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5636Y1 - 접을 수 있는 음료수 병 - Google Patents

접을 수 있는 음료수 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5636Y1
KR200305636Y1 KR20-2002-0036855U KR20020036855U KR200305636Y1 KR 200305636 Y1 KR200305636 Y1 KR 200305636Y1 KR 20020036855 U KR20020036855 U KR 20020036855U KR 200305636 Y1 KR200305636 Y1 KR 2003056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member
beverage
folded
space
beverage bo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68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철
Original Assignee
정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철 filed Critical 정인철
Priority to KR20-2002-00368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56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56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56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8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을 수 있는 음료수 병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음료수를 충진할 수 있는 공간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이 공간부(11)로 음료수를 주입하고, 주입된 음료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개구된 주입구(12)가 형성된 몸체부재(10)와, 상기 몸체부재(10)의 주입구(12)에 결합되어 주입구(12)를 개방, 밀폐시키는 뚜껑부재(2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10)는 상부의 단면적이 하부의 단면적에 비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서 상부까지 일정폭을 가지고 내향, 외향으로 반복하여 접히는 절첩부(13)가 형성되어, 공간부(11)에 충진된 음료수를 다 마신 빈 몸체부재(10)를 가지는 음료수 병(1)의 상부를 가압하면, 이 몸체부재(10)의 절첩부(13)가 상부에서 하부로 내향, 외향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접히면서 그 높이가 낮아지고, 크기가 작아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몸체부재(10)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대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절첩부(13)가 몸체부재(10)의 하부 내측으로 들어가면서 접히게 되어 접히는 절첩부(13)가 몸체부재(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어 접힌 상태의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인 음료수 병(1)은 공간부(11)에 충진된 음료수를 다 마신 후 용이하게 접어 적층시켜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관 및 폐기 처리시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며, 빈 음료수 병(1)의 운반도 편리하게 하여 빈 음료수 병(1)의 회수율이 증대되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수거된 빈 음료수 병(1)은 재활용되므로 경제성이 증대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소비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자연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접을 수 있는 음료수 병{Folding drink water bottle}
본 고안은 음료수 병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음료수를 마시고 난 빈 음료수 병을 접어서 그 크기를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하여, 빈 음료수 병의 보관공간을 적게하고, 폐음료수 병의 폐기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기는 알루미늄 또는 스틸재의 캔을 비롯하여, 합성수지재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재질의 P.E.T(Polyethylenterphalate)병, 유리로 만들어진 유리병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근래에는 많은 양의 음료를 충진하는 음료용기로 가볍고, 제조가 용이한 P.E.T 병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P.E.T 병은 특유의 무독성, 투명성, 보전성, 내약품성을 인정받아 국내외에서 유리 및 알미늄 캔 대체용기로써 널리 각광을 받고 있으며 특히, 환경호르몬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어 그 사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 P.E.T 병은 재활용이 가능하여, 가정내에서 모아서 별도로 보관한 뒤 적절한 시기에 분리수거 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합성수지 계통의 P.E.T 병은 안에 충진된음료수를 다 마신 후 가정에서 별도로 일정기간동안 모아진 다음 처리되므로, 많은 수의 병이 모이면 그 부피가 크게 되어 보관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각 가정에서 사용된 P.E.T 병을 수거할 경우에도 분리수거하는 운반차량의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그 운반이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합성수지재질의 음료수 병의 몸체부재에 수평접음선을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하여, 이 수평접음선으로 인하여 빈 음료수 병의 몸체부재를 접을 수 있어 분리수거를 위해 보관시 보관공간을 적게하고, 다수의 음료수 병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운반할 수 있어 운송비용을 절감하고, 운송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음료수 병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기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기본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인 음료수 병이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인 음료수 병이 접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음료수 병 10 - 몸체부재
11 - 공간부 12 - 주입구
13 - 절첩부 14 - 외향절첩선
15 - 내향절첩선 16 - 삽입홈
20 - 뚜껑부재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에 음료수를 충진할 수 있는 공간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이 공간부(11)로 음료수를 주입하고, 주입된 음료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개구된 주입구(12)가 형성된 몸체부재(10)와;
상기 몸체부재(10)의 주입구(12)에 결합되어 주입구(12)를 개방, 밀폐시키는 뚜껑부재(2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10)는 상부의 단면적이 하부의 단면적에 비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서 상부까지 일정폭을 가지고 내향, 외향으로 반복하여 접히는 절첩부(13)가 형성되므로서 달성된다.
