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0367A - 접을 수 있는 음료수 병 - Google Patents

접을 수 있는 음료수 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0367A
KR20040050367A KR1020020078182A KR20020078182A KR20040050367A KR 20040050367 A KR20040050367 A KR 20040050367A KR 1020020078182 A KR1020020078182 A KR 1020020078182A KR 20020078182 A KR20020078182 A KR 20020078182A KR 20040050367 A KR20040050367 A KR 20040050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member
beverage
folded
space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8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철
Original Assignee
정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철 filed Critical 정인철
Priority to KR1020020078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0367A/ko
Priority to AU2003282418A priority patent/AU2003282418A1/en
Priority to PCT/KR2003/002515 priority patent/WO2004052732A1/en
Publication of KR20040050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036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6Collapsible or telescopic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92Foldable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3Closed containers provided with local cooperating elements i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e.g. projection and recess
    • B65D21/0231Bottles, canisters or jars whereby the neck or handle project into a cooperating cavity in the bott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을 수 있는 음료수 병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음료수를 충진할 수 있는 공간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이 공간부(11)로 음료수를 주입하고, 주입된 음료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개구된 주입구(12)가 형성된 몸체부재(10)와, 상기 몸체부재(10)의 주입구(12)에 결합되어 주입구(12)를 개방, 밀폐시키는 뚜껑부재(2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10)는 상부의 단면적이 하부의 단면적에 비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서 상부까지 일정폭을 가지고 내향, 외향으로 반복하여 접히는 절첩부(13)가 형성되어, 공간부(11)에 충진된 음료수를 다 마신 빈 몸체부재(10)를 가지는 음료수 병(1)의 상부를 가압하면, 이 몸체부재(10)의 절첩부(13)가 상부에서 하부로 내향, 외향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접히면서 그 높이가 낮아지고, 크기가 작아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몸체부재(10)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대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절첩부(13)가 몸체부재(10)의 하부 내측으로 들어가면서 접히게 되어 접히는 절첩부(13)가 몸체부재(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어 접힌 상태의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인 음료수 병(1)은 공간부(11)에 충진된 음료수를 다 마신 후 용이하게 접어 적층시켜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관 및 폐기 처리시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며, 빈 음료수 병(1)의 운반도 편리하게 하여 빈 음료수 병(1)의 회수율이 증대되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수거된 빈 음료수 병(1)은 재활용되므로 경제성이 증대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소비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자연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접을 수 있는 음료수 병{Folding drink water bottle}
본 발명은 음료수 병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음료수를 마시고 난 빈 음료수 병을 접어서 그 크기를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하여, 빈 음료수 병의 보관공간을 적게하고, 폐음료수 병의 폐기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기는 알루미늄 또는 스틸재의 캔을 비롯하여, 합성수지재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재질의 P.E.T(Polyethylenterphalate)병, 유리로 만들어진 유리병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근래에는 많은 양의 음료를 충진하는 음료용기로 가볍고, 제조가 용이한 P.E.T 병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P.E.T 병은 특유의 무독성, 투명성, 보전성, 내약품성을 인정받아 국내외에서 유리 및 알미늄 캔 대체용기로써 널리 각광을 받고 있으며 특히, 환경호르몬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어 그 사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 P.E.T 병은 재활용이 가능하여, 가정내에서 모아서 별도로 보관한 뒤 적절한 시기에 분리수거 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합성수지 계통의 P.E.T 병은 안에 충진된음료수를 다 마신 후 가정에서 별도로 일정기간동안 모아진 다음 처리되므로, 많은 수의 병이 모이면 그 부피가 크게 되어 보관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각 가정에서 사용된 P.E.T 병을 수거할 경우에도 분리수거하는 운반차량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그 운반이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수지재질의 음료수 병의 몸체부재에 수평접음선을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하여, 이 수평접음선으로 인하여 빈 음료수 병의 몸체부재를 접을 수 있어 분리수거를 위해 보관시 보관공간을 적게하고, 다수의 음료수 병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운반할 수 있어 운송비용을 절감하고, 운송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음료수 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기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기본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인 음료수 병이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인 음료수 병이 접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음료수 병10 - 몸체부재
11 - 공간부12 - 주입구
13 - 절첩부14 - 외향절첩선
15 - 내향절첩선16 - 삽입홈
20 - 뚜껑부재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음료수를 충진할 수 있는 공간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이 공간부(11)로 음료수를 주입하고, 주입된 음료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개구된 주입구(12)가 형성된 몸체부재(10)와;
상기 몸체부재(10)의 주입구(12)에 결합되어 주입구(12)를 개방, 밀폐시키는 뚜껑부재(2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10)는 상부의 단면적이 하부의 단면적에 비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서 상부까지 일정폭을 가지고 내향, 외향으로 반복하여 접히는 절첩부(13)가 형성되므로서 달성된다.
