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413Y1 - 반출도구 손잡이 - Google Patents

반출도구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413Y1
KR200491413Y1 KR2020180004449U KR20180004449U KR200491413Y1 KR 200491413 Y1 KR200491413 Y1 KR 200491413Y1 KR 2020180004449 U KR2020180004449 U KR 2020180004449U KR 20180004449 U KR20180004449 U KR 20180004449U KR 200491413 Y1 KR200491413 Y1 KR 2004914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ying
tool
handle
stopper
fit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4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용
Original Assignee
이승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용 filed Critical 이승용
Priority to KR20201800044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4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4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4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eating utensils or spatul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출도구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출도구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마개에 돌출 형성된 도입구의 외주면에 끼워 해당 도입구를 밀폐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사이즈의 반출도구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반출도구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반출도구 손잡이{HANDLE FOR CARRING OUT TOOL}
본 고안은 반출도구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출도구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마개에 돌출 형성된 도입구의 외주면에 끼워 해당 도입구를 밀폐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사이즈의 반출도구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반출도구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출도구는 화장품이나 왁스를 덜어내는 용도를 비롯하여 스푼, 포크 및 집게 등과 같은 음식, 식재료, 양념 혹은 차(tea) 등을 저장 용기로부터 반출하는 각종 도구를 의미한다.
특히, 반출도구는 화장품, 왁스, 설탕, 소금, 고추가루, 간장, 분유, 커피 및 프림(cream) 등과 같이 분말(가루), 결정, 입자 및 액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비교적 중량 및 부피가 작은 것들을 저장 용기에서 소량씩 퍼올린다.
한편, 종래의 반출도구는 일 예로 손잡이 역할을 하도록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전방 단부에 구비된 수용부를 포함하며, 이와 같은 반출도구를 저장 용기와 별도로 보관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식당이나 가정에서 조미료나 양념 등을 제공하기 위해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용기는 마개의 테두리 일부분에 구멍을 뚫고, 거기에 스푼 등 반출도구를 끼워 보관한다.
그러나, 이상과 같은 종래기술은 반출도구를 오직 내용물을 반출하는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을 뿐, 저장 용기의 위생성을 높일 수 있도록 밀폐용 캡 역할은 하지 못한다. 따라서, 반출 이외에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하나의 반출도구는 손잡이 역할을 하는 본체 및 그 전방 단부의 수용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경우 오직 한가지 목적, 형상 및 사이즈로 이루어진 수용부를 제공할 수 있을 뿐 그 외 다른 것으로 교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77480호 한국등록특허 제10-1658305호 한국등록특허 제10-1718248호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반출도구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마개에 돌출 형성된 도입구의 외주면에 끼워 해당 도입구를 밀폐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사이즈의 반출도구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반출도구 손잡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반출도구 손잡이는 용기에 수용된 내용물을 반출하는 반출도구가 장착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쥐는 손잡이 몸체와; 상기 손잡이 몸체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일정 깊이 후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를 덮는 마개에 끼워지는 마개 끼움홈; 및 상기 마개 끼움홈 내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후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마개 끼움홈보다 단면적의 크기가 작으며, 상기 반출도구의 후방측 단부가 삽입 조립되는 반출도구 조립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 몸체는 상기 용기의 상단 개구부를 덮는 마개에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마개의 내부에는 상기 반출도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개의 일측에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반출도구가 도입될 수 있는 도입구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마개 끼움홈은 상기 도입구의 단부 외주면에 끼워지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 몸체는 상기 마개 끼움홈을 늘려 상기 마개의 도입구에 덮어 씌워 끼우도록 연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 몸체의 외표면에 형성된 그립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그립부는 상기 손잡이 몸체의 외표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형성된 요홈으로 구성되되, 상기 마개 끼움홈의 