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6592A - 재활용을 고려한 결합부를 갖는 페트병 - Google Patents

재활용을 고려한 결합부를 갖는 페트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6592A
KR20060056592A KR1020040095740A KR20040095740A KR20060056592A KR 20060056592 A KR20060056592 A KR 20060056592A KR 1020040095740 A KR1020040095740 A KR 1020040095740A KR 20040095740 A KR20040095740 A KR 20040095740A KR 20060056592 A KR20060056592 A KR 20060056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t bottle
pet
bottles
neck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5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봉
Original Assignee
이재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봉 filed Critical 이재봉
Priority to KR1020040095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56592A/ko
Publication of KR20060056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65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4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and joined together by interconnecting formation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e.g. dove-tail, snap connections, hook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7Containers with a closure presenting stack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3Closed containers provided with local cooperating elements i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e.g. projection and recess
    • B65D21/0231Bottles, canisters or jars whereby the neck or handle project into a cooperating cavity in the bott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을 고려한 결합부를 갖는 페트병(PET bottle)에 관한 것으로, 외면에 나사가 가공되고 양면이 개방된 원통형 목부(12)와, 상기 목부(12)의 하부에 접합되거나 상기 목부(12)의 하부로부터 연장된 몸통부(13)와, 상기 몸통부(13)로부터 연장된 바닥부(14)로 이루어진 페트병(10)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4)에는 상기 목부(12)와 나사결합이 가능하게 내면에 나사가 가공되고 일측이 개방된 원통형 연결구(20)가 상기 페트병(10)의 내부를 향하도록 접합되어 있고, 상기 몸통부(13)에는 적어도 2개의 장부홈(15) 또는 장부촉(1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ET병, 페트병, 재활용, 환경오염

