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6653B1 - 숟젓가락 - Google Patents

숟젓가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6653B1
KR101926653B1 KR1020170063046A KR20170063046A KR101926653B1 KR 101926653 B1 KR101926653 B1 KR 101926653B1 KR 1020170063046 A KR1020170063046 A KR 1020170063046A KR 20170063046 A KR20170063046 A KR 20170063046A KR 101926653 B1 KR101926653 B1 KR 101926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handle
food
chopstick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7813A (ko
Inventor
박규은
Original Assignee
박규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규은 filed Critical 박규은
Priority to KR1020170063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653B1/ko
Publication of KR20180127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8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6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6Combined or separable sets of table-service utensils; Oyster knives with openers; Fish servers with means for removing bon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숟젓가락에 관한 것으로서, 한 쌍의 젓가락을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젓가락은 각각, 일정 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의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며 음식물 수용공간이 형성된 숟가락을 포함하되, 상기 숟가락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수직방향으로 좌우 대칭되게 구획한 형상으로 구비되며,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테두리영역을 따라 수직하게 일정높이 결합되어 음식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숟젓가락{CHOPSTICKS COMBINED SPOON}
본 발명은 숟젓가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젓가락의 하부에 숟가락이 일체로 결합되어 젓가락과 숟가락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숟젓가락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음식을 먹을 때는 숟가락과 젓가락이 사용된다. 젓가락은 음식을 집기 위해 사용되고, 숟가락은 밥과 같은 음식 또는 유동성이 있는 국물을 떠서 먹는데 사용된다.
이렇게 숟가락과 젓가락의 기능이 상이하기 때문에 숟가락과 젓가락은 세트로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캠핑과 같은 야외활동을 할 때나 배달음식을 시켜먹을 때 1회용 숟가락과 1회용 젓가락을 함께 사용하게 되므로 버려지는 숟가락과 젓가락의 양이 많아져 자원낭비 및 환경오염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1회용 숟가락과 1회용 젓가락을 함께 휴대할 경우 부피가 커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숟가락과 젓가락의 기능을 함께 구현할 수 있게 만든 숟젓가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피를 최소화하여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한 숟젓가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숟젓가락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숟젓가락은, 한 쌍의 젓가락을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젓가락은 각각, 일정 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의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며 음식물 수용공간이 형성된 숟가락을 포함하되, 상기 숟가락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수직방향으로 좌우 대칭되게 구획한 형상으로 구비되며,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테두리영역을 따라 수직하게 일정높이 결합되어 음식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는, 상기 숟가락의 상부에 연장형성되는 손잡이프레임과; 상기 손잡이프레임의 내부에 일정 깊이 함몰되게 형성되는 손잡이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젓가락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의 손잡이수용홈과 음식물수용공간 내부에 뒤집어진 상태로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숟가락에서 서로 마주보는 부분의 지지벽은 서로 나란하게 구비되어 음식물이 파지되는 음식파지면을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식파지면을 형성하는 지지벽의 높이는 타영역의 지지벽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벽은 상기 손잡이가 결합된 숟가락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할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숟젓가락은 숟가락과 젓가락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여 숟가락과 젓가락을 따로따로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에 따라 1회용 숟가락과 젓가락을 따로 사용하지 않고 본 발명의 숟젓가락만 사용하면 되므로 1회용품의 사용을 줄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 쌍의 젓가락을 서로 겹쳐서 보관할 수 있어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며,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숟젓가락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숟젓가락이 휴대를 위해 겹쳐진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숟젓가락으로 음식을 집는 경우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숟젓가락으로 국물을 떠먹을 경우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숟젓가락으로 국물을 떠먹을 경우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숟젓가락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숟젓가락(1)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숟젓가락(1)은 숟가락(120,220)이 일체로 형성된 한 쌍의 젓가락(100,200)을 포함한다.
제1젓가락(100)과 제2젓가락(200)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대칭적으로 구비되므로 제1젓가락(100)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한다.
