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299Y1 - 유아용 식기 - Google Patents

유아용 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299Y1
KR200496299Y1 KR2020210003809U KR20210003809U KR200496299Y1 KR 200496299 Y1 KR200496299 Y1 KR 200496299Y1 KR 2020210003809 U KR2020210003809 U KR 2020210003809U KR 20210003809 U KR20210003809 U KR 20210003809U KR 200496299 Y1 KR200496299 Y1 KR 2004962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ware
cutlery
dish
adsorption
integrally for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80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함문식
Original Assignee
함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함문식 filed Critical 함문식
Priority to KR202021000380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2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2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2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6Plates with integral holders for spoons, glass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F16B47/006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the suction cups being activated by the rotation of a cranked lever ar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0Articles made from a particular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12Safety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유아용 식기에 관한 것으로, 일정 크기를 갖는 바닥부(112)와, 상기 바닥부(112)의 상측에 일정 높이로 형성된 원호부(113)가 일체로 이루어진 식기본체(111)가 구비된 식기부재(110); 상기 식기부재(110)의 저면에 일정 크기를 갖는 식기흡착유닛(131)가 일체로 형성된 흡착받침부재(130); 상기 식기부재(110)에 담겨진 음식물을 떠 먹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수저부재(150);를 마련하여 흡착받침부재의 식기흡착유닛과 연장흡착유닛에 의해 2중으로 흡착이 이루어지며, 2중 흡착에 의해 식기부재를 식탁 등의 바닥면에 안정되게 고정시켜 둘 수 있고,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유아의 인체에 무해하며, 수저부재를 끼움홈부에 꽂아 보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유아용 식기{Baby tableware}
본 고안은 유아용 식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기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식기흡착유닛과 연장흡착유닛에 의해 바닥면에 흡착된 상태에서 유아용 식기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수저를 안정적으로 꽂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유아용 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라 함은 밥이나 음식물(이하, 총칭하여 "음식물"이라 한다.)을 담는 작은 그릇을 말하는 것으로, 플라스틱이나 인체에 무해한 스테인레스로 구성되는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밥이나 국을 담는 용도에 따라 다르기는 하지만 어른용 식기는 단순히 내부가 빈 보울(bowl) 형상을 갖는데 반해 유아용 식기는 여러 가지 독특한 형상을 갖는다.
이는 유아에게 호기심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음식물이 좀 더 효과적으로 퍼질 수 있게끔 하는 수단이다.
이와 같은 호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유아용 식기가 제안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아들은 숟가
락질이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음식물을 잘 푸지 못한다. 따라서 요령 없이 음식물을 푸다보면 번번이 흘리는 경우가 잦다.
이에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유아용 식기가 제안되고 있기는 하지만 현존하는 유아용 식기의 경우, 구조 대비 효과가 다소 떨어진다는 점에서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유아용 식기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유아들의 급식, 예를 들어 주식이나 간식 등을 급식 시키기 위한 식기는 대략 운두가 높은 식기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이렇게 운두가 높은 식기를 이용해 식사 시 필히 숟가락을 이용하고 있는데, 이때 유아들, 즉 숟가락의 사용이 불안정한 유아들의 경우는 식기 내의 음식물을 식기 외부 측으로 흘리게 된다.
더 상세하게는 숟가락 사용이 불안정한 유아들은 주로 식기의 내벽을 의지하여 음식을 퍼 올리게 되는데, 이때 식기 내벽에 의지 되어 음식을 퍼 올린 숟가락이 그 식기의 상단에 도달 시 음식을 가지런히 담지 못하고 그대로 밀고 올라와 숟가락으로 퍼 올려지는 음식물이 식기 상단을 넘어 외부로 흘려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식탁의 주위가 흐트러지고 외관은 물론 위생적이지 못하고 좋은 식사생활 습관을 가지지 못하게 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유아용 식기의 경우, 보호자가 뜨거운 음식을 식혀서 유아에게 주어야 할 경우에는 그릇에서 음식물을 떠서 입으로 불어서 식히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데, 이 경우 보호자의 침 등으로 유아가 섭취하는 음식물이 오염될 소지가 많다.
