿음부가 바닥면에 맞닿았을 때 상기 헤드부가 바닥면에서 일정간격 상향 이격되도록 하여 식사 중에 헤드부가 식탁 등의 바닥면에 닿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으로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위생적인 식사를 수행할 수 있게 되면서 질병 예방을 도모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사용자에게 신뢰성을 부여하여 즐거운 식사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Description

숟가락{SPOON}
본 고안은 숟가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형성된 헤드부와, 헤드부 반대편의 손잡이부 및 헤드부와 손잡이부를 연결하는 목부를 포함하고, 목부는 헤드부의 볼록부와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되는 맞닿음부가 마련되되, 상기 맞닿음부가 바닥면에 맞닿았을 때 상기 헤드부가 바닥면에서 일정간격 상향 이격되도록 하는 숟가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숟가락은 식사를 비롯해 각종 음식물을 떠먹기 위한 가장 중요한 식사도구 중 하나이다.
상기 숟가락은 음식을 뜨는 오목한 오목부와 반대편의 볼록부가 형성된 헤드부와, 손으로 잡기 위한 헤드부 반대편의 손잡이부 및 헤드부와 손잡이부를 연결하는 목부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렇게 숟가락의 헤드부는 음식물을 직접적으로 떠서 입속에 넣는 부분으로 매우 위생적으로 취급되어야 한다.
그러나, 밥상이나 식탁, 테이블 등에 상차림을 할 때는 각종 반찬과 밥은 물론 숟가락 등도 상위에 올려놓게 되는데, 이때 숟가락의 헤드부가 식탁 바닥면에 닿을 수밖에 없어 식탁에 묻어 있는 유해한 세균이나 병균이 숟가락에 쉽게 옮아 인체 내로 들어가게 되므로 매우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종래 기술을 일례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종래기술은 숟가락의 목 부분 저면에 지지대를 돌출 형성시킴으로써, 숟가락을 식탁의 바닥면에 놓았을 때 지지대에 의해 숟가락의 헤드부가 식탁의 바닥면에 닿지 않게 한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기술은 숟가락의 헤드부가 식탁의 바닥면에 닿지 않기 때문에 헤드부가 오염되지 않게 되는 위생적인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아래와 같은 문제점도 내포되어 있다.
즉, 목 부분 저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대가 목 부분과 소정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길게 돌출된 구조이므로, 숟가락을 세척할 때는 물론 숟가락을 사용할 때도 상당히 걸리적거려 원활한 세척이나 사용이 어렵고, 돌출되어 있는 지지대에 의해 외관도 보기가 좋지 않은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01401호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오목부와 볼록부가 형성된 헤드부와, 헤드부 반대편의 손잡이부 및 헤드부와 손잡이부를 연결하는 목부를 포함하고, 목부는 헤드부의 볼록부와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되는 맞닿음부가 마련되되, 상기 맞닿음부가 바닥면에 맞닿았을 때 상기 헤드부가 바닥면에서 일정간격 상향 이격되도록 하여 식사 중에 헤드부가 식탁 등의 바닥면에 닿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으로 식사를 할 수 있게 되는 숟가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을 뜨는 오목한 오목부와 반대편의 볼록부가 형성된 헤드부; 손으로 잡기 위한 헤드부 반대편의 손잡이부; 및 헤드부와 손잡이부를 연결하는 목부;를 포함하는 숟가락에 있어서, 상기 목부는 헤드부의 볼록부와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되어 상기 헤드부의 오목부가 바닥면을 향한 상태로 상기 바닥면에 맞닿는 맞닿음부가 마련되되, 상기 맞닿음부가 바닥면에 맞닿았을 때 상기 헤드부가 바닥면에서 일정간격 상향 이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숟가락에 있어서, 상기 목부의 맞닿음부 일측에 상기 맞닿음부가 바닥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맞닿음부가 좌우로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넘어짐 방지구조가 더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숟가락에 있어서, 상기 넘어짐 방지구조는 상기 맞닿음부의 폭 방향 양단부가 바닥면에 맞닿은 상태로 상기 맞닿음부의 폭 방향 중앙부가 상방으로 오목하게 라운드진 구조로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숟가락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의 폭 방향 중앙부는 상향 유우자 형상으로 라운드져서 아치 구조가 되도록 하여 하중이 상기 맞닿음부의 폭 방향 양단부에 집중되도록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숟가락에 있어서, 상기 숟가락 전체의 무게중심이 손잡이부측으로 위치되도록 목부의 맞닿음부가 상기 헤드부쪽으로 치우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숟가락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후단부와 상기 목부의 맞닿음부 사이의 부분을 바닥면에서 이격시켜 상향 라운드진 형상이 되게 하여 숟가락 전체의 무게중심이 상기 손잡이부측으로 치우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오목부와 볼록부가 형성된 헤드부와, 헤드부 반대편의 손잡이부 및 헤드부와 손잡이부를 연결하는 목부를 포함하고, 목부는 헤드부의 볼록부와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되는 맞닿음부가 마련되되, 상기 맞닿음부가 바닥면에 맞닿았을 때 상기 헤드부가 바닥면에서 일정간격 상향 이격되도록 하여 식사 중에 헤드부가 식탁 등의 바닥면에 닿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으로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위생적인 식사를 수행할 수 있게 되면서 질병 