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6907B1 - 손잡이가 조립되는 마개 - Google Patents

손잡이가 조립되는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6907B1
KR102096907B1 KR1020180114908A KR20180114908A KR102096907B1 KR 102096907 B1 KR102096907 B1 KR 102096907B1 KR 1020180114908 A KR1020180114908 A KR 1020180114908A KR 20180114908 A KR20180114908 A KR 20180114908A KR 102096907 B1 KR102096907 B1 KR 102096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inlet
handle
tool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4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용
Original Assignee
이승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용 filed Critical 이승용
Priority to KR1020180114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9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means for facilitating lifting or suspending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가 조립되는 마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출도구와 마개가 함께 제공되되, 반출도구가 마개의 일측에 돌출된 도입구를 통해 마개 내부의 수용공간에 보관되고, 반출도구의 손잡이로 상기 도입구를 밀폐할 수 있는 손잡이가 조립되는 마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손잡이가 조립되는 마개{BOTTLE CAP WITH HANDLE ASSEMBLED INTO THE CAP}
본 발명은 손잡이가 조립되는 마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출도구와 마개가 함께 제공되되, 반출도구가 마개의 일측에 돌출된 도입구를 통해 마개 내부의 수용공간에 보관되고, 반출도구의 손잡이로 상기 도입구를 밀폐할 수 있으며, 다양한 사이즈의 반출도구를 손잡이에 체결할 수 있는 손잡이가 조립되는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는 그 내부에 내용물이 수용되고 개구부를 마개로 밀폐하도록 구성되었다. 따라서, 용기 내의 내용물을 뜨거나 집어올려 반출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스푼, 포크, 집게 및 블레이드 등과 같은 반출도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용기 내의 내용물을 반출시키기 위한 별도의 반출도구가 없는 경우에는 내용물의 반출이 어렵다. 이에 최근에는 마개 옆에 구명을 뚫고 스푼 등의 반출도구를 꽂아 보관하기도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경우는 용기에 보관된 내용물이 화장품, 식재료나 음식 특히 각종 양념류나 분유와 같이 위생이 중시되거나 장시간 보관이 필요한 것임에도 용기의 밀폐가 불가능하여 내용물이 변질되거나 오염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반출도구를 용기 내부에 넣었다 빼서 사용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반출도구 자체의 오염으로 인해, 반출도구와 접촉하는 용기 내용물의 오염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있어서 반출도구를 자주 세척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58305호(등록일: 2016.09.12) 한국등록특허 제10-1718248호(등록일: 2017.03.14)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반출도구와 마개가 함께 제공되되, 반출도구가 마개의 일측에 돌출된 도입구를 통해 마개 내부의 수용공간에 보관되고, 반출도구의 손잡이로 상기 도입구를 밀폐할 수 있으며, 다양한 사이즈의 반출도구를 손잡이에 체결할 수 있는 손잡이가 조립되는 마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조립되는 마개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에 결합되는 마개본체와; 상기 마개본체를 덮거나 개방하며, 상기 마개본체를 덮을 때 상기 마개본체와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마개덮개와; 상기 마개본체의 일측에 돌출된 제1 도입구와; 상기 마개덮개의 일측에 돌출되며, 상기 제1 도입구가 구비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제2 도입구와; 상기 마개본체를 덮을 때 상기 제1 도입구와 제2 도입구 사이에 형성되며, 일측 단부는 외부에 노출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수용공간까지 연결된 도입 통로와; 내용물 수용부 및 상기 내용물 수용부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된 용구 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내용물 수용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보관되고, 상기 용구 몸체의 전부나 일부는 상기 도입 통로에 위치하는 반출도구; 및 상기 용구 몸체의 후방측 단부에 연결되되, 서로 결합된 상기 제1 도입구 및 제2 도입구의 단부 외주면에 끼워지도록 전방측 단부로부터 일정 깊이 후방으로 마개 끼움홈이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마개덮개는 일단부가 상기 마개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상기 마개덮개를 상측으로 회동시키면 개방되고 하측으로 회동시키면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입 통로는 상기 제1 도입구에 형성되거나, 상기 제2 도입구에 형성되거 혹은 상기 제1 도입구와 제2 도입구에 모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도입구의 하단부와 상기 제2 도입구의 상단부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마개덮개를 마개본체 위에 덮으면 상기 제1 도입구와 제2 도입구가 서로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개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용기의 상단부에 탈부착 가능한 용기 연결부가 구비되며, 상기 마개본체의 하부는 폐쇄 또는 개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개본체는 상기 용기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마개본체의 하부는 개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에 형성된 마개 끼움홈 