즉, 몸체부재(10)의 공간부(11)에 충진된 음료수를 다 마신 후 상부를 가압하여 누르면, 상부에서 하부로 절첩부(13)가 내향, 외향으로 반복되어 접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몸체부재(10)가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큰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절첩부(13)가 몸체부재(10)의 측면 내부로 들어가면서 접히게 되어 접힌 절첩부(13)가 몸체부재(10)의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기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몸체부재가 접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기본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몸체부재가 접히지 않은 상태이며, 하부에는 몸체부재의 주입구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은 본 발명인 음료수 병이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인 음료수 병이 접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절첩부가 몸체부재의 외측면 내부로 들어가면서 접힌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접힌 상태의 음료수 병이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접힌 상태의 음료수 병이 하부에 형성된 삽입구에 주입구가 삽입되면서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 ∼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음료수 병(1)의몸체부재(10)는 내부에 음료수를 저장할 있는 공간부(11)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외측면에 나선형돌기가 돌출되고, 개구된 주입구(12)가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후술될 뚜껑부재(2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주입구(12)는 몸체부재(10)의 공간부(11)에 연계되어, 이 공간부(11)에 음료수를 주입하여 충전할 수 있고, 충전된 음료수를 배출하여 사용자가 마실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재(10)는 합성수지재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재질의 P.E.T(Polyethylenterphalate)병로 이루어지며, 이 P.E.T병은 무독성, 투명성, 보전성, 내약품성을 가져 인체에 무해하고 성형이 용이한 특징이 있으며, 특히 환경호르몬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명된 것이다.
또, 상기 몸체부재(10)는 상부의 단면적이 하부의 단면적에 비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까지 일정폭을 가지고 내향, 외향으로 반복하여 접히는 절첩부(13)가 형성되고, 이 각 절첩부(13) 사이에는 외향절첩선(14)과 내향절첩선(15)을 반복하여 형성시켜 상기 절첩부(13)가 용이하게 내, 외향을 반복하여 접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도 3 ∼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부(11)에 충진된 음료수를 다 마신 빈 몸체부재(10)를 가지는 음료수 병(1)의 상부를 가압하면, 이 몸체부재(10)의 절첩부(13)가 상부에서 하부로 내향, 외향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접히면서 그 높이가 낮아지고, 크기가 작아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몸체부재(10)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대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절첩부(13)가 몸체부재(10)의 하부 내측으로 들어가면서 접히게 되어 접히는 절첩부(13)가 몸체부재(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어 접힌 상태의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절첩부(13)가 일정폭을 가지고 형성되므로, 접힌상태의 몸체부의 상부면이 평편하게 이루어 지므로, 다수의 빈 몸체부재(10)를 접어 적층시켜 보관공간을 최소화하고, 운반 및 수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몸체부재(10)의 주입구(12)에는 뚜껑부재(20)가 결합되어 주입구(12)를 개방, 밀폐시키며, 이 뚜껑부재(20)의 외측부 내측면에는 상기 결합부의 나선형돌기에 나사결합되는 나선형홈이 형성되어, 뚜껑부재(20)를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여 몸체부 내의 공간부(11)에 충진된 음료수가 남을 경우 용이하게 밀폐시켜 저장 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재(10)의 하부면에는 주입구(12)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홈(16)이 형성된다.
즉, 상기 몸체부재(10)가 빈 상태로 접혀질 경우 주입구(12)가 접혀진 상태의 몸체부재(10) 상부로 일정높이로 돌출되어, 접혀진 빈 몸체부재(10)를 적층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도 5 ∼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접혀진 빈 몸체부재(10)를 적층시킬 경우 돌출되는 주입구(12)가 상기 삽입홈(16)에 삽입되어 용이하게 적층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접혀지는 본 발명인 음료수 병(1)은 일정수량이 모아지면, 적층시키면 가정내에서 빈 음료수 병(1)의 보관 공간도 적게되고, 보관시 미관으로도 좋고, 운반시 운반공간 및 쓰레기장의 폐기공간도 적게되어 보관 및 폐기처리시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인 음료수 병은 공간부에 충진된 음료수를 다 마신 후 용이하게 접어 적층시켜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관 및 폐기 처리시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며, 빈 음료수 병의 운반도 편리하게 하여 빈 음료수 병의 회수율이 증대되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수거된 빈 음료수 병은 재활용되므로 경제성이 증대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소비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자연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내부에 음료수를 충진할 수 있는 공간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이 공간부(11)로 음료수를 주입하고, 주입된 음료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개구된 주입구(12)가 형성된 몸체부재(10)와;
    상기 몸체부재(10)의 주입구(12)에 결합되어 주입구(12)를 개방, 밀폐시키는 뚜껑부재(2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10)는 상부의 단면적이 하부의 단면적에 비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서 상부까지 일정폭을 가지고 내향, 외향으로 반복하여 접히는 절첩부(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는 음료수 병.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10)의 하부면에는 주입구(12)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홈(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는 음료수 병.
