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4206A - 흡착식판 - Google Patents

흡착식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4206A
KR20190134206A KR1020180059557A KR20180059557A KR20190134206A KR 20190134206 A KR20190134206 A KR 20190134206A KR 1020180059557 A KR1020180059557 A KR 1020180059557A KR 20180059557 A KR20180059557 A KR 20180059557A KR 20190134206 A KR20190134206 A KR 20190134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separation
unit
space area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1311B1 (ko
Inventor
김학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소셜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소셜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소셜빈
Priority to KR1020180059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311B1/ko
Publication of KR20190134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3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3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47G19/06Plates with integral holders for spoons, glasse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흡착식판에 관한 것으로, 바닥으로부터 분리가 간편한 흡착식판을 제공하기 위하여, 연질재료로 형성된 판상의 매트부와, 매트부의 상면에 매트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식품을 수용하는 용기부와, 용기부와 매트부의 테두리 사이에 상면으로 돌출한 분리손잡이부를 가지며, 분리손잡이부는 가운데의 공간영역을 갖는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돌기부나 가운데 공간영역을 갖는 통형상체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리고, 공간영역에는 매트부를 상하 관통하는 절개부와 관통공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매트부와 바닥과의 진공이 효과적으로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흡착식판{FOOD TRAY}
본 발명은 흡착식판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부와 매트부가 일체로 성형되어, 매트부와 바닥과의 진공으로 용기부의 이탈을 방지하는 흡착을 이용한 식판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타입의 식판은 매트의 모서리부분부터 진공을 해제하여 식판 전체를 바닥으로부터 분리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은 얇은 매트의 모서리부분를 파지해야 하기 때문에 분리동작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분리가 간편한 흡착식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흡착식판에 있어서, 연질재료로 형성된 판상의 매트부와, 상기 매트부의 상면에 상기 매트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식품을 수용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와 상기 매트부의 테두리 사이에 상면으로 돌출한 분리손잡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판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분리손잡이부는 가운데의 공간영역을 갖는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돌기부로 형성되는 것이 분리손잡이부를 파지하기 용이하여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돌기부는 상단 영역에 상호 대향하여 융기 형성되어 사이에 거치된 스푼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를 가지게 하여 스푼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손잡이부는 가운데의 공간영역을 갖는 통형상체로 이루어지게 하여 분리손잡이의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간영역에는 상기 매트부를 상하 관통하는 절개부와 관통공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매트부와 바닥과의 진공이 효과적으로 파괴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착식판은 분리가 간편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착식판의 측단면도,
도 2는 돌기부로 구성된 분리손잡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확대단면도,
도 3은 관통공을 가진 분리손잡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확대단면도,
도 4는 통형상체의 분리손잡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확대단면도,
도 5는 캡부재를 가지는 분리손잡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확대단면도,
도 6은 거치부를 갖는 분리손잡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흡착식판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착식판의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돌기부(310)로 구성된 분리손잡이부(300)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확대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흡착식판은 연질재료로 형성된 판상의 매트부(100)와, 매트부(100)의 상면(110)에 매트부(1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식품을 수용하는 용기부(200)와, 용기부(200)와 매트부(100)의 테두리 사이에 상면(110)으로 돌출된 분리손잡이부(300)를 갖는다.
흡착식판은 연질의 소재를 이용하여 매트부(100)와 용기부(200)를 일체 성형하여 만들어진다. 매트부(100)는 판상으로 넓은 면적을 가지게 형성되고, 용기부(200)는 매트부(100)의 상면(110)에 일체로 성형된다. 용기부(200)는 음식물과 같은 식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210)을 가지며, 수용공간(210)은 벽체로 인해 형성된다. 즉, 매트의 상면(110)으로부터 벽체가 수용공간(210)을 가진 채 돌출되는 형태로 성형된다.
이러한 흡착식판은 매트부(100)의 하면(120)이 바닥에 접촉하여 고정되는데, 이때, 매트부(100)의 하면(120)과 바닥이 서로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매트부(100)가 바닥으로부터 이탈되려 할 때는 매트부(100)의 중심영역과 바닥부 사이에 진공이 형성되어 이탈이 방지된다. 즉, 용기부(200)를 파지하여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당기게 되면 매트부(100)의 하면(120)과 바닥과의 사이공간에 진공이 형성되어 흡착식판이 바닥으로부터 이탈이 방지된다.
