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1009A - 수저 좌대그릇 - Google Patents

수저 좌대그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1009A
KR20130011009A KR1020110071871A KR20110071871A KR20130011009A KR 20130011009 A KR20130011009 A KR 20130011009A KR 1020110071871 A KR1020110071871 A KR 1020110071871A KR 20110071871 A KR20110071871 A KR 20110071871A KR 20130011009 A KR20130011009 A KR 201300110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cutlery
chopsticks
recess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1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록
Original Assignee
박영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록 filed Critical 박영록
Priority to KR1020110071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1009A/ko
Publication of KR20130011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0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02Grip means
    • B65D2251/026Grip means made of material having a high friction coefficient and preventing slippage during removal by hand, e.g. band, coating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생적인 식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용도 편리한 새로운 구성의 수저 좌대그릇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탁이나 밥상에 올려놓고 수저를 받치는데 사용하며, 상면에는 상측이 개방된 오목부(12)가 형성되고, 받침대(10)의 둘레부에는 하향으로 오목한 한 쌍의 거치홈(14,16)이 형성되어, 숟가락(2)과 젓가락(4)의 선단부가 상기 오목부(12)에 놓여지고, 숟가락(2)과 젓가락(4)의 자루부분이 상기 거치홈(14,16)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좌대그릇(10)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수저 좌대그릇{A spoon and chopsticks support}
본 발명은 수저 좌대그릇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위생적인 식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사용도 편리한 새로운 구성의 수저 좌대그릇에 관한 것이다.
식사 중에 숟가락이나 젓가락을 위생적으로 사용하고, 식탁이나 밥상이 숟가락이나 젓가락에 묻은 음식물로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저 받침대를 사용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수저 받침대를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수저 받침대(1)는 좌우로 긴 납작한 사각편형상으로 되어, 상면에는 숟가락(2)과 젓가락(4)이 걸쳐지는 한 쌍의 오목홈(8,9)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저 받침대에는 수저의 선단부, 즉, 숟가락(2)과 젓가락(4)의 음식물을 집는 부분이 상기 오목홈(8,9)에 안착되도록 수저를 올려놓게 되는데, 이와 같이 수저를 받침대에 올려 놓으면, 수저의 기단부 즉, 수저의 손으로 잡는 부분이 하향으로 경사지게 되어 식탁에 닿게 된다.
한편, 숟가락질과 젓가락질을 할 때에는, 수저의 기단부를 엄지와 검지 사이에 걸쳐 놓고 엄지와 검지 및 중지손가락을 수저 위로 감아 올려 수저를 잡는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수저 받침대에 수저를 올려 놓으면, 수저의 기단부가 하향으로 경사져서 식탁에 놓이게 되므로 숟가락질과 젓가락질을 할 때와 같은 형태로 숟가락과 젓가락을 잡아서 올릴 수 없고, 상측에서 수저를 잡아 들어 올린 다음, 숟가락질과 젓가락질을 하는 형태로 손을 고쳐 잡아야 한다. 뿐만 아니라 수저를 내려놓는 경우에도 수저를 잡은 상태 그대로 수저를 내려놓기가 곤란하므로, 손이 위로 올라가도록 수저를 고쳐 잡은 다음 수저를 받침대에 내려놓아야 한다. 이와 같이 식사 도중에 받침대에 수저를 올려놓거나 받침대에 올려진 수저를 집어 들기 위해서는 수저를 고쳐 잡아야 하므로 불편하다.
