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9423Y1 - 복수의 격실을 갖는 식품 용기 - Google Patents

복수의 격실을 갖는 식품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9423Y1
KR200449423Y1 KR2020090008646U KR20090008646U KR200449423Y1 KR 200449423 Y1 KR200449423 Y1 KR 200449423Y1 KR 2020090008646 U KR2020090008646 U KR 2020090008646U KR 20090008646 U KR20090008646 U KR 20090008646U KR 200449423 Y1 KR200449423 Y1 KR 2004494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ainer body
lid
groove
compart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86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열
Original Assignee
동아정밀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정밀공업(주) filed Critical 동아정밀공업(주)
Priority to KR20200900086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94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94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942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65D43/0204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 B65D43/021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secured by snapping over beads or projections only on the outside, or a part turned to the outside, of the mou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복수의 격실을 갖는 식품 용기는 식품을 담는 PET 재질 용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돌기와 플랜지 및 복수의 격실을 블로우 성형하여 구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용기 뚜껑에 만곡부와 단턱부 밀봉 탭을 구성함으로써 용기 몸체의 결합돌기가 용기 뚜껑의 결합홈 및 걸림홈에 결합되고 용기 뚜껑의 밀봉 탭이 용기 몸체의 플랜지에 탄력적으로 고정되어 다수의 식품이 담긴 용기의 기밀구조가 유지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 뚜껑의 밀봉 탭 절취여부에 의해 용기의 사용여부를 간단히 식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용기 몸체의 외면에 수직으로 형성한 홈에 의해 격벽의 연신 성형이 잘 이루어지게 하여 용기의 치수가 정확하고 외관이 미려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용기, 뚜껑, 몸체, PET, 결합돌기, 결합홈, 밀봉 탭