즉, 몸체부재(10)의 공간부(11)에 충진된 음료수를 다 마신 후 상부를 가압하여 누르면, 상부에서 하부로 절첩부(13)가 내향, 외향으로 반복되어 접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몸체부재(10)가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큰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절첩부(13)가 몸체부재(10)의 측면 내부로 들어가면서 접히게 되어 접힌 절첩부(13)가 몸체부재(10)의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의 기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몸체부재가 접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본 고안의 기본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몸체부재가 접히지 않은 상태이며, 하부에는 몸체부재의 주입구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은 본 고안인 음료수 병이 접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고안인 음료수 병이 접힌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절첩부가 몸체부재의 외측면 내부로 들어가면서 접힌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5 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접힌 상태의 음료수 병이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 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접힌 상태의 음료수 병이 하부에 형성된 삽입구에 주입구가 삽입되면서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1 ∼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음료수 병(1)의몸체부재(10)는 내부에 음료수를 저장할 있는 공간부(11)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외측면에 나선형돌기가 돌출되고, 개구된 주입구(12)가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후술될 뚜껑부재(20)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주입구(12)는 몸체부재(10)의 공간부(11)에 연계되어, 이 공간부(11)에 음료수를 주입하여 충전할 수 있고, 충전된 음료수를 배출하여 사용자가 마실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재(10)는 합성수지재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재질의 P.E.T(Polyethylenterphalate)병로 이루어지며, 이 P.E.T병은 무독성, 투명성, 보전성, 내약품성을 가져 인체에 무해하고 성형이 용이한 특징이 있으며, 특히 환경호르몬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명된 것이다.
또, 상기 몸체부재(10)는 상부의 단면적이 하부의 단면적에 비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부에서 하부까지 일정폭을 가지고 내향, 외향으로 반복하여 접히는 절첩부(13)가 형성되고, 이 각 절첩부(13) 사이에는 외향절첩선(14)과 내향절첩선(15)을 반복하여 형성시켜 상기 절첩부(13)가 용이하게 내, 외향을 반복하여 접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도 3 ∼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부(11)에 충진된 음료수를 다 마신 빈 몸체부재(10)를 가지는 음료수 병(1)의 상부를 가압하면, 이 몸체부재(10)의 절첩부(13)가 상부에서 하부로 내향, 외향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접히면서 그 높이가 낮아지고, 크기가 작아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몸체부재(10)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적으로 증대되는 형상을 가지므로, 절첩부(13)가 몸체부재(10)의 하부 내측으로 들어가면서 접히게 되어 접히는 절첩부(13)가 몸체부재(1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어 접힌 상태의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절첩부(13)가 일정폭을 가지고 형성되므로, 접힌상태의 몸체부의 상부면이 평편하게 이루어 지므로, 다수의 빈 몸체부재(10)를 접어 적층시켜 보관공간을 최소화하고, 운반 및 수거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몸체부재(10)의 주입구(12)에는 뚜껑부재(20)가 결합되어 주입구(12)를 개방, 밀폐시키며, 이 뚜껑부재(20)의 외측부 내측면에는 상기 결합부의 나선형돌기에 나사결합되는 나선형홈이 형성되어, 뚜껑부재(20)를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여 몸체부 내의 공간부(11)에 충진된 음료수가 남을 경우 용이하게 밀폐시켜 저장 보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재(10)의 하부면에는 주입구(12)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홈(16)이 형성된다.
