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8909Y1 - 손잡이부에 지퍼를 구비한 젓가락 - Google Patents

손잡이부에 지퍼를 구비한 젓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8909Y1
KR200378909Y1 KR20-2004-0036119U KR20040036119U KR200378909Y1 KR 200378909 Y1 KR200378909 Y1 KR 200378909Y1 KR 20040036119 U KR20040036119 U KR 20040036119U KR 200378909 Y1 KR200378909 Y1 KR 2003789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opsticks
zipper
handle portion
food
add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1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경
Original Assignee
조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인경 filed Critical 조인경
Priority to KR20-2004-00361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890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89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89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물파지부(2)와 손잡이부(3)로 이루어진 젓가락에 있어서, 상부 손잡이부(3)의 일측에다 지퍼설치용 홈(4)을 형성하고, 상기 홈(4)에다 지퍼(5)를 설치한 구성으로 사용시에 분리하여 사용하고, 비 사용시에 한벌씩 지퍼로 결합하여 관리,보관함으로써 젓가락의 한쪽 짝을 분실하지 않아 젓가락 짝의 분실로 새로운 젓가락을 구입할 필요를 없도록 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젓가락의 손잡이부에 지퍼를 설치함으로써 손잡이부와 음식물파지부의 구분이 용이하여 젓가락 배분시 음식물 파지부를 손으로 잡아 배분하지 않게 되므로 매우 위생적으로 젓가락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다수의 젓가락 배분시 짝을 찾아 맞출 필요가 없어 배분에 불필요 하게 시간을 낭비하지 않으므로 단체배식시 배식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 가족원 들이 자기만의 젓가락을 사용할 수 있어 위생관리를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젓가락의 보관이나 관리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각별한 이점이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손잡이부에 지퍼를 구비한 젓가락{A Chopstic Having Zipper At Handle Part}
본 고안은 젓가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젓가락의 손잡이부 상부 일측면에 지퍼를 설치하여 사용시에는 한벌의 두 젓가락을 분리하여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두 젓가락을 지퍼로 붙여 한벌씩으로 관리함으로써 젓가락의 짝을 분실할 우려가 없어 관리가 용이하고, 지퍼의 설치로 손잡이부와 음식물파지부의 구분을 확실하게 하여 분배시 손잡이부만을 간편하게 잡고 한벌씩 분배할 수 있으므로 젓가락의 분배를 위생적으로 간편하게 하는 손잡이부에 지퍼를 구비한 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음식물을 섭취하기 위하여 여러 도구를 사용하고 있으며, 포크, 나이프, 숟가락, 젓가락 등을 사용하여 입으로 음식물을 섭취하도록 함으로써 손으로 직접 음식물을 집어먹는 것에 비해 위생적인 생활을 영위하여 왔다.
그리고, 간단히 음식물을 포크로 집거나, 숟가락으로 떠서 입으로 가져가는 식생활이 있는 반면에, 아시아지역의 일부에서는 젓가락을 사용하고 있어 한쪽 손으로 두 젓가락을 안정되게 잡고 음식물을 집어 올려 입으로 운반하도록 하는 식생활을 오랫동안 유지시켜 왔다.
이와 같이 음식물을 집기위해 사용하는 젓가락은 수저와 한벌을 이루며, 우리나라의 식생활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식사용구로서 통상적으로 재질은 나무, 합성수지재, 금속재 등으로 비교적 가늘고 사용자가 잡고 사용하기 쉬운 길이로 형성하게 되며, 일회용인 나무젓가락이 아닌 가정이나 식당에서 주로 사용되는 금속재의 젓가락은 일정두께의 철판을 프레스기로 따내서 스틱형상의 젓가락으로 가공 형성하였으나, 대체로 납작하고 상단에서 하단으로 경사지게 각진 형태로 제작되어 두개의 젓가락이 한벌을 이루어 사용되게 된다.
이러한 젓가락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람이 한쪽 손으로 한벌인 두 젓가락(1,1')을 사용하되, 하나의 젓가락(1)을 중지(12)의 둘째마디 부위와 약지(13)에 교차하여 지지하고, 짝을 이루는 다른 하나의 젓가락(1')은 검지(11)와 중지(12)에 대고 엄지(10)로써 지지하여 젓가락을 사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올바른 사용방법이었다.
이렇게 음식물을 집기위해 사용하는 젓가락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드시 두개가 짝을 이루어야만 젓가락으로서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런대 젓가락 사용법을 배우기 위한 젓가락을 제외하고 일반적인 젓가락은 대부분 짝이 분리되어 있어서 사용 후 설거지나 보관시 한 짝을 분실하게 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되고, 이경우 나머지 하나의 젓가락으로는 음식물을 집는데 사용할 수 없게 되므로 새로운 젓가락을 다시 구입하여 사용할 수 밖에 없어 비경제적이라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상기한 젓가락의 한짝을 잃어버리는 경우는 학생들의 도시락 이용시나 소풍, 야유회 등으로 단체가 야외에서 젓가락을 사용할 때 많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통상적으로 상기한 젓가락은 사용한 다음에는 씻은 후 보관시 납작한 수저통에 다수개를 눕혀서 보관하거나, 원통형 수저통에 세워서 보관하게 된다. 