내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후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마개 끼움홈보다 단면적의 크기가 작으며, 상기 용구 몸체의 후방측 단부가 삽입 조립되는 용구 조립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구 조립홈은 상기 마개 끼움홈의 바닥면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다단으로 형성되되, 다단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용구 조립홈들은 후방측에 위치한 것일수록 단면적의 크기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의 외표면에 형성된 그립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그립부는 상기 손잡이의 외표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형성된 요홈으로 구성되며, 상기 마개 끼움홈의 후방측 단부부터 상기 용구 조립홈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응하는 부분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는 상기 마개 끼움홈을 늘려 상기 제1 도입구 및 제2 도입구에 덮어 씌워 끼우도록 연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반출도구와 마개가 함께 제공되고, 이때 반출도구가 마개의 일측에 돌출된 도입구를 통해 마개 내부의 수용공간에 보관된다. 나아가 반출도구에 연결된 손잡이로 상기 도입구를 밀폐하며, 손잡이에 다양한 반출도구를 끼울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스푼과 같은 반출도구의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하고, 반출도구 자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용기 내용물이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단되므로 위생적이면서도 장시간 보관을 가능하게 한다. 나아가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반출도구를 선택하여 손잡이에 장착 및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조립되는 마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손잡이가 마개의 도입구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마개 도입구의 개구 패턴을 나타낸 여러 실시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마개가 용기에 일체로 결합된 타입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마개가 용기에 탈부착 되는 타입을 나타낸 실시예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마개가 용기에 일체로 결합된 타입을 나타낸 다른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손잡이를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손잡이 내부 홈들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손잡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손잡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손잡이에 탈부착 가능한 다양한 음식용기를 나타낸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조립되는 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조립되는 마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가 조립되는 마개(100)는 마개본체(110), 마개덮개(120), 제1 도입구(130), 제2 도입구(140), 도입 통로(131, 141)와, 반출도구(150) 및 손잡이(160)를 포함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용기(C)와 마개(110, 120)의 연결을 위한 용기 연결부(17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마개본체(110)는 용기(C)의 개구에 연결되고, 마개덮개(120)는 마개본체(110)의 개구부를 덮어 막거나 혹은 개방한다. 제1 도입구(130)는 마개본체(110)에 구비되고, 제2 도입구(140)는 마개덮개(120)에 구비된다.
또한, 스푼(spoon) 등과 같은 반출도구(150)는 그 일측에 연결된 손잡이(160)와 함께 용기(C)에 수용된 내용물을 푸거나 집는 용도로 사용되며, 용기(C)의 마개(110, 120) 역할을 하는 마개본체(110)와 마개덮개(120)에 보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반출도구(150)와 마개(110, 120)가 함께 제공된다. 특히 반출도구(150)가 마개본체(110)와 마개덮개(120) 사이에 구비된 수용공간(111, 121) 내에 보관되고, 반출도구(150)가 끼워져 도입되는 제1 도입구(130) 및 제2 도입구(140)에 손잡이(160)를 끼워 밀폐한다.
따라서 반출도구(150)의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하고, 반출도구(150) 자체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용기(C) 내의 내용물이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단되므로 위생적이면서도 장시간 보관을 가능하게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마개본체(110)는 마개(110, 120)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용기(C)에 결합된다. 통상적으로 용기(C)는 상측에 개구가 구비되지만 측부에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용기(C)의 내부에는 내용물이 수용된다. 내용물은 화장품, 왁스, 음식, 식재료, 양념, 차(tea) 등과 같이 용기(C)에 수용가능한 모든 것을 포함한다. 예컨대, 용기(C)에는 화장품이나 왁스를 비롯하여 설탕, 소금, 고추가루, 간장, 분유, 커피 및 프림(cream) 등과 같이 분말(가루), 결정, 입자 및 액상 등으로 이루어진 내용물이 수용된다.
또한, 용기(C)는 플라스틱, 유리 및 스테인레스 재질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형통이 일반적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그외 다각 형상의 통이나 박스 형상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을 구성하는 마개본체(11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용기(C)에 끼움방식이나 나사결합방식으로 탈부착되거나 혹은 용기(C)와 일체로 제작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나아가, 마개덮개(120)가 결합되는 마개본체(110)의 상부(도면기준)는 개방되어 있다. 반면, 마개덮개(120)의 하부는 용기(C)와의 마개본체(110)의 결합방식에 따라 막히거나 뚫려 있을 수 있다.