Description

복수의 격실을 갖는 식품 용기{FOOD CONTAINER WITH A PLURAL SEPARATE CHAMBER}
본 고안은 다수의 식품을 수용하도록 복수의 격실을 갖는 식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 몸체 내부를 벽체에 의해 복수의 구역으로 나누고, 이 용기 몸체의 상부 단부가 뚜껑의 결합홈 및 걸림홈에 고정되는 한편 용기 뚜껑 하부의 밀봉 탭과 단턱부 내측의 걸림턱이 용기 몸체의 결합돌기와 플랜지에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용기의 내·외부가 기밀구조를 이루게 한 복수의 격실을 갖는 식품 용기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용기는 용기 몸체의 개방된 상부 둘레를 뚜껑의 결합홈에 단순히 끼움결합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용기 몸체가 결합되는 뚜껑의 하부 결합홈 내에는 패킹부재를 설치하여 용기 몸체 상단부가 결합홈 내로 삽입된 후 패킹부재를 탄력적으로 가압되게 함으로써 용기의 밀폐가 이루어지게 하였다.
또한, 용기 몸체의 둘레에 걸림홈을 형성하고 뚜껑에 걸림편을 형성하여 뚜껑의 걸림편을 용기몸체의 걸림홈에 고정하여 용기의 밀폐가 이루어지게 한 용기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용기를 밀폐하는 뚜껑에 단순히 결합홈을 형성하거나 용기 몸체 둘레에 후크와 같은 걸이구나 걸림홈을 형성하여 용기 몸체와 뚜껑을 결합하는 방식은 반복적으로 뚜껑을 개·폐시킴에 따라서 걸림홈이 마모되고 치수가 변형되어 뚜껑의 밀폐력이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식품을 수용하는 격실을 복수 개 갖도록 블로우 성형하는 경우 용기 몸체의 치수가 유지되지 않고 외관이 미려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용기 몸체와 뚜껑이 반복적으로 개·폐되어도 용기의 기밀구조가 유지될 수 있고 다수의 식품을 수용할 수 있는 복수의 격실을 갖는 식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용기 뚜껑에서 절취할 수 있는 밀봉 탭을 구성하여 용기의 개·폐여부를 알 수 있는 복수의 격실을 갖는 식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재질의 프리폼(preform)을 블로우 성형하여 용기 몸체 상단부 외측 둘레에 결합돌기를 돌출형성하고, 이 결합돌기 하부에 플랜지가 형성되며, 격벽에 의해 다수의 식품을 수용하는 복수의 격실로 구성된 용기 몸체와;
결합홈과 걸림홈을 형성하도록 용기 뚜껑 둘레에 만곡부와 단턱부를 연속형성하고, 이 단턱부 하부에 밀봉 탭이 구성된 용기 뚜껑으로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용기 몸체 내에 복수의 격실을 구성하도록 용기 몸체 내에 형성된 격벽의 용기 외면에 수직으로 홈을 형성함으로써 격벽의 연신성형시에 용기 몸체 내의 격벽 연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고 용기 몸체의 치수 및 외관이 미려하게 이루어지게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용기 뚜껑의 단턱부 끝부분에 밀봉 탭을 구성함으로써 용기 몸체의 결합돌기 와 플랜지에 용기 뚜껑 걸림턱과 밀봉 탭이 탄력적으로 접촉되게 하여 용기가 기밀구조를 이루게 함과 동시에 용기의 개·폐여부를 알 수 있게 구성한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복수의 격실을 갖는 식품 용기는 복수의 식품을 담는 투명한 용기 몸체에 구성된 결합돌기 및 플랜지가 용기 뚜껑에 구성된 결합홈, 걸림홈 및 밀봉 탭의 상호 결합에 의해 용기 내·외의 기밀이 확실하게 유지되고, 밀봉 탭의 절취여부에 의해 용기의 개·폐 여부를 쉽게 알 수 있으며, 용기 몸체의 외면에 수직으로 형성한 홈에 의해 격벽의 연신 성형이 잘 이루어지게 하여 용기의 치수가 정확하고 외관이 미려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복수의 격실을 갖는 식품 용기는 식품 용기 내에 복수의 식품을 분리 저장할 수 있도록 격벽에 의해 분리된 복수의 격실과,
상부 외측 둘레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결합돌기 하부에 형성된 플랜지를 포함하여 구성된 PET 재질의 용기 몸체와;
용기 몸체에 담긴 내용물을 밀폐하도록 둘레에 만곡부와 단턱부를 연속하여 형성하여서 이들 만곡부와 단턱부에 의해 결합홈과 걸림홈이 연속하여 형성되고 단턱부 하단부 둘레에 밀봉 탭이 구성된 용기 뚜껑;
으로 구성된다.
걸림홈은 결합홈으로 끼움결합되는 용기 몸체의 결합돌기의 결합 및 해제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결합홈의 외측 부분에 구성되되, 결합홈의 입구측이 곡면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용기 몸체와 용기 뚜껑은 직사각형, 정사각형, 원형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고, 용기의 입구가 큰 광구(廣口)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용기 몸체 내부를 구획하는 격실(隔室)은 격벽이 용기 몸체의 일측 변부로부터 반대측 변부로 직선형태로 형성되거나 십자식으로 교차되게 형성될 수 있다.
용기 몸체는 내부의 격실에 수용된 복수의 식품이 외부에서 잘 보이도록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격벽의 연신이 잘 이루어져서 용기 몸체의 외관 치수가 정확하고 미려하게 이루어지도록 격벽에 연결되는 용기 몸체의 연결부분 외면에 홈을 형성한다. 이 홈은 격벽을 따라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복수의 격실을 갖는 식품 용기는 복수의 식품을 담는 것으로서, 고추장, 된장, 쌈장, 기타 분말로 된 선식 등을 담을 수 있는 용기 몸체와, 이 용기 몸체내에 담긴 식품을 외부와 밀폐시켜 공기의 유동을 차단하는 용기 뚜껑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복수의 격실을 갖는 식품 용기는 격벽에 의해 내부가 복수의 격실로 구획되어서 상이한 종류의 식품, 예컨대 고추장과 된장, 또는 다양한 종류의 분말 등을 선택하여 담아서 용기 뚜껑(10)으로 밀폐하여 포장할 수 있다. 또한 투명하게 구성되어 외부에서 용기 몸체(1)에 담긴 복수의 식품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복수의 격실을 갖는 식품 용기는 용기 몸체(1)에 결합돌기(3)와 플랜지(2)를 구성하고, 용기 뚜껑(10)의 상부에 다른 용기를 적층할 수 있게 형성한 오목부(15), 이 용기 몸체(1)를 밀폐시키도록 용기 뚜껑(10)의 둘레에 결합홈(16), 걸림홈(17), 만곡부(11), 단턱부(15), 밀봉 탭(14)을 구성한 것이다.