Description

재활용을 고려한 결합부를 갖는 페트병{PET bottle with connection joint considering recycl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페트병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트병의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페트병을 상하좌우로 연결시킨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페트병과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트병을 서로 연결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페트병을 서로 수직하게 연결시킨 상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페트병 12 : 목부
13 : 몸통부 14 : 바닥부
15 : 장부홈 16 : 장부촉
20 : 연결구 30 : 장부촉을 갖는 길이재
40 : 뚜껑
본 발명은 페트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수, 생수, 맥주, 장류 또는 세제류 등을 저장하는 페트병에 결합부를 마련하여 사용 후 버려지는 페트병을 다양한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재활용을 고려한 결합부를 갖는 페트병에 관한 것이다.
페트병(PET bottle, Poly-ethylene terephthalate bottle)는 강도, 투명성, 위생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한 제품으로 호평 받고 있으며, 청량음료, 생수병, 주류병, 장류 및 세제용기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우리 생활과 아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그 수요량이 날로 늘어나고 있다. 페트병은 특유의 무독성, 투명성, 보전성, 내약품성을 인정받아 국내외에서 유리 및 알루미늄 캔 대체용기로써 널리 각광을 받고 있으며 특히, 환경호르몬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명된 우수한 제품이다.
페트병은, 고온(86~91℃)의 내용물을 담는 용기로서 목부분이 결정화되어 있으며, 몸통부에 판넬이 있어 병의 변형을 막아 주며, 주로 과실음료, 스포츠용 이온음료, 커피 등 고온으로 살균되는 음료의 용기로 사용되는 내열병과, 탄산가스가 포함된 청량음료를 담는 용기로서 통상적으로 4Volume 이상의 CO2가 필링되므로, 외부온도의 상승에 따라 부피가 팽창되면서 병의 외형이 변하기 쉬우므로 이를 방지 하기 위하여 유선형의 몸체를 이루며, 바닥부의 중앙으로 모아지는 Foot가 있는 내압병과, 후살균(65℃) 처리를 요하는 저탄산음료를 담는 용기로서 내압과 내열성능을 동시에 보유하여야 하는 높은 기능성이 요구되는 용기로 탄산과즙음료나 우유탄산음료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내열압병과, 일반적인 압력과 온도의 내용물을 담는 용기로 주로 생수, 간장, 식초 등의 식품용기, 소주, 탁주 등을 담는 상압병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페트병는 저장된 내용물을 섭취하거나 내용물을 다 사용한 후에는 쓰레기로 버려지는데, 그 일부는 회수되어 재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가정에서 발생되는 폐페트병는 성상, 재질등이 다양해 분류하기가 까다로우므로 재활용율은 극히 낮고 대부분은 무단으로 버려지므로 페트병로 인한 환경오염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페트병로 인한 환경오염문제를 고려하여 창안된 것으로, 마구 버려지는 페트병을 다양한 용도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페트병의 사시도와 단면도이고, 도 3,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트병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두 가지 실시예의 차이점은 페트병의 몸통부(13)에 형성되는 연결요소가 일실시예의 경우 장부홈(15)인 반면, 다른 실시예는 장부촉(16)인 점에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에 따른 페트병는, 외면에 나사가 가공되고 양면이 개방된 원통형 목부(12)와, 상기 목부(12)의 하부에 접합되거나 상기 목부(12)의 하부로부터 연장된 몸통부(13)와, 상기 몸통부(13)로부터 연장된 바닥부(14)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부(14)에는 상기 목부(12)와 나사결합이 가능하게 내면에 나사가 가공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 연결구(20)가 상기 페트병의 내부를 향하도록 접합되어 있다.
이때, 페트병(10)의 형상이나 단면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것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내열병, 내압병, 내열압병, 상압병을 모두 포함한다. 내열병의 경우, 목부(12)가 결정화되어 있으므로 목부(12)는 몸통부(13)와 용접되어 있으며, 내압병, 내열압병 및 상압병의 경우 목부(12)와 몸통부(1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바닥부(14)에 접합된 원통형 연결구(20)는 일측만이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페트병(10)를 상하로 연결시켜 재활용하고자 할 경우, 페트병(10)이 서로 연통되도록 막힌 일면을 절개하여 구멍을 형성시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페트병(10)를 나란히 즉, 병렬로 서로 연결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몸통부(13)에는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2개의 장부홈(15)을 더 형 성한다. 이 장부홈(15)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장부촉(32, 32')을 갖는 길이재(30)를 삽입시킴으로서 페트병(10)들을 서로 병렬로 연결시키게 된다.
또한, 페트병(10)의 몸통부(13)에 다른 페트병(10)이 수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몸통부(13)의 소정 위치에는, 바닥부(14)에 접합된 연결구(20)와 동일하게, 내면에 나사가 가공되고 일면은 막힌 원통형 연결구(20)가 접합된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트병을 도시하고 있는 사시도이고, 도 4는 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페트병(10)는, 외면에 나사가 가공되고 양면이 개방된 원통형 목부(12)와, 상기 목부(12)의 하부에 접합되거나 상기 목부(12)의 하부로부터 연장된 몸통부(13)와, 상기 몸통부(13)로부터 연장된 바닥부(14)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부(14)에는 상기 목부(12)와 나사결합이 가능하게 내면에 나사가 가공되고 일측이 개방되어 있는 원통형 연결구(20)가 상기 페트병(10)의 내부를 향하도록 접합되어 있다.
이때, 몸통부(13)에는 상기한 실시예와 반대로 적어도 2개의 장부촉(16)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장부홈(15)이 형성된 페트병과 함께 사용할 경우 별도의 길이재(30)가 없이도 페트병을 서로 병렬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페트병의 몸통부(13)에 다른 페트병이 수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몸통부(13)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바닥부(14)에 접합된 연결구(20)와 동일하게, 내면에 나사가 가공되고 일면은 막힌 원통형 연결구(20)가 접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페트병의 사용방법을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 펴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페트병을 상하좌우로 서로 연결시킨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페트병을 서로 상하 즉, 길이방향으로 연결할 경우 위에 놓인 페트병의 바닥부(14)에 접합된 연결구(20)에 아래에 위치한 페트병의 목부(12)를 나사결합하면 된다. 이때, 상하로 연결된 페트병을 서로 연통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막힌 일측에 구멍을 뚫인 후 결합시키면 위, 아래에 위치한 페트병을 서로 연통시킬 수 있다.
한편, 페트병을 서로 좌우 즉, 나란하게 병렬로 연결시킬 경우, 일실시예에 따른 페트병의 경우 페트병의 몸통부(13)에 형성된 장부홈(15)을 서로 일치시킨 후 장부홈(15)에 장부촉(32, 32')이 형성된 길이재(30)를 삽입시켜 결합시키면 되고,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부촉(16)이 형성된 페트병과 병용할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부촉(16)을 장부홈(15)에 끼우면 된다.
도 7은 페트병의 몸통부(13)에 다른 페트병이 수직으로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페트병의 몸통부(13)에 접합된 연결구(20)에 다른 페트병의 목부(12)를 나사결합시키면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페트병들은 상하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결합이 가능하므로 용도에 따라 다양한 구조를 만들 수 있다. 페트병을 서로 상하로 연결한 경우, 배수로, 농업용 파이프 보온용, 처마 홈통 등으로 이용할 수 있고, 서로 병렬로 연결하고 용기의 내부에 물이나 모래를 채워 간이 흙막이 벽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재활용되지 않고 마구 버려지는 페트병을 다양한 용도로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버려지는 페트병을 처리하기 위해 소요되는 소각비용이나 쓰레기 처리문제를 크게 줄여 환경문제를 해결하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특허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어떠한 수정이나 변형도 포함할 것이다.