이때 일자형으로 길게 형성된 대부분의 젓가락은 손잡이부와 음식물파지부의 구분이 용이하지 않아 손잡이부와 음식물파지부가 뒤섞여서 보관되므로 식탁에 다수개의 젓가락을 분배시에 어쩔 수 없이 손으로 한웅큼 잡은 후 젓가락의 짝을 골라서 손잡이부를 잡고 분배하게 되며, 이경우 젓가락의 음식물파지부를 손으로 잡게되므로 손의 청결등이 문제로 되어 매우 비위생적이라고 하는 결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젓가락의 손잡이부와 음식물 파지부를 구분하는데에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종래 일반적인 젓가락 사용시에 발생하는 각종 결점 및 문제점 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젓가락의 한쪽 짝을 분실하지 않아 새로운 젓가락을 구입할 필요를 없도록 하여 경제적으로 유용한 젓가락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젓가락의 손잡이부에 지퍼를 설치함으로써 손잡이부와 음식물파지부의 구분이 용이하여 젓가락 배분시 음식물 파지부를 손으로 잡아 배분하지 않게 되므로 매우 위생적으로 젓가락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젓가락 배분시 짝을 찾아 맞출 필요가 없어 배분에 불필요하게 시간을 낭비하지 않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가정에서 지퍼의 다양화로 가족원 들이 자기만의 젓가락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위생관리를 용이하게 하고자 함과 더불어 젓가락의 보관이나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손잡이부에 지퍼를 구비한 젓가락은 음식물파지부(2)와 손잡이부(3)로 이루어진 젓가락에 있어서, 상부 손잡이부(3)의 일측에다 지퍼설치용 홈(4)을 형성하고, 상기 홈(4)에다 지퍼(5)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젓가락의 손잡이부(3)가 목재나 합성수지재인 경우는 손잡이부(3)에 홈(4)을 형성하고, 상기 홈(4)에다 지퍼(5)의 스트랩(8)을 삽입하여 접착제로 접착고정하되, 지퍼(5)의 길이는 3 ~ 5 ㎝로 한다.
또한 젓가락(1, 1')의 손잡이부(3)가 금속제인 경우는 성형가공시에 지퍼(5)의 스트랩(8)을 금속에 삽입한채로 성형함으로써 젓가락(1,1')의 손잡이부(3)에다 간단하게 지퍼(5)를 설치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 손잡이부에 지퍼를 구비한 젓가락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젓가락에 지퍼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젓가락에 설치하는 지퍼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 손잡이부에 지퍼를 구비한 젓가락의 사시도로서, 젓가락(1,1') 의 손잡이부(3)가 목재나 합성수지재인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젓가락(1,1')의 손잡이부(3)의 일측에 홈(4)을 형성하고, 그 홈(4)에다 도 3에 나타낸 접착제를 도포한 스트랩(8)을 삽입함으로써 젓가락에 지퍼(5)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경우 스트랩(8)의 길이를 3 ~ 5 ㎝로 하여 젓가락(1,1')에 설치된 지퍼(5)의 길이가 3 ~ 5 ㎝로 되게 한다.
또한 젓가락(1, 1')의 손잡이부(3)가 금속제인 경우는 성형가공시에 지퍼(5)의 스트랩(8)을 금속에 삽입한채로 성형함으로써 젓가락(1,1')의 손잡이부(3)에다 간단하게 지퍼(5)를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손잡이부(3)에 지퍼(5)가 설치된 본 고안의 젓가락은 사용시에 지퍼손잡이(A)를 잡고 슬라이드(9)를 올리면 지퍼(5)의 래치(6')가 결합된 이(6)를 분리함으로써 분리되어 젓가락(1,1') 두짝을 서로 분리하여 사용하게 되고, 사용 후에는 지퍼손잡이(A)를 잡고 슬라이드(9)를 내리면 지퍼(5)의 래치(6')가 이(6)를 결합함으로써 젓가락(1,1') 두짝이 지퍼(5)를 통해 결합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본 고안 손잡이부에 지퍼를 구비한 젓가락은 사용 후에는 지퍼(5)에 의해 젓가락(1,1') 두짝이 결합된 상태로 보관, 관리 취급됨으로써 젓가락 한 짝을 분실할 우려가 없게 될 뿐 만 아니라 관리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손잡이부(3)에 지퍼(5)의 설치로 손잡이부(3)와 음식물 파지부(2)의 구별을 확실히 할 수 있어 설거지 후나 다수의 젓가락 분배시 음식물 파지부(2)를 손으로 잡지 않게 되므로 젓가락을 위생적으로 취급할 수 있다.
또 단체 급식에 있어서는 젓가락(1,1')의 짝을 찾거나 맞출 필요가 없어 배식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면서도 젓가락(1,1')을 위생적으로 취급할 수 있다.
더구나 지퍼(5)의 모양이나 형상 크기 등으로 가정에서 가족 각자가 자기만의 젓가락를 선정하여 사용함으로써 젓가락을 통한 병균의 전염등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젓가락을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작용하는 본 고안 손잡이부에 지퍼를 구비한 젓가락은 사용시에 분리하여 사용하고, 비 사용시에 한벌씩 지퍼로 결합하여 관리,보관함으로써 젓가락의 한쪽 짝을 분실하지 않아 새로운 젓가락을 구입할 필요를 없도록 할 수 있어 경제적으로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젓가락의 손잡이부에 지퍼를 설치함으로써 손잡이부와 음식물파지부의 구분이 용이하여 젓가락 배분시 음식물 파지부를 손으로 잡아 배분하지 않게 되므로 매우 위생적으로 젓가락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다수의 젓가락 배분시 짝을 찾아 맞출 필요가 없어 배분에 불필요 하게 시간을 낭비하지 않으므로 단체배식시 배식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 가족원 들이 자기만의 젓가락을 사용할 수 있어 위생관리를 용이하게 함과 더불어 젓가락의 보관이나 관리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각별한 이점이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젓가락 구조 및 그 사용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젓가락에 지퍼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젓가락에 설치하는 지퍼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 손잡이부에 지퍼를 구비한 젓가락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젓가락 2 : 음식물파지부
3 : 손잡이부 4 : 지퍼설치용 홈
5 : 지퍼 6 : 이(tooth)
6': 래치(latch) 7 : 지퍼체인
8 : 스트랩(strap) 9 : 슬라이드
A : 지퍼손잡이