용기 몸체(1)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재질의 프리폼(preform)을 블로우 성형하여 제조되고, 플랜지(2) 상방의 결합돌기(3)는 용기 뚜껑(10)에 확실히 걸림고정되도록 상부는 경사면으로 구성되고 하부는 걸림턱형태로 구성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경사면과 이 경사면의 하측 부분인 걸림턱의 연결부분은 용기 몸체(1)와 용기 뚜껑(10)의 결합 및 해제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곡면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몸체(1)를 밀폐시키도록 용기 몸체(1)의 상방으로부터 결합되는 용기 뚜껑(10)은 둘레에 만곡부(11)가 구성되고, 이 만곡부(11)에 연속하여 하부로 단턱부(12)가 구성됨으로써 이들 만곡부(11)와 단턱부(12) 내측에 결합홈(16)이 형성된다. 또한 이 결합홈(16)의 외측부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턱부(12) 내측에 용기 몸체(1)의 결합돌기(3)가 걸림고정되도록 걸림홈(17)이 형성된다.
그리고 용기 뚜껑(10)의 단턱부(12) 단부에는 수직으로 밀봉 탭(14)이 구성된다. 용기 뚜껑(1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스티렌(PS) 등의 합성수지재로 투명하게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기 몸체(1)의 결합돌기(3)가 결합되는 용기 뚜껑(10)의 결합홈(16)은 결합 돌기(3)의 끝부분이 완전히 닿지 않도록 공간부가 형성되고, 이 공간부에는 패킹부재(P)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구조를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용기 몸체(1)는 프리폼(도시되지 않음)형태로 미리 제작하고, 프리폼을 예열하여 블로우 성형기로 블로우 성형(blow molding)한다.
이와 같이 성형된 용기 몸체(1)에 다양한 종류의 식품을 넣은 다음 용기 뚜껑(10)을 용기 몸체(1)에 정렬하여 하부로 가압한다.
이때 결합돌기(3)에 의해 용기 뚜껑(10) 입구부의 걸림턱(13)이 용기 뚜껑(10) 외측방향으로 밀려나고 용기 뚜껑(10)이 하방으로 더 가압되어 결합돌기(3)가 걸림턱(13)을 지나면 용기 뚜껑(10)의 만곡부(11)와 단턱부(12) 및 밀봉 탭(14) 부분이 신속히 본래 위치로 복귀되어 용기 몸체의 상부 끝부분이 결합홈(16)에 삽입됨과 동시에 결합돌기(3)가 용기 뚜껑(10)의 걸림홈(17)에 걸림고정되며, 밀봉 탭(14)은 용기 몸체(1)의 플랜지(2)에 탄력적으로 접촉된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용기 뚜껑(10)의 단턱부(12) 내측의 걸림턱(13)과 밀봉 탭(14)은 용기 몸체(1)의 결합돌기(3)와 플랜지(2)에 각각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긴밀히 고정되어 용기 몸체(1)의 내·외부가 기밀구조로 밀폐된 상태이다. 따라서 밀봉 탭(14)을 제거하지 않으면 용기 몸체(1)로부터 용기 뚜껑(10)을 임의로 열 수 없다.
따라서 밀봉 탭(14)의 절취에 의한 제거 또는 미제거에 의해 용기 뚜껑(10)의 개·폐여부를 간편하게 식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조립된 본 고안의 용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밀봉 탭(14)을 절취하여 제거함으로써 용기 뚜껑(10)의 단턱부(12)와 용기 몸체(1)의 플랜지(2) 사이에 손가락을 집어넣을 수 있는 공간부를 확보한다.
이후 이 공간부에 손가락을 넣어 단턱부(12)를 용기 뚜껑(10) 상방으로 밀어올려서 단턱부(12) 내측의 걸림홈(17)이 용기 몸체(1) 결합돌기(3)와의 결합을 해제시킴으로써 용기 뚜껑(10)을 개방하고 용기 몸체(1)의 격판(4,5)에 의해 형성된 격실에 담긴 식품을 사용한다.
용기 몸체(1)에 담긴 식품을 한 번에 사용하지 않은 경우 용기 뚜껑(10)을 닫아서 용기 몸체(1)의 내부를 밀폐시켜 보관한다.
용기 뚜껑(10)의 상부에 형성된 오목부(15)에 다른 용기를 적층하여 보관함으로써 상부에 적층된 용기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가능하며, 이와 같은 변경·변형 등에 의한 것은 당연히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용기결합구조가 적용된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용기 몸체와 용기 뚜껑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도 1의 횡단면도.
도 4는 격벽과 홈이 형성된 용기 몸체를 보여주는 도1의 수평 횡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뚜껑의 개·폐 전 및 개방되는 것을 보여주는 확대 단면도.
도 7은 직사각형의 용기 몸체에 하나의 격벽으로 두 개의 격실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수평 횡단면도.
도 8은 정사각형의 용기 몸체에 교차격벽으로 복수의 격실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수평 횡단면도.
도 9는 정사각형의 용기 몸체에 하나의 격벽으로 두 개의 격실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수평 횡단면도.
도 10은 원통형의 용기 몸체에 교차격벽으로 복수의 격실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수평 횡단면도.
도 11은 원통형의 용기 몸체에 하나의 두개의 격실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수평 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용기 몸체 2: 플랜지
3: 결합돌기 4: 홈
5,6: 격벽 10: 용기 뚜껑
11: 만곡부 12:단턱부
13: 걸림턱 14: 밀봉 탭
15: 오목부 16; 결합홈
17: 걸림홈 P: 패킹부재