한편 음식물을 쉽게 식히기 위해서는 별도의 넓은 접시 등에 따로 음식물을 덜어서 식히게 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유아용 식기의 대부분은 컵이나 밥그릇 또는 식판 형상의 용기에 음식물을 담는 수납홀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바닥부가 일반적으로 평평한 구조가 대부분이라 음식물을 마지막까지 숟가락으로 떠서 주는 작업을 수행하기가 어려우며, 별도의 손잡이가 있어도 대부분 유아의 손에 맞게 형성이 되어 있어 보호자가 이용하기에는 불편함이 초래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유아용 식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유아용 식기는 상부가 개구된 수용부를 구비하는 외부몸체 및 테두리 말단부가 결합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몸체의 상기 개구된 상부의 테두리 말단부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외부몸체의 개구된 상부를 막으면서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되 상기 외부몸체의 측벽면과 바닥면에서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내부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몸체는 바닥면이 경사구조를 하는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를 가지며, 상기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 각각은 바닥면이 형성하는 수평선과 측벽면이 형성하는 연장선 사이의 각도가 예각을 이루고, 상기 제2수용부는 상기 제1수용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폭과 깊이를 가지며, 상기 제2수용부의 하부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몸체의 내부영역은 상기 제1수용부의 하부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몸체의 내부영역보다 더 큰 체적의 에어영역을 형성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유아용 식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유아용 식기는 음식물이 담기는 음식물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바닥에서 상부의 개구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넓어지는 형상의 식기 몸체와, 상기 식기 몸체의 상단부에 일측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내벽에 선단부로 갈수록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상의 홈(groove) 형태로 가공되되 상기 음식물 수용공간 내의 음식물을 흘리지 않고 풀 수 있도록 숟가락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홈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부 벽체에 마련되며, 내면이 아크(arc) 형상의 가이드면을 형성하되 상기 가이드 홈부를 따라 이동되는 숟가락을 최종적으로 가이드하여 음식물이 숟가락 상에 올려져 배치되게 유도하는 아크형 가이드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아크형 가이드 유닛의 하부에는 하향으로 돌출된 착탈식 돌기부가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부의 상단부 벽체에는 상기 착탈식 돌기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된 착탈식 돌기홈을 포함하고, 상기 아크형 가이드 유닛 상부에는 안테나와 같은 텔레스코픽 바아 형상을 가지며, 아크형 가이드 유닛 내로 들어가거나 아크형 가이드 유닛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숟가락의 이동을 보조하는 아크형 길이가변부재를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344844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486233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2-0038858호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식기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흡착받침부재의 식기흡착유닛과 연장흡착유닛에 의해 식기가 바닥면에 흡착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식기본체의 일측 상부에 형성된 음식물걸림부에 의해 수저에 음식물을 안정적으로 담을 수 있는 유아용 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식기본체와 수저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파손이나 훼손의 우려없이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식기본체에 수저를 꽂아 보관할 수 있으므로, 수저를 별도로 보관하지 않아도 되며, 수저를 식기본체와 함께 일체로 보관할 수 있는 유아용 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왼손잡이, 오른손잡이에 상관없이 식기본체와 수저를 사용할 수 있는 유아용 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식기는 일정 크기를 갖는 바닥부(112)와, 상기 바닥부(112)의 상측에 일정 높이로 형성된 원호부(113)가 일체로 이루어진 식기본체(111)가 구비된 식기부재(110); 상기 식기부재(110)의 저면에 일정 크기를 갖는 식기흡착유닛(131)가 일체로 형성된 흡착받침부재(130); 상기 식기부재(110)에 담겨진 음식물을 떠 먹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수저부재(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기부재(110)에는 일정량의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바닥부(112)와 원호부(113)에 의해 형성된 식기본체(111); 상기 식기본체(111)에 담겨진 음식물을 상기 수저부재(150)에 의해 용이하게 담을 수 있도록 상기 식기본체(111)의 상부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음식물걸림부(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기부재(110)는 상기 식기본체(11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전면손잡이부(114)와, 상기 식기본체(111)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후면손잡이부(123);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손잡이부(114)는 상기 식기본체(111)의 