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4946A - 저장 용기 - Google Patents

저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4946A
KR20190014946A KR1020170099120A KR20170099120A KR20190014946A KR 20190014946 A KR20190014946 A KR 20190014946A KR 1020170099120 A KR1020170099120 A KR 1020170099120A KR 20170099120 A KR20170099120 A KR 20170099120A KR 20190014946 A KR20190014946 A KR 20190014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tch
lid
storage container
open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9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희
Original Assignee
김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희 filed Critical 김영희
Priority to KR1020170099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4946A/ko
Publication of KR20190014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49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82Integral handles
    • B65D25/2897Integral handles formed in the wall(s), e.g. roughenings, cavities or proj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8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non-granulated foodstuf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82Integral handles
    • B65D25/2894Integral handles provided on the top or upper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1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only by friction or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25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26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을 저장하는 저장 용기에서 음식물의 중량에 의해 음식물을 저장하는 저장통과, 저장통을 밀폐하는 뚜껑의 결합 부분이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저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용기는 받침부와, 받침부의 측면으로부터 상부로 수직 연장 형성되는 측벽부와, 측벽부의 상부면으로부터 내부로 수직 연장되되 중심부에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연장부와, 연장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부를 구비하는 저장통, 저장통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저장통 내부를 밀폐하는 뚜껑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저장 용기{Storage container}
본 발명은 저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을 저장하는 저장 용기에서 음식물의 중량에 의해 음식물을 저장하는 저장통과, 저장통을 밀폐하는 뚜껑의 결합 부분이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저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을 담을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저장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음식물 중 김치는 한국을 대표하는 음식 중 하나이다. 이러한 김치는 숙성과 보관을 통하여 보다 향상된 맛과 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김치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용기와, 저장 용기를 일정 온도 이하에서 보관할 수 있는 김치 냉장고가 다양한 형태로 제작 및 판매되어 왔다.
한편 한국공개실용 제20-2011-0003609호에는 김치를 보관할 수 있는 김치 보관 용기를 개시하고 있다.
개시된 김치 보관 용기는 김치를 수용하는 플라스틱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의 상부 입구를 덮어 밀폐시키는 플라스틱 뚜껑 및 손잡이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용기본체의 상부 전후방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힌지훅 뚜껑의 후방 양측에 구비되어 용기본체의 후방 힌지훅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축, 뚜껑의 상면 전방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걸림홈, 용기본체의 전방 양측 힌지훅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축과 뚜껑의 걸림홈에 탈착가능하게 끼워지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잠금날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개시된 김치 보관 용기는 내부에 보관된 김치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는 있으나, 플라스틱 뚜껑 상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본체 내부에 김치의 중량이 클 경우, 사용자가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로 용기본체를 들게 되면, 플라스틱 뚜껑과 용기본체의 연결 부분인 힌지훅과 걸림턱에 중량이 실리기 때문에, 힌지훅과 걸림턱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즉 개시된 김치 보관 용기 이외에도 대부분 뚜껑에 손잡이가 설치되기 때문에 중량이 클 경우 용기 본체를 밀폐시키기 위한 연결 부분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 용기에 저장되는 내용물의 중량이 크더라도 강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는 저장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용기는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측면으로부터 상부로 수직 연장 형성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상부면으로부터 내부로 수직 연장되되 중심부에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부를 구비하는 저장통, 상기 저장통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통 내부를 밀폐하는 뚜껑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저장통은 상기 개구부의 내측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측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뚜껑은 상기 암나사산과 대응되는 숫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저장통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저장통은 상기 개구부의 내측면이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탄성 재질의 패킹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뚜껑은 상기 패킹부에 의해 상기 저장통에 끼움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저장통은 상기 개구부의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뚜껑은 상기 저장통의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개폐를 조작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에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물리력을 전달하는 노치 연결부,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노치 연결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거나,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해제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치에 각각 구비되어 노치에 일측이 지지되고 상기 하우징에 타측이 지지되어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상기 노치의 위치를 복귀시키는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고리 형상으로 돌출되어 당김 또는 풀림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치에 물리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용기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버튼의 눌림 또는 눌림 해제에 따라 상기 노치에 물리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용기는 저장통의 측벽부의 상부면으로부터 내부로 수직 연장되되 중심부에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연장부 상에 파지를 위한 파지부를 형성하고, 연장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뚜껑을 결합함으로써, 내용물의 중량이 크더라도 강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용기는 뚜껑에 파지를 위한 파지부가 형성되지 않고 저장통에 파지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내용물의 중량에 따른 강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용기는 저장통의 중심부에 뚜껑이 결합되기 때문에, 김치 냉장고 등 복수의 저장 용기를 수용하는 공간 내에서 저장 용기를 꺼내지 않더라도, 뚜껑의 분리 결합을 통해 용이하게 내용물을 꺼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용기는 저장통의 측벽부로부터 연장부를 통해 개구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저장통 내부 내용물의 공기 접촉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100)는 저장통(10) 및 뚜껑(20)을 포함한다.