이러한 흡착식판을 바닥으로부터 분리하게 위해서는 매트부(100)의 테두리부(130)를 파지하여 바닥으로부터 분리한 후 흡착식판을 위로 들어올려 바닥으로부터 이탈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이탈과정은 매트부(100)의 테두리부(130)와 바닥사이에 손가락을 넣어 매트부(100)를 파지해야 하므로, 손가락이 바닥에 닿아 불편하고 엷은 매트부를 파지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탈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매트부(100)의 테두리부(130)가 마모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흡착식판은 매트부(100)가 바닥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도록 하기 위해 용기부(200)와 매트부(100)의 테두리 사이에 상면(110)으로 돌출된 분리손잡이부(300)를 갖는다. 분리손잡이부(300)는 적어도 매트부(10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거나, 매트부(100)보다 경질의 재질을 가지거나 또는 내부에 보강부재가 삽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분리손잡이부(3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 공간영역(320)을 갖는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돌기부(310)를 가진다. 한 쌍의 돌기부(310) 사이의 간격은 양 돌기부(310)의 끝단을 손가락으로 파지하기 용이한 정도의 거리이며, 이 간격으로 인해 공간영역(320)이 형성된다.
공간영역(320)으로 인해 상단의 돌기부(310)는 손으로 파지하였을 때 하단의 돌기부(310)보다 상호 간에 간격이 좁아지게 되며, 하단의 돌기부(310)와 연결된 매트부(100)는 간격이 좁아지는 상단의 돌기부(310)들이 상호 근접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으며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하단의 돌기부(310)와 연결된 매트부(100)는 바닥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며, 특히 매트부(100)의 테두리부(130)에 근접한 영역은 바닥과 이탈되며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열리게 되어 바닥과의 진공이 깨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구성과 분리과정에 의해 매트부(100)와 바닥과의 진공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어 흡착식판을 바닥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착식판은 스푼(10), 포크, 젓가락과 같은 악세서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분리손잡이부(300)에 이러한 악세서리들을 거치할 수 있다.
도 2는 악세서리들 중 스푼(10)을 예로 들어 표현하고 있으며,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스푼(10)의 손잡이를 한 쌍의 돌기부(310) 사이에 끼워 거치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돌기부(310)는 상단 영역에 서로 대향하여 융기 형성되어 사이에 거치된 스푼(10)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312)를 가질 수 있다. 걸림부(312)는 분리손잡이부(300)의 상단에서 공간영역(320)을 형성하는 내측방향으로 융기하여 형성되며, 스푼(10)과 같은 악세서리들이 위에서 아래로 눌려지며 분리손잡이부(300)에 거치될 때 압축되고, 거치된 후 다시 원상태로 복원 되도록 형성된다.
도 3은 관통공(102)을 가진 분리손잡이부(300)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흡착식판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식판이 분리손잡이부(300)로 인해 바닥으로부터 이탈될 때 이탈을 보다 용이하게 하도록 공간영역(320)에 매트부(100)를 상하 관통하는 절개부(101)와 관통공(102)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공간영역(3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돌기부(310) 사이와 매트부(100)의 상면(110)으로 인해 형성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돌기부(310) 사이에서만 형성되도록 하방의 매트부(100)가 절취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의 공간영역(320)의 경우, 매트부(100)에는 돌기부(310)가 손에 의해 파지되었을 때 매트부(100)를 상하 관통하는 절개부(101)를 가질 수 있다. 절개부(101)는 '1'자 형태나 '+'와 같은 십자 형태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돌기부(310)가 손에 의해 파지되었을 때만 절개부(101)가 벌어져 절개부(101) 사이로 바닥이 노출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절개부(101)는 돌기부(310)를 파지하였을 때 매트부(100)와 바닥과의 진공이 깨지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돌기부(310)를 손으로 파지하는 것으로 매트부(100)의 하면(120)과 바닥간의 진공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흡착식판을 바닥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영역(320)이 한 쌍의 돌기부(310) 사이에서만 형성되도록 공간영역(320)에 해당하는 매트부(100)는 공간영역(320)의 하면(120)에 해당하는 만큼 절취된 관통공(102)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관통공(102)으로 인해 매트부(100)의 상부와 하부는 서로 연결된다. 이러한 관통공(102)을 가지는 공간영역(320)으로 인해 공간영역(320)이나 분리손잡이부(300)와 인접한 매트부(100)는 사용자가 돌기부(310)를 파지하는 것으로 인해 보다 쉽게 바닥과의 진공이 해지된다.