중앙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전면손잡이(115)와, 상기 식기본체(111)의 중앙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 손잡이(116)와, 상기 제1 전면손잡이(115)와 상기 제2 전면손잡이(116) 사이에 상기 식기본체(111)의 내측으로 요입되게 형성되는 내입홈부(117)로 이루어지며, 기 후면손잡이부(123)는 상기 식기본체(111)의 중앙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 후면손잡이(124)와, 상기 식기본체(111)의 중앙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 후면손잡이(125)와, 상기 제1 후면손잡이(124)와 상기 제2 후면손잡이(125) 사이에 상기 수저부재(150)를 끼워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끼움홈부(126)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기본체(110)는 상기 수저부재(150)에 음식물을 용이하게 담을 수 있도록 상기 식기본체(111)의 원호부(113) 상측에 상기 식기본체(111)의 내측을 향해 소정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원호걸림부(121); 상기 수저부재(150)에 음식물을 용이하게 담을 수 있도록 상기 식기본체(111)의 원호부(113) 상측에 상기 식기본체(111)의 내측을 향해 소정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원호걸림부(12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원호걸림부(121)와 상기 제2 원호걸림부(122)는 가장자리에서부터 상기 식기본체(111)의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착받침부재(130)는 상기 식기본체(111)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식기흡착유닛(131); 상기 식기흡착유닛(131)에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연장흡착유닛(135); 상기 수저부재(150)를 안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장흡착유닛(135)의 상면에 형성되는 수저안치부(1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식기흡착유닛(131)는 상기 식기본체(111)의 하측에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흡착본체(132); 상기 흡착본체(132)의 변형에 의해 상기 식기본체(111)가 바닥면에 흡착될 수 있게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흡착면(133); 상기 흡착본체(132)에서 상기 수저안치부(138) 사이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흡착유닛(135); 상기 흡착면(133)에서부터 상기 수저안치부(138)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흡착면(136); 상기 수저안치부(138)에는 상기 연장흡착유닛(135)과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장흡착유닛(135)의 상면에 상기 수저부재(150)가 안착되게 요입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저안치홈부(139); 상기 수저부재(150)가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저안치홈부(139)의 외측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수저안치돌기(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식기에 의하면, 흡착받침부재의 식기흡착유닛과 연장흡착유닛에 의해 2중으로 흡착이 이루어지며, 2중 흡착에 의해 식기부재를 식탁 등의 바닥면에 안정되게 고정시켜 둘 수 있고,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유아의 인체에 무해하며, 수저부재를 끼움홈부에 꽂아 보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유아용 식기에 의하면, 왼손잡이 또는 오른손잡이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고, 수저부재를 수저안치부에 안치시킬 수 있으며, 수저부재를 식탁 등에 올려놓지 않고 식기본체에 꽂아둘 수 있어 수저부재를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식기본체의 음식물걸림부에 의해 수저부재의 수용부에 음식물을 보다 간편하게 용이하게 수용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를 도시한 입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를 도시한 분해 저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를 도시한 저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를 도시한 입체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를 도시한 입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는 일정 크기를 갖는 바닥부(112)와, 상기 바닥부(112)의 상측에 일정 높이로 형성된 원호부(113)가 일체로 이루어진 식기본체(111)가 구비된 식기부재(110)와, 상기 식기부재(110)의 저면에 일정 크기를 갖는 식기흡착유닛(131)가 일체로 형성된 흡착받침부재(130)와, 상기 식기부재(110)에 담겨진 음식물을 떠 먹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수저부재(15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를 도시한 분해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식기부재(110)와, 상기 식기부재(11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흡착받침부재(130)와, 상기 식기부재(110)에 꽂아 보관할 수 있는 수저부재(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식기부재(110)에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식기본체(111)와, 상기 식기본체(111)에 일체로 형성되는 전면손잡이부(114)와 후면손잡이부(123)와, 상기 식기본체(111)의 일측에 수저부재(150)에 음식물이 용이하게 담아질 수 있도록 음식물걸림부(12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식기본체(111)에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바닥부(112)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부(112)의 상부에는 그릇의 형상을 갖도록 일정 높이를 갖는 원호부(113)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식기본체(111)의 일측에는 식기부재(111)를 안정적으로 잡을 수 있게 전면손잡이부(114)가 형성된다.