마개본체(110)의 하부가 막힌 경우에도 마개덮개(120)와의 사이에 형성된 수용공간(111, 121)에 반출도구(150)를 보관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마개본체(110)를 용기(C)에서 분리한 후 내용물을 반출해야 한다. 반면, 마개본체(110)의 하부가 개방된 경우에는 마개덮개(120)를 열고 바로 내용물을 반출할 수 있다.
다음, 마개덮개(120)는 마개본체(110) 위에 설치되어 마개본체(110)의 개방된 상부를 덮거나 개방하는 것으로 마개덮개(120)는 마개본체(110)에 끼움방식으로 탈부착될 수 있다. 예컨대, 마개덮개(120)의 하단과 마개본체(110)의 상단에는 끼움홈과 끼움돌기가 각각 구비되어 형상 맞춤 방식으로 끼움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경우 사용이 비교적 불편하고 마개덮개(120)의 분실 우려가 있다. 따라서, 마개덮개(120)의 일단부가 마개본체(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마개덮개(120)를 회동 방식으로 여닫을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일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개덮개(120)가 회동하여 열리는 방향으로 후방측에는 힌지(H)가 구비되어 있어서, 마개덮개(120)를 상측으로 회동시키면 개방되고 하측으로 회동시키면 마개본체(110)를 덮게 된다.
나아가 마개덮개(120)가 회동될 수 있게 결합되는 방식에 위와 같은 힌지(H)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마개덮개(120)와 마개본체(110)를 휘어짐이 가능한 플라스틱 연결편이나 접힘용 홈이 형성된 연결편으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마개덮개(120)가 마개본체(110)를 덮을 때 마개본체(110)와의 사이에 수용공간(111, 12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용공간(111, 121)은 스푼 등의 반출도구(150)가 내부에 보관되는 공간을 의미한다.
이때, 수용공간(111, 121)은 일 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마개본체(110)와 마개덮개(120) 전체에 각각 요홈을 형성하여 수용공간(111, 121)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 외 마개본체(110)와 마개덮개(120) 중 어느 하나에 요홈을 형성하거나, 반출도구(150)의 형상에 맞도록 음각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다음, 제1 도입구(130)는 후술하는 제2 도입구(140)와 함께 반출도구(150)를 마개본체(110)와 마개덮개(120) 사이의 수용공간(111, 121)으로 안내하는 도입 통로(131, 141)를 제공하는 것으로, 마개본체(110)에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도입구(130)는 별도로 제작된 후 마개본체(110)에 부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마개본체(110)와 일체로 제작되며, 일 예로 상측을 바라보는 'ㄷ'자 형상으로 성형된다.
제2 도입구(140)는 마개덮개(120)의 일측에 돌출 형성된다. 이때, 제2 도입구(140)는 마개덮개(120)를 닫은 상태를 기준으로 제1 도입구(130)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며, 일 예로 하측을 바라보는 'ㄷ'자 형상으로 성형된다.
나아가, 도입 통로(131, 141)는 마개본체(110)를 덮을 때 제1 도입구(130)와 제2 도입구(140) 사이 즉, 도입구(130, 140) 내에 형성되며, 도입 통로(131, 141)의 일측 단부는 외부에 노출되고 타측 단부는 수용공간(111, 121)까지 연결된다.
따라서, 마개덮개(120)를 열어놓고 하측의 제1 도입구(130) 위에 반출도구(150)를 올려놓아 보관하거나 혹은 제2 도입구(140)에 기대어 보관하고, 마개덮개을 닫은 상태에서는 제1 도입구(130)와 제2 도입구(140) 사이에 반출도구(150)를 끼워 보관한다.
아래에서 다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마개덮개(120)를 닫은 상태에서 제1 도입구(130)와 제2 도입구(140) 사이에 반출도구(150)를 끼운 후 손잡이(160)를 밀어 도입구(130, 140)의 외주면에 끼워 밀폐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다만, 마개를 정면에서 바라본 도 3의 (a)와 같이 본 발명은 제1 도입구(130) 및 제2 도입구(140)를 각각 'ㄷ'자 형상으로 하여 각각 도입 통로(131, 141)를 형성(즉 도입구 전체에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도입 통로(131, 141)는 제1 도입구(130)와 제2 도입구(140) 사이에 있기만 하면 된다.