제1젓가락(100)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제1손잡이(110)와, 제1손잡이(110)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어 음식물을 집거나 수용할 수 있게 하는 제1숟가락(120)을 포함한다.
제1손잡이(110)는 내부가 채워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1손잡이(110)는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를 위해 제1손잡이(110)는 제1손잡이프레임(111)과, 제1손잡이프레임(111)의 내부에 구비되어 제2손잡이(210)가 수용되는 손잡이수용홈(113)을 포함한다.
제1손잡이프레임(111)은 상면이 개방된 함체 형태로 형성된다. 제1손잡이(110)는 1회용으로 제조될 경우 종이로 형성되고, 반복적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제조될 경우 플라스틱이나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1손잡이(110)가 종이로 형성되는 경우, 제1손잡이프레임(111)은 일정 높이(h1)를 갖는 벽체 역할을 하므로 외력에 의해 쉽게 휘어지지 않도록 내구성을 갖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손으로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제1손잡이(110)가 금속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1손잡이수용홈(113)만큼 비어있게 되므로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손잡이수용홈(113)이 비어있게 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손잡이수용홈(113)에 제2젓가락(200)이 뒤집어진 상태로 겹쳐질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제2젓가락(200)이 제1젓가락(100) 내부에 수용되므로, 숟젓가락(1)의 휴대와 보관을 위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숟가락(120)은 제1손잡이(110)의 하부에 결합된다. 여기서, 제1숟가락(120)과 제2숟가락(220)은 서로 대칭적인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숟젓가락(1)은 제1숟가락(120)과 제2숟가락(220)이 스페이드 형상을 절반으로 나눈 형태를 이룬다. 그러나, 이는 일례일 뿐이고, 제1숟가락(120)과 제2숟가락(220)은 원형, 타원형, 삼각형을 비롯한 다각형을 가운데를 중심으로 절반으로 나눈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제1손잡이(110)와 제2손잡이(2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제1숟가락(120)과 제2숟가락(22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음식물(A)을 집기가 어렵다. 이에 따라 제1손잡이(110)와 제2손잡이(210)는 각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숟가락(120)과 제2숟가락(220)이 서로 마주보는 내측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숟가락(120)은 음식이 수용되는 수용공간(M)이 형성되도록 제1바닥판(121)과, 제1바닥판(121)의 테두리를 감싸는 제1지지벽(123)으로 형성된다. 이 때, 제1숟가락(120)과 제2숟가락(220)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한 곳에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음식물을 파지하는 음식파지면(125,225)이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음식물(A)을 파지할 때, 한 쌍의 숟가락(120,220)의 음식파지면(125,225) 사이에 음식물(A)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수평하게 형성된 음식파지면(125,225)이 종래 젓가락과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제1지지벽(123)의 하부에는 제1꼭지점(126)이 날카롭게 형성된다. 제1꼭지점(126)의 날카로운 형상에 의해 밥이나 계란찜 등의 음식표면으로 제1숟가락(120)이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제1지지벽(123)과 제1손잡이프레임(111) 사이에는 제1연통공(127)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제1손잡이수용홈(113)과 음식물 수용공간(M)이 연통된다.