상기 전면손잡이부(114)는 상기 식기본체(111)의 중앙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전면손잡이(115)와, 상기 식기본체(111)의 중앙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 손잡이(116)와, 상기 제1 전면손잡이(115)와 상기 제2 전면손잡이(116) 사이에 상기 식기본체(111)의 내측으로 요입되게 형성되는 내입홈부(117)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면손잡이부(123)는 상기 식기본체(111)의 중앙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 후면손잡이(124)와, 상기 식기본체(111)의 중앙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 후면손잡이(125)와, 상기 제1 후면손잡이(124)와 상기 제2 후면손잡이(125) 사이에 상기 수저부재(150)를 끼워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끼움홈부(126)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손잡이부(114)의 제1 전면손잡이(115)는 식기부재(110)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전면손잡이(116)는 제1 전면손잡이(115)와 대칭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이들 전면손잡이(115, 116) 사이에는 내측으로 내입된 내입홈부(117)가 형성된다.
이들 전면손잡이부(114)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물고기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전면손잡이부(114)는 전체적으로 물고기의 머리 부위를 형상화시키고, 내입홈부(117)는 물고기의 입을 형상화시키며, 전면손잡이부(114)에 형성된 형상돌기(118)는 물고기의 눈을 형상화시킨 것으로, 전체적인 형상이 물고기의 머리 부위를 연상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면손잡이부(114)는 식기본체(111)에 뜨거운 음식물을 담는 경우 식기본체(111)의 외측으로 돌출된 손잡이부(115, 116)를 잡아줌으로써, 뜨거운 식기본체(111)를 안전하게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식기본체(111)에는 수저부재(150)에 음식물을 뜨는 경우, 음식물이 수저부재(150)에 용이하게 담아질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걸림부(12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식기본체(110)는 상기 수저부재(150)에 음식물을 용이하게 담을 수 있도록 상기 식기본체(111)의 원호부(113) 상측에 상기 식기본체(111)의 내측을 향해 소정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원호걸림부(121)와, 상기 수저부재(150)에 음식물을 용이하게 담을 수 있도록 상기 식기본체(111)의 원호부(113) 상측에 상기 식기본체(111)의 내측을 향해 소정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원호걸림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원호걸림부(121)와 상기 제2 원호걸림부(122)는 가장자리에서부터 상기 식기본체(111)의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음식물걸림부(120)는 식기본체(111)의 상면을 향해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수저부재(150)에 음식물을 뜨는 경우, 수저부재(150)를 음식물걸림부(120)로 이동시킴에 따라 음식물이 수저부재(150)의 수용부(154, 도 1 참조)에 자연스럽게 담겨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 원호걸림부(121)와 제2 원호걸림부(122)는 일체로 형성되며, 식기본체(111)의 내입홈부(117)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가장 높게 형성된다.
이는 사용자는 전면손잡이부(114)를 왼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수저부재(150)를 음식물걸림부(120)의 상측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수저부재(150)에 음식물이 자연스럽게 수저부재(150)의 수용부(154)에 담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식기본체(111)의 타측에는 후면손잡이부(123)가 형성되며, 상기 후면손잡이부(123)는 제1 후면손잡이(124)와 제2 후면손잡이(12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후면손잡이(124)와 제2 후면손잡이(125) 사이에는 수저부재(150)를 끼워 보관할 수 있도록 끼움홈부(126)가 형성된다.