그러므로, 다른 실시예로써 도 3의 (b)와 같이 하측의 제1 도입구(130)에만 도입 통로(131)를 형성할 수 있으며, 도시는 생략하였지만 이와 반대로 제2 도입구(140)에만 도입 통로(141)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의 (c)와 같이 제1 도입구(130) 중의 일부분 및 제2 도입구(140) 중의 일부분에 각각 도입 통로(131, 141)를 형성하여 이들 모두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때 반출도구(150)를 수용할 수 있으면 이들의 형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도 3의 (d)와 같이 제1 도입구(130) 및 제2 도입구(140) 모두에 도입 통로(131, 141)를 형성하되, 제1 도입구(130)는 천정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고, 제2 도입구(140)는 바닥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가압돌기(132, 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압돌기(132, 142)는 반출도구(150)를 그 상하에서 가압하여 잡아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 반출도구(150)가 내부로 도입되는 도입 통로(131, 141)는 제1 도입구(130)에 형성되거나, 제2 도입구(140)에 형성되거 혹은 제1 도입구(130)와 제2 도입구(140)에 모두 형성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가압 돌기 등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 도입구(130)의 하단부는 제2 도입구(140)의 상단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들 형상이 동일하여 서로 맞닿도록 구성되면 마개덮개(120)를 마개본체(110) 위에 덮으면 제1 도입구(130)와 제2 도입구(140)가 서로 밀착되는 효과가 있다.
다음, 반출도구(150)는 용기(C) 내에 수용된 내용물을 푸거나 집어올려 외부로 반출하는 것으로, 아래의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대표적으로 가정이나 식당 등에서 사용되는 스푼, 포크, 집게 및 블레이드 등과 같이 화장품이나 왁스를 비롯하여 음식, 식재료, 양념, 차(tea) 등을 반출하는 각종 도구를 의미한다.
이러한 반출도구(150)는 통상 전방측 단부에 구비되며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부(151) 및 상기 수용부(151)로부터 일정 길이 후방측으로 연장된 용구 몸체(152)를 포함한다. 예컨대, 스푼(spoon)의 경우 전방 단부에 둥글고 움푹파인 수용부(151) 및 그 후방측 구비된 막대 형상의 용구 몸체(152)로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의 용구 몸체(152)와는 구분되는 것으로, 종래에는 용구 몸체(152)가 그 자체로 손잡이의 역할을 하였으나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용구 몸체(152)가 끼워지는 손잡이(160)를 별도로 구비한다.
따라서, 반출도구(150) 중 내용물 수용부(151)는 마개 내부의 수용공간(111, 121)에 보관되고, 용구 몸체(152)의 전부나 일부는 도입 통로(131, 141)에 위치한다.
즉, 용구 몸체(152)는 도입구나 도입구부터 수용공간(111, 121)에 걸쳐 보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손잡이(160)를 도입구의 외주면에 끼우면 밀페가 이루어진다.
다음, 손잡이(160)는 반출도구(150)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에 쥐는 것으로, 용구 몸체(152)의 후방측 단부에 연결된다. 특히, 손잡이(160)에는 제1 도입구(130) 및 제2 도입구(140)로 구성된 도입구(130, 140)의 단부 외주면에 끼워지도록 전방측 단부로부터 일정 깊이 후방으로 마개 끼움홈(162)이 형성된다.
이러한 손잡이(160)는 반출도구(150)가 끼워지도록 마개(110, 120)의 일측으로 돌출된 도입구(130, 140)에 손잡이(160)를 씌워 반출도구(150)를 거치하면서도 용기(C)의 밀폐를 가능하게 한다. 더욱 정확히는 마개(110, 120)의 도입구(130, 140)의 외측 개구를 밀폐한다.
또한, 손잡이(160)가 도입구(130, 140)에 조립 및 지지된 상태에서 반출도구(150)가 마개 내부의 수용공간(111, 121)에 보관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손잡이(160) 내부에 다단으로 형성된 용구 조립홈(163)에 의해 다양한 반출도구(150)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하, 위와 같은 손잡이(160)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 이전에 위에서 설명을 생략한 용기 연결부(170)에 대해 설명한다.
위에서 도 1 내지 도 3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마개(110, 120)(더욱 정확히는 마개본체)와 용기(C)의 결합을 위해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마개(110, 120)와 용기(C)의 결합 방법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된다.
구체적으로, 용기 연결부(170)는 마개본체(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용기(C)의 상단부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용기 연결부(170)는 바람직하게 마개본체(110)의 테두리 형상과 동일/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용기(C) 상단 테두리를 덮도록 하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다.