여기서, 제2젓가락(200)은 제1젓가락(100)에 겹쳐질 수 있도록 제1젓가락(100)과 형상은 동일하나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즉, 제1젓가락(100)의 제1손잡이프레임(111)의 높이(h1) 보다 제2젓가락(200)의 제2손잡이프레임(211)의 높이(h2)가 낮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수용홈(113)에 제2손잡이(210)가 뒤집어서 삽입되었을 때, 제1손잡이프레임(111)의 높이와 제2손잡이(210)가 동일높이에 위치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숟가락(120)의 내벽면에 제2숟가락(220)의 외벽면이 밀착되게 구비되는 것이 제1젓가락(100)과 제2젓가락(200)의 결합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숟젓가락(1)의 사용과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숟젓가락(1)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젓가락(100) 내부에 제2젓가락(200)을 수용하여 보관한다. 제1손잡이수용홈(113)과 제1숟가락(120)에 제2손잡이(210)와 제2숟가락(220)을 뒤집어서 보관한다. 이렇게 제1젓가락(100)에 제2젓가락(200)이 뒤집어서 보관되면, 서로 맞물려 닫혀진 형태를 취하게 되므로 음식물과 접하는 제1숟가락(120)과 제2숟가락(220)에 이물질과 먼지가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어 청결하게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렇게 제1젓가락(100)과 제2젓가락(200)을 겹쳐서 보관하던 중, 숟젓가락(1)을 이용해 음식을 먹어야 하는 경우 제2젓가락(200)을 제1젓가락(100)으로부터 분리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손잡이(110)와 제2손잡이(210)를 손으로 파지하여 젓가락처럼 사용한다. 이 때, 제1숟가락(120)과 제2숟가락(220)의 제1음식파지면(125)과 제2음식파지면(225) 사이에 음식물(A)을 끼워 음식물(A)을 고정하게 된다.
한편, 그릇(B)에 담겨 있는 유동성이 있는 국물(C)을 먹고자 하는 경우, 제1젓가락(100) 또는 제2젓가락(200) 하나만 손으로 파지하고, 제1숟가락(120) 또는 제2숟가락(220)을 국물(C)에 담근 후 음식물 수용공간(M)에 국물(C)을 담아 먹게 된다.
음식물 수용공간(M)이 제1지지벽(123)에 의해 둘러쌓여 있으므로 공중으로 제1숟가락(120)이 들어올려 지더라도 국물(C)이 제1숟가락(120)으로부터 흘러내리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숟젓가락(1a)을 이용해 국물(C)을 떠먹는 경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숟젓가락(1)은 한 개의 제1젓가락(100) 또는 제2젓가락(200) 하나만을 이용하였다. 이 경우, 각 젓가락(100,200)에 결합된 제1숟가락(120) 또는 제2숟가락(220)의 크기가 작아 한 번에 먹을 수 있는 음식의 양이 적은 단점이 있다.
이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숟젓가락(1a)은 한 쌍의 젓가락(100a,200a)을 동시에 이용하여 음식을 떠먹는다. 즉, 제1숟가락(120a)과 제2숟가락(220a)은 서로 합쳐져서 하나의 형상을 이루며 하나의 음식수용공간(M)을 형성한다.
이 때, 두 개의 숟가락(120a,120a)을 합쳐서 사용자의 입에 넣었을 때, 음식파지면(125a,225a)이 치아에 걸려 먹기 불편함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도 5의 하부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파지면(125a,225a)의 높이를 타 영역의 지지벽(123,223) 보다 낮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숟젓가락(1b)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숟젓가락(1b)은 제1숟가락(120b)과 제2숟가락(220b)을 각각 또는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숟가락(120b)과 제2숟가락(220b)은 각각의 지지벽(123a,223a)이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점차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된다. 특히, 가운데의 제1꼭지점(126)과 제2꼭지점(226)을 향해 높이가 점차 낮아지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각 숟가락(120b,220b)을 개별적으로 국물을 떠먹는데 사용할 수도 있고, 두 개의 숟가락(120b,220b)을 함께 국물을 떠먹는데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숟젓가락은 숟가락과 젓가락의 기능을 동시에 구현하여 숟가락과 젓가락을 따로따로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에 따라 1회용 숟가락과 젓가락을 따로 사용하지 않고 본 발명의 숟젓가락만 사용하면 되므로 1회용품의 사용을 줄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 쌍의 젓가락을 서로 겹쳐서 보관할 수 있어 휴대와 보관이 용이하며,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국물을 떠먹거나 음식을 떠먹을 때 하나의 숟가락만 사용하거나 두 개의 숟가락을 함께 사용하여 음식의 먹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숟젓가락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숟젓가락 100 : 제1젓가락
110 : 제1손잡이 111 : 제1손잡이프레임