또한, 받침대가 납작한 편형상을 이루므로 숟가락에 묻은 국물이 받침대에서 흘러내려 식탁이 지저분해지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숟가락(2)에 묻은 국물이 받침대의 오목홈(8)에 고여서 숟가락에 그대로 묻어 있기 때문에 숟가락을 들 때 숟가락에 묻어 있던 국물이 식탁이나 사용자의 옷에 떨어져서 지저분해지도 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4212호(2008. 10. 01)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사시에 수저를 내려놓고 집기가 편리하며, 위생적이고, 보관도 용이한 새로운 구성의 수저 좌대그릇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식탁이나 밥상에 올려놓고 수저를 받치는데 사용되며, 그 상면에는 상측이 개방된 오목부(12)가 형성되고, 둘레부에는 하향으로 오목한 한 쌍의 거치홈(14,16)이 형성되어, 숟가락(2)과 젓가락(4)의 선단부가 상기 오목부(12)에 놓여지고, 숟가락(2)과 젓가락(4)의 자루부분이 상기 거치홈(14,16)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좌대그릇(10)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오목부(12)의 바닥면은 중앙부로 갈수록 점차 함몰되게 형성되어, 숟가락(2)이나 젓가락(4)에 묻은 음식물 국물이 상기 오목부(12)의 중앙부로 모이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좌대그릇(10)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저 좌대그릇(10)의 저면 둘레부에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적어도 한 쌍의 결합돌기(18)가 하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수저 좌대그릇(10)을 다수개 상하로 적층하면 상측에 위치되는 수저 좌대그릇(10)의 결합돌기(18)가 하측에 위치되는 수저 좌대그릇(10)의 오목부(12)에 삽입되어 상하로 적층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좌대그릇(10)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오목부(12)는 숟가락(2)과 젓가락(4)의 선단부가 안착되는 안착부(22)와, 상기 안착부(22)보다 함몰된 함물부(24)로 구획되고, 상기 거치홈(14,16)은 상기 안착부(22)와 대향되는 단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좌대그릇(10)이 제공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수저의 기단부가 오목부(12)에 놓여지고 수저의 자루부분은 거치홈(14,16)에 거치되어, 수저가 가지런하게 놓여진다. 더욱이 수저의 자루부분이 기단부로 갈수록 상향으로 경사지게 놓여지므로, 그릇에 놓여진 수저를 숟가락질과 젓가락질을 하는 형태로 잡고 그대로 들어 올리거나 또는 음식을 먹다가 숟가락과 젓가락을 잡은 상태 그대로 받침대에 내려놓는 것이 가능하다. 즉, 종래의 판형상의 받침대를 사용하는 경우처럼 수저를 내려놓기 위해 수저를 고쳐 잡거나, 수저를 집어 올린 다음 고쳐 잡아야 하는 등 손의 군 동작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편리하다.
또한, 숟가락(2)에 묻은 국물이 오목부(12)에 모이므로 식탁으로 흘러내릴 우려가 없다. 더욱이 오목부(12)의 바닥이 중앙부로 갈수록 함몰된 형태를 취하므로 숟가락에 묻은 국물이 오목부(12) 중앙으로 수집되어 숟가락(2)에 국물이 잔류되지 않는다.
음식을 먹을 때 생선가시 등을 식탁에 그냥 놓으면 지저분해 보이므로 흔히, 생선가시 등을 담기 위한 별도의 접시를 식탁에 올려놓기도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오목부(12)에 생선가시 등을 담아 놓을 수 있으므로, 별도의 접시를 준비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도 있다. 뿐만 아니라 오목부(12)가 수저의 선단부가 놓여지는 안착부(22)와 이 안착부(22) 보다 함몰된 함몰부(24)로 구획된 겨웅에는 생선가시와 같이 버려지는 음식을 함몰부(24)에 담으면, 담아진 음식이 수저와 닿지 않으므로 위생적이고, 보기에도 좋다.
또, 수저 좌대그릇(10)의 바닥에 고정돌기(18)가 형성되어, 좌대그릇(10)을 상하로 적층하였을 때 이 고정돌기(18)에 의해 적층된 상태가 흐트러지지 않고 유지되므로 좌대그릇(10)을 콤팩트하고 깔끔하게 정리하여 보관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종래 수저 받침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7과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사용상태사시도이고, 도 4는 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개방된 오목부(12)가 상면에 구비되는데, 이 오목부(12)는 수저 좌대그릇(10)의 둘레부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측벽(11)에 의해 형성되어, 수저 좌대그릇(10)은 좌우로 긴 납작한 트레이형상을 갖는다.