예방을 도모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사용자에게 신뢰성을 부여하여 즐거운 식사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숟가락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숟가락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숟가락의 맞닿음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숟가락은 헤드부(10)와, 손잡이부(20)와 목부(30)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10)는 음식을 용이하게 뜨기 위해 하방으로 오목하게 패인 오목한 오목부(11)와 반대편에 오목부(11)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형성된 볼록부(12)가 마련된 타원형 볼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부(20)는 헤드부(10)의 반대편에 형성되며 손으로 잡고 헤드부(10)를 통해 음식을 뜨기 위한 길다란 막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목부(30)는 헤드부(10)와 손잡이부(20)를 연결하는 대략 중앙 부위로써, 이 목부(30)를 적절히 절곡시켜 헤드부(10)의 위치가 음식을 뜨기 좋게 하는 위치에 놓이도록 하는 역할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에 더해, 상기 목부(30)는 헤드부(10)의 볼록부(12)와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라운드진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헤드부(10)의 오목부(11)가 식탁 등의 바닥면(40)을 향한 상태로 상기 바닥면(40)에 맞닿는 맞닿음부(31)가 마련되되, 상기 맞닿음부(31)가 바닥면(40)에 맞닿았을 때 상기 헤드부(10)가 바닥면(40)에서 일정간격 상향 이격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목부(30)의 맞닿음부(31) 일측에는 상기 맞닿음부(31)가 바닥면(40)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맞닿음부(31), 즉 숟가락이 좌우로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넘어짐 방지구조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넘어짐 방지구조는 상기 맞닿음부(31)의 폭 방향 양단부(31a)가 바닥면에 맞닿은 상태로 상기 맞닿음부(31a)의 폭 방향 중앙부(31b)가 상방으로 오목하게 라운드진 구조로 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맞닿음부(31)의 폭 방향 중앙부(31b)는 상향 유우자 형상으로 라운드져서 아치 구조가 되도록 하여 하중이 상기 맞닿음부(31)의 폭 방향 양단부(31a)에 집중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숟가락 전체의 무게중심이 손잡이부(20)측으로 위치되도록 목부(30)의 맞닿음부(31)가 상기 헤드부(10)쪽으로 치우쳐져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20)의 후단부(21)와 상기 목부(30)의 맞닿음부(31) 사이의 부분을 바닥면(40)에서 이격시켜 손잡이부(20)가 상향 라운드진 형상이 되게 하여 숟가락 전체의 무게중심이 상기 손잡이부(20)측으로 치우치도록 되어 있다.
즉, 여기서도 아치 형상을 갖는 손잡이부(20)의 후단부(21)와 목부(30)의 맞닿음부(31)로 숟가락의 하중이 집중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숟가락 전체의 무게중심이 손잡이부(20)측으로 치우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숟가락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숟가락의 손잡이부(20)를 잡고 식사를 하다가 다른 볼일 등을 위해 숟가락을 식탁의 바닥면(40)에 얹혀 놓을 경우 헤드부(10)의 오목부(11)가 식탁의 바닥면(40)을 향하도록 하여 숟가락을 바닥면(40)에 놓으면 목부(30)의 맞닿음부(31)가 식탁의 바닥면(40)에 놓이는 동시에 숟가락 전체의 무게중심은 손잡이부(20)로 치우치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헤드부(10)가 식탁의 바닥면(40)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떠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숟가락의 헤드부(10)가 식탁 바닥면(40)에 닿지 않도록 함으로써, 식탁 바닥면(40)의 먼지를 비롯하여 각종 세균이나 병균, 이물질 등이 헤드부(10)에 묻지 않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항상 위생적으로 식사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맞닿음부(31)의 넘어짐 방지구조에 의해 식탁의 바닥면(40)에 놓여진 숟가락은 측방으로도 쓰러지지 않게 되면서 이 역시 사용자에게 위생적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숟가락은 오목부와 볼록부가 형성된 헤드부와, 헤드부 반대편의 손잡이부 및 헤드부와 손잡이부를 연결하는 목부를 포함하고, 목부는 헤드부의 볼록부와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되는 맞닿음부가 마련되되, 상기 맞닿음부가 바닥면에 맞닿았을 때 상기 헤드부가 바닥면에서 일정간격 상향 이격되도록 하여 식사 중에 헤드부가 식탁 등의 바닥면에 닿지 않도록 하여 위생적으로 식사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위생적인 식사를 수행할 수 있게 되면서 질병 예방을 도모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사용자에게 신뢰성을 부여하여 즐거운 식사분위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실시예를 종래의 공지 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변형예는 물론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은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헤드부 11 : 오목부
12 : 볼록부 20 : 손잡이부
21 : 후단부 30 : 목부
31 : 맞닿음부 31a : 양단부
31b : 중앙부 40 : 바닥면