상기 후면손잡이부(123)는 물고기의 꼬리 형상을 형상화한 것으로, 식기부재(110)의 전체적인 형상이 물고기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전면손잡이부(114)에 형성되는 내입홈부(117)는 끼움홈부(126)와 같이 수저부재(150)를 끼워 보관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식기부재(110)의 저면에는 바닥면에 밀착될 수 있게 흡착받침부재(13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흡착받침부재(130)는 상기 식기본체(111)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식기흡착유닛(131)와, 상기 식기흡착유닛(131)에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연장흡착유닛(135)과, 상기 수저부재(150)를 안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장흡착유닛(135)의 상면에 형성되는 수저안치부(138)을 포함한다.
상기 흡착받침부재(130)는 식기부재(110)를 식탁 등에 올려놓으면, 식탁의 바닥면에 흡착되어 식기부재(110)가 임의로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상기 식기부재(110)의 하부에는 식기본체(111)와 일체로 식기흡착유닛(131)이 형성되고, 상기 식기흡착유닛(131)의 일측으로 연장되는 연장흡착유닛(135)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식기흡착유닛(131)은 식기본체(111)의 저면에 원판 형상으로 흡착본체(132)가 형성되고, 상기 식기부재(110)가 바닥면에 밀착되는 흡착면(13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장흡착유닛(135)은 흡착본체(132)로부터 일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며, 상기 연장흡착유닛(135)이 식탁 등의 바닥면에 흡착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연장흡착면(136)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연장흡착유닛(135)의 상면에는 수저부재(150)를 안정되게 보관할 수 있게 수저안치부(138)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수저안치부(138)는 연장흡착유닛(135)의 상면에 소정 깊이로 수저안치홈부(139)가 형성되고, 상기 수저안치홈부(139)의 외측에 상부로 돌출된 수저안치돌기(140)가 일체로 형성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흡착받침부재(130)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흡착받침부재(130)의 식기흡착유닛(131)과 연장흡착유닛(135)이 각각 별도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식기본체(111)의 저면에는 식기흡착유닛(131)의 흡착면(133)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연장흡착유닛(135)의 연장흡착면(136)은 흡착면(133)과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즉, 상기 수저안치부(137)의 바닥면에는 흡착면(133)과 연장흡착면(136) 사이에 바닥안치면(137)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연장흡착면(136)은 연장흡착유닛(135)의 저면에 소정의 직경으로 연장흡착면(136)이 형성된다.
상기 수저부재(150)는 식기본체(111)에 담아져 있는 음식물을 유아가 떠 먹을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손잡이부(151)와, 상기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저부(153)로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부(151)에는 물고기 형상을 연상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부(151)의 양측에 지느러미돌기(152)가 형성되고, 상기 수저부(153)에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수용부(154)가 일면에 형성된다.
상기 식기부재(110), 흡착받침부재(130)와 수저부재(150)는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다.
다음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아용 식기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식기부재(110)에 수저부재(150)를 꽂아 보관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식기부재(110)의 식기본체(111)에는 음용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담게 된다.
음식물이 담긴 식기본체(111)는 식탁 등의 바닥면에 올려놓게 되면, 상기 흡착받침부재(130)의 식기흡착유닛(131)은 바닥면에 흡착된다. 즉, 상기 흡착본체(132)는 식기본체(111)의 중량에 의해 외측으로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흡착면(133)이 바닥면에 흡착된다.