후방측 단부부터 상기 반출도구 조립홈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응하는 부분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출도구 조립홈은 상기 마개 끼움홈의 바닥면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다단으로 형성되되, 다단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반출도구 조립홈들은 후방측에 위치한 것일수록 단면적의 크기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반출도구가 끼워지도록 마개의 일측으로 돌출된 도입구에 손잡이를 씌워 반출도구를 거치하면서도 용기의 밀폐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반출도구 손잡이가 도입구에 조립 및 지지되므로 반출도구를 마개 내부의 수용공간에 보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다단으로 형성된 반출도구 조립홈에 의해 다양한 사이즈나 목적의 반출도구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반출도구 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반출도구 손잡이를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반출도구 손잡이의 마개 끼움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반출도구 손잡이의 절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반출도구 손잡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반출도구 손잡이에 선택적으로 장착되는 반출도구들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반출도구 손잡이가 적용되는 용기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상기 도 7의 동작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반출도구 손잡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반출도구 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반출도구 손잡이를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반출도구 손잡이(10)는 손잡이 몸체(11)와, 마개 끼움홈(12) 및 반출도구 조립홈(13)을 포함한다. 나아가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써 그립부(14)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반출도구(도 7의 'S' 참조)가 장착되는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반출도구(S)는 아래의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대표적으로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사용되는 스푼, 포크, 집게 및 블레이드 등과 같이 화장품, 왁스, 음식, 식재료, 양념, 차(tea) 등을 용기로부터 반출하는 각종 도구를 의미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고안이 적용되는 반출도구(S)는 일 예로 화장품이나 왁스를 비롯하여 설탕, 소금, 고추가루, 들께 가루, 간장, 분유, 커피 및 프림(cream) 등과 같이 분말(가루), 결정, 입자 및 액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비교적 중량 및 부피가 작은 것들을 저장 용기에서 소량씩 퍼올리는 것에 적용된다.
이와 같은 반출도구(S)는 통상적으로 스푼과 같이 막대 형상의 본체 및 전방 단부의 수용부를 포함한다. 특히, 본 고안은 종래의 본체와는 구분되는 것으로, 종래에는 본체가 손잡이 역할을 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본체가 끼워지는 별도의 손잡이에 해당한다.
이때, 본 고안은 반출도구(S)가 끼워지도록 마개의 일측으로 돌출된 도입구에 손잡이를 씌워 반출도구(S)를 거치하면서도 용기의 밀폐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용기 손잡이가 도입구에 조립 및 지지된 상태에서 반출도구(S)를 용기 마개 내부의 수용공간에 보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손잡이 내부에 다단으로 형성된 반출도구 조립홈(13)에 의해 다양한 반출도구(S)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상기한 손잡이 몸체(11)는 사용자가 손으로 쥐는 부분으로, 손잡이 몸체(11)에는 상술한 스푼 등의 반출도구(S)가 장착되며, 상기 장착된 반출도구(S)는 전방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다.
일 예로 손잡이 몸체(11)는 길이가 긴 육면체 형상에 모서리 부분을 라운딩 처리한 것이 적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원형이나 타원형을 비롯하여 여러가지 다각 형상의 몸체도 적용 가능하다.
손잡이 몸체(11)는 플라스틱과 같이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연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손잡이 몸체(11)가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손잡이 몸체(11)와 마개(20)의 도입구(21a, 22a) 형상이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형상 맞춤 방식으로 삽입 결합된다. 한편, 손잡이 몸체(11)가 연성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손잡이 몸체(11)의 전방 단부에 구비된 마개 끼움홈(12)을 늘려 마개(20)의 도입구(21a, 22a)에 덮어 씌워 끼우고 이를 통해 도입구(21a, 22a)의 개구를 밀폐할 수 있다. 연성 재질은 실리콘이나 고무 재질 등이 대표적이나 위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서라면 그 외 다른 재질로도 제작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손잡이 및 반출도구(S)를 조립 보관하고, 도입구(21a, 22a)의 개구부를 용기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단하여 위생적인 용기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다음, 마개 끼움홈(12)은 저장 용기의 상측 개구를 덮는 마개(20)에 조립되는 부분으로, 더욱 정확히는 마개(20)의 일측에 돌출된 도입구(21a, 22a)에 끼워지도록 손잡이 몸체(11)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일정 깊이 후방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개(20)의 내부에는 반출도구(S)가 보관되는 수용공간(23)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수용공간(23) 내부로 반출도구(S)가 도입될 수 있는 도입구(21a, 22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마개 끼움홈(12)은 이러한 도입구(21a, 22a)의 단부 외주면에 끼워진다.