Claims (4)

  1. 음식을 뜨는 오목한 오목부와 반대편의 볼록부가 형성된 헤드부;
    손으로 잡기 위한 헤드부 반대편의 손잡이부; 및
    헤드부와 손잡이부를 연결하는 목부;
    를 포함하는 숟가락에 있어서,
    상기 목부는 헤드부의 볼록부와 반대 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되어 상기 헤드부의 오목부가 바닥면을 향한 상태로 상기 바닥면에 맞닿는 맞닿음부가 마련되되, 상기 맞닿음부가 바닥면에 맞닿았을 때 상기 헤드부가 바닥면에서 일정간격 상향 이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부의 맞닿음부 일측에 상기 맞닿음부가 바닥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맞닿음부가 좌우로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넘어짐 방지구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넘어짐 방지구조는 상기 맞닿음부의 폭 방향 양단부가 바닥면에 맞닿은 상태로 상기 맞닿음부의 폭 방향 중앙부가 상방으로 오목한 구조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의 폭 방향 중앙부는 상향 유우자 형상으로 라운드져서 아치 구조가 되도록 하여 하중이 상기 맞닿음부의 폭 방향 양단부에 집중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가락.
KR2020160003947U 2016-07-08 2016-07-08 숟가락 KR2018000018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947U KR20180000188U (ko) 2016-07-08 2016-07-08 숟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3947U KR20180000188U (ko) 2016-07-08 2016-07-08 숟가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188U true KR20180000188U (ko) 2018-01-17

Family

ID=61279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3947U KR20180000188U (ko) 2016-07-08 2016-07-08 숟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018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202A (ko) 2021-07-29 2023-02-07 홍종원 숟가락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401Y1 (ko) 2000-04-04 2000-11-01 김광문 절곡부를 형성한 숟가락 및 포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401Y1 (ko) 2000-04-04 2000-11-01 김광문 절곡부를 형성한 숟가락 및 포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202A (ko) 2021-07-29 2023-02-07 홍종원 숟가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97628A1 (en) Utensils with integrated stand
US10555630B2 (en) Cutlery lifting and separating device with contamination prevention
CA2856526A1 (en) Post on eating utensil
KR20180000188U (ko) 숟가락
JP3118634U (ja) 食卓用品
JP3226544U (ja) 箸置き台
JP5408594B1 (ja) 表裏に梃子支点を有する両面衛生洋食具
KR200470807Y1 (ko) 배식용 위생 주걱
KR200181207Y1 (ko) 위생수저
KR20140002574A (ko) 수저 고정홈을 구비한 밥 그릇
KR20150000463U (ko) 숟가락과 포크의 위생구조
KR200488061Y1 (ko) 냄비 손잡이 겸용 수저받이
KR100937551B1 (ko) 밥주걱
KR102210667B1 (ko) 오뚝이 숟가락
JP5078292B2 (ja) 安定自助食器
KR200484348Y1 (ko)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KR200404809Y1 (ko) 위생 젓가락
KR200432440Y1 (ko) 위생 취식 도구
JP3131326U (ja) らくらく箸置き(箸が片手で取りやすく、かつ置きやすく、また正しい箸の持ち方の指導にも役立つ箸置き)
TWM458899U (zh) 不倒翁餐具
KR200297564Y1 (ko) 면 식품용 스푼
KR200370504Y1 (ko) 유아용 식기
JP2017217433A (ja) 手指載置兼箸載置台付き食器
TWM551880U (zh) 湯匙餐具改良結構
TWM559130U (zh) 衛生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