일 예로 용기 연결부(170)는 마개본체(110)의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플랜지나 스커트에 끼워지며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은 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용기(C)와의 직경이나 형상에 오차범위 내에서 차이가 있더라도 용기 연결부(170)를 늘려 편리하게 끼울 수 있다.
위와 같이 용기 연결부(170)를 구비하고 용기 연결부(170)를 용기(C)로부터 탈부착 가능한 경우에는 용기 연결부(170) 및 그 상부의 마개(110, 120)를 열고 용기(C)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반출할 수 있다. 따라서, 마개본체(110)의 하부는 폐쇄된 것이거나 개방된 것 중 어느 것이나 적용 가능하다.
다만, 도 4와 같이 본 발명은 용기 연결부(170) 없이 마개본체(110)와 용기(C)가 함께 성형 제작됨에 따라 용기(C)의 상단부에 마개본체(110)가 고정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마개본체(110)의 하부는 개방되어야 마개덮개을 열고 내용물을 반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5a와 같이 상기한 용기 연결부(170)를 대신하여 마개본체(110) 하단에 구비된 플랜지의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용기(C)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마개본체(110)는 나사 결합방식 이외에 용기(C)에 삽입 후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거나 요홈을 형성하여 맞물리는 방식으로도 결합이 가능하다. 위 예들과 같이 마개본체(110)를 탈부착 가능한 경우에는 마개본체(110)의 바닥면이 개방될 수 있지만, 반대로 폐쇄된 경우에도 마개본체(110)를 분리 후 내용물을 반출할 수 있다.
또한, 도 5b와 같이 마개본체(110)는 용기(C)와 일체로 제작되거나 일체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위에서는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마개본체(110)의 상단면에 홈(SL1)을 파서 거기게 그 형상에 맞는 실링(SE)을 끼워 밀폐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 경우 마개덮개(120)의 하단면에도 홈(SL2)을 파서 실링(SE)과의 밀착 특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위에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 손잡이(16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를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는 손잡이(160)는 본체(161)와, 마개 끼움홈(162) 및 용구 조립홈(163)을 포함한다. 나아가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써 그립부(164)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한 본체(161)는 사용자가 손으로 쥐는 부분으로, 본체(161)에는 스푼 등의 반출도구(150)가 장착되며, 상기 장착된 반출도구(150)는 전방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다.
일 예로 본체(161)는 길이가 긴 육면체 형상에 모서리 부분을 라운딩 처리한 것이 적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원형이나 타원형을 비롯하여 여러가지 다각 형상의 몸체도 적용 가능하다.
본체(161)는 플라스틱과 같이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개(110, 120)의 도입구(130, 140)에 끼울 때 형상 맞춤 방식으로 삽입될 필요가 있다.
예컨대, 분유 용기에 돌출된 도입구에도 본 발명의 마개(110, 120)를 적용하고 그에 동봉된 다양한 분유 스푼들을 체결할 수도 있는데, 이때 분유 회사마다 각각 모양과 길이가 다른 스푼을 제공하더라도 어느 것이나 본 발명의 손잡이(160)에 범용으로 끼워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마개(110, 120)의 도입구(130, 140)와 대응되는 형상의 손잡이(160)가 필요하기 때문에 둘 중 어느 하나만 분실하면 사용할 수 없거나, 이 둘을 반드시 한 쌍으로 제작해야 한다.
이에, 손잡이(160)의 본체(161)는 그 전방 단부에 구비된 마개 끼움홈(162)을 늘려 마개(110, 120)의 도입구(130, 140)에 덮어 씌우도록 연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성 재질은 실리콘이나 고무 재질 등이 대표적이나 위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서라면 그 외 다른 재질로도 제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손잡이(160) 및 반출도구(150)를 마개(110, 120)에 보관하고, 도입구(130, 140)에 형성된 도입 통로(131, 141)를 막아 용기(C)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차단함으로써 위생적인 용기(C)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다음, 마개 끼움홈(162)은 저장 용기(C)의 상측 개구를 덮는 마개(110, 120)에 조립되는 부분으로, 더욱 정확히는 마개(110, 120)의 일측에 돌출된 도입구(130, 140)에 끼워지도록 본체(161)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일정 깊이 후방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마개(110, 120)의 내부에는 반출도구(150)가 보관되는 수용공간(111, 121)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는 수용공간(111, 121) 내부로 반출도구(150)가 도입되는 도입구(130, 140)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마개 끼움홈(162)은 이러한 도입구(130, 140) 즉, 서로 결합된 제1 도입구(130) 및 제2 도입구(140)의 단부 외주면에 끼워진다.