도 3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마개 끼움홈(12)은 그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진 일정 깊이의 홈을 파서 형성된다. 손잡이 몸체(11)는 실리콘이나 고무 등의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도입구(21a, 22a)와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그러나, 마개 끼움홈(12)이 도입구(21a, 22a)에 밀착되는 효과를 높이기 위해 도입구(21a, 22a)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이유로 도입구(21a, 22a)의 형상에 따라 마개 끼움홈(12)의 형상 역시 변형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다음, 반출도구 조립홈(13)은 반출도구(S)가 조립되는 부분으로 더욱 정확히는 본체 및 수용부로 이루어진 반출도구 중 막대 형상의 본체 후방부가 본 고안의 손잡이 몸체(11) 내부로 삽입된 후 조립된다.
이를 위해 반출도구 조립홈(13)은 마개 끼움홈(12) 내의 바닥면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일정 깊이 형성되되, 마개 끼움홈(12)보다 단면적이 작아서 마개 끼움홈(12)을 통과한 반출도구(S)의 본체 후방부가 끼워진다.
반출도구 조립홈(13)의 단면 형상 및 깊이는 해당 반출도구(S)(정확히는 본체)의 형상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손잡이 몸체(11)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어느 정도 오차가 있어도 탄성 확장 및 압축을 통해 견고한 조립이 가능하다.
특히, 본 고안은 종래기술과 차별적으로 하나의 손잡이 몸체(11)에 서로 다른 목적(예: 스푼/포크/집게/블레이드), 형상 및 크기로 구성된 반출도구(S)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분유 용기에 돌출된 도입구에도 본 고안의 마개(20)를 적용하고 그에 동봉된 다양한 분유 스푼들을 체결할 수도 있는데, 이때 분유 회사마다 각각 모양과 길이가 다른 스푼을 제공하더라도 어느 것이나 손잡이(10)에 범용으로 끼워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반출도구 조립홈(13)은 마개 끼움홈(12)의 바닥면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다단으로 형성되되, 다단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반출도구 조립홈(13)들은 후방측에 위치한 것일수록 단면적의 크기가 작게 구성된다.
일 예로, 도 4와 같이 반출도구 조립홈(13)은 2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방측의 1단 조립홈(13-1)과 후방측의 2단 조립홈(13-2)은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이들 2단의 조립홈에 서로 다른 반출도구(S)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도 6의 (a) 내지 (c)는 본 고안의 반출도구 손잡이(10)에 구비된 2단의 반출도구 조립홈(13)에 서로 다른 3개의 반출도구가 장착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일 예로 2단의 반출도구(S)에 서로 다른 3개의 스푼(S1 내지 S3)을 선택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 몸체(11)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반출도구(S)의 본체 크기나 형상과 그에 대응하는 반출도구 조립홈(13)의 크기나 형상 사이에 오차 범위 이내의 차이가 있어도 각각의 단(S1/S2)에 서로 다른 반출도구(S)를 장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이상에서는 반출도구 조립홈(13)이 2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로 들었으나, 본 고안은 2단을 초과하는 다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에 적합한 손잡이 몸체(11)의 길이를 고려하면 3단이나 4단의 반출도구 조립홈(13)도 적용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 5와 같이 그립부(14)는 손잡이 몸체(11)의 표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는 일정 깊이로 형성된 그립부(14)를 잡고 미끄러짐 없이 편리하게 스푼 등의 반출도구(S)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그립부(14)는 손잡이 몸체(11)의 외표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형성된 요홈으로 구성되되, 마개 끼움홈(12)의 후방측 단부부터 반출도구 조립홈(13)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응하는 부분까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반출도구(S) 사용시 그립부(14)를 잡고 살짝 누르면 손잡이 몸체(11)가 연성 재질로 이루어서 그 내측에 삽입 조립된 반출도구(S)의 본체를 잡을 수 있어서 반출도구(S)를 견고하게 붙든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그립부(14)는 그립부(14)가 시작되는 전방측 경계부터 후방측을 따라 완만한 슬로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이 부분을 누르면 마개 끼움홈(12)이 변형(예: 확장 등)되면서 마개(20)의 도입구(21a, 22a)에 더욱 쉽게 끼울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반출도구 손잡이의 적용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반출도구 손잡이(10)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C)의 상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개(20)에 설치된다. 마개(20)는 용기에 결합되는 마개 본체(21) 및 그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마개 뚜껑(22)으로 구성된다.