저장통(10)은 받침부(11), 측벽부(12), 연장부(13) 및 파지부(14)를 포함한다.
받침부(11)는 저장통(10)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받침부(11)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원형, 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측벽부(12)는 받침부(11)의 측면으로부터 상부로 수직 연장 형성되어, 저장통(10)의 측면을 형성한다. 즉 측벽부(12)는 받침부(11)의 형태에 따라 각 측면으로부터 상부로 수직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측벽부(12)는 받침부(11)가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경우 받침부(11)의 네개의 측면으로부터 상부로 수직 연장 형성되어 육면체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연장부(13)는 측벽부(12)의 상부면으로부터 내부로 수직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연장부(13)는 받침부(11)가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경우, 네 개의 측벽부(12)의 각 상부면으로부터 내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장부(13)는 중심부에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개구부(15)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연장부(13)는 측벽부(12)로부터 개구부(15)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장부(13)는 일정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어 뚜껑(20)이 결합 될 수 있다.
여기서 개구부(15)는 뚜껑(20)이 결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개구부(15)는 뚜껑(20)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뚜껑(20)이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경우, 개구부(15)는 사각형 형태의 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개구부(15)는 내측면이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개구부(15)는 상부는 뚜껑(20)의 면적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하부가 뚜껑(20)의 면적보다 더 작게 형성되어, 뚜껑(20)이 결합되되 저장통(10)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개구부(15)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탄성 재질의 패킹부(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킹부(16)는 개구부(15)의 내측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구부(15)의 내측면을 따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패킹부(16)는 고무를 포함하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뚜껑(20)이 개구부(15)에 끼움 결합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패킹부(16)는 뚜껑(20)이 결합되게 되면 저장통(10) 내부가 완전히 밀폐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여 저장통(10) 내부에 내용물이 외부로 세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파지부(14)는 연장부(13) 또는 측벽부(12)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파지부(14)는 연장부(13)의 상부면에 개구부(15)를 중심으로 대칭하도록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파지부(14)는 연장부(13)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를 향하는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파지부(14)는 홈 내부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파지부(14)는 손잡이 형태로 연장부(13)에 힌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뚜껑(20)은 개구부(15)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뚜껑(20)은 개구부(15)에 패킹부(16)를 통해 끼움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뚜껑(20)은 개폐를 위한 손잡이(2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22)는 뚜껑(20)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손잡이(22)는 뚜껑(20)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를 향하는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20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100)와 뚜껑의 결합 구조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하며,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200)는 저장통(210) 및 뚜껑(220)을 포함한다.
저장통(210)은 받침부(11)와, 받침부(11)의 측면으로 상부로 수직 연장 형성되는 측벽부(12)와, 측벽부(12)의 상부면으로부터 내부로 수직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230)와, 연장부(230)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부(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연장부(230)는 측벽부(12)의 상부면으로부터 내부로 수직 연장되되, 중심부에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원형의 개구부(250)를 형성한다.
여기서 개구부(250)는 저장통(210)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원형의 홀 형태로, 내측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내측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뚜껑(220)은 개구부(250)와 대응되는 원 형태로 형성되며, 개구부(25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며, 외측면에 개구부(250)의 암나사산과 대응되는 숫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뚜껑(220)은 개구부(250)에 나사 결합되어 저장통(210)에 결합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A-A` 단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30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300)와 뚜껑의 결합 구조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하며,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300)는 저장통(310) 및 뚜껑(320)을 포함한다.
저장통(310)은 받침부(11)와, 받침부(11)의 측면으로 상부로 수직 연장 형성되는 측벽부(12)와, 측벽부(12)의 상부면으로부터 내부로 수직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330)와, 연장부(330)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부(14)를 포함한다.