도 8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마개 끼움홈(162)은 그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진 일정 깊이의 홈을 파서 형성된다. 본체(161)는 실리콘이나 고무 등의 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도입구(130, 140)와 다른 형상도 가능하다.
그러나, 마개 끼움홈(162)이 도입구(130, 140)에 밀착되는 효과를 높이기 위해 도입구(130, 14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이유로 도입구(130, 140)의 형상에 따라 마개 끼움홈(162)의 형상 역시 변형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다음, 용구 조립홈(163)은 반출도구(150)가 조립되는 부분으로 더욱 정확히는 용구 몸체(152) 및 수용부(151)로 이루어진 반출도구(150) 중 막대 형상의 용구 몸체(152)가 내부로 삽입된 후 조립된다.
이를 위해 용구 조립홈(163)은 마개 끼움홈(162) 내의 바닥면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일정 깊이 형성되되, 마개 끼움홈(162)보다 단면적이 작아서 마개 끼움홈(162)을 통과한 용구 몸체(152)의 후방부가 끼워진다.
용구 조립홈(163)의 단면 형상 및 깊이는 해당 반출도구(150)의 용구 몸체(151)의 형상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나, 손잡이(160)가 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어느 정도 오차가 있어도 탄성 확장 및 압축을 통해 견고한 조립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종래기술과 차별적으로 손잡이(160)의 본체(161)에 서로 다른 목적(예: 스푼/포크/집게/블레이드), 형상 및 크기로 구성된 반출도구(150)를 선택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용구 조립홈(163)은 마개 끼움홈(162)의 바닥면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다단으로 형성되되, 다단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용구 조립홈(163)들은 후방측에 위치한 것일수록 단면적의 크기가 작게 구성된다.
도 9와 같이, 용구 조립홈(163)은 일 예로 2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방측의 1단 조립홈(163-1)과 후방측의 2단 조립홈(163-2)은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어서 이들 2단의 조립홈에 서로 다른 반출도구(150)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도 10의 (a) 내지 (c)는 손잡이(160)에 구비된 2단의 용구 조립홈(163)에 서로 다른 3개의 반출도구(150)가 장착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2단의 반출도구(150)에 서로 다른 3개의 스푼을 선택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160)의 본체(161)는 연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반출도구(150)의 용구 몸체(151) 크기나 형상과 그에 대응하는 용구 조립홈(163)의 크기나 형상 사이에 오차 범위 이내의 차이가 있어도 각각의 단(S1/S2)에 서로 다른 반출도구(150)를 장착할 수 있다.
다만, 이상에서는 용구 조립홈(163)이 2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은 2단을 초과하는 다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에 적합한 본체(161)의 길이를 고려하면 3단이나 4단의 용구 조립홈(163)도 적용가능하다.
한편, 도 11과 같이 그립부(164)는 손잡이(160)의 본체(161) 표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는 일정 깊이로 형성된 그립부(164)를 잡고 미끄러짐 없이 편리하게 스푼 등의 반출도구(150)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그립부(164)는 본체(161)의 외표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형성된 요홈으로 구성되되, 마개 끼움홈(162)의 후방측 단부부터 용구 조립홈(163)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응하는 부분까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반출도구(150) 사용시 그립부(164)를 잡고 살짝 누르면 본체(161)가 연성 재질로 이루어서 그 내측에 삽입 조립된 반출도구(150)의 본체를 잡을 수 있어서 반출도구(150)를 견고하게 붙든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그립부(164)는 해당 그립부(164)가 시작되는 전방측 경계부터 후방측을 따라 완만한 슬로프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이 부분을 누르면 마개 끼움홈(162)이 변형(예: 확장 등)되면서 마개(110, 120)의 도입구(130, 140)에 더욱 쉽게 끼울 수 있다.