이때, 마개 본체(21)와 마개 뚜껑(22) 사이의 내측 공간에는 스푼 등의 반출도구(S)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3)이 구비되며, 마개 본체(21)의 바닥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될 수 있지만 폐쇄되어 있을 수도 있다. 폐쇄된 경우에는 마개(20) 전체를 열고 사용해야 한다.
또한, 마개 본체(21)에는 제1 도입구(21a)가 구비되고, 마개 뚜껑(22)에는 제2 도입구(22a)가 구비된다. 제1 도입구(21a)와 제2 도입구(22a)는 각각 반부(half part) 통로가 구비되어 상하 한 쌍이 반출도구(S)가 도입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마개 본체(21)의 하부에 추가로 구비된 용기 연결부(24)는 일 예로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용기(C)와의 연결에 이용된다. 다만, 마개 본체(21)는 용기 연결부(24)를 통하지 않고 다양한 구조로 직접 용기(C)에 탈부착 혹은 일체로 고정될 수 있다.
도 8의 (a)와 같이 마개 뚜껑(22)을 닫으면 제1 도입구(21a)가 하강하여 제2 도입구(22a)에 맞닿게 되고, 제1 도입구(21a) 및 제2 도입구(22a)로 구성된 도입구(21a, 22a)에는 반출도구(S)의 본체가 위치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고안의 반출도구 손잡이(10)를 전방측으로 밀면 손잡이 몸체(11)의 마개 끼움홈(12)이 도입구(21a, 22a)의 외측 단부를 덮게 된다. 손잡이 몸체(11)가 연성재질인 경우에는 이를 약간 벌려 끼울수도 있고, 그 후 탄성 압축된 마개 끼움홈(12)에 의해 도입구(21a, 22a)에 완전 밀착된다.
도 8의 (b)와 같이, 용기(C)에 담긴 내용물을 반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본 고안의 반출도구 손잡이(10)를 잡아당겨 도입구(21a, 22a)로부터 이탈시켜 잠금을 해제한 후, 도 8의 (c)와 같이 마개 뚜껑(22)을 상측으로 회동시켜 열고 반출도구(S)로 화장품이나 음식물 등의 내용물을 반출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도입구(21a, 22a)를 막아 용기(C)를 완전 밀폐하므로 습기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반출도구(S)를 마개(20) 내에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반출도구(S1/S2/S3)를 바꿔가며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반출도구 손잡이
11: 손잡이 몸체
12: 마개 끼움홈
13: 반출도구 조립홈
13-1: 1단 조립홈
13-2: 2단 조립홈
14: 그립부
20: 마개
21: 마개 본체
21a: 제1 도입구
22: 마개 뚜껑
22a: 제2 도입구
23: 수용공간
24: 용기 연결부
S: 반출도구(스푼)
C: 용기

Claims (5)

  1. 용기(C)에 수용된 내용물을 반출하는 반출도구(S)가 장착되는 반출도구 손잡이에 있어서,
    사용자가 손으로 쥐는 손잡이 몸체(11)와;
    상기 손잡이 몸체(11)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일정 깊이 후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기(C)를 덮는 마개(20)의 일측에 형성되어 내부로 반출도구(S)가 도입될 수 있도록 돌출된 도입구(21a, 22a)의 단부 외주면에 끼워지는 마개 끼움홈(12); 및
    상기 마개 끼움홈(12) 내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후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마개 끼움홈(12)보다 단면적의 크기가 작으며, 상기 반출도구(S)의 후방측 단부가 삽입 조립되는 반출도구 조립홈(13)을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 몸체(11)는 상기 마개 끼움홈(12)을 늘려 상기 마개(20)의 도입구(21a, 22a)에 덮어 씌워 끼우도록 연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출도구 손잡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몸체(11)의 외표면에 형성된 그립부(14)를 더 포함하되,
    상기 그립부(14)는,
    상기 손잡이 몸체(11)의 외표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형성된 요홈으로 구성되며, 상기 마개 끼움홈(12)의 후방측 단부부터 상기 반출도구 조립홈(13)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응하는 부분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출도구 손잡이.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도구 조립홈(13)은,
    상기 마개 끼움홈(12)의 바닥면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다단으로 형성되되,
    다단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반출도구 조립홈(13-1, 13-2)들은 후방측에 위치한 것일수록 단면적의 크기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출도구 손잡이.