Claims (3)

  1. 음식물파지부(2)와 손잡이부(3)로 이루어진 젓가락에 있어서, 상부 손잡이부(3)의 일측에다 지퍼설치용 홈(4)을 형성하고, 상기 홈(4)에다 지퍼(5)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부에 지퍼를 구비한 젓가락.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3)에 홈(4)을 형성하고, 상기 홈(4)에다 지퍼(5)의 스트랩(8)을 삽입하여 접착제로 접착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부에 지퍼를 구비한 젓가락.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5)의 길이가 3 ~ 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부에 지퍼를 구비한 젓가락.
KR20-2004-0036119U 2004-12-20 2004-12-20 손잡이부에 지퍼를 구비한 젓가락 KR2003789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119U KR200378909Y1 (ko) 2004-12-20 2004-12-20 손잡이부에 지퍼를 구비한 젓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119U KR200378909Y1 (ko) 2004-12-20 2004-12-20 손잡이부에 지퍼를 구비한 젓가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8909Y1 true KR200378909Y1 (ko) 2005-03-16

Family

ID=43680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119U KR200378909Y1 (ko) 2004-12-20 2004-12-20 손잡이부에 지퍼를 구비한 젓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89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322108A1 (en) Opposed fork food grasping device
US6328360B1 (en) Chopstick set
USD531860S1 (en) Spoon
USD530987S1 (en) Fork
KR200378909Y1 (ko) 손잡이부에 지퍼를 구비한 젓가락
US20070131697A1 (en) Plate with utensil pocket
US20090172949A1 (en) Spork
USD446087S1 (en) Disposable flatware with arcuate handle
KR200449275Y1 (ko) 일회용 이쑤시개 겸용 식사도구 받침대
US20170202383A1 (en) Elevated utensil
CN201710024U (zh) 一种双头餐具
KR200484348Y1 (ko)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KR20140002574A (ko) 수저 고정홈을 구비한 밥 그릇
KR200245989Y1 (ko) 위생 수저 받침대
KR200242082Y1 (ko) 식사도구용 손잡이
CN215686455U (zh) 一种方便拿取的盘子
KR200322198Y1 (ko) 1회용 접이식 집게형 종이 젓가락
KR200322251Y1 (ko) 일체형 숟가락과 젓가락 겸용 수저
CN207492314U (zh) 一种便捷式组合餐具
KR20110136010A (ko) 취식구
KR200488450Y1 (ko) 위생 및 보관 식별이 용이한 수저세트
KR20130011009A (ko) 수저 좌대그릇
KR200287246Y1 (ko) 위생 수저 받침대
KR20090000962A (ko) 휴대 젓가락
WO2020108398A1 (zh) 一种一体式放置筷、勺公用菜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08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