상기 측벽(11) 상면에는 하향으로 오목한 한 쌍의 거치홈(14,16)이 형성된다. 이 거치홈(14,16)은 숟가락(2)과 젓가락(4)의 자루부분을 거치시키기 위한 것이다. 숟가락(2)과 젓가락(4)을 선단부가 상기 오목부(12)에 놓여지도록 수저 좌대그릇(10)에 올려 놓으면, 숟가락(2)과 젓가락(4)이 정렬되지 않고 흐트러지게 되는데, 본 발명은 상기 숟가락(2)과 젓가락(4)의 자루부분이 거치홈(14,16)에 거치되기 때문에 흐트러지지 않고 정렬된 상태로 놓여진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홈(14,16)은 좌대그릇(10)의 길이방향 단부에 위치되는데, 거치홈(14,16)이 길이 방향 양 단부에 모두 형성되면, 좌대그릇(10)을 식탁에 놓을 때 거치홈(14,16)의 방향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하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홈(14,16)은 만곡된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거치홈(14,16)이 이러한 형태로 형성되면, 사용자가 수저를 내려놓을 때 숟가락(2)과 젓가락(4)이 거치홈(14,16)의 중앙에 정렬되도록 위치되지 않고 거치홈(14,16)과 다소 어긋나게 놓이더라도 숟가락(2)과 젓가락(4)이 거치홈(14,16) 중앙으로 흘러내려 거치홈(14,16)에 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숟가락(2)과 젓가락(4)을 거치홈(14,16)에 정렬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하다.
이와 같이 수저 좌대그릇(10)에 수저를 올려놓을 때에는 숟가락(2)과 젓가락(4)의 선단부, 즉, 숟가락(2)과 젓가락(4)의 음식을 집는 부분이 상기 오목부(12)에 놓여지고 숟가락(2)과 젓가락(4)의 자루부분을 상기 거치홈(14,16)에 거치되어, 숟가락(2)과 젓가락(4)은 자루부분의 단부로 갈수록 상향으로 경사지게 놓여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숟가락(2)과 젓가락(4)이 자루부분의 단부로 갈수록 상향으로 경사지게 놓여지기 때문에 좌대그릇(10)에 놓여진 수저를 들어 올릴 때에는 숟가락(2)과 젓가락(4)을 숟가락질과 젓가락질을 하는 형태로 잡고 수저를 그대로 들어 올리면 된다. 또한, 수저를 좌대그릇(10)에 내려놓을 때에도 수저를 잡고 있는 상태 그대로 내려놓으면 된다. 즉, 본 발명은 수저를 내려놓기 위해 수저를 고쳐 잡거나 수저를 들어 올린 다음 고쳐 잡을 필요가 없으므로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숟가락(2)과 젓가락(4)에 묻은 음식물의 국물이 오목부(12)에 수집되고, 식탁에 흘러내릴 우려가 없으므로 국물에 의해 식탁이 지저분해질 우려도 없다. 또, 식사 중에 생선 가시나 조개껍질 등을 오목부(12)에 담아 둘 수 있으므로 이들을 담기 위한 별도의 접시를 준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12)의 바닥이 양단부에서 중앙부로 갈수록 하향으로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되면, 숟가락(2)에 묻어 있던 국물이 오목부(12)의 중앙부로 흘러내리게 되므로 숟가락에 국물이 잔존되지 않는다.
한편, 도 5와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좌대그릇(10)의 저면에는 하향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고정돌기(18)가 형성된다. 고정돌기(18)는 좌대그릇(10)을 보관하기 위해 상하로 다수개 적층시킬 때 좌대그릇(10)의 적층된 상태가 흐트러지지 않고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돌기(18)는 좌대그릇(10)의 저면 둘레부에 형성되는데, 고정돌기(18)의 외측면이 상기 측벽(11)의 내측면과 정렬되도록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쌍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좌대그릇(10)을 상하로 적층시켰을 때 상측에 위치되는 자대그릇(10)의 고정돌기(18)가 하측에 위치되는 좌대그릇(10)의 오목부(12)에 삽입되어 좌대그릇(10)의 적층된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된다.