KR2020180004449U 2018-09-27 2018-09-27 반출도구 손잡이 KR2004914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449U KR200491413Y1 (ko) 2018-09-27 2018-09-27 반출도구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449U KR200491413Y1 (ko) 2018-09-27 2018-09-27 반출도구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413Y1 true KR200491413Y1 (ko) 2020-04-03

Family

ID=70224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449U KR200491413Y1 (ko) 2018-09-27 2018-09-27 반출도구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41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3055U (ja) * 2008-03-03 2008-07-10 レアック・ジャパン株式会社 携帯用のカトラリーセットおよびその容器
KR101077480B1 (ko) 2011-05-20 2011-10-27 이승용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
KR101658305B1 (ko) 2015-02-09 2016-09-20 이동훈 식사도구의 거치가 가능한 일회용컵 뚜껑
KR101718248B1 (ko) 2015-12-17 2017-03-20 이경록 스푼이 구비된 테이크아웃 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3055U (ja) * 2008-03-03 2008-07-10 レアック・ジャパン株式会社 携帯用のカトラリーセットおよびその容器
KR101077480B1 (ko) 2011-05-20 2011-10-27 이승용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
KR101658305B1 (ko) 2015-02-09 2016-09-20 이동훈 식사도구의 거치가 가능한 일회용컵 뚜껑
KR101718248B1 (ko) 2015-12-17 2017-03-20 이경록 스푼이 구비된 테이크아웃 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1012603S1 (en) Container lid with handle
USD526481S1 (en) Container
USD506608S1 (en) Container
ATE303745T1 (de) Entfernbarer tragegriff für einen kochbehälter mit zwei handgriffen
USD882346S1 (en) Container
KR101077480B1 (ko)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
KR200491413Y1 (ko) 반출도구 손잡이
US4377035A (en) Cultry place setting
US20110198246A1 (en) Stackable snack food items, system and method for stacking and transporting same
KR101949516B1 (ko) 반찬국물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구획판이 구비되는 스테인레스 도시락 용기
KR101636752B1 (ko) 일회용 도시락 용기
KR100740260B1 (ko) 스푼을 일체형으로 설치한 식품 보관용기
KR102096907B1 (ko) 손잡이가 조립되는 마개
KR102131311B1 (ko) 흡착식판
KR200439424Y1 (ko) 아이스크림 용기
KR101658305B1 (ko) 식사도구의 거치가 가능한 일회용컵 뚜껑
CN206630170U (zh) 一种密封餐盒
KR101803367B1 (ko) 포장용 상자
JP3202018U (ja) 食品収容容器
KR200458714Y1 (ko) 식품 저장용기
FR2733309A3 (fr) Appareil electromenager, en particulier un appareil de refrigeration, comportant un element de support, tel qu'un recipient alimentaire, des bouteilles ou equivalent, relies magnetiquement au dit appareil
US20120305439A1 (en) FOOD CONTAINER WITH cutlery
KR200484686Y1 (ko) 음식물의 버무림과 덜어냄이 가능하도록 집게가 구비된용기
KR102033308B1 (ko) 수용부가 구비된 경사진 덮개
KR200357943Y1 (ko) 음식용구 수납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