연장부(330)는 측벽부(12)의 상부면으로부터 내부로 수직 연장 형성되어 개구부(350)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개구부(350)는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351)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351)은 후술할 뚜껑(320)의 노치(324)가 삽입될 수 있도록 노치(324)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결합홈(351)은 뚜껑(320)이 개구부(350)에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노치(324)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결합홈(351)은 개구부(35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경우 네개의 내측면의 중심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뚜껑(320)은 저장통(310)의 개구부(350)에 결합되는 하우징(321)과, 하우징(321)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우징(321)의 개폐를 조작하는 조작부(322)와, 조작부(322)에 연결되어 조작부(322)의 조작에 따른 물리력을 전달하는 노치 연결부(323)와,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노치 연결부(323)를 통해 하우징(321)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결합홈(351)에 결합되거나, 하우징(321)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홈(351)으로부터 해제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치(324)를 포함한다.
먼저 하우징(321)은 개구부(350) 내부로 삽입되는 하부 하우징(321a)과, 개구부(350)보다 더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연장부(330)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상부 하우징(321b)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하우징(321a)에는 뚜껑(320)이 저장통(310)에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결합홈(351)과 동일 선상에 형성되는 복수의 수용홈(321c)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수용홈(321c)은 후술할 노치(324)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부 하우징(321b)은 뚜껑(320)이 저장통(310)에 완전히 결합되었을 때 연장부(330)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뚜껑(320)이 저장통(31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조작부(322)는 상부 하우징(321b)의 상부에 고리 형상으로 돌출되어 당김 또는 풀림에 따라 노치 연결부(323)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노치(324)에 물리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조작부(322)는 사용자가 당김 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연결된 노치 연결부(323)를 당겨 노치(324)에 물리력을 전달할 수 있다.
노치 연결부(323)는 인측이 조작부(322)에 연결되며, 타측이 노치(324)에 연결되어 조작부(322)의 물리력을 노치(324)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노치 연결부(323)는 상부 하우징(321b)과 하부 하우징(321a)을 관통하여 노치(324)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데 노치 연결부(323)는 조작부(322)로부터 노치(324)의 개수만큼 나뉘어진 와이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노치(324)는 노치 연결부(323)의 단부에 결합되며, 결합홈(351)과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노치(324)는 조작부(322)가 당김 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노치 연결부(323)를 통해 수용홈(321c)에 삽입되고, 조작부(322)가 당김 해제 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다시 수용홈(321c) 밖으로 돌출된다.
즉 노치(324)는 뚜껑(320)이 저장통(31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용홈(321c) 내부로 삽입되고, 뚜껑(320)이 저장통(310)에 완전히 결합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결합홈(351)에 삽입되어 뚜껑(320)을 저장통(310)에 결합시킨다.
이때 탄성 부재(325)는 노치(324)에 각각 구비되며, 노치(324)에 일측이 지지되고, 수용홈(321c)의 내부면에 타측이 지지되어 조작부(322)의 조작에 따른 노치(324)의 위치를 복귀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400)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300)와 조작부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히기로 하며,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400)는 조작부(422)가 하우징(321)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버튼의 눌림 또는 눌림 해제에 따라 노치(324)에 물리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422)는 버튼 형식으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눌림 동작이 수행되면, 노치 연결부(323)가 당겨져 노치(324)를 수용홈(321c) 내부로 삽입시킬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눌림 해제 동작이 수행되면, 노치(324)가 결합홈(351) 내부로 삽입되어 뚜껑(420)을 저장통(3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50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100)와 파지부의 구조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하며,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500)는 파지부(140)가 측벽부(12)에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60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100)와 뚜껑의 결합 구조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하며,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저장통(610)은 받침부(11)와, 받침부(11)의 측면으로 상부로 수직 연장 형성되는 측벽부(12)와, 측벽부(12)의 상부면으로부터 내부로 수직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630)와, 연장부(630)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부(14)를 포함한다. 