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4566A - 결합이 가능한 음료용기 - Google Patents

결합이 가능한 음료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4566A
KR20110124566A KR1020100044025A KR20100044025A KR20110124566A KR 20110124566 A KR20110124566 A KR 20110124566A KR 1020100044025 A KR1020100044025 A KR 1020100044025A KR 20100044025 A KR20100044025 A KR 20100044025A KR 20110124566 A KR20110124566 A KR 20110124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container
outlet
beverage
bevera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김우찬
Original Assignee
김영식
김우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식, 김우찬 filed Critical 김영식
Priority to KR1020100044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4566A/ko
Publication of KR20110124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45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61Modular elements with complementary shapes, interengageable par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B65D21/0204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and joined together by interconnecting formation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 e.g. dove-tail, snap connections, hook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3Closed containers provided with local cooperating elements i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e.g. projection and recess
    • B65D21/0231Bottles, canisters or jars whereby the neck or handle project into a cooperating cavity in the bott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각종 음료를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구비되고, 이 내부공간의 일측에 상기 음료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일측 단부에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출구가 구비되며, 이 출구를 수용하며 상기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뚜껑이 구비된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의 외부면에 형성된 돌출 돌기와 상기 돌출돌기가 안착할 수 있도록 대응되어 삽입홈이 형성되어, 음료용기를 수직 혹은 수평으로 적층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사용 후 어린이에게 유해하지 않은 완구로 제공이 가능하며, 여러 형태의 유아용 조립 블럭 완구로 활용이 가능해 다양한 형상으로 조립하여 지능을 개발할 수 있고, 재활용에 대한 교육이 가능한 결합이 가능한 음료용기를 제시한다.

Description

결합이 가능한 음료용기{Beverage containers can be combined}
본 발명은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 등의 내용물을 간편하게 저장하는 음료용기에 돌출돌기와 삽입홈을 형성하여 여러 형태로 조립할 수 있는 결합이 가능한 음료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기는, 과일쥬스, 탄산음료, 커피음료, 이온음료 및 스포츠음료 등 다양한 음료수 또는 생수 등을 담는 포장용기로, 이는 음료수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제작되며, 상기의 음료수를 담는 용기는 유리병이나 알루미늄 캔 및 플라스틱 용기로 제작되어 내부에 음료수를 저장하여 이동되거나 판매됨으로서, 우리 생활과 아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그 수요량이 날로 늘어나고 있는 제품이다.
상기와 같은 제품중에 플라스틱 용기는, 세계적인 추세인 소재의 경량화 및 소비자의 편의에 따라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이하 "PET"라 함)병이 개발되었고, 이는 내용물의 보존성과 안정성 및 경량성 등에서 타재질의 플라스틱 용기에 비해 우수한 특성을 지니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 포장용기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PET병은 콜라와 사이다 등과 같은 탄산개스가 함유된 음료수를 포장하는 PR(Pressure Resistance)병이 있고, 암바사와 매쉬 등과 같이 살균을 요하는 음료수를 포장하는 HPR(Heat Pressure Resistance)병이 있으며, 하이-C와 파워에이드 같은 고온의 살균처리가 필요한 음료수를 포장하는 HR(Heat Pressure)병이 있고, 생수와 소주병같이 열처리와 압력이 필요치 않은 음료수를 포장하는 NR(Non Pressure Resistance)병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PET병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음료와 주류같은 내용물을 보관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 상기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출구가 형성되며, 이 출구의 테두리에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출구를 수용하며 테두리에 상기 나사산과 대응하게 나사산이 형성되어 결합되는 뚜껑이 구비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PET병은, 1차원적으로 음료를 담는 용기로만 활용하거나 여타 용도로의 활용이 저조한 단점이 있다.
또한, PET병은 사용량이 많은 반면에 자연분해되지 않아 매립해도 오랫동안 썩지 않고 그대로 남아있게 된다. 소각시에는 완전연소가 어렵고 유독가스를 발생시키며 소각 후에도 중금속의 잔재가 남기 때문에 단순 매립할 경우 2차적인 환경오염을 일으키게 된다. 그러므로 PET병의 처리는 재활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지만, 분리 배출되는 PET병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선별, 분리, 세척, 분쇄, 압축 등의 복잡한 과정을 거쳐야 함으로 종래의 처리비용이 날로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음료용기를 다양한 형태로 적층할 수 있도록 한 음료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각종 음료를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구비되고, 이 내부공간의 일측에 상기 음료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일측 단부에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테두리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출구가 구비되며, 이 출구를 수용하며 상기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뚜껑이 구비된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의 외부면에 돌출 돌기와 삽입홈이 형성되고, 음료용기를 수직 혹은 수평으로 적층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돌기는 외부로 돌출되어 구배가 형성된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돌출돌기가 안착할수 있도록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결합이 가능한 음료용기는 사용후 재활용 쓰레기를 원천적으로 줄이고, 자원과 에너지를 절약함으로써 환경오염의 감소와 경제적 이익을 가져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합이 가능한 음료용기는 사용 후 어린이에게 유해하지 않은 완구로 제공이 가능하며, 여러 형태의 유아용 조립 블럭 완구로 활용이 가능해 다양한 형상으로 조립하여 지능을 개발할 수 있고, 재활용에 대한 교육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결합이 가능한 음료용기는 전시 판매장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전시를 할수 있게 됨으로서 소비자의 시선을 끌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내부에 물이나 모래를 충진하여 실생활에서 여러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음료용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음료용기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음료용기의 수직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음료용기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4의 직선 A-A'를 포함한 수직단면도
도 6은 도 4의 직선 A-A'를 포함한 수평단면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결합이 가능한 음료용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접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수 중 관련된 구성요수는 동일 또는 연장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음료용기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각종 음료를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10)이 구비되고, 이 내부공간(10)의 일측에 상기 음료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일측 단부에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테두리에 나사산(12)이 형성되는 출구(11)가 구비되며, 이 출구(11)를 수용하며 상기 나사산(12)과 대응하는 나사산(13)이 형성되는 뚜껑(14)이 구비된 음료용기(100)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100)의 외부면에 돌출돌기(20)와 삽입홈(30)이 형성되어, 상기 음료용기(100)의 돌출돌기(20)가 하부나 측면에 결합되는 음료용기(100')의 삽입홈(30')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음료용기(100)를 수직 혹은 수평으로 적층되게 하는 구비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돌출돌기(20)는 외부로 돌출되어 구배가 형성된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30)은 상기 돌출돌기가(20) 안착할 수 있도록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뚜껑(14)은 돌출돌기(20)와 대응하여 같은 구배가 형성된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홈(30)에 끼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작 및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PET병의 원료인 레진을 배합하여 건조시키고, 건조된 레진을 인젝션 머신에서 1차 성형제품인 프리폼(perform)을 만들며, 이 프리폼을 다시 블로잉 머신에서 2차로 병 모양을 성형하는 과쳐 PET병이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본 발명의 적용된 모양으로 동일하게 내부공간(10)이 형성되고, 이 내부공간(10)의 일측에 나사산(12)이 구비된 출구(11)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음료용기(100)의 출구에 결합되는 대응하는 나사산(13)이 구비된 뚜껑(14)을 제작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용기(100)에 다양한 맛의 음료나 주류를 상기 내부공간(100)에 저장하고 음료용기(100')의 돌출돌기(20')를 삽입홈(30)에 끼워 결합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2단, 3단으로 고정이 가능하며 이동과 보관이 편리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음료용기(100)는 사각기둥의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작시 측면에 형성되는 돌출돌기(20)와 삽입홈(30)의 수를 제한함으로서 결합시에 다양한 모양을 형성하여 사용 후 아이들의 블럭 완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 결합이 가능한 음료용기
10: 내부공간 11: 출구
12: 나사산 13: 대응하는 나사산
14: 뚜껑 20: 돌출돌기
30: 삽입홈