113 : 제1손잡이수용홈 120 : 제1숟가락
121 : 제1바닥판 123 : 제1지지벽
125 : 제1음식파지면 126 : 제1꼭지점
127 : 제1연통공 200 : 제2젓가락
210 : 제2손잡이 211 : 제2손잡이프레임
213 : 제2손잡이수용홈 220 : 제2숟가락
221 : 제2바닥판 223 : 제2지지벽
225 : 제2음식파지면 226 : 제2꼭지점
227 : 제2연통공
M : 음식물 수용공간

Claims (5)

  1. 한 쌍의 젓가락을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젓가락은 각각,
    일정 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의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하부에 일체로 결합되며 음식물 수용공간이 형성된 숟가락을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는,
    상기 숟가락의 상부에 연장형성되며, 상면이 개방된 함체 형태로 형성된 손잡이프레임과;
    상기 손잡이프레임의 내부에 일정 깊이 함몰되게 형성되는 손잡이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숟가락은,
    스페이드 형상을 수직방향으로 좌우 대칭되게 구획한 형상으로 구비되며,
    음식물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테두리영역을 따라 수직하게 결합되어 음식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벽과;
    상기 지지벽의 하부에 날카롭게 형성된 꼭지점과;
    상기 지지벽과 상기 손잡이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연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숟가락에서 서로 마주보는 부분의 지지벽은 서로 나란하게 구비되어 음식물이 파지되는 음식파지면을 형성하고, 상기 음식파지면을 형성하는 지지벽의 높이는 타영역의 지지벽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벽은 상기 손잡이가 결합된 숟가락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할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젓가락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의 손잡이수용홈과 음식물 수용공간 내부에 뒤집어진 상태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숟젓가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63046A 2017-05-22 2017-05-22 숟젓가락 KR101926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046A KR101926653B1 (ko) 2017-05-22 2017-05-22 숟젓가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046A KR101926653B1 (ko) 2017-05-22 2017-05-22 숟젓가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813A KR20180127813A (ko) 2018-11-30
KR101926653B1 true KR101926653B1 (ko) 2018-12-07

Family

ID=64560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046A KR101926653B1 (ko) 2017-05-22 2017-05-22 숟젓가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6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69941A (zh) * 2020-12-04 2021-02-19 南京工业职业技术大学 一种夹子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813A (ko) 2018-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7100B1 (en) Multipurpose plate
US5390798A (en) Food and beverage support tray with beverage vessel cutout
US20050229793A1 (en) Food server
US20140220200A1 (en) Combined Utensil
US20140175103A1 (en) Wearable bowl for cup
KR101926653B1 (ko) 숟젓가락
CN209376935U (zh) 一种便携套装餐具盒
US20070131697A1 (en) Plate with utensil pocket
KR200496299Y1 (ko) 유아용 식기
US20190343308A1 (en) Tableware Organizer for Large Group Gatherings
KR20180001412U (ko) 음료와 식품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캐리어
JP4676023B1 (ja) 麺用箸
US20030189346A1 (en) Multi-function cooking utensil
KR101254203B1 (ko) 식용접시가 수용되는 케이크 상자
JP3236253U (ja) 食器具
KR20190057955A (ko) 종이 믹스컵
KR100475694B1 (ko) 취식이 용이한 일회용 용기
CN221083001U (zh) 一种碗勺结构
WO2022102124A1 (ja) 飲食サービス用什器
KR200169884Y1 (ko) 찻잔 및 접시 보관대
KR101323635B1 (ko) 다용도 용기구조
TWM645819U (zh) 具有弧狀溝槽的湯匙
JP5078292B2 (ja) 安定自助食器
KR960005286Y1 (ko) 낚시용 도마 휴대용기
US20180098650A1 (en) Plate With Collapsible and Non-Collapsible Beverage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