한편, 도 1 등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개본체(110)에는 제1 도입구(130)가 구비되고, 마개덮개(120)에는 제2 도입구(140)가 구비된다. 제1 도입구(130)와 제2 도입구(140) 사이에는 도입 통로(131, 141)가 구비되어 상하 한 쌍이 반출도구(150)가 도입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이때, 도 12의 (a)와 같이 마개덮개(120)을 닫으면 제1 도입구(130)가 하강하여 제2 도입구(140)에 맞닿게 되고, 제1 도입구(130) 및 제2 도입구(140)로 구성된 도입구(130, 140)에는 반출도구(150)의 본체가 위치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손잡이(160)를 전방측으로 밀면 본체(161)의 마개 끼움홈(162)이 도입구(130, 140)의 외측 단부를 덮게 된다. 손잡이(160)의 본체(161)가 연성재질인 경우에는 이를 약간 벌려 끼울수도 있고, 그 후 탄성 압축된 마개 끼움홈(162)에 의해 도입구(130, 140)에 완전 밀착된다.
도 12의 (b)와 같이, 용기(C)에 담긴 조미료와 같은 식재료 등을 반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잡이(160)를 잡아당겨 도입구(130, 140)로부터 이탈시켜 잠금을 해제한 후, 도 12의 (c)와 같이 마개덮개(120)을 상측으로 회동시켜 열고 반출도구(150)로 식재료를 반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입구(130, 140)를 막아 용기(C)를 완전 밀폐하므로 습기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반출도구(150)를 마개(110, 120) 내에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서로 다른 반출도구(150)를 바꿔가며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10, 120: 마개 110: 마개본체
120: 마개덮개 130, 140: 도입구
130: 제1 도입구 140: 제2 도입구
131, 141: 도입 통로 150: 반출도구
151: 수용부 152: 용구 몸체
160: 손잡이 161: 본체
162: 마개 끼움홈 163: 용구 조립홈
164: 그립부 170: 용기 연결부
C: 용기

Claims (10)

  1. 내용물이 수용되는 용기(C)에 결합되는 마개본체(110)와;
    상기 마개본체(110)를 덮거나 개방하며, 상기 마개본체(110)를 덮을 때 상기 마개본체(110)와의 사이에 수용공간(111, 121)을 형성하는 마개덮개(120)와;
    상기 마개본체(110)의 일측에 돌출된 제1 도입구(130)와;
    상기 마개덮개(120)의 일측에 돌출되며, 상기 제1 도입구(130)가 구비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 제2 도입구(140)와;
    상기 마개본체(110)를 덮을 때 상기 제1 도입구(130)와 제2 도입구(140) 사이에 형성되며, 일측 단부는 외부에 노출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수용공간(111, 121)까지 연결된 도입 통로(131, 141)와;
    내용물 수용부(151) 및 상기 내용물 수용부(151)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된 용구 몸체(152)를 포함하되, 상기 내용물 수용부(151)는 상기 수용공간(111, 121)에 보관되고, 상기 용구 몸체(152)의 전부나 일부는 상기 도입 통로(131, 141)에 위치하는 반출도구(150); 및
    상기 반출도구(150)의 용구 몸체(152) 후방측 단부에 끼움결합되되, 서로 결합된 상기 제1 도입구(130) 및 제2 도입구(140)의 단부 외주면에 끼워지도록 전방측 단부로부터 일정 깊이 후방으로 마개 끼움홈(162)이 형성되어, 상기 반출도구(150)를 거치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도입구(130)와 제2 도입구(140)에 의해 형성되는 도입 통로(131, 141)를 밀폐하는 손잡이(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조립되는 마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덮개(120)는,
    일단부가 상기 마개본체(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상기 마개덮개(120)를 상측으로 회동시키면 개방되고 하측으로 회동시키면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조립되는 마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통로(131, 141)는,
    상기 제1 도입구(130)에 형성되거나, 상기 제2 도입구(140)에 형성되거 혹은 상기 제1 도입구(130)와 제2 도입구(140)에 모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조립되는 마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입구(130)의 하단부와 상기 제2 도입구(140)의 상단부는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마개덮개(120)를 마개본체(110) 위에 덮으면 상기 제1 도입구(130)와 제2 도입구(140)가 서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조립되는 마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본체(110)의 하부에는 상기 용기(C)의 상단부에 탈부착 가능한 용기 연결부(170)가 구비되며, 상기 마개본체(110)의 하부는 폐쇄 또는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조립되는 마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본체(110)는 상기 용기(C)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마개본체(110)의 하부는 개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조립되는 마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60)에 형성된 마개 끼움홈(162) 내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후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마개 끼움홈(162)보다 단면적의 크기가 작으며, 상기 용구 몸체(152)의 후방측 단부가 삽입 조립되는 용구 조립홈(16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조립되는 마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구 조립홈(163)은,
    상기 마개 끼움홈(162)의 바닥면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다단으로 형성되되,
    다단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용구 조립홈(163)들은 후방측에 위치한 것일수록 단면적의 크기가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조립되는 마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60)의 외표면에 형성된 그립부(164)를 더 포함하되,
    상기 그립부(164)는,
    상기 손잡이(160)의 외표면으로부터 일정 깊이 형성된 요홈으로 구성되며, 상기 마개 끼움홈(162)의 후방측 단부부터 상기 용구 조립홈(163)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응하는 부분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조립되는 마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60)는,
    상기 마개 끼움홈(162)을 늘려 상기 제1 도입구(130) 및 제2 도입구(140)에 덮어 씌워 끼우도록 연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잡이가 조립되는 마개.