이렇게, 공간영역(320)이 관통공(102)을 가지는 경우에 악세서리부는 관통공(102)에 삽입가능한 플러그부(11)를 가질 수 있다. 플러그부(11)는 악세서리에 부착되거나 악세서리와 일체로 성형되며, 플러그부(11)의 형상은 매트부(100)의 관통공(102)을 메울 수 있는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플러그부(1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푼(10)의 손잡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플러그부(11)를 가지는 스푼(10)은 플러그부(11)가 관통공(102)에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흡착식판에 거치될 수 있다. 또한, 플러그부(11)를 가지는 스푼(10)이 관통공(102)을 메우고 있을 경우 매트부(100)는 바닥과의 진공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흡착식판에 음식을 담는 식사준비과정에서 흡착식판과 바닥과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스푼(10)을 흡착식판으로부터 이탈시켜 식사를 한 후에는 흡착식판을 바닥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는 통형상체의 분리손잡이부(400)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확대단면도이고, 도 5는 캡부재(500)를 가지는 분리손잡이부(400)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흡착식판의 분리손잡이부(400)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의 공간영역(420)을 갖는 통형상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형상체의 분리손잡이부(400)는 매트부(100)의 상면(110)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분리손잡이부(400)의 내부에는 원기둥형상의 공간영역(420)이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영역(420)에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매트부(100)를 상하관통하는 절개부(101)나 관통공(102)이 형성될 수 있다.
통형상체의 분리손잡이부(400)는 사용자가 다양한 방향에서 편리하게 파지할 수 있으며, 돌기부(310)를 가지는 분리손잡이부(300)에 비해 사용에 따른 마모가 작아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푼(10)과 같은 악세서리에는 플러그부(11)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플러그부(11)는 통형상체의 분리손잡이부(400)의 상단에 설치되어 공간영역(420)을 밀폐시키게 된다. 따라서, 흡착식판을 사용하기 전 식사준비 단계에서 공간영역(420)이 밀폐되어 흡착식판과 바닥과의 진공을 효과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식사가 완료된 시점에서는 플러그부(11)가 분리손잡이부(400)로부터 이탈되어 흡착식판이 바닥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이탈된다.
도 5는 통형상체의 분리손잡이부(400)의 상부를 막아 공간영역(420)을 밀폐시키는 캡부재(500)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영역(420)은 관통공(102)이 형성되고, 상부는 캡부재(500)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이러한 캡부재(5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가능하게 결합하거나 일단이 공간영역(420)의 내부와 연결되어 부분적으로 결합 되도록 하여 분실이 방지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일단이 공간영역(420)에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형태의 캡부재(500)의 경우, 사용자가 분리손잡이부(400)를 파지할 때 캡부재(500)와 분리손잡이부(400)의 상단의 결합부위에 틈이 발생하여 이 부분을 통해 하면(120)과 바닥과의 진공에 깨지게 된다. 따라서, 캡부재(500)의 분실염려 없이 흡착식판을 바닥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캡부재(500)는 식사하는 시간을 체크하는 시계장치를 설치하거나, 양념을 보관하는 용기 등을 삽입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착식판은 일단에 분리손잡이부(400)에 끼워지는 고리부(610)를 가지고, 타단이 스푼(10)과 결합되는 연결부(620)를 가지는 고리부재(6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리부재(600)의 고리부(610)는 탄성을 가지는 연질의 재질로 만들어져 분리손잡이부(400)에 끼워질 수 있게 된다.
한편, 통형상체의 분리손잡이부(400)는 상단영역에서 내측으로, 즉, 공간영역 방향으로 융기되어 형성된 걸림부(412)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412)로 인해 플러그부(11) 및 캡부재(500)가 분리손잡이부(300)에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되며,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렇게 플러그부(11)나 캡부재(500)가 분리손잡이부(400)의 상단을 차단하여, 공간영역(420)이 밀폐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분리손잡이부(400)를 파지할 때 분리손잡이부(400)가 수축하여 공간영역(420)의 공기가 매트부(100)와 바닥 사이로 이동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작용에 의해 매트부(100)와 바닥 사이에 접촉이 해지되어 해당 영역의 진공이 쉽게 파괴되므로 보다 용이하게 흡착식판을 바닥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도 6은 거치부(710)를 갖는 분리손잡이부(7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흡착식판의 분리손잡이부(700)는 가운데 공간영역이 매트부(100)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거치부(710)를 가지도록 융기하여 형성된 한 쌍의 돌기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거치부(710)의 중간영역에는 매트부(100)를 상하 관통하는 절개부(101)가 형성될 수 있다.