또한 상기 연장흡착유닛(135)의 연장흡착면(136)도 식탁의 바닥면에 흡착되며, 상기 흡착면(133)은 식기본체(111)를 식탁 등의 바닥면에 흡착 고정시키고, 연장흡착면(136)은 수저안치부(138)를 식탁 등의 바닥면에 흡착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식기부재(110)와 수저안치부(138)가 식탁 등의 바닥면에 흡착 고정되어 유아가 식기부재(110)를 건드리게 되더라도 놓여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흡착면(133)과 연장흡착면(136)이 일체로 바닥면에 흡착 고정될 뿐만 아니라 도 6과 도 7의 다른 실시 예에서와 같이 이격된 2개의 흡착면(133)과 연장흡착면(136)이 2중으로 흡착되어 식기부재(110)를 식탁의 바닥면에 견고하게 흡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식기부재(110), 흡착받침부재(130)와 수저부재(15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깨지거나 파손될 우려가 없으며, 상기 수저부재(150)를 끼움홈부(126)에 수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유아 또는 보호자는 왼손 또는 오른손으로 자유로이 식기부재(110)와 수저부재(150)를 사용할 수 있고, 식기본체(111)의 음식물걸림부(120)에 의해 수저부재(150)의 수용부(154)에 음식물을 간편하게 수용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저부재(150)는 끼움홈부(126)에 끼워둘 수 있어 수저부재(150)의 분실 우려가 없고, 식기부재(110)의 전체적인 형상이 물고기 등의 동물 형상으로 이루어져 유아의 관심을 유발시켜 음식물을 먹는데 집중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0: 식기부재 111: 식기본체
112: 바닥부 113: 원호부
114: 전면손잡이부 115: 제1 전면손잡이
116: 제2 전면손잡이 117: 내입홈부
118: 형상돌기 120: 음식물걸림부
121: 제1 원호걸림부 122: 제2 원호걸림부
123: 후면손잡이부 124: 제1 후면손잡이
125: 제2 후면손잡이 126: 끼움홈부
130: 흡착받침부재 131: 식기흡착유닛
132: 흡착본체 133: 흡착면
135: 연장흡착유닛 136: 연장흡착면
137: 바닥안치면 138: 수저안치부
139: 수저안치홈부 140: 수저안치돌기
150: 수저부재 151: 손잡이부
152: 지느러미돌기 153: 수저부
154: 수용부

Claims (6)

  1. 일정 크기를 갖는 바닥부(112)와, 상기 바닥부(112)의 상측에 일정 높이로 형성된 원호부(113)가 일체로 이루어져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식기본체(111)가 구비된 식기부재(110);
    상기 식기부재(110)의 저면에 일정 크기를 갖는 식기흡착유닛(131)가 일체로 형성된 흡착받침부재(130);
    상기 식기본체(111)에 담겨진 음식물을 떠 먹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수저부재(150);
    상기 식기본체(111)에 담겨진 음식물을 상기 수저부재(150)에 의해 용이하게 담을 수 있도록 상기 식기본체(111)의 상부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식기본체(111)의 원호부(113) 상측에 상기 식기본체(111)의 내측을 향해 소정의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장자리에서부터 상기 식기본체(111)의 중앙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음식물걸림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식기부재(110)는,
    상기 식기본체(111)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전면손잡이부(114)와, 상기 식기본체(111)의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후면손잡이부(123);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손잡이부(114)는 상기 식기본체(111)의 중앙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 전면손잡이(115)와, 상기 식기본체(111)의 중앙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 전면손잡이(116)와, 상기 제1 전면손잡이(115)와 상기 제2 전면손잡이(116) 사이에 상기 식기본체(111)의 내측으로 요입되게 형성되는 내입홈부(117)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면손잡이부(123)는 상기 식기본체(111)의 중앙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1 후면손잡이(124)와, 상기 식기본체(111)의 중앙 타측에 일체로 형성되는 제2 후면손잡이(125)와, 상기 제1 후면손잡이(124)와 상기 제2 후면손잡이(125) 사이에 상기 수저부재(150)의 상부 일측을 끼워 세운 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끼움홈부(126)로 이루어지며,
    상기 흡착받침부재(130)는,
    상기 식기본체(111)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식기흡착유닛(131);
    상기 식기흡착유닛(131)에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연장흡착유닛(135);
    수저부(153)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세워진 상태로 상기 끼움홈부(126)에 끼워진 상기 수저부재(150)의 하단을 안치시킬 수 있도록 상기 연장흡착유닛(135)의 상면에 형성되는 수저안치부(138);를 포함하며,
    상기 식기흡착유닛(131)은,
    상기 식기본체(111)의 하측에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흡착본체(132);