KR1020180114908A 2018-09-27 2018-09-27 손잡이가 조립되는 마개 KR102096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908A KR102096907B1 (ko) 2018-09-27 2018-09-27 손잡이가 조립되는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908A KR102096907B1 (ko) 2018-09-27 2018-09-27 손잡이가 조립되는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6907B1 true KR102096907B1 (ko) 2020-04-03

Family

ID=70282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908A KR102096907B1 (ko) 2018-09-27 2018-09-27 손잡이가 조립되는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90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3055U (ja) * 2008-03-03 2008-07-10 レアック・ジャパン株式会社 携帯用のカトラリーセットおよびその容器
KR101077480B1 (ko) * 2011-05-20 2011-10-27 이승용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
KR101658305B1 (ko) 2015-02-09 2016-09-20 이동훈 식사도구의 거치가 가능한 일회용컵 뚜껑
KR101718248B1 (ko) 2015-12-17 2017-03-20 이경록 스푼이 구비된 테이크아웃 컵
WO2017151739A1 (en) * 2016-03-02 2017-09-08 Abbott Laboratories Container
KR200485902Y1 (ko) * 2017-01-17 2018-03-08 김광현 휴대용 수저세트 케이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3055U (ja) * 2008-03-03 2008-07-10 レアック・ジャパン株式会社 携帯用のカトラリーセットおよびその容器
KR101077480B1 (ko) * 2011-05-20 2011-10-27 이승용 반출 도구 일체형 용기
KR101658305B1 (ko) 2015-02-09 2016-09-20 이동훈 식사도구의 거치가 가능한 일회용컵 뚜껑
KR101718248B1 (ko) 2015-12-17 2017-03-20 이경록 스푼이 구비된 테이크아웃 컵
WO2017151739A1 (en) * 2016-03-02 2017-09-08 Abbott Laboratories Container
KR200485902Y1 (ko) * 2017-01-17 2018-03-08 김광현 휴대용 수저세트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16572A1 (en) Sealing cover for a container
US6036038A (en) Food packaging system including content lifting insert
USD1012603S1 (en) Container lid with handle
FR2859182A1 (fr) Couvercle de fermeture de pots alimentaires
KR102096907B1 (ko) 손잡이가 조립되는 마개
KR20110007691U (ko) 탈착이 용이한 밀폐용기뚜껑
KR100615946B1 (ko) 실링지 파지안내 구조를 갖는 식품포장용기용 뚜껑체
KR100740260B1 (ko) 스푼을 일체형으로 설치한 식품 보관용기
KR102038134B1 (ko) 분리형 커버 패널부를 구비한 식품 보관용기
USD483217S1 (en) Food steamer insert
KR200491413Y1 (ko) 반출도구 손잡이
KR102131311B1 (ko) 흡착식판
KR200316999Y1 (ko) 다수의 수용 내용물에 대한 독립적 밀폐 및 사용이용이한 식품보관용기
US20200108977A1 (en) Storage Container with Sealable Opening in Base
KR20170003053U (ko) 과자 용기
JP3202018U (ja) 食品収容容器
KR200397824Y1 (ko) 다층적재가 가능한 캔용기용 위생커버
KR200396189Y1 (ko) 식판 겸용 도시락 용기 결합구조
US20120305439A1 (en) FOOD CONTAINER WITH cutlery
AU2003203741A1 (en) Food container
KR200450148Y1 (ko) 착탈식 배출 장치로 공기 배출이 되는 휴대용 음료수 밀폐용기
KR20130007940A (ko) 밀폐용기의 뚜껑 결합구조
KR20120006802U (ko) 손잡이가 두 개 구비된 뚜껑
KR20190014946A (ko) 저장 용기
KR101139365B1 (ko) 실링지 분리와 정량 공급용 장류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