KR1020020078182A 2002-12-10 2002-12-10 접을 수 있는 음료수 병 KR2004005036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182A KR20040050367A (ko) 2002-12-10 2002-12-10 접을 수 있는 음료수 병
AU2003282418A AU2003282418A1 (en) 2002-12-10 2003-11-20 Foldable bottle for beverages
PCT/KR2003/002515 WO2004052732A1 (en) 2002-12-10 2003-11-20 Foldable bottle for beverag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8182A KR20040050367A (ko) 2002-12-10 2002-12-10 접을 수 있는 음료수 병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855U Division KR200305636Y1 (ko) 2002-12-10 2002-12-10 접을 수 있는 음료수 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0367A true KR20040050367A (ko) 2004-06-16

Family

ID=32501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8182A KR20040050367A (ko) 2002-12-10 2002-12-10 접을 수 있는 음료수 병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40050367A (ko)
AU (1) AU2003282418A1 (ko)
WO (1) WO20040527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55675B2 (ja) * 2012-12-27 2016-12-2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ボトル
EP3583875A1 (en) 2013-02-05 2019-12-25 F.R.I.D.A. S.r.l. Table top espresso coffee machine with collapsible ribbed water container
ITBO20130297A1 (it) * 2013-06-13 2014-12-14 F R I D A S R L Contenitore di liquidi ad uso alimentare per distributori di bevande e distributore di bevande comprendente detto contenitore
CN103879624A (zh) * 2014-04-18 2014-06-25 贵州大学 一种压缩式溶液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0061Y1 (ko) * 1987-07-27 1990-10-31 진인주 너트 고정구를 이용한 은폐용 너트체결구
KR970049484U (ko) * 1996-01-25 1997-08-12 문정윤 수거가 용이한 1회용 음료수용기
KR19990022160U (ko) * 1999-03-09 1999-06-25 태유운 압축수거가능한합성수지용기
JP2001199443A (ja) * 2000-01-19 2001-07-24 Yoshino Kogyosho Co Ltd 縮減構造を有する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5564A (en) * 1985-03-11 1988-10-04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Collapsible-stable blown container
FR2778167B1 (fr) * 1998-04-29 2000-07-21 Alain Keribin Contenant repliable ou clipsable multi-volu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0061Y1 (ko) * 1987-07-27 1990-10-31 진인주 너트 고정구를 이용한 은폐용 너트체결구
KR970049484U (ko) * 1996-01-25 1997-08-12 문정윤 수거가 용이한 1회용 음료수용기
KR19990022160U (ko) * 1999-03-09 1999-06-25 태유운 압축수거가능한합성수지용기
JP2001199443A (ja) * 2000-01-19 2001-07-24 Yoshino Kogyosho Co Ltd 縮減構造を有する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82418A1 (en) 2004-06-30
WO2004052732A1 (en) 200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38520B2 (en) Container and vending machine
US5255808A (en) Foldable bottle
US10266298B2 (en) Container for product with thin wall
US20090166314A1 (en) Plastic bottle
US5353983A (en) Beverage container
JP3344501B2 (ja) ボトル状容器
KR102121372B1 (ko) 다용도의 블록형 패트병
KR20040050367A (ko) 접을 수 있는 음료수 병
KR200305636Y1 (ko) 접을 수 있는 음료수 병
US6142326A (en) Straw in a bottle
RU2028259C1 (ru) Упаковка для жидких или сыпучих продуктов
US11878849B2 (en) Injection molded polymeric biodegradable container
CN215624152U (zh) 一种新型饮水瓶
JPH06278744A (ja) 詰め替え用容器
KR20110124566A (ko) 결합이 가능한 음료용기
KR200305497Y1 (ko) 음료수 병
JP3848803B2 (ja) 容易に折り畳みが可能な中空容器
JPH1095440A (ja) プラスチック製袋体
KR100503278B1 (ko) 음료수 병
KR200407795Y1 (ko) 배달용 술병
KR200433697Y1 (ko) 다단으로 절첩이 가능한 페트병
JP4028216B2 (ja) 減容化可能なボトル
KR200346365Y1 (ko) 음료수용 접는 용기(폴리에틸렌 수지팩) fold case (polyethylene 수지)
KR200241870Y1 (ko) 부피 축소가 용이한 액체 수납용기
KR200225681Y1 (ko) 절첩식 음료수 페트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