즉, 상기 몸체부재(10)가 빈 상태로 접혀질 경우 주입구(12)가 접혀진 상태의 몸체부재(10) 상부로 일정높이로 돌출되어, 접혀진 빈 몸체부재(10)를 적층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되므로, 도 5 ∼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접혀진 빈 몸체부재(10)를 적층시킬 경우 돌출되는 주입구(12)가 상기 삽입홈(16)에 삽입되어 용이하게 적층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접혀지는 본 고안인 음료수 병(1)은 일정수량이 모아지면, 적층시키면 가정내에서 빈 음료수 병(1)의 보관 공간도 적게되고, 보관시 미관으로도 좋고, 운반시 운반공간 및 쓰레기장의 폐기공간도 적게되어 보관 및 폐기처리시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본 고안인 음료수 병은 공간부에 충진된 음료수를 다 마신 후 용이하게 접어 적층시켜 보관할 수 있으므로, 보관 및 폐기 처리시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하며, 빈 음료수 병의 운반도 편리하게 하여 빈 음료수 병의 회수율이 증대되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수거된 빈 음료수 병은 재활용되므로 경제성이 증대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소비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자연환경을 보호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내부에 음료수를 충진할 수 있는 공간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이 공간부(11)로 음료수를 주입하고, 주입된 음료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개구된 주입구(12)가 형성된 몸체부재(10)와;
    상기 몸체부재(10)의 주입구(12)에 결합되어 주입구(12)를 개방, 밀폐시키는 뚜껑부재(20)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10)는 상부의 단면적이 하부의 단면적에 비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에서 상부까지 일정폭을 가지고 내향, 외향으로 반복하여 접히는 절첩부(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는 음료수 병.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10)의 하부면에는 주입구(12)를 삽입할 수 있는 삽입홈(1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을 수 있는 음료수 병.
KR20-2002-0036855U 2002-12-10 2002-12-10 접을 수 있는 음료수 병 KR2003056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855U KR200305636Y1 (ko) 2002-12-10 2002-12-10 접을 수 있는 음료수 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6855U KR200305636Y1 (ko) 2002-12-10 2002-12-10 접을 수 있는 음료수 병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8182A Division KR20040050367A (ko) 2002-12-10 2002-12-10 접을 수 있는 음료수 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5636Y1 true KR200305636Y1 (ko) 2003-03-03

Family

ID=49331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6855U KR200305636Y1 (ko) 2002-12-10 2002-12-10 접을 수 있는 음료수 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563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92092C (en) Containers for holding materials
US20020023930A1 (en) Synthetic resin liquid container
US5353983A (en) Beverage container
JP3344501B2 (ja) ボトル状容器
KR102121372B1 (ko) 다용도의 블록형 패트병
KR20040050367A (ko) 접을 수 있는 음료수 병
KR200305636Y1 (ko) 접을 수 있는 음료수 병
US6142326A (en) Straw in a bottle
RU2028259C1 (ru) Упаковка для жидких или сыпучих продуктов
KR200305497Y1 (ko) 음료수 병
KR100503278B1 (ko) 음료수 병
JP3848803B2 (ja) 容易に折り畳みが可能な中空容器
JP3889548B2 (ja) 極薄肉の中空容器
KR200241870Y1 (ko) 부피 축소가 용이한 액체 수납용기
JP4028216B2 (ja) 減容化可能なボトル
KR20110124566A (ko) 결합이 가능한 음료용기
KR200407795Y1 (ko) 배달용 술병
KR200346365Y1 (ko) 음료수용 접는 용기(폴리에틸렌 수지팩) fold case (polyethylene 수지)
JPH1095440A (ja) プラスチック製袋体
KR200433697Y1 (ko) 다단으로 절첩이 가능한 페트병
KR200225681Y1 (ko) 절첩식 음료수 페트병
US20030006240A1 (en) Synthetic resin liquid container
KR200292611Y1 (ko) 쉽게 접을 수 있도록 된 음료수 병
KR200215422Y1 (ko) 신축 자재의 액체 용기
KR200354678Y1 (ko) 다종 음료보관용 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