연장부(630)는 측벽부(12)의 상부면으로부터 내부로 수직 연장 형성되어 개구부(350)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600)는 연장부(630)에 힌지 결합되는 결착 고리(6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착 고리(631)는 뚜껑(620)이 개구부(350)에 결합 되었을 때, 뚜껑(620)의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결착 고리(631)는 뚜껑(620)이 사각형으로 형성될 경우 각 측면에 하나씩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결착 고리(631)의 일측에는 뚜껑(620)의 돌출부(621)에 삽입 결합 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뚜껑(6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621)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621)는 결착 고리(631)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며, 결착 고리(631)가 힌지 결합되었을 때 결착 고리(631)의 홈이 끼움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되었을 때 결착 고리(631)가 고정될 수 있도록 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서는 결착 고리(631)에 홈이 형성되고 뚜껑(620)의 돌출부(621)에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결착 고리(631)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뚜껑(620)에 홈이 형성되어, 결착 고리(631)가 뚜껑(620)의 홈에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70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100)와 뚜껑의 결합 구조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하며,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800)는 패킹부(760)의 내측면을 따라 끼움 결합홈(76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개구부(750)와 패킹부(760)는 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뚜껑(720)은 외측면을 따라 끼움 돌출부(72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끼움 돌출부(721)는 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700)는 뚜껑(720)에 대하여 사용자의 누름 동작 또는 회전 동작을 통해 끼움 돌출부(721)가 끼움 결합홈(76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 210, 310 : 저장통 11 : 받침부
12 : 측벽부 13, 230, 330 : 연장부
14, 140 : 파지부 15, 250, 350 : 개구부
16 : 패킹부 20, 220, 320, 420 : 뚜껑
22 : 손잡이 321 : 하우징
321a : 하부 하우징 321b : 상부 하우징
321c : 수용홈 322, 422 : 조작부
323 : 노치 연결부 324 : 노치
325 : 탄성 부재 351 : 결합홈
100, 200, 300, 400, 500: 저장 용기

Claims (6)

  1. 받침부와, 상기 받침부의 측면으로부터 상부로 수직 연장 형성되는 측벽부와, 상기 측벽부의 상부면으로부터 내부로 수직 연장되되 중심부에 상부와 하부를 관통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 또는 상기 측벽부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부를 구비하는 저장통;
    상기 저장통의 개구부에 결합되어 상기 저장통 내부를 밀폐하는 뚜껑;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통은 상기 개구부의 내측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내측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뚜껑은 상기 암나사산과 대응되는 숫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저장통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통은 상기 개구부의 내측면이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되는 탄성 재질의 패킹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뚜껑은 상기 패킹부에 의해 상기 저장통에 끼움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통은 상기 개구부의 내측면에 적어도 하나의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뚜껑은,
    상기 저장통의 상기 개구부에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개폐를 조작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에 연결되어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물리력을 전달하는 노치 연결부;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노치 연결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결합홈에 결합되거나,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해제되는 적어도 하나의 노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치에 각각 구비되어 노치에 일측이 지지되고 상기 하우징에 타측이 지지되어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따른 상기 노치의 위치를 복귀시키는 탄성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고리 형상으로 돌출되어 당김 또는 풀림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노치에 물리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버튼의 눌림 또는 눌림 해제에 따라 상기 노치에 물리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KR1020170099120A 2017-08-04 2017-08-04 저장 용기 KR201900149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120A KR20190014946A (ko) 2017-08-04 2017-08-04 저장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120A KR20190014946A (ko) 2017-08-04 2017-08-04 저장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4946A true KR20190014946A (ko) 2019-02-13

Family

ID=65366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9120A KR20190014946A (ko) 2017-08-04 2017-08-04 저장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49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61984A1 (en) Drink container with integrated storage compartments
US9359114B2 (en) Detachable sealable lid,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and sealing ring for use with the lid
JP2022511514A (ja) 断熱容器
US8733585B2 (en) Folding container lid
CN108502347B (zh) 食品罐
GB2264694A (en) Lunchbox with carrying pouch
CN209825501U (zh) 用于食品用途的容器
US6942097B1 (en) Protective food storage container
US20060124648A1 (en) Storage container assembly
KR20190014946A (ko) 저장 용기
JP6767798B2 (ja) キャップユニット及び飲料用容器
KR101793903B1 (ko) 개폐가 용이한 식품보관용 밀폐용기
JP2009067411A (ja) 小物収納部付き容器
KR101392898B1 (ko) 다단의 수납박스
KR20050081341A (ko) 용량가변 밀폐용기
US7328548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introducing air into, or removing air from, containers
KR20160048635A (ko) 밀폐 용기
KR20150109651A (ko)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KR20170003053U (ko) 과자 용기
KR102131311B1 (ko) 흡착식판
KR200485378Y1 (ko) 음식물 저장용기
KR200449423Y1 (ko) 복수의 격실을 갖는 식품 용기
KR102096907B1 (ko) 손잡이가 조립되는 마개
KR200396189Y1 (ko) 식판 겸용 도시락 용기 결합구조
KR200335713Y1 (ko) 김치냉장고용 보관용기의 손잡이 형상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