도 7과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목부(12)가 수저의 선단부가 안착되는 안착부(22)와, 상기 안착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함몰된 함몰부(24)로 구획되고, 상기 거치홈(14,16)은 안착부(22)에 대향되는 위치의 측벽(11)에 형성된다. 따라서 수저를 좌대그릇(10)에 올려놓으면, 수저의 선단부는 상기 안착부(22)에 놓여지고, 수저에 묻은 음식 국물은 함몰부(24)로 흘러내린다. 그리고 식사시 생선뼈나 조개껍질 등도 안착부(22)에 담는다. 따라서 수저가 좌대그릇(10)에 담아진 음식물과 닿지 않으므로 보기도 좋고 위생적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도자기나 합성수지 등 다양한 재질로 제조되며, 그 형상도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4)

  1. 식탁이나 밥상에 올려놓고 수저를 받치는데 사용하며, 상면에는 상측이 개방된 오목부(12)가 형성되고, 둘레부에는 하향으로 오목한 한 쌍의 거치홈(14,16)이 형성되어, 숟가락(2)과 젓가락(4)의 선단부가 상기 오목부(12)에 놓여지고, 숟가락(2)과 젓가락(4)의 자루부분이 상기 거치홈(14,16)에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좌대그릇(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12)의 바닥면은 중앙부로 갈수록 점차 함몰되게 형성되어, 숟가락(2)이나 젓가락(4)에 묻은 음식물 국물이 상기 오목부(12)의 중앙부로 모이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좌대그릇(1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저 좌대그릇(10)의 저면 둘레부에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적어도 한 쌍의 결합돌기(18)가 하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수저 좌대그릇(10)을 다수개 상하로 적층하면 상측에 위치되는 수저 좌대그릇(10)의 결합돌기(18)가 하측에 위치되는 수저 좌대그릇(10)의 오목부(12)에 삽입되어 상하로 적층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좌대그릇(10).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12)는 숟가락(2)과 젓가락(4)의 선단부가 안착되는 안착부(22)와, 상기 안착부(22)보다 함몰된 함물부(24)로 구획되고, 상기 거치홈(14,16)은 상기 안착부(22)와 대향되는 단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좌대그릇(10).
KR1020110071871A 2011-07-20 2011-07-20 수저 좌대그릇 KR201300110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871A KR20130011009A (ko) 2011-07-20 2011-07-20 수저 좌대그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1871A KR20130011009A (ko) 2011-07-20 2011-07-20 수저 좌대그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009A true KR20130011009A (ko) 2013-01-30

Family

ID=47840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1871A KR20130011009A (ko) 2011-07-20 2011-07-20 수저 좌대그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10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321Y1 (ko) * 2019-10-10 2020-09-16 김정희 일회용 수저 받침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321Y1 (ko) * 2019-10-10 2020-09-16 김정희 일회용 수저 받침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63365A1 (en) Stable and Stackable Tray with Receptacle for Beverage Container and Thumbholds for Secure Grip
CA2856526A1 (en) Post on eating utensil
US20070131697A1 (en) Plate with utensil pocket
KR20130011009A (ko) 수저 좌대그릇
US20190208940A1 (en) Elevated utensil
KR200449275Y1 (ko) 일회용 이쑤시개 겸용 식사도구 받침대
US20210204733A1 (en) Self-balancing flatware
US20190343308A1 (en) Tableware Organizer for Large Group Gatherings
KR101311373B1 (ko) 결합형 조리및식사도구 세트
JP2010172631A (ja) 鍋等用箸置き具及び箸置き付き食品用鍋等
TWM512360U (zh) 防滑食物容器之組合結構
KR200380935Y1 (ko) 위생 수저 받침대
KR200245989Y1 (ko) 위생 수저 받침대
KR20130006657U (ko) 접시
KR200181207Y1 (ko) 위생수저
KR102223747B1 (ko) 헤드업 위생 젓가락
KR200287246Y1 (ko) 위생 수저 받침대
KR200484348Y1 (ko)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JP3236253U (ja) 食器具
JP3224265U (ja) 食器皿
JP5408594B1 (ja) 表裏に梃子支点を有する両面衛生洋食具
KR101926653B1 (ko) 숟젓가락
CN216256529U (zh) 一种新型陶瓷调料碟
KR200378909Y1 (ko) 손잡이부에 지퍼를 구비한 젓가락
AU2015255653B2 (en) Spoon head device for use with chopstic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