    상기 흡착본체(132)의 변형에 의해 상기 식기본체(111)가 바닥면에 흡착될 수 있게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흡착면(133);
    상기 흡착본체(132)에서 상기 수저안치부(138) 사이에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흡착유닛(135);
    상기 흡착면(133)에서부터 상기 수저안치부(138)에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흡착면(136);을 포함하며,
    상기 수저안치부(138)는,
    상기 연장흡착유닛(135)과 일체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연장흡착유닛(135)의 상면에 상기 수저부재(150)의 하단이 안착되게 요입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저안치홈부(139);
    상기 수저부재(150)가 안정적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저안치홈부(139)의 외측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수저안치돌기(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식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210003809U 2021-12-14 2021-12-14 유아용 식기 KR2004962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809U KR200496299Y1 (ko) 2021-12-14 2021-12-14 유아용 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809U KR200496299Y1 (ko) 2021-12-14 2021-12-14 유아용 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6299Y1 true KR200496299Y1 (ko) 2022-12-23

Family

ID=84535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809U KR200496299Y1 (ko) 2021-12-14 2021-12-14 유아용 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2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812Y1 (ko) 2021-06-25 2021-12-31 (주)지엘텍 Led 조명등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1022Y1 (ko) * 1980-07-02 1981-09-08 송일성 설탕그릇
CN201929270U (zh) * 2011-01-04 2011-08-17 郭虹 一种多功能杯子
KR20120038858A (ko) 2010-10-14 2012-04-24 오지선 유아용 식기
KR101344844B1 (ko) 2012-06-15 2013-12-26 주식회사 아이엔피 유아용 식기
KR20150097079A (ko) * 2014-02-18 2015-08-26 류수환 유아용 식판
KR200486233Y1 (ko) 2017-08-04 2018-04-19 함문식 유아용 식기
KR20190134206A (ko) * 2018-05-25 2019-12-04 주식회사 소셜빈 흡착식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10001022Y1 (ko) * 1980-07-02 1981-09-08 송일성 설탕그릇
KR20120038858A (ko) 2010-10-14 2012-04-24 오지선 유아용 식기
CN201929270U (zh) * 2011-01-04 2011-08-17 郭虹 一种多功能杯子
KR101344844B1 (ko) 2012-06-15 2013-12-26 주식회사 아이엔피 유아용 식기
KR20150097079A (ko) * 2014-02-18 2015-08-26 류수환 유아용 식판
KR200486233Y1 (ko) 2017-08-04 2018-04-19 함문식 유아용 식기
KR20190134206A (ko) * 2018-05-25 2019-12-04 주식회사 소셜빈 흡착식판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디자인공보 제30-1014228호(2019.07.10.)*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4812Y1 (ko) 2021-06-25 2021-12-31 (주)지엘텍 Led 조명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7263B1 (en) Easy use utensil
US6279233B1 (en) Self contained feeding spoon
US8231089B2 (en) Suction plate or bowl holder
US20150090726A1 (en) Assisted eating aid
KR200496299Y1 (ko) 유아용 식기
CA2856526A1 (en) Post on eating utensil
KR20120038858A (ko) 유아용 식기
KR20090012973U (ko) 식판
KR101926653B1 (ko) 숟젓가락
US20130160298A1 (en) Easy Use Utensil
KR200486233Y1 (ko) 유아용 식기
KR101344844B1 (ko) 유아용 식기
KR101908849B1 (ko) 흡착패드를 구비한 유아용 식판
JP5078292B2 (ja) 安定自助食器
JP3236253U (ja) 食器具
KR20180000188U (ko) 숟가락
WO2015178395A1 (ja) 食器
KR200497505Y1 (ko) 젓가락
KR101210386B1 (ko) 이유식 스푼
AU2015255653B2 (en) Spoon head device for use with chopsticks
KR101908860B1 (ko) 착탈 손잡이가 구비된 그릇
KR200484348Y1 (ko) 위생성과 사용편의성을 겸비한 다용도 취식도구
KR20220029918A (ko) 음식물 수납용기가 복수개 형성되는 유아용 식판
KR20220003022U (ko) 수저세트를 포함하는 유아동용 실리콘 식판
US20160324346A1 (en) Spoon Head Device for Use with Chopstic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