Claims (3)

  1.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재질의 프리폼(preform)을 블로우 성형하여 다수의 격벽(5)(6)을 갖는 용기 몸체(1) 상단부에 인접한 외측 둘레에 용기뚜껑의 테두리 내측 걸림홈과 결합되도록 결합돌기(3)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결합돌기(3) 하부에 뚜껑의 테두리 하단에 구비된 통상의 밀봉탭과 밀착 대응되는 플랜지(2)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 몸체(1)의 상단부와 결합돌기(3)를 수용하는 결합홈(16)과 걸림홈(17)을 둘레 내측에 형성하도록 만곡부(11)와 단턱부(12)가 둘레에 연속하여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12) 내측의 걸림턱(13)과 하부의 밀봉 탭(14)이 용기 몸체(1)의 결합돌기(3) 하부와 플랜지(2)에 접촉하여 탄력적으로 고정되게 용기 뚜껑(10)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격실을 갖는 식품 용기.
  2. 삭제
  3. 삭제
KR2020090008646U 2009-07-03 2009-07-03 복수의 격실을 갖는 식품 용기 KR2004494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646U KR200449423Y1 (ko) 2009-07-03 2009-07-03 복수의 격실을 갖는 식품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8646U KR200449423Y1 (ko) 2009-07-03 2009-07-03 복수의 격실을 갖는 식품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9423Y1 true KR200449423Y1 (ko) 2010-07-08

Family

ID=44242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8646U KR200449423Y1 (ko) 2009-07-03 2009-07-03 복수의 격실을 갖는 식품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94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685Y1 (ko) 2012-01-20 2013-08-29 이상민 다기능 용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405A (ko) * 2000-10-20 2004-01-24 레이오백 코포레이션 전기화학 셀의 충전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40020169A (ko) * 2002-08-29 2004-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KR200407405Y1 (ko) 2005-11-11 2006-01-31 남한우 봉인 기능을 갖춘 식품 용기
KR20060056592A (ko) * 2004-11-22 2006-05-25 이재봉 재활용을 고려한 결합부를 갖는 페트병
KR200420169Y1 (ko) 2006-04-18 2006-06-28 (주) 에이텍 포장 용기 구조
JP2009083862A (ja) 2007-09-28 2009-04-23 Yoshino Kogyosho Co Ltd キャップ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7405A (ko) * 2000-10-20 2004-01-24 레이오백 코포레이션 전기화학 셀의 충전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40020169A (ko) * 2002-08-29 2004-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렌지
KR20060056592A (ko) * 2004-11-22 2006-05-25 이재봉 재활용을 고려한 결합부를 갖는 페트병
KR200407405Y1 (ko) 2005-11-11 2006-01-31 남한우 봉인 기능을 갖춘 식품 용기
KR200420169Y1 (ko) 2006-04-18 2006-06-28 (주) 에이텍 포장 용기 구조
JP2009083862A (ja) 2007-09-28 2009-04-23 Yoshino Kogyosho Co Ltd キャッ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8685Y1 (ko) 2012-01-20 2013-08-29 이상민 다기능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81465B1 (en) Detachable sealable lid, container comprising the same and sealing ring for use with the lid
KR101390289B1 (ko)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US9567141B2 (en) Container with a child-proof lock
US20060124648A1 (en) Storage container assembly
KR101417382B1 (ko) 용기
KR200449423Y1 (ko) 복수의 격실을 갖는 식품 용기
KR101651929B1 (ko)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일체형 병마개
KR200469862Y1 (ko) 적층형 보관용기
KR101682293B1 (ko) 이물질의 끼임 방지와 다단적층이 가능한 밀폐용기
KR100673997B1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KR101786163B1 (ko) 식품 저장용 밀폐용기
KR20170140986A (ko) 용기구조체
KR20060119361A (ko) 밀폐용기의 2단 잠금장치
KR20160048635A (ko) 밀폐 용기
KR200406737Y1 (ko) 포장용 에어캡 백
KR200422468Y1 (ko) 자기재 용기의 밀폐구조
KR100828907B1 (ko) 일체형 밀폐 용기뚜껑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JP2007045495A (ja) 薄肉合成樹脂製の包装容器
KR200402818Y1 (ko) 간편 개폐 구조를 갖춘 액체 저장 용기
KR101552621B1 (ko) 통풍구조를 갖는 투명한 덮개사용 과일 포장용기
KR101479649B1 (ko) 식품 실링 포장용 락 용기
US20230129226A1 (en) Stackable Bottle
KR200447297Y1 (ko) 음식물 보관용기
KR200385832Y1 (ko) 실링지를 이용한 식품보관용 밀폐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