Claims (4)

  1. 외면에 나사가 가공되고 양면이 개방된 원통형 목부(12)와, 상기 목부(12)의 하부에 접합되거나 상기 목부(12)의 하부로부터 연장된 몸통부(13)와, 상기 몸통부(13)로부터 연장된 바닥부(14)로 이루어진 페트병(10)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4)에는 상기 목부(12)와 나사결합이 가능하게 내면에 나사가 가공되고 일면이 개방된 원통형 연결구(20)가 상기 페트병의 내부를 향하도록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을 고려한 결합부를 갖는 페트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13)에는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2개의 장부홈(15)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을 고려한 결합부를 갖는 페트병.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13)에는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2개의 장부촉(16)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을 고려한 결합부를 갖는 페트병.
  4. 제 1 항 내지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13)의 소정 위치에는 내면에 나사가 가공되고 일면이 개방된 원통형 연결구(20)가 더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을 고려한 결합부 를 갖는 페트병.
KR1020040095740A 2004-11-22 2004-11-22 재활용을 고려한 결합부를 갖는 페트병 KR200600565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740A KR20060056592A (ko) 2004-11-22 2004-11-22 재활용을 고려한 결합부를 갖는 페트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5740A KR20060056592A (ko) 2004-11-22 2004-11-22 재활용을 고려한 결합부를 갖는 페트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6592A true KR20060056592A (ko) 2006-05-25

Family

ID=37152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5740A KR20060056592A (ko) 2004-11-22 2004-11-22 재활용을 고려한 결합부를 갖는 페트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56592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423Y1 (ko) * 2009-07-03 2010-07-08 동아정밀공업(주) 복수의 격실을 갖는 식품 용기
WO2012139432A1 (zh) * 2011-04-12 2012-10-18 Wang Haifeng 可组装式塑料瓶和塑料瓶组合体
CN105129199A (zh) * 2015-09-30 2015-12-09 彭维勇 多用途液体容器
WO2016156101A1 (en) * 2015-04-01 2016-10-06 Syngenta Participations Ag Chemical storage and shipping systems
RU191223U1 (ru) * 2019-01-10 2019-07-30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Военно-промышленная корпорация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Канистра
KR102200048B1 (ko) * 2020-02-07 2021-01-08 에코그린 (주) 적층이 용이한 음식물 저장용기
KR20220053411A (ko) 2020-10-22 2022-04-2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페트병을 이용한 조적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423Y1 (ko) * 2009-07-03 2010-07-08 동아정밀공업(주) 복수의 격실을 갖는 식품 용기
WO2012139432A1 (zh) * 2011-04-12 2012-10-18 Wang Haifeng 可组装式塑料瓶和塑料瓶组合体
WO2016156101A1 (en) * 2015-04-01 2016-10-06 Syngenta Participations Ag Chemical storage and shipping systems
CN105129199A (zh) * 2015-09-30 2015-12-09 彭维勇 多用途液体容器
RU191223U1 (ru) * 2019-01-10 2019-07-30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Военно-промышленная корпорация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Канистра
KR102200048B1 (ko) * 2020-02-07 2021-01-08 에코그린 (주) 적층이 용이한 음식물 저장용기
KR20220053411A (ko) 2020-10-22 2022-04-29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페트병을 이용한 조적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6529B2 (en) Channel features for pressurized bottle
US8640900B2 (en) Plastic container having reinforced gripping structure
WO2004037658A1 (ja) 合成樹脂製ボトル型容器
EP2013092A1 (en) Plastic bottle
KR20060056592A (ko) 재활용을 고려한 결합부를 갖는 페트병
US20100059532A1 (en) Plastic Container Having Reinforced Gripping Structure
KR102121372B1 (ko) 다용도의 블록형 패트병
US20110089136A1 (en) Fruit holder
ITPG950017U1 (it) Bottiglia modulare
US2362223A (en) Liquid container with receptacle for refrigerant
KR200354678Y1 (ko) 다종 음료보관용 캔
CN102211683B (zh) 可任意连接成多层结构的饮料瓶
KR200290667Y1 (ko) 음료용 캔
KR970003105Y1 (ko) 맥주 용기
GB2403202A (en) Bottle having a drinking cup
KR200363597Y1 (ko) 이병
KR200200588Y1 (ko) 열기 쉬운 pet 병마개
CN202115792U (zh) 可任意连接成多层结构的饮料瓶
KR20040050367A (ko) 접을 수 있는 음료수 병
KR200392841Y1 (ko) 음료용 플라스틱 용기
KR200263491Y1 (ko) 조립식 음료수 병
KR200305497Y1 (ko) 음료수 병
KR200228701Y1 (ko) 음료 저장용 병의 마개 컵 및 분할 저장 장치
KR200292611Y1 (ko) 쉽게 접을 수 있도록 된 음료수 병
KR200263944Y1 (ko) 식음료 용기의 수납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