Claims (2)

  1. 각종 음료를 저장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구비되고, 이 내부공간의 일측에 상기 음료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일측 단부에 직경이 작게 형성되며 테두리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출구가 구비되며, 이 출구를 수용하며 상기 나사산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뚜껑이 구비된 음료용기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의 외부면에 돌출 돌기와 삽입홈이 형성되고, 음료용기를 수직 혹은 수평으로 적층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돌기는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돌출돌기가 안착할 수 있도록 대응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용기.
KR1020100044025A 2010-05-11 2010-05-11 결합이 가능한 음료용기 KR201101245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025A KR20110124566A (ko) 2010-05-11 2010-05-11 결합이 가능한 음료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025A KR20110124566A (ko) 2010-05-11 2010-05-11 결합이 가능한 음료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566A true KR20110124566A (ko) 2011-11-17

Family

ID=45394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025A KR20110124566A (ko) 2010-05-11 2010-05-11 결합이 가능한 음료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456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712Y1 (ko) * 2012-09-24 2013-06-28 조민기 포장용기
KR101665000B1 (ko) * 2015-10-06 2016-10-14 주식회사 디엠지팜 압입 결합식 음료 용기 구조체
KR101664319B1 (ko) * 2015-08-31 2016-10-14 주식회사 디엠지팜 착탈 결합식 음료 용기 구조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712Y1 (ko) * 2012-09-24 2013-06-28 조민기 포장용기
KR101664319B1 (ko) * 2015-08-31 2016-10-14 주식회사 디엠지팜 착탈 결합식 음료 용기 구조체
KR101665000B1 (ko) * 2015-10-06 2016-10-14 주식회사 디엠지팜 압입 결합식 음료 용기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66314A1 (en) Plastic bottle
CN101583537B (zh) 具有改进形状的饮料容器
JP2015504825A (ja) 耐荷重及び耐真空容器
CN104271454B (zh) 具有改善的耐真空性的容器
JP2003104343A (ja) ボトル型容器
US8256633B2 (en) Multipurpose plastic bottle made in one piece
EP3089926A1 (en) Cap for closing the neck finish of a contain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id cap
KR20110124566A (ko) 결합이 가능한 음료용기
KR101424096B1 (ko) 음료 및 주류 용기
KR102121372B1 (ko) 다용도의 블록형 패트병
JP2007039109A (ja) 飲料用ボトル容器
CN105793161A (zh) 具有偏置型水平肋和面板的耐真空容器
JP2020055564A (ja) プラスチックボトル
WO2020046228A2 (en) A bottle assembly
KR200267294Y1 (ko) 탈착 가능한 다단식 음료용기
WO2018061379A1 (ja) 合成樹脂製容器
KR20130038079A (ko) 수직 적층형 액체용기
KR200261100Y1 (ko) 다단으로 적층되는 음료용기
KR20040050367A (ko) 접을 수 있는 음료수 병
KR200339852Y1 (ko) 한 개의 병에 두 가지 음료를 담는 페트병.
RU75373U1 (ru) Емкость для жидкости с контейнером
CN210708306U (zh) 液体容器结构
KR102220212B1 (ko) 직렬 또는 병렬 결합이 가능한 조립식 음료 용기
WO2022167833A1 (en) Plastic container design with a secondary use as an interlocking building block
KR200284872Y1 (ko) 이중 유출구를 갖는 음료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