거치부(710)를 가지는 분리손잡이의 경우 한 쌍의 돌기부를 파지하여 흡착식판의 하면(120)과 바닥과의 진공을 해제할 수 있고, 돌기부의 상단에는 내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걸림부(712)를 가져, 거치부(710)의 오목한 형상에 음식물을 수용하는 스푼(10)을 보다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손잡이부(300, 400, 700)는 상단에서 바깥방향으로 융기하여 형성된 손잡이돌기(311, 411, 711)를 가질 수 있다. 손잡이돌기(311, 411, 711)로 인해 손잡이돌기(311, 411, 711)와 분리손잡이부(300, 400) 하단의 사이 공간을 손으로 파지했을 때 손이 분리손잡이부(300, 400, 700)의 상단을 벗어나는 것이 방지되며, 고리부재(600)의 고리부(610)가 손잡이돌기(411)에 걸려 분리손잡이부(400)의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10 : 스푼 11 : 플러그부
100 : 매트부 101 : 절개부
102 : 관통공 110 : 상면
120 : 하면 130 : 테두리부
200 : 용기부 210 : 수용공간
220 : 벽부 300, 400, 700 : 분리손잡이부
310 : 돌기부 311, 411, 711 : 손잡이돌기
312, 412, 712 : 걸림부 320, 420 : 공간영역
500 : 캡부재 600 : 고리부재
610 : 고리부 620 : 연결부
710 : 거치부

Claims (5)

  1. 흡착식판에 있어서,
    연질재료로 형성된 판상의 매트부와,
    상기 매트부의 상면에 상기 매트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식품을 수용하는 용기부와,
    상기 용기부와 상기 매트부의 테두리 사이에 상면으로 돌출한 분리손잡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손잡이부는 가운데의 공간영역을 갖는 상호 이격된 한 쌍의 돌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돌기부는 상단 영역에 상호 대향하여 융기 형성되어 사이에 거치된 스푼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손잡이부는 가운데의 공간영역을 갖는 통형상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판.
  5. 제 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영역에는 상기 매트부를 상하 관통하는 절개부와 관통공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착식판.
KR1020180059557A 2018-05-25 2018-05-25 흡착식판 KR1021313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557A KR102131311B1 (ko) 2018-05-25 2018-05-25 흡착식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557A KR102131311B1 (ko) 2018-05-25 2018-05-25 흡착식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206A true KR20190134206A (ko) 2019-12-04
KR102131311B1 KR102131311B1 (ko) 2020-07-07

Family

ID=69004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557A KR102131311B1 (ko) 2018-05-25 2018-05-25 흡착식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3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299Y1 (ko) * 2021-12-14 2022-12-23 함문식 유아용 식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474B1 (ko) * 2004-11-02 2013-02-05 재켈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그리핑 매트
KR20170016971A (ko) * 2014-07-17 2017-02-14 린제이 로레인 표면 접촉식 자가-실링 통합 식기 및 다이닝 매트
KR20170115364A (ko) * 2016-04-07 2017-10-17 신동문 식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474B1 (ko) * 2004-11-02 2013-02-05 재켈 인터내셔널 리미티드 그리핑 매트
KR20170016971A (ko) * 2014-07-17 2017-02-14 린제이 로레인 표면 접촉식 자가-실링 통합 식기 및 다이닝 매트
KR20170115364A (ko) * 2016-04-07 2017-10-17 신동문 식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299Y1 (ko) * 2021-12-14 2022-12-23 함문식 유아용 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1311B1 (ko)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6555B2 (en) Portable vacuum food storage system
US5887751A (en) Detachable cookware handle
CN105934182A (zh) 食用器具组件和相关方法
US11259991B2 (en) Container gripping aid
JP5625682B2 (ja) 製氷容器
KR102131311B1 (ko) 흡착식판
KR20160044075A (ko) 빨대컵
US20140079851A1 (en) Egg Yolk Separator
JP2006296868A (ja) 手動器具
KR101452153B1 (ko) 주방용 조리기구
RU2396893C2 (ru) Пылесос с элементом расфиксации крышки
KR200491413Y1 (ko) 반출도구 손잡이
KR200483289Y1 (ko) 밀폐형 식품 포장용기
KR101378105B1 (ko) 칼을 수납할 수 있는 도마
JP3068733U (ja) 電池ボックス
KR101584190B1 (ko) 착탈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JPS603804Y2 (ja) 包丁等の鞘
KR101812287B1 (ko) 밀폐용기
JP4564129B2 (ja) ホチキス針除去収集用具
JP3575795B2 (ja) 魚のうろこ落し具
KR200173703Y1 (ko) 고정구와 수납 용기가 분리되는 수납구
KR102342180B1 (ko) 배수구 거름망 집게
JP3188296U (ja) 箸箱
KR200484686Y1 (ko) 음식물의 버무림과 덜어냄이 가능하도록 집게가 구비된용기
KR101147177B1 (ko) 뚜껑의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